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수아 드 투르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16세기 프랑스의 성직자이자 추기경으로, 엠브룅 대주교, 부르주 대주교, 리옹 대주교를 역임했다. 그는 교황청 특사로 잉글랜드와의 외교에 참여하고, 여러 차례 콘클라베에 참석했으며, 프랑수아 1세와 앙리 2세 치하에서 정치적, 외교적 활동을 펼쳤다. 또한 콜레주 드 투르농을 설립하여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종교 분쟁 속에서 가톨릭의 입장을 옹호했다. 그는 푸아시 종교 회담과 생제르맹 회담에 참여했으나, 화해를 이루는 데 실패하고 156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62년 사망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 1562년 사망 - 금원군
조선 중종의 서3남인 금원군은 희빈 홍씨 소생으로, 8세에 금원군에 봉해졌으며 문소전, 연은전 등의 도제조를 겸하며 종친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승려들과 내통하여 불사로 탄핵을 받기도 했으나 송인은 그를 순박하고 꾸밈없는 인물로 평가했다. - 프랑스의 추기경 -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
앙드레 에르퀼 드 플뢰리는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사제가 되어 루이 14세와 15세를 섬기며 루이 15세의 재상이 되어 재정 흑자를 달성하고 국력 회복에 기여했으나, 말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개입하며 권위가 실추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추기경 - 쥘 마자랭
쥘 마자랭은 이탈리아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하며 30년 전쟁 종식과 프랑스-스페인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프롱드의 난을 진압하여 루이 14세의 절대왕정 기반을 다진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토머스 울지
토머스 울지는 15세기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헨리 7세와 헨리 8세 시대에 걸쳐 왕실 고위직을 역임하며 권력을 행사했지만, 헨리 8세의 이혼 문제 해결 실패로 몰락한 성직자이자 정치가이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율리오 2세
율리오 2세는 1503년부터 1513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세속 권위 견제, 교황령 중앙 집권화, 그리고 르네상스 예술가 후원을 통해 로마를 예술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 프랑수아 드 투르농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프랑수아 드 투르농 |
| 출생 | 1489년 |
| 출생지 | 투르농-쉬르-론, 프랑스 |
| 사망 | 1562년 4월 22일 |
| 사망지 | 생제르맹앙레, 프랑스 |
| 국적 | 프랑스 |
| 매장지 | 투르농 FR, 콜레주 드 투르농 |
| 부모 | 자크, 루실롱 백작; 잔 드 폴리냐크 |
| 직책 | |
| 직함 | 추기경 |
| 관구 | 앙브룅 (1518-1525) 부르주 (1526-1537) 오슈 (1538-1551) 리옹 (1551-1562) |
| 교구 | 사비나 (1550-1560) 오스티아 에 벨레트리 (1560-1562) |
| 서임 | 1530년 |
| 추기경 서임자 | 교황 클레멘스 7세 |
| 기타 정보 | |
| 종교 | 가톨릭 |
2. 초기 생애와 교육
그는 투르농 영주이자 루시용 백작인 자크와 폴리냑 백작 기욤 아르망의 딸인 잔 드 폴리냑의 아들이었다. 자크 백작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군대와 함께 복무했으며, 그곳에서 사망했다. 프랑수아는 그들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다. 장남 크리스토프는 가문의 작위를 물려받아 군인이 되었다. 형 저스트는 파비아 전투에서 사망했다.[1] 그의 형제 중 두 명도 성직에 있었는데, 가스파르(1505-1520년 발랑스 주교)와 샤를(1501-1504년 로데즈 주교)이었다.[2] 그는 어머니와 가정교사에게서 홈스쿨링을 받았다. 12세에 프랑수아는 S. 앙투안 앙 비엔누아 수도회에 입회하여, 아보 테오도르 미테 드 S. 샤몽(1495-1527)의 지도를 받았다.[3] 이윽고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수도원장이 되었으며,[4] 1542년에는 S. 앙투안 수도회의 제21대 아보가 되어,[5] 1555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6] 교황 보니파시오 8세(1295-1303)의 명령에 따라 S. 앙투안 수도회의 회원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을 따랐으며,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수도회(CRSA)의 정규 수도사로 간주되었다.
