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타이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타이콩(Parkia speciosa)은 동남아시아 원산의 큰 나무로, 요리 재료 및 관상수로 사용된다. 이 나무는 최대 30m까지 자라며, 꼬투리 안에는 씨앗이 들어있다. 프타이콩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지에서 '페타이', '사토'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마늘, 고추 등 향신료와 함께 조리된다. 요리 외에도 관상수로 활용되며, 미숙한 종자, 어린 잎, 꽃을 식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2년 기재된 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842년 기재된 식물 - 잣나무
잣나무는 소나무과의 상록 침엽수로, 잣을 생산하며 목재, 식용, 약용, 조경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한반도, 중국 동북부, 러시아 극동 지역, 일본 혼슈와 시코쿠 등지에 분포한다. - 실거리나무아과 - 카시아속
카시아속은 다양한 기후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포함하는 속으로, 많은 종이 다른 속으로 이동되었지만, 관상용, 산림 복구, 사막화 방지 등에 활용되며, 일부 종은 전통 의학이나 요리에도 사용되나 독성이 있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고, 한국에서는 카시아를 찾아볼 수 있다. - 실거리나무아과 - 소목 (식물)
소목은 콩과에 속하는 식물로, 심재와 협에서 적색 염료인 브라질린을 얻을 수 있으며, 가지에 가시가 있고 노란색 꽃이 피며, 소목색 염료 및 한방 약재로 사용된다. - 두류 - 렌즈콩
렌즈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렌즈 모양의 씨앗을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 섬유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여 식용으로 사용되고 수프, 카레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두류 - 리마콩
리마콩은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콩과 식물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 재배화되었으며, 크기와 색깔에 따라 리마콩과 버터빈으로 나뉘고,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높은 영양가를 지니지만 생으로 섭취 시 독성이 있어 익혀 먹어야 한다.
프타이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LC) |
속 | 파르키아속 |
종 | 네지레후사마메노키 (Parkia speciosa) |
학명 명명자 | Hassk. |
이명 | Acacia gigantea Noronha Inga pyriformis Jungh. ex Miq. Mimosa pedunculata W.Hunter Parkia graveolens Prain Parkia harbesonii Elmer Parkia macrocarpa Miq. |
일본어 이름 | 네지레후사마메노키 (ネジレフサマメノキ) |
영어 이름 | 페타이 (Petai) |
과학적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미분류 목 | 장미군 (rosids) |
목 | 콩목 (Fabales) |
과 | 콩과 (Fabaceae) |
아과 | 네무노키아과 (Mimosoideae) |
속 | 후사마메노키속 (Parkia) |
종 | 네지레후사마메노키 (Parkia speciosa) |
활용 | |
참고 문헌 | 코너, 와타나베 기요히코 『図説熱帯植物集成 (도설열대식물집성)』 廣川書店, 1969년. 熱帯植物研究会 編 (열대식물연구회 편집) 『熱帯植物要覧 (열대식물요람)』 第4版, 養賢堂, 1996년, p. 191. ISBN 4-924395-03-X. |
