맨위로가기

로마 (신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는 로마 신화에서 로마를 의인화한 여신으로, 로마의 건국과 번영을 상징한다. 초기에는 동전이나 조각상에 헬멧을 쓴 모습으로 묘사되었으며, 그리스의 아테나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기원전 195년경부터 그리스를 중심으로 숭배가 시작되었으며, 로마의 팽창과 함께 헬레니즘 세계에 널리 퍼졌다. 특히 황제 숭배와 결합하여 황제의 권위를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했으며, 서방에서도 숭배되었다. 현대에는 이탈리아 로마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기념관에 조각상으로 묘사되어 있으며, 요한계시록에서는 바빌론의 음녀로 묘사되기도 한다.

2. 성립

기원전 280년-276년과 기원전 265년-242년 사이 로마의 동전에는 헬멧을 쓴 여신이 등장하는데, 때때로 로마로 해석되기도 하지만[67], 그 식별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5][43] 다른 초기 로마 동전에는 전쟁을 상징하는 아마존과 같은 여성 투사가 묘사되기도 했는데, 이는 로마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여신la(dea)이라기보다는 게니우스la(Genius)에 더 가까울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5][67][43]

피로스 전쟁제2차 포에니 전쟁 말기에 로마는 프리기아 헬멧을 쓴 인물의 머리가 새겨진 동전을 발행했으며, 일부 동전에는 로마la(Roma)라는 글자가 명확히 새겨져 있다.[6] 후기 동전에서는 로마가 로마 군 장교의 표준적인 아테네 헬멧을 착용한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하지만 명확한 글자가 없는 경우, 벨로나(Bellona)나 미네르바(Minerva)와 같이 헬멧을 쓴 다른 여신들과 구별하기 어려워 식별이 쉽지 않다. 특히 미네르바는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Athena)와 동일시되는데, 일부 학자들은 아테나가 로마의 원형일 수 있다고 보기도 한다.[6]

캄피돌리오 광장의 로마; 현대에 무기를 추가하여 미네르바(Minerva) 조각상을 개조함


로마 여신에 대한 가장 초기의 명확한 증거 중 하나는 기원전 275년경 이탈리아 반도의 로크리에서 로마의 그리스 동맹이 발행한 은 스타테르이다. 이 동전에는 방패와 무기를 갖추고 왕좌에 앉은 여성이 명확하게 '로마'로 표시되어 있으며, 피스티스(Pistis) (로마의 피데스(Fides), 즉 '신의'에 해당)로 표시된 다른 여성이 로마에게 왕관을 씌워주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4] 또한 기원전 114년 또는 115년의 로마 데나리우스 동전에는 로마가 로물루스(Romulus)와 레무스(Remus), 그리고 그들을 길렀다고 전해지는 암늑대와 함께 묘사되어 있다. 이는 로마 여신이 로마 건국 초기부터 도시를 보호하고 양육해왔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4] 그녀의 "아마존"적인 모습은 트로이 전쟁 당시 트로이 편에서 싸웠던 용맹한 아마존 여전사들을 연상시키며, 로마인들이 자신들의 조상으로 여겼던 트로이와의 연관성을 암시하기도 한다.[4]

후기 공화정 시대와 초기 제정 시대의 로마 문학에서는 로마를 비너스(Venus)나 키벨레(Cybele)와 같은 로마의 여러 '위대한 어머니 여신' 중 하나로 묘사하기도 했다.[4] 시인 엔니우스는 '조국 로마'(patria Romala)를 의인화했고, 키케로는 로마를 '로마 국가'(res publicala)로 지칭했지만, 이들 모두 로마를 명확하게 '여신'(deala)으로 부르지는 않았다.[7][68][44] 로마 신화 속에서 로마라는 이름 자체에서 그 여신의 가계가 만들어졌으며, 점차 그리스의 여신들과 동일시되거나 그 영향을 받은 존재로 여겨지게 되었다.[44] 로널드 멜러에 따르면, 로마 여신은 이탈리아, 마그나 그라에키아, 그리고 로마에서 이미 그 도상과 특징이 어느 정도 확립된 그리스 여신으로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4]