2. 1. 가문과 출생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투르농 영주이자 루시용 백작인 자크와 폴리냑 백작 기욤 아르망의 딸인 잔 드 폴리냑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아들이었다.[1] 아버지 자크 백작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군대에 복무하다 사망했다.[1] 장남 크리스토프는 가문의 작위를 물려받아 군인이 되었고, 형 저스트는 파비아 전투에서 사망했다.[1] 그의 형제 중 가스파르(1505-1520년 발랑스 주교)와 샤를(1501-1504년 로데즈 주교)은 성직에 있었다.[2]프랑수아는 어머니와 가정교사에게서 홈스쿨링을 받았다.[3] 12세에 S. 앙투안 앙 비엔누아 수도회에 입회하여 아보 테오도르 미테 드 S. 샤몽(1495-1527)의 지도를 받았다.[3]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수도원장이 되었으며,[4] 1542년에는 S. 앙투안 수도회의 제21대 아보가 되어,[5] 1555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6] 교황 보니파시오 8세(1295-1303)의 명령에 따라 S. 앙투안 수도회의 회원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을 따랐으며,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수도회(CRSA)의 정규 수도사로 간주되었다.
2. 2. 교육 과정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투르농 영주이자 루시용 백작 자크와 폴리냑 백작 기욤 아르망의 딸인 잔 드 폴리냑의 아들이었다. 자크 백작은 이탈리아 전쟁에서 프랑스 군대와 함께 복무했으며, 그곳에서 사망했다. 프랑수아는 그들의 다섯 번째 아들이었다. 장남 크리스토프는 가문의 작위를 물려받아 군인이 되었다. 형 저스트는 파비아 전투에서 사망했다.[1] 그의 형제 중 두 명도 성직에 있었는데, 가스파르(1505-1520년 발랑스 주교)와 샤를(1501-1504년 로데즈 주교)이었다.[2]그는 어머니와 가정교사에게서 홈스쿨링을 받았다. 12세에 프랑수아는 S. 앙투안 앙 비엔누아 수도회에 입회하여, 아보 테오도르 미테 드 S. 샤몽(1495-1527)의 지도를 받았다.[3]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수도원장이 되었으며,[4] 1542년에는 S. 앙투안 수도회의 제21대 아보가 되어,[5] 1555년까지 그 자리를 유지했다.[6] 교황 보니파시오 8세(1295-1303)의 명령에 따라 S. 앙투안 수도회의 회원들은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을 따랐으며, 성 아우구스티누스 정규 수도회(CRSA)의 정규 수도사로 간주되었다.
3. 성직 경력
3. 1. 엠브룅 대주교 (1518년 - 1525년)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28세였던 1518년에 아비뇽 대성당의 참사 회원이자 엠브룅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의 선출은 1518년 7월 30일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추기경 회의에서 확정되었다.[7] 그는 1525년까지 대주교로 재임했다.[7]1525년 2월 24일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패배하여 포로로 잡힌 후, 몽시뇨르 드 투르농은 국왕 평의회 위원으로 소환되었다. 그는 왕대비 사부아의 루이즈, 국왕의 여동생 마르그리트, 마르그리트의 남편 알랑송 공작, 몽모렌시 경, 그리고 파리 의회 의장과 합류했다.[9] 이들의 임무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협상하여, 스페인에 포로로 잡힌 국왕의 석방을 협상하는 것이었다. 루이즈 여왕은 투르농을 마드리드로 보내 협상을 이끌게 했다.[10] 이는 1526년 1월 14일 마드리드 조약에서 성사되었다.