기타 | |
관련 미디어 | 파르키아 스페키오사 파르키아 스페키오사 |
2. 식물학적 특징
프타이콩 나무는 약 30m까지 자랄 수 있다. 긴 자루 끝에 전구 모양의 덩어리로 꽃이 피며, 박쥐 및 다른 꽃가루 매개자를 유인하는 꿀을 분비한다. 열매는 길고 꼬인 반투명 꼬투리로 7~8개의 꼬투리 묶음으로 나타난다. 꼬투리가 익으면 그 안에 프타이콩 콩 또는 씨앗이 들어 있다.[4]
프타이콩은 식용 및 관상용으로 쓰인다.[10] 미숙한 종자, 어린 잎, 꽃은 생으로 먹거나 절임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꼬투리를 마늘 대신 향신료로 사용하기도 한다.[10]
수고(樹高)는 18~24미터 정도의 큰 나무로, 거대한 판근(Buttress root)을 갖는다.[10] 잎은 2회 우상복엽이며, 깃털 모양의 소엽(小葉)은 20~35쌍, 너비 2~3밀리미터, 끝이 뭉툭하고 평행하다.[10] 꼬투리는 덩굴 모양으로 늘어져 길이 50cm이며, 12~18개의 종자를 포함한다.[10]
3. 분포
4. 용도
4. 1. 요리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 라오스, 태국 남부, 미얀마, 인도 북동부 등지에서 프타이콩(''Parkia speciosa'')과 다른 종의 ''Parkia'' 콩(''Parkia javanica'', ''Parkia singularis'' 등)은 인기 있는 요리 재료이다.[5] 묶음이나 꼬투리째로 판매되거나, 씨앗을 비닐 봉지에 넣어 판매하며, 소금물에 절이거나 냉동하여 병이나 캔에 넣어 수출하기도 한다.[5]
프타이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서 ''petai'', ''pete'' 등으로 불리며, 아삼어로는 ''Wakerec'', ''Petai'', ''Gachhua uri'', 마니푸리어로는 ''Yongchak'', 쿠키어로는 ''Thadou'' ''Jongla'' 등으로 불린다. 마늘, 고추, 말린 새우 또는 새우젓과 같이 강한 향의 다른 음식과 함께 먹을 때 가장 맛있다. 예를 들어 삼발 페타이가 있다. 어린 꼬투리는 씨앗이 발달하지 않아 납작하며, 옅은 녹색을 띠고 거의 반투명하다. 이 단계에서는 생으로 먹거나, 튀기거나, 절여서 먹을 수 있다. 발달하지 않은 콩을 가진 어린 연한 꼬투리는 볶음 요리에 통째로 사용할 수 있다.[6]
씨앗은 건조시켜 양념하여 나중에 먹을 수도 있다. 건조된 씨앗은 검게 변하며, 잠두와 비슷하게 생겼다. 익은 잠두처럼 요리하기 전에 껍질을 벗겨야 할 수도 있다. 프타이는 '악취 콩'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강한 냄새가 특징이며, 입과 몸에 냄새가 오래 남는다. 아스파라거스처럼 특정 아미노산이 들어 있어 소변에서 강한 냄새가 나는데, 이는 섭취 후 최대 이틀까지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콩과 마찬가지로, 복합 탄수화물도 강한 냄새가 나는 방귀를 유발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프타이''는 특히 자와와 수마트라의 고지대에서 인기가 많으며, 순다 요리에서는 삼발과 함께 라랍의 일부로 생으로 먹거나 튀기거나 구워 먹는다. 볶아서 온콤과 섞어 먹기도 하고, 사유르 로데 또는 ''삼발 고랭 아티 프타이''(삼발과 ''프타이''를 넣고 볶은 깍둑썰기한 소고기 또는 닭 간)에 넣기도 한다. ''나시 고랭 캄빙 프타이''는 양고기와 프타이를 넣은 나시 고랭(볶음밥)의 인기 있는 변형이다. 미낭카바우 요리에서는 ''아얌 팝''(파당 스타일의 닭튀김)의 ''라두''(미낭 삼발)의 일부가 된다.
마니푸르에서는 'yongchak'이라고 불리며, 주로 모든 언덕 지역과 마니푸르 계곡의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다. 이곳에서 발견되는 품종은 태국이나 말레이시아의 품종보다 약간 더 단단하다. 인도 북동부의 농부들은 소규모로 몇몇 종의 ''Parkia''를 재배하며, 인도 본토에서는 관상수, 그늘나무, 경계수로 재배된다.
