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족은 인도 북동부와 미얀마 북서부에 걸쳐 다양한 부족으로 구성된 민족 집단이다. '나가'라는 명칭은 귀를 뚫은 사람들을 뜻하는 아홈 왕국의 '노가' 또는 '나카'에서 유래되었다는 등 여러 설이 있으며, 19세기 영국에 의해 정복당하고 전통 관습이 폐지되었으나, 인도 독립 후에도 민족 분쟁이 지속되었다. 나가족은 다채로운 색채를 활용한 숄과 머리 장식, 다양한 재료로 만든 장신구 등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훈제 및 발효 음식을 즐긴다. 애니미즘을 믿었으나, 19세기 기독교 선교사들의 영향으로 기독교가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전통 축제를 통해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나가족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며, 영어와 나가메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 인도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나가족
지도
기본 정보
전통 의상을 입은 수미 나가족
수미 나가족의 전통 의상
민족명나가족
인구약 2,900,000명 이상
거주 지역인도 (250만 명 이상)
미얀마 (30만 명)
주요 거주 지역 (인도)나가랜드 주 (1,600,000명 이상)
마니푸르 주 (650,000명 이상)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 (150,000명 이상)
아삼 주 (40,000명 이상)
메갈라야 주 (2,556명)
미조람 주 (760명)
주요 거주 지역 (미얀마)나가 자치구 (120,000명 이상)
사가잉 구
카친 주
언어나가어
북부 나가어
나가메스 크리올
영어
미얀마어
종교다수: 기독교 (침례교가 주류)
소수: 불교, 힌두교, 애니미즘 (헤라카, 크뤼나/프튓사나, 랑프라, 팅카오 라그왕 차프리아크 포함)
나가족의 민족기
관련 민족기타 카친 및 샨의 민족 집단
징포족샨족와족리수족친족조족

2. 명칭

현재 나가족은 역사적으로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오늘날 아삼 지역의 아홈 왕국 주민들은 "귀를 뚫은 사람들"을 뜻하는 "노가" 또는 "나카"[5]라고 불렀고, 임팔 계곡의 메이테이족은 "하오"[6]라고 불렀으며, 오늘날 미얀마 지역의 버마족은 "나카스"[7]라고 불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나가"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명칭이 되었으며, 영국인들도 이 용어를 사용했다. 《버마 지리지》에 따르면, '나가'라는 용어는 기원이 불분명하며, 남쪽의 친족과 북동쪽의 카친족(싱포족) 사이에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산악 부족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8]

나가족의 나가(Naga)는 이 부족이 착용하는 귀걸이를 의미하며, 발음은 비슷하지만 "뱀"을 뜻하는 나가와는 관련이 없다.[27]

3. 역사

아홈 왕국과의 관계 발전 외에, 19세기 영국은 나가족을 정복하고 수렵 및 부족 간 폭력과 같은 전통적인 나가족 관행을 폐지하려 시도했다.[9] 1947년 인도가 영국 통치로부터 독립한 후, 나가족은 인도 시민이 되었지만, 1958년부터 이 지역에서는 진행 중인 민족 분쟁이 존재한다.[9]

전쟁 페인트를 칠한 나가족

3. 1. 몽카웅 (Mongkawng)

《따궁 야자와인》에 따르면, 몽카웅의 초대 자오파인 삼롱파(1150–1201 CE)는 1200년대 초에 모가웅을 주요 도시로 하여 나가족의 땅을 점령했다. 이 연대기에서 나가족의 땅은 "캉세"라고 불렸다.[10]

1572년 북쪽의 몽카웅

3. 2. 몽마오 (Kingdom of Mongmao)

1360년경 몽마오(황색) 통치자 시케파 치하의 나가랜드


Hsenwi 주 연대기와 Mengguo Zhanbi에 따르면, 1318년 몽마오의 통치자 시케파는 그의 형제 산롱파를 장군으로 임명하여 9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몽 웨살리 롱(아삼) 왕국을 공격했다. 몽 웨살리 롱은 항복하고 3년마다 조공을 바치기로 하였으며, 훔 삼 롱은 몽 웨살리 롱의 신하들이 제시한 조건을 받아들여 몽마오로 돌아갔다.[11][12]

3. 3. 아바 왕국 (Kingdom of Ava)