3. 2. 부르주 대주교 (1526년 - 1538년)
1526년 1월 8일, 투르농 대주교의 엠브룅에서 부르주로의 전임이 교황 바오로 3세의 추기경 회의에서 승인되었다.[11] 1525년 부르주 대주교가 사망한 후, 성직자들은 후임자 선출을 위해 모였으나 선거인 간 이견으로 논란이 발생했다. 일부는 자크 드 브롤리오 신부를, 다수는 엠브룅의 프랑수아 드 투르농 대주교를 지지했다.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이 사건을 조사하여 투르농의 편을 들었고, 브롤리오는 미래의 공의회에 항소했다. 교황은 투르농의 부르주 이동을 승인했고, 1526년 4월 16일 대리인을 통해 부르주에 착좌했으며, 5월 19일에 직접 공식적으로 점유했다. 1528년 3월 21일, 그는 부르주에서 공의회를 주재하여 마르틴 루터의 새로운 이단들을 비난하고 파문했다.[12]1529년, 투르농 대주교는 프랑수아 1세의 두 아들이 인질로 잡혀 있었기에, 그들을 석방하기 위해 스페인 마드리드 궁정으로 특명 대사로 파견되었다. 투르농은 황제의 누이인 오스트리아의 엘레오노르를 동행하여 프랑스로 데려왔으며, 그녀는 1530년 7월 4일 프랑수아 1세와 결혼했다.[13]
3. 3. 추기경 임명 (1530년)
프랑수아 드 투르농 대주교는 교황 클레멘스 7세가 1530년 3월 9일 추기경 회의에서 서임한 다섯 명의 고위 성직자 중 한 명이었다. 이 회의는 교황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카를 5세의 대관식을 거행하기 위해 볼로냐에서 열렸다. 1530년 5월 16일 회의에서 투르농은 성 마르첼리노와 베드로의 추기경 사제에 임명되었다. 그는 1533년 1월 13일까지 추기경 회의에서 발언권을 얻는 의식인 입을 닫고 여는 의식에 참여하지 않았다.3. 4. 잉글랜드와의 외교 활동
헨리 8세는 황제의 숙모인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이혼을 원했고, 토마스 울지 추기경이 버려진 후 교황청을 상대할 인물이 필요했다.[15] 헨리 8세는 여러 추기경을 통해 교황청과 교섭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결국 프랑수아 1세에게 의지했다. 1532년 10월 20일 부로뉴에서 두 군주의 회동이 있었고,[16] 프랑스와 잉글랜드 간의 관계 개선, '국왕의 중대사'에 대한 반대 제거, 교황의 조카와 프랑스 왕자 간의 결혼을 통해 프랑스와 교황청 간의 동맹을 이끌어내기 위해 가브리엘 드 그라몽과 투르농을 로마로 보내기로 합의했다.[17]1532년 11월 6일, 투르농 추기경과 가브리엘 드 그라몽은 교황청 대사로 출발했고,[18] 1533년 1월 13일 로마를 방문, 공의회에 처음으로 자리에 앉았다. 투르농은 8월 13일까지 공의회에 참석했고, 잉글랜드 문제가 논의될 때는 외교적으로 불참했다.[19][20] 9월 27일, 그는 교황이 헨리 8세의 이혼 문제는 공의회의 문제이며 추기경들이 반대한다고 알렸다.[21] 이러한 노력의 절정은 1533년 10월 마르세유에서 교황의 방문과 프랑스의 앙리와 카트린 드 메디치의 결혼이었다.[22] 교황은 프랑수아 1세, 황제 카를 5세와 만났지만, 1532년 11월 22일 비밀리에 앤 불린과 결혼하고 1533년 1월 25일 공개적으로 결혼한 헨리 8세와는 만나지 않았다.[23]
3. 5. 1534년 콘클라베
교황 클레멘스 7세는 1534년 9월 25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그의 후임을 선출하기 위한 콘클라베는 1534년 10월 11일 월요일에 시작되었으며, 33명에서 37명의 추기경이 참석했다.[24] 총 46명의 생존 추기경이 있었으며, 그중 10명은 콘클라베에 전혀 참석하지 않았다. 투르농 추기경이 속한 프랑스 파벌은 10명에서 12명의 표를 얻을 수 있었다. 아오스타 주교 피에트로 가지노에 따르면, 프랑스 측은 투르농 추기경에게 투표할 의향이었고, 그의 후보가 실패할 경우 산세베리노 추기경에게 투표할 예정이었다.