역사가 로널드 멜러는 로마라는 존재가 의인화된 인물, 여신, 또는 상징으로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선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그는 로마가 "여신, 창녀, 거의 성녀, 그리고 문명 그 자체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서구 문명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정치-종교적 상징 중 하나라고 요약했다.[41]

3. 그리스 세계에서의 여신 로마

로마 (신화)


여신 로마에 대한 가장 오래된 신앙은 기원전 195년 스미르나에서 확립되었다. 이는 로마와의 동맹을 통해 셀레우코스 제국의 안티오코스 3세에 성공적으로 대항할 수 있었던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69][8][45] 이러한 로마 숭배는 그리스와 동방의 군주 숭배 전통과 로마 공화정의 정치 관습을 결합하려는 종교·정치적 외교의 한 형태로 해석된다. 즉, 로마 국가 자체를 신성한 존재로 인격화하여 로마의 공직, 공화정 체제, 도시의 권위를 인정하게 하려는 의도였다.[70][46] 다만, 이러한 숭배가 개별 로마인 후원자에 대한 지역적 숭배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았다.

아테네로도스섬과 같은 공화정 도시 국가들은 여신 로마를 자신들의 전통적인 '데모스'(demos|데모스grc, 일반 대중) 인격화 신앙과 유사하게 여겨 비교적 쉽게 받아들였다.[71][47] 기원전 189년에는 델포이리키아에서도 여신 로마를 기리는 축제가 열렸다. 로마는 운동 경기와 헬레니즘 문화 전반의 후원자로서 그리스 세계의 축제 문화에 자연스럽게 편입되었다.[71][9][47] 이후 기원전 133년, 페르가몬 왕국의 앗타로스 3세는 자신의 왕국 백성과 영토 전체를 로마에게 유증했는데, 이는 로마가 신뢰할 수 있는 동맹이자 보호자임을 인정한 행위였다. 이 유증으로 새롭게 로마의 아시아 속주가 탄생했으며, 이 지역에서 여신 로마 숭배는 더욱 빠르게 확산되었다.[72][10][48]

헬레니즘 종교 전통에서는 보통 남신은 남성 신관이, 여신은 여성 신관이 섬겼지만, 여신 로마의 신관은 예외적으로 남성이 맡았다. 이는 강력한 로마의 군사력을 상징적으로 인정한 결과로 추정된다. 여신 로마의 신관직은 지역 사회의 유력자들이 맡는 명예로운 자리였다.[73][49]

아마존이 로마 여신의 기원이라는 설도 있지만, 그리스 주화에 묘사된 로마는 그리스 여신들처럼 성벽관을 쓰거나 프리기아식 투구를 쓴 모습으로 나타난다. 때로는 아무것도 쓰지 않은 모습으로 그려지기도 했다.[74][2][50] 시간이 지나면서 로마는 '맹세의 수호자'인 제우스나 '상호 신뢰'를 인격화한 여신 피데스와 연관되기도 했다.[75][51]

동방 지역에서의 로마 숭배는 본질적으로 로마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고 로마로부터 보호를 받고자 하는 표현이었다. 로마 국가에 대한 경의 외에 다른 신앙적 이유는 찾기 어렵다.[76][52] 레스보스 섬의 시인 멜린노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삽포 시체 형식의 로마 찬가가 남아 있는데, 이 시는 로마를 아레스의 딸로 묘사하며 그 강력함을 찬양한다.[11][52]

그러나 이러한 숭배는 주로 그리스와 동방 지역에 한정되었으며, 로마 공화국 본토나 그 서쪽 지역에서는 여신 로마에 대한 신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77][13][53] 현재까지 지중해 동부 지역에서 발견된 여신 로마의 신전 유적은 드물며, 제단 4개와 의도적으로 파손된 조각상 1점 정도가 남아 있다.[78][50]

4. 로마 황제 숭배에서의 여신 로마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암살 이후 신격화되어 로마 및 동방 식민지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다. 그의 후계자 아우구스투스는 내전을 종결시키고 프린켑스가 되었으며, 기원전 30년경 아시아 속주와 브리타니아 등지에서는 아우구스투스를 살아있는 신(divusla)으로 모시고자 하는 요청이 있었다. 공화정 로마는 헬레니즘적 군주제를 경계했지만, 속주민과 동맹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로마인이 아닌 경우, 여신 로마(deala Roma)와 함께라면 아우구스투스를 숭배해도 좋다'는 신중한 타협안을 내놓았다[15][54][79]. 이를 위해 페르가몬과 니코메디아에 신전이 세워졌다.

