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에르 드 장 올리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르 드 장 올리비는 1247/48년 프랑스 남부에서 태어나 프란치스코회에 입회하여 공부하고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한 신학자이다. 그는 성경 주석, 철학 저작, 프란체스코회 규칙 준수와 복음적 완전성에 대한 저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특히 복음적 빈곤에 대한 견해로 논쟁을 겪었다. 사후에는 그의 사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었으며, 저작물은 이단으로 규정되기도 했지만, 현대에는 재평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48년 출생 - 임유무
    임유무는 고려 후기 임연의 아들로 무신정권의 수장이 되었으나, 환도 정책 반대로 제거되며 무신시대 종말을 가져왔다.
  • 1248년 출생 - 로베르 2세 드 부르고뉴 공작
    로베르 2세 드 부르고뉴 공작은 1272년부터 1306년까지 부르고뉴 공작으로 재임하며 프랑스 왕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도피네 공령 분쟁에 개입하는 등 정치적 활동을 펼쳤으나, 자녀들에게 영토와 지참금을 분배하여 부르고뉴 공작 영지가 감소되었다.
  • 작은형제회 탁발수도사 - 로저 베이컨
    로저 베이컨은 13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경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아 광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대작》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작은형제회 탁발수도사 - 로버트 그로스테스트
    13세기 잉글랜드의 학자이자 링컨의 주교였던 로버트 그로스테스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강의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도입에 기여하고 빛의 형이상학 등 독창적인 사상을 펼쳤으며 교회 개혁을 추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 사후 잉글랜드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았다.
피에르 드 장 올리비
기본 정보
피에르 드 장 올리비
피에르 드 장 올리비의 초상화
이름피에르 드 장 올리비
원어 이름Peire Johan-Oliu
출생1248년 ~ 1249년
사망1298년 3월 14일 프랑스 나르본
국적프랑스
학문
분야철학, 신학
소속프란치스코회
사상
주요 사상요아킴주의
가난 논쟁

2. 생애

1247년/48년 세리냥 (베지에 교구)에서 태어난 올리비는 12세에 베지에의 작은 형제회에 들어갔고, 몽펠리에에서 공부했으며, 나중에 파리 대학교에 다녔다. 보나벤투라가 ''Collationes de septem donis Spiritus sancti''를 발표한 1268년과 ''Collationes in Hexaemeron''을 발표한 1273년에 파리에 있었다.[1] 고향으로 돌아와 여러 곳에서 가르쳤으며, 1277년~1279년 경에는 나르본에 있었다.

1279년 여름, 니콜라 3세의 교서 ''Exiit qui seminat'' 준비에 올리비는 지방 장관과 함께 이탈리아로 갔지만, 교서 작업 위원회 위원은 아니었다. 그는 프란체스코회 청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간략하게 밝히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복음적 완전에 대한 훨씬 더 긴 질문들을 작성했다. 랑그독으로 돌아온 그는 몽펠리에 대학교 철학 강사로 채용되었지만, 이후 성서 연구로 전향하여 ''창세기, 이사야, 욥기, 마태, 요한, 로마서'' 및 ''요한계시록'' 등 여러 성서 주석을 썼다.[2]

아르노 가이야르는 프란체스코회 청빈 서약에 대한 올리비의 견해에 반대했고, 올리비는 ''가난한 사용에 관한 논문''(De usu paupere)을 쓰게 되었다.[3] 1282년 스트라스부르 총회에서 이 논쟁이 주목받았고,[4] 올리비는 1283년~1285년에 여러 답변으로 자신을 변호했으며, 1287년 몽펠리에 총회는 그의 편을 들었다.

아쿠아스파르타의 마태는 그를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수도원에 신학 강사로 보냈다. 이후 레몽 고프레디는 올리비를 몽펠리에 신학 강사로 임명했다. 1292년 파리 총회에서 올리비는 다시 해명했다. 그는 마지막 몇 년을 나르본의 수도원에서 보냈으며, 1298년 3월 14일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247년/48년 프랑스 남부 베지에 교구 세리냥에서 태어났다.[1] 12세에 베지에의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에 입회하여 몽펠리에에서 공부했으며, 이후 파리 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1] 1268년1273년에는 파리 대학교에서 보나벤투라의 강의에 참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