[25] 로렌 추기경 장이 프랑스 측의 공식적인 지도자였지만, 실제 업무 관리는 투르농 추기경이 맡았다. 신성 로마 제국 측의 지도자들인 베른하르트 폰 클레제 추기경과 마테우스 랑 폰 벨렌부르크 추기경이 황제의 지시 없이 도착하면서 상황은 덜 복잡해졌다.[26] 스페인 대사와 제국 대사는 머리를 맞대고 클레세를 후보로 결정했다. 그러나 너무 늦었다.월요일 아침 미사 후, 시모니에 반대하는 율리우스 2세의 교황 칙서가 낭독되었고, 추기경들은 1513년에 논의나 반대 없이 제안된 선거 조항을 채택했다. 10월 11일 월요일 저녁, 추기경들은 추기경단의 단장인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추기경을 선택하는 데 만장일치로 합의했다. 그들은 이폴리토 데 메디치와 로렌 추기경 장을 파르네세에게 그들의 뜻을 전달하도록 보냈고, 그를 예배당으로 함께 오도록 초대했다. 그곳에서 추기경들은 세 명의 의전 장인 겸 사도좌 수석 서기들에 의해 만장일치 선출을 공식적으로 증명했다.[27] 그러나 다음날 아침, 10월 12일 화요일, 파르네세 추기경이 평소처럼 추기경 자리에 앉아 정식 투표가 진행되었다. 파르네세를 제외한 모든 추기경이 투표를 했고, 만장일치로 결정되었다. 선거가 정식으로 이루어졌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파르네세는 바오로 3세로 불리기를 선택했다.[28]
3. 6. 콜레주 드 투르농 설립 (1536년)
1536년, 투르농 추기경은 고향 투르농에 콜레주 드 투르농(Collège de Tournon)을 설립하겠다는 생각을 처음 밝혔다.[29] 1542년, 자신이 소속된 라 샤이즈-디외 수도원에 속해 있던 앙당스 수도원을 콜레주에 양도하면서 콜레주의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30] 이 거래에 대해 교황 바오로 3세의 허가를 받았으며, 이후 프랑수아 1세를 설득하여 1544년 2월 4일에 발효된 특허장을 통해 기증을 비준하도록 했다.[30] 첫 번째 건물은 1548년에 완공되었다.[30] 교황 율리오 3세를 설득하여 콜레주 드 투르농의 설립을 지지하는 교서를 발부하도록 했으며, 앙리 2세는 1553년 4월 11일에 투르누아 의회가 이를 등록하도록 명령했다.[31] 1559년 1월 6일, 콜레주를 예수회에 넘겼고, 예수회는 1561년 샤를 9세로부터 이 합의를 확인하는 특허장을 받았다.[31]1535년 10월 24일, 밀라노의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 공작이 사망하자, 프랑수아 1세는 이탈리아 전쟁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32] 투르농 추기경은 리오네 지역 및 주변 지역의 총독 겸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이탈리아 전쟁을 위한 자금, 군대, 물자를 모으는 임무를 맡았다.[33] 프랑스가 사보이를 침공하자, 카를 5세는 프로방스를 침공하여 점령함으로써 보복했고, 이로 인해 추기경은 매우 위험한 상황에 놓였다. 카를은 군대를 엑상프로방스까지 진격시켰지만, 프랑수아는 아비뇽을 점령하고 주요 전투를 준비했다. 카를은 이탈리아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34] 투르농의 작전은 제국주의자들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으며, 이탈리아 주둔 프랑스군은 피에몬테 지역을 확보하는 데 진전을 보였다. 교황 바오로 3세는 투르크에 대한 전쟁과 개신교 이단에 대한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믿었기에 평화를 확립하고자 했다.[35] 결국 이 전쟁은 교황 바오로 3세의 중재를 통해 1538년 6월 18일 프랑수아 1세와 카를 5세가 서명한 니스 휴전으로 종결되었다.