로마 혹은 비르투스의 청동 조각상. 그녀는 원래 왼손에 창을 들고 있었으며, 로마인 경우 오른손에 승리의 여신상을 들고 있었는데, 서기 50–75년경의 작품이다. 게티 빌라


이렇게 여신 로마는 초기 '황제 숭배'의 형태에 자연스럽게 통합되었다. 동방의 관점에서는 전통적인 여신 로마 신앙 위에 아우구스투스 숭배가 덧붙여진 것으로 볼 수도 있었다. 이후 여신 로마는 황제나 그 배우자의 신성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주로 맡게 되었지만[53][55][80][81], 일부 그리스 동전에서는 여신 로마가 중앙에 권위 있는 모습으로 앉아 있고 황제는 마치 그녀를 보좌하는 것처럼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했다[13][16]. 그녀는 황제의 배우자이자 모든 로마인의 어머니로서 제국을 상징하는 역할을 했다. 그리스 도시 국가에서는 지역 수호 여신인 튀케와 그 모습이 합쳐져, 성벽 모양의 관(성벽관)을 쓰고 풍요의 뿔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로마 여신이 앉아 있는 모습은 아테나(로마의 미네르바에 해당)와 유사하며, 이는 정복을 통해 세워진 제국의 강인한 여성적 미덕을 상징했다[4].

황제 숭배는 동방 지역의 독창적인 종교 관념에 대한 로마의 실용적이고 정치적인 대응책이었다. 전통적인 종교 요소를 공화정 체제와 혼합하여, 황제를 중심으로 한 제국의 일체감을 나타내는 새로운 제도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다. 서방의 갈리아, 게르만, 켈트 지역에는 본래 군주 숭배 전통이나 로마식 행정 체계가 없었다[56][82]. 그러나 루그두눔(현 프랑스 리옹)에 황제 숭배의 중심지가 세워졌고, 로마를 본뜬 속주 또는 자치체 단위의 의회가 도입되었다. 현지 상류층 인사들은 황제 숭배의 사제직 선거를 통해 로마 시민으로서의 여러 이점을 누릴 수 있었다. 루그두눔에 세워진 제단(arala)은 여신 로마와 아우구스투스에게 바쳐진 것이었다[57][83]. 이후 여신 로마는 서방 속주에서도 화폐나 금석문에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문헌 기록에서 그녀에 대한 언급이 적은 것은 무시되었기 때문이라기보다는 너무나 보편적인 존재였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에는 살아있는 황제 본인보다 여신 로마가 더 높은 존경을 받았을 가능성도 있다[17][18][58][59][60][84][85][86].

아프리카 속주에서는 렙티스 마그나와 막타르(Mactar)에 여신 로마와 아우구스투스를 모시는 신전이 있었다.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총 6곳의 관련 신전이 발견되었는데, 라티움 지역에 2곳이 있었고 그중 하나는 개인이 비용을 대어 지은 것이었다.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는 오스티아 항구에 로마와 아우구스투스를 위한 웅장한 시립 신전이 건설되었다[19][61][87].

로마 시내에서 여신 로마에 대한 국가적 숭배가 본격화된 것은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베누스와 로마 신전을 건설하면서부터였다. 이 신전에서 로마 여신은 베누스 여신과 함께 숭배되었다. 당시 로마 시내에서 가장 큰 신전이었던 이곳은 로마 건국 기념 축제인 파릴리아(Parilia)를 새롭게 개편하여 '로마이아'(Romaea)라고 부르게 된 계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신전 내부에는 앉아있는 모습의 헬레니즘 양식 로마 여신상이 안치되었는데, 오른손에는 로마의 영원성을 상징하는 팔라디움을 들고 있었다[2][20][62][63][88][89]. 이는 로마에서 새로운 시도였으며, 그리스 문화의 영향을 받아 로마 여신을 위엄 있는 모습으로 표현함으로써, 기존의 군사적 지배의 상징에서 제국의 보호와 장중함(gravitasla)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그 의미가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아라비아의 필리푸스 황제가 발행한 안토니니아누스 은화 뒷면에는 방패 위에 앉아 승리의 여신상과 홀을 든 로마 여신이 '영원한 로마'(Roma Aeterna)라는 문구와 함께 새겨져 있다.