ရန်အောင်မြင်ရွှေလှေသာစေတီmy 비문에 따르면, 1400년대 초 밍카웅 1세(1400–1421) 치하의 아바 왕국이 나가족 영토까지 확장되었다고 한다.[13]

1450년의 아바 왕국

3. 4. 영국 식민 통치와 인도 독립

아홈 왕국과의 관계 발전 외에도, 19세기에 영국은 나가족을 정복하고 수렵 및 부족 간 폭력과 같은 전통적인 나가족 관행을 폐지하려 시도했다.[9] 1947년 인도가 영국 통치로부터 독립한 후, 나가족은 인도 시민이 되었지만, 1958년부터 이 지역에서는 진행 중인 민족 분쟁이 존재한다.[9]

나가족 전사(1960년)

4. 문화

나가족은 다채로운 색채를 선호하며, 이는 숄, 머리 장식, 장신구 등에서 잘 드러난다.[14] 버리어 엘윈 박사에 따르면, 나가족은 과거 많은 전통 사회에서처럼 자신들이 사용하는 모든 물품을 직접 만들었다.[15]

문화 형태로는 복합 거석 문화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부족 간의 전쟁참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을 요구하여 1963년에 나갈랜드 주가 성립된 이후에는 "나가족" 공동체로서의 의식이 강화되었다. 정치 형태는 북부 코냐크족의 추장제, 남부 앙가미족의 민주제로 다양했으며, 북부 추장은 일부다처제를 따랐다. 각 마을에는 참수 지식을 얻기 위한 청년 숙소가 있었고, 축제에 사용되는 큰 나무 북도 보존되었다. 로타족은 배 모양 지붕이 있는 집에 살았으며, 대가족으로 구성되었다.

4. 1. 예술

나가족은 색채를 사랑하며, 이는 여성들이 디자인하고 짠 숄과 남녀 모두가 디자인하는 머리 장식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의복 패턴은 각 부족마다 전통적인 방식을 따르며, 천은 여성들이 짠다. 이들은 유리, 조개, 돌, 동물의 이빨이나 상아, 발톱, 뿔, 금속, 뼈, 나무, 씨앗, 털, 섬유 등 다양한 재료와 함께 구슬을 사용하여 장신구를 만든다.[14]

버리어 엘윈 박사에 따르면, 나가족은 과거 많은 전통 사회에서처럼 자신들이 사용하는 모든 물품을 직접 만들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천, 모자, 비옷을 만들었고, 자신들의 약, 요리 용기, 도자기를 대체할 물건들을 만들었다.[15]

나가족의 공예품에는 바구니 제작, 천 짜기, 목각, 도기, 금속 세공, 보석 제작, 구슬 세공 등이 포함된다.

다채로운 울 및 면 숄 짜기는 모든 나가족 여성들에게 중심적인 활동이다. 나가 숄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는 세 조각으로 나누어 짜서 함께 꿰매는 것이다. 각 숄을 완성하는 데 최소 며칠이 걸릴 정도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숄과 랩어라운드 의류 (일반적으로 메켈라라고 불림)의 디자인은 남성과 여성에 따라 다르다.

나가족 전통 구슬, Wovensouls Collection 제공


많은 부족들 사이에서 숄의 디자인은 착용자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낸다. 잘 알려진 숄에는 아오족의 ''Tsüngkotepsü''와 ''Rongsü''; 로타족의 ''Sütam, Ethasü, Longpensü''; 상탐족의 ''Süpong'', 얌키웅족의 ''Rongkhim''과 ''Tsüngrem Khim''; 그리고 앙가미족의 두껍게 자수된 동물 모티프가 있는 ''Lohe'' 숄 등이 있다.

나가족 장신구는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며, 모든 공동체가 비슷한 구슬 장신구, 특히 목걸이를 착용한다.[16]

인도 상공 회의소는 지리적 표시를 위해 나가족에서 만들어진 전통 나가 숄의 인디아 지리 등록소 등록을 신청했다.[17]

4. 2. 음식

훈제 돼지고기와 아쿠니, 발효된 콩 제품


나가 요리는 훈제 및 발효 식품이 특징이다.[1]

나가족은 화전 농업을 주로 하며 쌀, 조, 옥수수 등을 재배하고, 3~4년 주기로 경작지를 옮긴다.[1] 또한 가축으로 미톤 소를 사육하는데, 미톤은 제사에서 희생되었다.[1]