2. 2. 프란치스코회 활동과 청빈 논쟁

고향으로 돌아와 여러 곳에서 가르쳤으며, 1277~79년 경에는 나르본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니콜라 3세의 교서 ''Exiit qui seminat''가 준비되던 1279년 여름, 올리비는 그의 지방 장관과 함께 이탈리아로 갔다. 그러나 교서 작성 위원회 위원은 아니었다. 그는 프란치스코회 청빈에 관한 자신의 견해를 간략하게 밝혀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복음적 완전에 대한 훨씬 더 긴 질문들을 작성했다.[2] 랑그독으로 돌아온 그는 몽펠리에 대학교에서 철학 강사로 채용되었지만, 이후 성서 연구로 전향했다. 그는 창세기, 이사야, 욥기, 마태, 요한, 로마서, 요한 묵시록 등 여러 성서 주석을 저술했다.[2]

당시 파리에서 돌아온 학사였던 아르노 가이야르("형제 아르."로 묘사됨)는 프란치스코회 청빈 서약에 대한 올리비의 견해에 반대했고, 올리비는 이로 인해 ''가난한 사용에 관한 논문''(De usu paupere)을 쓰게 되었다.[3] 두 젊은 신학자 사이의 논쟁은 여러 다른 문제로 격렬하게 번졌으며,[4] 1282년 스트라스부르 총회에서 주목받았다. 올리비의 운명만 기록되어 있지만, 둘 다 가르치는 것이 중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교리는 파리의 프란치스코회 신학자 7명이 조사했는데, 그들은 먼저 오류 목록(''Littera septem sigillorum'')을 작성한 다음 올리비의 저술에서 인용문을 묶어 롤(''rotulus'')로 증명했다.[5]

올리비는 1283~85년에 여러 답변으로 자신을 변호했고, 마침내 1287년 몽펠리에 총회는 그의 입장을 지지했다.

2. 3. 후기 활동과 죽음

아쿠아스파르타의 마태 총장에 의해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수도원에 신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레몽 고프레디 총장에 의해 몽펠리에로 복귀하여 신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1292년 파리 총회에서 다시 해명하였고, 이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여졌다.[5]

그는 마지막 몇 년을 나르본의 수도원에서 보내며 ''요한계시록''에 대한 주석을 강의하고 집필했다. 또한, ''롬바르드의 센텐스''에 대한 주석을 수정하고, 서신을 주고받으며, "영적" 프란치스코회 수도자 공동체와 독실한 평신도를 위한 목사로 활동했다. 1298년 3월 14일, 가톨릭 신앙에 대한 진지한 고백[5] 이후 친구들에게 둘러싸여 사망했는데, 친구들은 그를 "성 베드로"라고 불렀다.[5]

3. 사상과 가르침

피에르 드 장 올리비는 50년이라는 비교적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성경의 모든 책에 주석을 쓰려고 할 정도로 많은 저술을 남겼다. 비록 다니엘 예언과 고린도인들에게 보낸 서신에 대한 주석은 완성하지 못했지만, 롬바르드의 ''명제집''에 대한 주석을 남겼다.[6]

그의 사상과 가르침은 철학, 청빈, 성서 해석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각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3. 1. 철학 사상

올리비는 롬바르드의 ''명제집'' 주석에서 인간 자유 의지를 옹호하고 아베로에스를 비판했다.[6] 특히 ''명제집'' 제2권 전체에 주석을 달아 인간 자유 의지의 옹호자임을 보여주었다. 롬바르드의 ''명제집'' 제1권 ''De Deo Cognoscendo''에 대한 그의 주석은 ''제2권'' 주석의 부록으로 출판되었는데, 안셀무스의 존재론적 주장을 변형하여 하나님의 모든 속성의 완전성(''summe infinitum'')을 긍정하는 방식으로 완성했다.[6] 이는 올리비의 ''묵시록'' 주석과 연관되어 있다.[6]

3. 2. 청빈 사상

올리비는 "복음적 빈곤"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저술로 인해 많은 논의의 대상이 되었으며, 소위 "영적 프란치스코회"의 지도자로 여겨졌다.[6] 이들은 14세기 교황청과 복음의 자기 통제 정신보다는 부에 더 관심이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자주 비난을 받았다. 그는 예수가 가르치고, 사도들이 살았으며, 아시시의 프란체스코가 교회에 회복한 거룩한 삶에 대해 일관된 신봉자이자 실천가였다.