티투스 개선문에서 전차를 탄 황제를 호위하는 로마


여신 로마의 위상은 때때로 변화를 겪었다. 클로디우스 알비누스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루그두눔 전투에서 패배한 후, 루그두눔 신전에서는 여신 로마 숭배가 배제되고, 로마(도시)와 아우구스투스가 새로운 황제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학자 피쉬윅(Fishwick)은 이러한 루그두눔 의례의 변화를 노예가 가장(paterfamiliasla)에게 바치는 숭배 의식과 유사한 형태로 해석했다[21][64][90]. 이러한 변화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사례였다.

그 이후의 혼란스러운 시대에도 여신 로마는 중요한 상징으로 남았다. 예를 들어, 프로부스 황제는 자신의 모습을 도미나투스(후기 로마 제국의 전제 군주정)의 상징인 태양 모양 왕관을 쓴 모습으로 동전에 새겼지만, 동전 뒷면에는 베누스와 로마 신전을 그려 넣었다. 이는 프로부스의 초상이 황제의 절대적인 주권(imperiumla)을 나타내는 반면, 여신 로마는 그 주권이 어디까지나 로마의 전통과 제국의 통일에 기반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었다[22][65][91]. 로마의 개선문 부조, 예를 들어 티투스 개선문에서는 개선하는 황제의 전차를 로마 여신이 직접 호위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5. 현대의 로마 여신

이탈리아 로마에 위치한 알타레 델라 파트리아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알타레 델라 파트리아(Altare della Patria, 조국의 제단) 중앙에는 현대적으로 재해석된 로마 여신상이 자리 잡고 있다.[36] 이 제단과 여신상은 1906년 공모전에서 우승한 브레시아 출신 조각가 안젤로 자넬리(Angelo Zanelli)가 설계했다.[37][36] 로마 여신상은 제단 입구 계단 꼭대기, 이탈리아 무명 용사의 묘(Tomb of the Unknown Soldier (Italy)) 바로 위에 위치하며, 금빛 배경 앞에 서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7][36]

안젤로 자넬리는 19세기까지 이어져 온 로마 여신의 전통적인 묘사 방식, 즉 전쟁과 관련된 호전적인 모습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그는 그리스 신화아테나 여신을 참고하여, 전쟁의 여신일 뿐만 아니라 지혜와 예술의 수호자로서의 면모를 함께 부각시켰다.[38]

알타레 델라 파트리아에 로마 여신상을 세운 것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로마를 통일 이탈리아의 수도로 삼으려는 당시 애국자들의 강한 의지를 상징한다. 이는 로마가 이탈리아 반도와 문화 역사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39][40]

6. 요한계시록에서의 로마

요한 계시록은 로마 제국 시대에 작성된 문서로, 당시의 정치적, 종교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페르가몬 교회에 보낸 편지(2:12–17)에서는 우상에게 바쳐진 음식을 먹는 행위를 경고하는데, 이는 당시 페르가몬에서 성행했던 로마 황제 숭배나 신격화된 아우구스투스와 여신 로마를 숭배하는 행위를 염두에 둔 것일 수 있다.[28]