4. 3. 민요와 춤

나가족의 민요와 춤은 전통적인 나가 문화의 필수적인 요소이다. 구전 전통은 민담과 노래를 통해 유지된다. 나가족 민요는 낭만적이면서 역사적인 내용도 담고 있으며, 유명한 조상과 사건에 대한 전체 이야기를 서술하는 노래도 있다. 계절별 노래는 특정 농업 주기에 행해지는 활동을 묘사한다. 초기 서양 선교사들은 나가족 기독교인들이 민요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는데, 이는 민요가 정령 숭배, 전쟁, 부도덕함과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서양 찬송가의 번역본이 도입되었고, 이는 나가 산에서 토착 음악이 서서히 사라지는 결과를 낳았다.[18]

나가족의 민속 춤은 춤의 종류에 따라 남녀 모두가 참여하여 동기화된 방식으로 주로 집단으로 공연된다. 춤은 대개 축제와 종교 행사에서 공연된다. 전쟁 춤은 주로 남성들이 추며 운동적이고 무술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모든 춤에는 댄서들의 노래와 함성이 수반된다. 나가족이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는 토착 악기에는 타티, 대나무 입 오르간, 대나무 피리, 트럼펫, 소가죽으로 만든 드럼, 통나무 드럼 등이 있다.[19]

4. 4. 종교

전통적으로 나가족은 애니미즘을 실천했으며, 해, 달, 나무, 돌과 같은 자연물을 숭배했다. 그들은 최고 존재와 자연과 관련된 다양한 하위 영혼을 믿었으며, 이러한 존재들을 달래기 위해 의식과 희생을 치렀다. 이러한 자연과의 깊은 연결은 그들의 세계관과 일상생활의 중심이었다.[1]

19세기 중반에 미국의 침례교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 선교사들이 나가 언덕에 기독교를 전파했다. 나가족은 새로운 신앙을 받아들여 상당한 종교적 변화를 가져왔다. 오늘날 기독교는 나가족 사이에서 지배적인 종교이며, 87% 이상이 기독교인으로, 나갈랜드 주는 인도에서 기독교가 다수인 세 개의 주 중 하나가 되었다.[1]

기독교가 지배적이지만, 전통적인 신념의 잔재는 특히 문화 관습과 축제에서 여전히 남아 있다. 일부 나가족은 토착 의례와 기독교 관습을 통합하여 영성에 대한 혼합적 접근 방식을 보여준다. 또한 소수의 다른 종교(불교 등)를 믿는 사람들도 있지만, 이들은 인구의 극히 일부를 차지한다.[1] 2001년 현재 나가족의 약 90%가 기독교도가 되었으며, 각 마을에 기독교 교회가 세워져 있다.[1]

4. 5. 축제

다양한 나가족 집단은 고유한 축제를 가지고 있다. 부족 간의 상호 작용을 증진하기 위해, 나가랜드 정부는 2000년부터 매년 호른빌 축제를 개최해 왔다. 또 다른 민족 간 축제로는 루이 응아이 니가 있다.[20]

호른빌 축제


축제민족 집단시기주요 중심지
아올레앙코냑4월 (첫째 주)
차가, 간-응아이, 헤가 응이, Mlei-Ngyi젤리앙롱 (리앙메이, 롱메이, 제메)12월 (마지막 주), Mlei-Ngyi는 3월 10일타멩롱–차차르, 페렌
차반 쿰린아날10월 (23일)찬델
치이투니마오1월 (7일)세나파티
카이비라이농1월/3월라헤
루이라 파니트탕쿨2월/3월우크룰
메튐니오임키웅8월 (둘째 주)샤마토
미우키암니웅5월 (둘째 주)녹락
모아트쉬아오5월 (첫째 주)모코크충
뭉뭉상탐9월 (첫째 주)키피레
모뉴4월 (첫째 주)롱렌
낙뉴룸7월 (둘째 주)투엔상
응아다렝마11월 (마지막 주)체미뉴
세크레니앙가미2월코히마, 추모케디마
스크루니예, 추케니예차케상1월 & 3월/4월페크
투니이포우마이1월 (18일~22일)세나파티
토크후 에몽로타11월 (첫째 주)워카
툴루니, 아후나수미7월준헤보토
예므시포추리9월/10월페크


5. 부족

나가라는 단어는 외부 지칭어로 시작되었다.[21] 오늘날 이 단어는 인도 나갈랜드, 마니푸르, 아삼,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와 미얀마에 거주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포괄한다.