1538년 6월 14일, 오슈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1541년 3월 30일에 교황 바오로 3세로부터 팔리움을 받았다. 1551년 4월 사임할 때까지 이 직책을 맡았으며, 사임 조건으로 연간 10,000 리브르 투르누아를 지급받았다.[36] 1540년에는 생 미셸 훈장의 재상으로 임명되었다.[37] 1543년부터 1556년까지 추기경의 주치의는 기욤 롱들레였다. 1544년 7월 22일, 투르농 추기경은 리옹 교구의 아브트 (암브로니아쿰)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도원(S. 모르 회중) 암브로네의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1550년까지 이 직책을 맡았다.[38]
1547년 3월 31일, 프랑수아 1세가 사망했고, 4월 2일 추기경은 앙리 2세의 의회에서 자신의 영지로 은퇴해야 한다는 칙령을 받았다. 그는 새 국왕의 총애를 받지 못했다.[39] 그는 1535년에 획득한 투르뉘 수도원 중 하나로 은퇴하여 정치에 관여하지 않았다. 1548년, 추기경은 황제와 교황과 함께 니스에서 열린 평화 협상에 프랑스 국왕, 즉 앙리 2세를 대표하도록 명령받았다. 그는 10년 평화를 성공적으로 성사시켰다.
3. 7. 오슈 대주교 (1538년 - 1551년)
3. 8. 리옹 대주교 (1551년 - 1562년)
1551년 5월 11일, 교황 율리우스 3세는 공의회에서 투르농 추기경을 리옹 대주교이자 모든 갈리아인의 수장으로 임명하는 것을 승인했다. 1552년 9월 28일, 투르농 추기경은 새로운 교구에 장엄하게 입성했다.[48] 그의 임명으로 1539년부터 관리직을 맡고 있던 이폴리토 데스테 추기경이 해임되었다. 투르농 추기경이 사망하자 데스테 추기경이 다시 관리직을 맡았다.[49]1554년 투르농은 리옹 교구에 있는 아타나쿰 수도원 (네 성당)의 아바스로 선출되었다. 그는 사망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50]
3. 9. 1549-1550년, 1555년 콘클라베
교황 바오로 3세가 1549년 11월 10일에 사망하자[41], 투르농 추기경은 다른 7명의 추기경들과 함께 콘클라베에 참석하기 위해 로마로 향했다. 1549년 11월 29일 42명의 추기경이 콘클라베에 들어갔으며, 기즈, 뒤 벨레, 방돔, 샤티용, 투르농 추기경은 12월 12일에 도착했다.[41] 프랑스 측 후보였던 루이 드 부르봉 드 방돔 추기경은 1550년 1월 14일에야 로마에 도착했으며, 투르농은 방돔의 후보가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대체 후보였다.[41] 그러나 카트린 여왕은 리돌피 추기경과 데스테 추기경을 지지했다.[42] 결국 1550년 2월 7일, 조반니 마리아 키오키 델 몬테 추기경이 율리우스 3세라는 교황명으로 선출되었다.[45]1550년 2월 28일, 투르농 추기경은 교황 율리우스 3세에 의해 사비나의 주교로 승진했다.[46]
교황 율리우스 3세가 1555년 3월 23일에 사망하고,[51] 1555년 4월 5일 금요일에 콘클라베가 시작되었지만, 투르농 추기경은 참석하지 않았다.[51] 4월 9일 저녁, 마르첼로 체르비니 추기경이 마르첼로 2세로 선출되었으나, 22일 만에 사망했다.[52]
루이 1세 드 기즈 추기경은 1555년 4월 21일에 로마에 도착했다.[53] 1555년 두 번째 콘클라베에는 8명의 추기경이 더 있었지만, 프랑스인은 기즈-로렌과 로베르 드 레농쿠르(5월 22일 도착) 단 두 명이었다.[55] 5월 15일 두 번째 콘클라베가 시작될 때 45명의 추기경이 참석했고, 5월 23일 카라파 추기경이 선출되었다.[55] 투르농은 4월 20일에 프랑스에 있었기 때문에[56]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
1560년 3월 13일, 투르농 추기경은 교황 비오 4세에 의해 오스티아 교구로 승진했다.[58]
4. 정치 및 외교 활동
4. 1. 프랑수아 1세 치하의 활동
4. 2. 앙리 2세 치하의 활동
4. 3. 삼부회 주재 (1560년)