이후 요한계시록 17장에서는 '바빌론의 음녀'라는 사악한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일반적으로 당시 세계를 지배하던 로마 제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며, 여신 로마에 대한 명백한 풍자로 여겨지기도 한다.[34] 요한계시록은 이 음녀를 "자주색과 주홍색 옷을 입고 금과 보석과 진주로 꾸몄으며, 손에는 음행의 가증함과 더러움이 가득한 금잔을 들고 있었고", "이마에는 '큰 바빌론, 창녀와 땅의 가증한 것들의 어미'라는 신비로운 이름이 쓰여 있었다"고 묘사한다. 또한 "그 여자가 성도들의 피와 예수의 증인들의 피에 취한 것을 보았다"고 기록하며, "네가 본 그 여자는 땅의 왕들을 다스리는 큰 도시다"라고 덧붙여 로마를 지칭함을 암시한다.[29]

바빌론의 음녀가 로마를 상징한다는 해석은 여러 근거를 통해 뒷받침된다. 음녀는 일곱 머리를 가진 짐승 위에 앉아 있는데, 요한계시록은 "일곱 머리는 여자가 앉아 있는 일곱 산"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전통적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30][31][32] 실제로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시대에 발행된 세스테르티우스 동전에는 로마 여신(데아 로마)이 로마의 일곱 언덕에 기대어 다양한 장식을 갖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당시 로마 동전의 도상에 익숙했던 요한계시록의 독자들은 이 음녀가 로마를 상징한다는 것을 쉽게 이해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3]

로마 예술에서는 로마 여신을 정복을 상징하며 야생 동물을 길들이는, 보석으로 장식된 우아하고 위엄 있는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요한계시록의 저자는 이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로마를 "성도들의 피와 예수의 증인들의 피에 취한", 부패하고 사악한 세력으로 묘사한다.[34]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계시록의 바빌론이 로마를 상징한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단순히 1세기 로마 도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크레이그 코스터(Craig Koester)는 "그 음녀는 로마이지만, 로마 이상이다"라고 지적하며, 바빌론이 "하나님으로부터 소외된 세상을 나타내는 로마 제국" 전체를 상징한다고 설명한다.[35]

역사가 로널드 멜러는 로마라는 상징이 고대 그리스부터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선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지적했다. '로마'는 여신, 창녀, 거의 성녀, 그리고 문명 그 자체의 상징으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으며, 서구 문명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정치-종교적 상징 중 하나로 남아있다.[41]