영국인들이 도착하기 전, "나가"라는 용어는 아삼인들이 특정 고립된 민족 집단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했다. 영국인들은 느슨한 언어적, 문화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주변 지역의 여러 민족 집단에 이 용어를 채택했다. "나가"로 분류되는 집단의 수는 20세기에 크게 증가했다. 2015년 12월 현재, 다양한 자료에서 89개의 집단이 나가족으로 분류된다. "나가" 정체성의 이러한 확장은 나갈랜드 사회에서 사회적 이동성을 추구하고, 다른 집단의 지배에 저항하는 공통의 목적을 설정하려는 욕구 등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나가" 정체성은 항상 고정되어 있지 않았다.[22]

나가족은 트리푸라를 제외한 모든 북동부 인도 주에 걸쳐 분포하며, 아루나찰프라데시, 아삼, 마니푸르, 메갈라야, 미조람, 나갈랜드 등 북동부 6개 주에서 지정 부족으로 지정되어 있다.[23]

미얀마에 거주하는 나가족은 대부분 사가잉 관구와 카친 주에서 발견된다. 미얀마의 나가족 영토는 남쪽으로 친 주와 접경하는 카바우 계곡, 북쪽으로는 카친족, 동쪽으로는 버마족을 경계로 한다.[24]

'''미얀마의 주요 나가족''':


  • 코냐크(첸)
  • 라이농(흐탄간)
  • 마쿠리
  • 노코(키암니웅간)
  • 파라
  • 솜라 탕쿨
  • 탕샹


그 외 소규모 나가족으로는 아날, 람캉, 모욘, 코카(때로는 고가 또는 코키로 표기), 롱푸리, 퐁 누안(마키암) 등이 있다.

'''나가족이 거주하는 타운십''':

  • 호말린
  • 라헤 (탄바크웨 하위 타운십 포함)
  • 레이시 (모와일룻 하위 타운십 및 솜라 하위 타운십 포함)
  • 흐캄티
  • 난윤 (팡사우 및 둥기 하위 타운십 포함)
  • 사가잉 관구의 타무 및
  • 카친 주의 타나이


아날과 모욘은 주로 남쪽의 타무 타운십에서 발견되며, 소수의 솜라 탕쿨도 레이시 관할 구역과 접경한 타무 주변에서 발견된다. 마쿠리, 파라 및 솜라 부족은 주로 레이시 타운십에서 발견된다. 마쿠리 나가족과 소수의 솜라 나가족은 호말린 타운십에서도 발견된다. 라헤는 코냐크, 노코, 라이농 및 마쿠리 부족이 많이 거주한다. 북쪽의 난윤은 54개 이상의 하위 방언 그룹으로 구성된 탕샹 부족의 고향이다. 호말린 타운십은 잃어버린 부족으로 여겨지는 사람들(레드 샨)이 많이 거주한다. 그러나 쿠키족, 버마족, 중국인 및 인도인도 이곳에서 발견된다. 흐캄티 타운십은 모든 나가족이 다수 거주하며 버마족, 샨족, 중국인 및 인도인도 일부 거주한다. 미얀마 카친 주의 타나이는 카친족과 함께 탕샹이 거주한다.

나가족의 나가(Naga)는 이 부족이 착용하는 귀걸이를 의미하며, 발음은 비슷하지만 "뱀"을 뜻하는 나가와는 관련이 없다.[27]

일본어 위키백과에서는 23개의 부족을 소개한다.

부족 이름
앙가미 나가족
아오 나가족
Chakhesang 나가족
Chang 나가족
키암니웅간족
코냐크족
로타 나가족
Pochury
Phom 나가족
Poumai 나가족
렝마 나가족
Rongmei 나가족
Sangtam 나가족
수미 나가족
Mao 나가족
Zeliang
Yimchunger
Zeme 나가족
Liangmai 나가족
Nocte족
Tangsa족
Tutsa 나가족
Wancho 나가족



6. 언어

나가 언어는 친-나가 언어 또는 살 언어로 분류된다.