비오 4세는 프랑스에서 성장하는 위그노의 세력에 점점 더 우려를 느껴, 1560년 6월 중순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랑스로 가서 조사관으로 활동할 두 명의 공동 사절을 임명했다. 그 사절은 추기경 프랑수아 드 투르농과 추기경 샤를 드 로렌이었다. 투르농은 7월 25일에 로마를 출발하여 10월 24일에 오를레앙의 프랑스 궁정에 도착했다.[59]1484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삼부회가 1560년 12월 13일에 오를레앙에서 시작되었다. 국왕과 왕비, 5명의 추기경이 함께했으며, 추기경 드 투르농은 참석한 최고위 성직자로서 회의를 주재했다. 앙리 프랑수아 도피탈은 정부를 대표하여 긴 연설을 했다. 귀족을 대표하여, 위그노의 지도자 앙드레 드 콜리니 제독의 영감을 받아 자크 드 실리 남작 드 로슈포르가 연설했다. 그는 성직자들의 무질서를 비판하고, 새로운 종교 개혁의 요구 사항을 처리할 국민 공의회를 요구했다. 파리 대학교의 교회법 교수인 장 캥탱은 성직자를 대표하여 연설을 발표하도록 선택되었으며, 이는 드 로슈포르의 주장을 반박하는 내용이었다. 그 내용은 추기경 드 로렌의 영감을 받아 준비된 것으로 보인다.[60] 플뢰리는 추기경 드 투르농이 이 선택에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61]
5. 종교 분쟁과 말년
1530년 추기경 직함을 얻은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왕실과 귀족들 사이의 갈등을 비판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62] 칼뱅주의와 루터교는 귀족들, 특히 프랑수아 1세의 여동생인 나바르의 마르그리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535년경 마르그리트는 필리프 멜란히톤을 궁정에 초청하고자 국왕에게 허가를 요청했고, 투르농은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어떠한 호의나 관용도 좋지 않다고 국왕을 설득했다.[63]
1561년 9월 9일부터 10월 9일까지 프랑수아 드 투르농 추기경은 교황 사절 이폴리토 데스테 추기경을 포함한 6명의 추기경 중 한 명으로, 카트린 드 메디치와 재상 미셸 드 로피탈이 소집한 푸아시 종교 회담에 참석했다.[64] 이 회담은 프랑스 내 가톨릭과 칼뱅주의(위그노) 사이의 화해를 시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첫 회의에서 테오도르 베자가 성찬에 대한 칼뱅주의적 견해를 설명하자, 투르농 추기경은 베자의 이단에 대해 비난했다.[65]
카트린과 로피탈은 1562년 1월 27일부터 2월 11일까지 생제르맹앙레 왕궁에서 두 번째 회담을 마련했고, 교황 사절 데스테와 추기경들이 참석했다.[66] 이 자리에서 베자는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권위를 거부하며 성상 숭배를 공격했다. 2월 11일, 섭정, 부르봉의 앙투안, 재상, 부르봉 추기경 및 투르농 추기경의 회의에서 논의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화해의 가능성은 이전보다 훨씬 희박해졌다.[67] 추기경은 회의중에 심한 병을 얻게 되었다.
투르농 추기경은 1561년 6월 21일에 유언장을 작성했다.[68]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1562년 4월 21일 생제르맹앙레에서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시신은 위그노 약탈단의 위협을 피해 처음에는 생 제르맹 수도원에 안치되었다. 이후 그가 설립한 투르농 대학의 예수회 교회로 옮겨졌다.[69]
5. 1. 푸아시 회담 (1561년)
1530년 추기경 직함을 얻은 프랑수아 드 투르농은 왕실과 귀족들 사이의 갈등을 비판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62] 칼뱅주의와 루터교는 귀족들, 특히 프랑수아 1세의 여동생인 나바르의 마르그리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535년경 마르그리트는 필리프 멜란히톤을 궁정에 초청하고자 국왕에게 허가를 요청했고, 투르농은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어떠한 호의나 관용도 좋지 않다고 국왕을 설득했다.[63]1561년 9월 9일부터 10월 9일까지 프랑수아 드 투르농 추기경은 교황 사절 이폴리토 데스테 추기경을 포함한 6명의 추기경 중 한 명으로, 카트린 드 메디치와 재상 미셸 드 로피탈이 소집한 푸아시 종교 회담에 참석했다.[64] 이 회담은 프랑스 내 가톨릭과 칼뱅주의(위그노) 사이의 화해를 시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첫 회의에서 테오도르 베자가 성찬에 대한 칼뱅주의적 견해를 설명하자, 투르농 추기경은 베자의 이단에 대해 비난했다.[65]