참조

[1] 간행물 Mellor 1991, 956
[2] 간행물 Mellor 1991, pp. 960–964
[3] 간행물 Mellor 1991, pp. 60-63
[4] 논문 Roma and the virtuous breast 2014
[5] 웹사이트 Sear Roman Coins & their Values (RCV 2000 Edition) #25 http://www.wildwinds[...] 2009-06-22
[6] 논문 The iconography of Roman coin types in the third century BC 1986
[7] 간행물 Mellor 1991, pp. 963; 1004–05
[8] 문서 Tacitus, Annals, 4.56
[9] 간행물 Mellor 1991, p. 967
[10] 간행물 Mellor 1991, pp. 958–959
[11] 서적 The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
[12] 문서 Melinno, Hymn to Rome, quoted in Stobaeus, Anthology 3.7.12
[13] 간행물 Mellor 1991, p. 972
[14] 간행물 Mellor 1991, pp. 965–966
[15] 웹사이트 Imperial Cults within Local Cultural Life: Associations in Roman Asia (Philip A. Harland) http://www.philiphar[...] 2009-05-02
[16] 서적 Imperial ideology and provincial loyalty in the Roman Empi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17] 간행물 Mellor 1991, pp. 990–993
[18] 간행물 Fishwick vol. 1, 1, 101 and vol. 3, 1, 12–13, & Mellor 1991, pp. 998–1002
[19] 간행물 Mellor 1991, 1002–03
[20] 간행물 Beard et al. 1998, pp. 257–259
[21] 간행물 Fishwick, Vol. 3, 1, 199
[22] 웹사이트 Examples of Probus' coin types are shown at Doug Smith's website http://dougsmith.anc[...]
[23] 논문 Roma(na) Matrona 2017
[24] 서적 Dynasty and Empire in the Age of Augustus: The Case of the Boscoreale Cups https://publishing.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
[25] 서적 Augustan Culture: An Interpretive Introduc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6
[26] 논문 Bronze Statuettes from the Athenian Agora: Evidence for Domestic Cults in Roman Greece 2014
[27] 논문 Pagan Statuettes in Late Antique Corinth: Sculpture from the Panayia Domus 2008
[28] 서적 The Collegeville Bible Handbook https://books.google[...]
[29] 성경 Revelation 17
[30] 서적 Revelation. The College Press NIV commentary (322) College Press Pub 2000
[31] 간행물 Beard et al 1998, p. 283
[32] 서적 From Every People and Nation: The Book of Revelation in Intercultur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33] 서적 Gospel Images in Fiction and Film: On Reversing the Hermeneutical Flow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02
[34] 서적 Armageddon: What the Bible Really Says about the End Simon and Schuster 2023
[35] 서적 Anchor Yale Bible 38A Yale University Press
[36] 서적 L'altare della patria Il mulino 2011
[37] 웹사이트 L'Altare della Patria http://www.quirinale[...] 2018-01-01
[38] 서적 Roma massonica Edizioni Mediterranee 2009
[39] 웹사이트 Ministero della Difesa – Il Vittoriano http://www.difesa.it[...] 2018-11-14
[40] 서적 The Impossible Capital: Monumental Rome under Liberal and Fascist Regimes Wiley Blackwell 1870–1943
[41] 문서 Mellor 1991, p. 952
[42] 문서 Mellor, 956
[43] 웹사이트 Sear Roman Coins & their Values (RCV 2000 Edition) #25 http://www.wildwinds[...] 2009-06-22
[44] 문서 Mellor, 963, 1004-5
[45] 간행물 Annals
[46] 웹사이트 플라미니누스 http://penelope.uchi[...] 2009-06-29
[47] 문서 Mellor, 967
[48] 문서 Mellor, 958-9
[49] 문서 Mellor, 965-6
[50] 문서 Mellor, 960-3
[51] 간행물 De Natura Deorum
[52] 서적 The Greek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7
[53] 문서 Mellor, 972
[54] 웹사이트 Imperial Cults within Local Cultural Life: Associations in Roman Asia http://www.philiphar[...] 2003
[55] 문서 Ando, 45
[56] 문서 Mellor, 989
[57] 문서 祭壇은 기원전10년 또는 12년의 것
[58] 문서 Fishwick는 로마가 여신으로서 헬레니즘 세계에서 (아우구스투스에게) 선행하여 존재한 것이 서방의 신앙에서도 계승되었다고 보고있다.
[59] 문서 Mellor, 990-993
[60] 문서 루그두눔의 神官은 그리스어로 sacerdos라고 불렀다
[61] 문서 Mellor, 1002-3
[62] 문서 Beard et al, vol 1, 257-9
[63] 문서 Mellor, 963-4
[64] 문서 Fishwick,Vol. 3, 1, 199
[65] 웹사이트 Doug Smith's website http://dougsmith.anc[...]
[66] 문서 Mellor, 956
[67] 웹사이트 "Sear Roman Coins & their Values (RCV 2000 Edition) #25" http://www.wildwinds[...] 2009-06-22
[68] 문서 Mellor, 963, 1004-5
[69] 간행물 Annals
[70] 웹사이트 티트스 쿠크티우스 후라미니누스 http://penelope.uchi[...] 2009-06-29
[71] 서적 Mellor
[72] 서적 Mellor
[73] 서적 Mellor
[74] 서적 Mellor
[75] 인용 로마에서의 피데이스 신앙은 공화정 후기에 확립했다
[76] 웹사이트 English and Greek versions in Powell, Anton, The Greek World, Routledge, 1997, p369 http://books.google.[...]
[77] 서적 Mellor
[78] 서적 Mellor
[79] 간행물 Introduction to Imperial Cults within Local Cultural Life: Associations in Roman Asia http://www.philiphar[...] 2003
[80] 서적 Mellor
[81] 서적 Ando
[82] 서적 Mellor
[83] 기타 제단 기원전 10년 또는 12년
[84] 기타 Fishwick
[85] 서적 Mellor
[86] 서적 Mellor
[87] 서적 Mellor
[88] 서적 Beard et al
[89] 서적 Mellor
[90] 서적 Fishwick
[91] 웹사이트 프로부스의 동전 http://dougsmith.a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