마니푸르에서는 씨앗이나 콩 전체를 ''Hmarcha dêng'', 에롬바(전통적인 마니푸리 처트니) 또는 Yongchak 싱주(전통적인 마니푸리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다.[8] 에롬바는 삶은 감자, 발효된 생선, 고추 및 기타 채소(이 경우 파르키아)로 만든다. ''Yongchak singju''는 작은 조각으로 자른 ''Parkia''를 빨간 고추 페이스트와 섞어 만든다. 쿠키족은 북동인도에서 'Jongha'라고 부르며, 롱메이족은 ''Gachhua uri''라고 부르며 고기와 함께 요리하거나 샐러드로 준비하고, 때로는 마른 생선이나 Gankhiang khui(현지 발효 건조 씨앗)로 만든 'Chattni'와 함께 씨앗을 먹는다. 흐마르족은 ''Zawngṭa''(Zongtra로 발음)라고 부르며 주로 고추, 탄산수소나트륨, 소량의 소금, "Saum"(발효 돼지고기)을 넣어 '' Zawngṭa-râwt''이라고 부른다.
미조람에서 미조족은 '' zawngṭah''라고 부르며, 껍질의 바깥층을 제거하고 씨앗을 먹으면서 콩 전체를 먹는다. 반찬으로 생으로 먹거나 처트니의 레시피로 사용된다. 또한 고추와 ''사움''(발효 돼지 지방)과 섞어 반찬으로 제공된다. 나가족, 미조족(Zohnahthlak), 흐마르족, 쿠키족, 친족, 조미족 등에게 매우 일반적인 반찬이다. 마니푸르, 아삼, 트리푸라(트리푸라족은 ''Wakerec mosedang''이라고 부름) 및 방글라데시에서 마니푸리족은 ''yongchak'' 또는 ''wakerec''이라고 부르며 발효된 생선과 섞인 샐러드로 먹거나 삶거나 구운 씨앗을 단독으로 또는 발효된 생선과 섞인 삶은 채소의 매시로 먹는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프타이는 삼발과 함께 제공되거나, 말린 새우, 고추, 붉은 양파, 블라찬(새우 페이스트), 간장 및 새우와 섞여 제공된다. 나시 레막이나 흰 쌀밥에 곁들여 먹는 또 다른 인기 있는 반찬은 튀긴 건조 멸치와 볶은 칠리 삼발(삼발 투미스)로 조리한 프타이 콩이다.
태국에서는 "사토"(สะตอth)라고 부르며, 돼지고기를 볶아 넣은 썩은 콩 요리를 "무 팟 사토"라고 한다. 미숙한 종자나 어린 잎, 꽃은 생으로 먹거나 절임으로 만들어 식용할 수 있다.[10] 말레이시아에서는 꼬투리를 마늘 대신 향신료로 사용한다.[10] 관상수로도 쓰인다.[10]
4. 2. 기타 용도
미숙한 종자나 어린 잎, 꽃은 생으로 먹거나 절임으로 만들어 먹을 수 있다.[10] 말레이시아에서는 꼬투리를 마늘 대신 향신료로 쓴다.[10]
관상수로도 쓰인다.[10]
5. 사진 갤러리
6. 각 언어별 명칭
참조
[1]
간행물
"''Parkia speciosa''"
2019
[2]
BioRef
"''Parkia speciosa''"
[3]
논문
Analysis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cooked petai beans (Parkia speciosa) using high-resolution GC/ToF–MS
2008
[4]
웹사이트
Parkia speciosa
http://uses.plantnet[...]
2017-07-25
[5]
웹사이트
The Stink Bean – A Little Smelly, A Lot of Flavor by Mark Wien
https://migrationolo[...]
[6]
웹사이트
How to Cook Petai
http://oureverydayli[...]
2017-07-25
[7]
뉴스
Kangpokpi tops in cultivation of poppy in state
http://www.thepeople[...]
Kuki dominated district of Manipur
2021-01-25
[8]
웹사이트
Spicy Manipuri Salad
https://thetasteoffo[...]
[9]
서적
図説熱帯植物集成
廣川書店
[10]
서적
熱帯植物要覧
養賢堂
[11]
문서
クロンキスト体系ではネムノキ科とする。
[12]
서적
Thai-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3]
웹인용
"''Parkia speciosa'' Hassk."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8-04-28
[14]
웹인용
"''Parkia speciosa'' Hassk."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8-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