카트린과 로피탈은 1562년 1월 27일부터 2월 11일까지 생제르맹 궁전에서 두 번째 회담을 마련했고, 교황 사절 데스테와 추기경들이 참석했다.[66] 이 자리에서 베자는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권위를 거부하며 성상 숭배를 공격했다. 2월 11일, 섭정, 부르봉의 앙투안, 재상, 부르봉 추기경 및 투르농 추기경의 회의에서 논의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화해의 가능성은 이전보다 훨씬 희박해졌다.[67]
5. 2. 생제르맹 회담 (1562년)
1561년 9월 9일부터 10월 9일까지 프랑수아 드 투르농 추기경은 교황 사절 이폴리토 데스테 추기경을 포함한 6명의 추기경 중 한 명으로, 프랑스에서 가톨릭과 칼뱅주의자(위그노) 사이의 화해를 시도하기 위해 섭정 카트린 드 메디치와 그녀의 재상 미셸 드 로피탈이 소집한 푸아시 종교 회담에 참석했다.[64] 그러나 첫 회의에서 테오도르 베자, 장 칼뱅의 프랑스 제자가 성찬에 대한 칼뱅주의적 견해를 설명했을 때 투르농 추기경은 참지 못하고 베자의 이단에 대해 비난을 퍼부었다.[65]카트린 드 메디치와 미셸 드 로피탈은 1562년 1월 27일부터 2월 11일까지 생제르맹앙레 왕궁에서 두 번째 회담을 마련했고, 교황 사절 데스테와 추기경들이 참석했다.[66] 이 자리에서 베자는 '둘레이아'와 '라트리아'(숭배와 존경)를 구별하지 않고, 제2차 니케아 공의회의 권위를 거부하면서, 성상 숭배를 공격했다.[67] 2월 11일, 섭정, 부르봉의 앙투안, 재상, 부르봉 추기경 및 투르농 추기경의 회의에서 논의를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비록 신학이 아닌 실천에만 국한되더라도 화해의 가능성은 이전보다 훨씬 더 희박해졌다.[67] 추기경은 회의 중에 심각한 병을 앓게 되었다.
5. 3.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6. 유산
참조
[1]
문서
Massip, p. 1
[2]
문서
Fleury, pp. 4-7
[3]
문서
Fleury, p. 19
[4]
서적
Église et monastère de l'ordre Saint Antoine à Maestricht
https://books.google[...]
Hebbelynck
[5]
서적
Histoire de l'ordre hospitalier de Saint-Antoine de Viennois et de ses commanderies et prieurés: première partie [seule publiée]
https://books.google[...]
Guitton-Talamer
[6]
서적
Armorial des grands maîtres et des abbés de Saint-Antoine de viennois
https://books.google[...]
Barlatier Feissat
[7]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sive summorum pontificum, S.R.E. cardinalium, ecclesiarum antistitum series: e documentis tabularii praesertium Vaticani collecta, digesta, edita. Saeculum XVI ab anno 1503 complectens
https://books.google[...]
sumptibus et typis Libr. Regensbergianae
[8]
서적
Le clergé de France, ou tableau historique et chronologique des archevêques, évêques, abbés, abbesses et chefs des chapitres principaux du royaume, depuis la fondation des églises jusqu'à nos jours, par M. l'abbé Hugues Du Tems
https://books.google[...]
Brunet
[9]
문서
Du Verdier, p. 257
[10]
서적
La captivité de François Ier et le Traité de Madrid: étude historique ...
https://books.google[...]