나가족은 인도 내 다른 어떤 민족 집단이나 주보다 더 많은 언어적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나가족은 89개 이상의 언어와 방언을 사용하며, 대부분 서로 이해할 수 없다.[25] 그러나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간에는 많은 유사점이 있다. 나가족의 언어와 전통의 다양성은 그들이 여러 차례 이주하는 동안 발생한 여러 문화적 흡수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25]

1967년, 나갈랜드 의회는 영어를 나갈랜드의 공식 언어로 선포했으며, 나갈랜드의 교육 매체로 사용된다. 영어 외에도, 나가메세어는 아삼어의 크리올 언어 형태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모든 공동체는 고유의 모국어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공동체와는 나가메세어 또는 영어로 소통한다. 그러나 영어는 나갈랜드에서 지배적인 구어 및 문어이다. 힌디어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영어와 함께 가르치며, 대부분의 나가족은 주로 비하르, UP 및 마디아프라데시에서 온 주 내 이주 노동자들과 소통하기 위해 힌디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2022년부터 북동부 인도에서는 10학년까지 학교에서 힌디어를 가르치고 있다.[26]

7. 현대 사회

나가족은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하면서도 현대 사회에 적응하고 있다. 과거에는 수렵 채집과 화전 농업을 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정착 농업과 상업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화전 농업을 통해 쌀, 조, 옥수수 등을 주로 재배하며, 3~4년 주기로 경작지를 옮긴다. 취락은 구릉 능선에 다수의 가옥이 밀집하여 이루어진다.[1] 또한 가축으로 미톤 소를 사육하는데, 미톤은 제사에서 희생되었다.[1]

최근에는 관광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매년 12월 코히마 근처에서 사크라니 축제가 열려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1]

정치적으로는 북부의 코냐크는 추장제, 남부의 앙가미는 민주제를 띠는 등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을 요구하여 1963년 나갈랜드 주가 성립되었지만, 나갈랜드 민족 분쟁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1]

8. 추가 정보

(이전 출력에서 참조할 원본 소스가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출력합니다.)

8. 1. 관련 서적


  • 고노 히데유키(논픽션 작가)『서남 실크로드는 밀림에 사라진다』 고단샤, 2003년.
  • 벤 도허티, ''나가랜드'', 와일드 딩고 프레스, 멜버른, 2018.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http://censusindia.g[...] MHA, Govt of India 2020-05-10
[2] 웹사이트 Naga ethnic group Myanmar https://www.gomyanma[...] 2014-11-13
[3] 웹사이트 Nagas of Myanmar https://www3.bostong[...]
[4] 웹사이트 In Christian Nagaland, indigenous religion of pre-Christian Nagas withstands test of time https://indianexpres[...] 2018-01-04
[5] 서적 Linguistic Survey of India Vol iii part ii
[6] 서적 The Naga tribes of Manipur 1911
[7] 서적 Upper Chindwin District vol A Burma Gazetteer
[8] 서적 Burma Gazetteer, Upper chindwin vol A Burma Gazetteer 1913
[9] 웹사이트 Nagaland – Government and societ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10] 논문 1956
[11] 서적 银云瑞雾的勐果占璧简史 云南民族出版社 1988
[12] 논문 1967
[13] 논문 1976
[14] 서적 Naga Tribal Adornment: Signatures of Status and Self The Bead Society of Greater Washington 2003
[15] 웹사이트 Arts and crafts of the Nagas http://nagaland.nic.[...] 2009-06-23
[16] 웹사이트 Necklace of ethnic groups of Naga, India: their meaning and function through time https://nomadit.co.u[...]
[17] 뉴스 Naga shawls in for geographical registration AndhraNews.net 2008-04-07
[18] 서적 A Re-discovery and Re-building of Naga Cultural Values: An Analytical Approach with Special Reference to Maori as a Colonized and Minority Group of People in New Zealand Daya Books 2007
[19] 서적 Naga Cultural Attires and Musical Instruments Concept Publishing Company 1999
[20] 웹사이트 Tourism: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Nagaland
[2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Endangered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2-06
[22] 서적 Reform, Identity and Narratives of Belonging: The Heraka Movement in Northeast India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10-05-04
[23] 문서 Scheduled tribes https://tribal.nic.i[...]
[24] 웹사이트 India News, Nagaland News, Breaking News http://morungexpress[...]
[25] 서적 THE NAGAS -MEMORIES OF HEADHUNTERS vol.1 White Lotus 2016
[26] 웹사이트 Hindi will be made compulsory in northeastern states till Class 10, says Amit Shah https://scroll.in/la[...]
[27] 서적 入門ナガランド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