Muquardt
[11]
문서
Gulik and Eubel, p. 135
[12]
문서
Gallia christiana IV (Paris: ex typographia Regia 1728), p. 97
[13]
문서
Du Verdier, p. 258
[14]
문서
Gulik and Eubel, pp. 20-21
[15]
문서
Scarisbrick, p. 305
[16]
문서
Cardinal de Tournon was present, according to the Venetian Ambassador Giovanni Antonio Venier, along with the cardinals Du Prat (the French Chancellor), de Bourbon, de Lorraine and de Gramont. Rawdon Brown, Calendar IV, p. 362
[17]
문서
Scarisbrick, p. 307
[18]
문서
Rawdon Brown, Calendar IV, p. 369 no. 826, p. 370 no. 829
[19]
문서
Reported by the Venetian Ambassador on 7 May: Rawdon Brown, Calendar IV, p. 402 no. 887
[20]
문서
Hamy, pp. ccclvi-ccclviii. Tournon reports that Henry VIII had revoked the commissions of all of his agents and ordered Dr. Benoist to take his leave of the pope
[21]
문서
Hamy, pp. ccclix-ccclxi, no. 104
[22]
문서
Du Verdier, p. 259
[23]
웹사이트
Cardinal de Tournon
http://www2.fiu.edu/[...]
2016-04-21
[24]
문서
The Master of Ceremonies, Biagio de Martinelli da Cesena, wrote in his Diary that thirty-two cardinals attended the opening ceremonies, but that Cardinal Grimaldi did not, on account of illness: Gattico I, p. 325
[25]
문서
Petruccelli, II, p. 3
[26]
문서
Petruccelli, p. 4
[27]
웹사이트
Sede Vacante 1534
http://www.csun.edu/[...]
2016-04-20
[28]
문서
Petruccelli, pp. 7-8
[29]
문서
Massip, pp. 1 and 6. He was joined in the enterprise by his nephews, Jacques de Tournon, Bishop of Valence (1536-1553), and Charles de Tournon, Bishop of Viviers (1523-1550)
[30]
문서
Massip, p. 10
[31]
서적
Annales de la Société des soi-disans Jésuites; ou recueil historique-chronologique de tous les actes, écrits, dénonciations ... ordonnances ... bulles ...: contre la doctrine, l'enseignement, les entreprises & les forfaits des soi-disans Jésuites, depuis 1552, époque de leur naissance en France, jusqu'en 1763 ..
https://books.google[...]
[32]
서적
The Italian Wars 1494-1559: War, State and Society in Early Moder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문서
Du Verdier, p. 259
[34]
서적
Emperor Charles V, Impresario of War: Campaign Strategy, International Finance, and Domestic Polit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
서적
Caesaris S.R.E. Card. Baronii Annales Ecclesiastici
https://books.google[...]
L. Guerin
1878
[36]
서적
[37]
서적
Tournus. Nouvelle Histoire de l'abbaye de St-Filibert et de la ville de Tournus
https://books.google[...]
Ant. de Fay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Sede Vacante 1549-1550''."
http://www.csun.edu/[...]
2016-04-22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Almanach civil, politique et littéraire de Lyon et du département de Rhône
https://books.google[...]
Chez J.-H. Daval
[49]
서적
[50]
서적
Le grand cartulaire de l'Abbaye d'Ainay, suvi d'un autre cartulaire rédigé en 1286 et de documents inédits
https://books.google[...]
Imprimerie Pitrat
[51]
서적
Lettres et memoires d'estat, des Roys, Princes, Ambassadeurs et autres ministres sous les Regnes de François I., Henry II. et François II.
https://books.google[...]
François Clouzier
[52]
웹사이트
"''Sede Vacante of 1555''."
http://www.csun.edu/[...]
2016-04-24
[53]
서적
[54]
서적
Opere del commendatore Annibal Caro, edizione novissima...
https://books.google[...]
nella stamperia Remondini
[55]
웹사이트
"''Sede Vacante 1555: The May Conclave''."
http://www.csun.edu/[...]
2016-04-24
[56]
웹사이트
Letter of Tournon to the Constable Montmorency.
http://www.csun.edu/[...]
2016-04-24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Collection des procès-verbaux des Assemblées-générales de clergé de France, depuis l'année 1560, jusqu'à présent
https://books.google[...]
G. Desprez
[61]
서적
[62]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63]
서적
[64]
서적
Histoire de France, depuis l'etablissement de la monarchie françoise dans les Gaules. Dédiée au roy. Par le P. G. Daniel ...
https://books.google[...]
Denis Mariette
[65]
서적
Ecumenism in the Age of the Reformation: The Colloquy of Poiss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66]
서적
[67]
논문
"Les essais de conciliation religieuse au début du règne de Charles IX,"
http://www.persee.fr[...]
[68]
서적
[6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