계약에 대한 올리비의 연구는 그가 종교 영역 밖에서도 사유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며, 돈의 적절한 사용에 대한 균형 잡히고 합리적인 태도를 제시한다. 올리비는 철학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문제에도 관심이 있었다. 그의 저서 ''매매, 매수, 고리대금 및 반환에 관하여''(S. 피론의 최신판, 2012)는 강제적인 재산 징발에 대한 보상 가치를 매기는 것과 관련하여 위험과 확률의 가격 책정에 대한 미묘한 논의를 담고 있다.[6] 이 작품은 올리비에게 자본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사고 발달사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게 했다.

3. 3. 성서 해석

올리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와는 별개로 성경의 의미를 독자적으로 재고하는 방식을 취했는데, 어떤 경우에는 텍스트의 단순한 의미에 대한 신선한 의존으로, 다른 경우에는 비할 데 없는 신학적 창의성으로 이어졌다.[6] 예를 들어, 올리비는 13세기에 묵시록의 유대적인 특성을 깨달은 점에서 독특했다.[6] 그는 "어린 양의 144,000명의 친구"(계 7:4-8, 14:1-5)를 종말 시대 교회의 유대인, 호전적인 분파로 식별했다. 유대 음악에 매료된 올리비는 묵시록 군대의 두 날개, 즉 유대인과 이방인이 각각 하프를 연주하고, ''모세의 노래''와 ''어린 양의 노래''(계 15:3)를 일제히 부르는 모습을 묘사했다. 올리비는 종말에 유대인과 이방인이 하나님의 한 백성으로 재회할 것을 예견했는데, 이는 시작과 같았다. 이는 올리비가 사망한 지 불과 8년 후인 1306년에 프랑스와 올리비의 이웃들을 또 다른 유럽 반유대주의의 발작으로 이끈 교회 지도자들과 왕족들과는 정반대되는 모습이었다.

4. 유산과 논란

피에르 드 장 올리비는 죽은 뒤에도 많은 논란에 휩싸였다. 그의 사후 행적과 평가는 크게 두 가지 상반된 관점으로 나뉜다.


  • 올리비를 옹호하는 입장: 올리비의 친구들과 그를 따르던 사람들은 그를 존경하며 성인처럼 숭배했다.
  • 올리비를 비판하는 입장: 1299년 리옹에서 열린 수도회 총회는 그의 저작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불태우라고 명령했다. 1312년 비엔 공의회에서는 올리비의 가르침 중 세 가지 쟁점에 대해 가톨릭 교리에 반한다고 결정했지만, 올리비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다.


1318년에는 올리비 반대파 수사들이 그의 무덤을 파괴하고 시신을 론 강에 던졌다고 전해진다. 이후 그의 저작은 금지되었고, ''Lectura super Apocalypsim''의 60개 문장은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요한 22세 교황은 바이에른의 루이 4세가 이 문장들을 사용한 것을 알고 단죄했다. 올리비는 공식적으로 이단으로 단죄되지는 않았지만, 금서 목록에 그의 이름이 포함되었다.

프란츠 에르레는 올리비가 불경스러운 이단이 아니었으며, 그의 신학적 교리에 대한 비난은 엄격한 빈곤과 개혁 원칙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전술적 조치였다고 주장했다. 올리비는 성 보나벤투라의 교리를 따랐지만, ''Lectura super Apocalypsim''에서 피오레의 요아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점이 그를 이단으로 낙인찍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4. 1. 사후 논란

사후에도 논란은 계속되었다. 그의 친구, 수사, 평신도들은 모두 그들의 지도자를 존경했고 심지어 그의 무덤을 성인의 무덤처럼 숭배했다. 반면에 1299년 리옹에서 열린 수도회 총회는 그의 저작을 수집하여 이단으로 불태우라고 명령했다.[7]

1312년 비엔 공의회는 칙령 ''Fidei catholicæ fundamento''에서 올리비의 가르침 중 세 가지 쟁점에 반하는 가톨릭 교리를 확립했는데, 올리비의 이름은 언급하지 않았다. 이 쟁점들은 다음과 같다.

  •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의 몸이 창에 꿰뚫린 순간
  • 영혼이 몸과 결합하는 방식
  • 유아 세례


1318년, 올리비 반대파 수사들은 올리비의 무덤을 파괴하고 그의 시신을 론 강에 던진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 해에는 그에 대한 두 가지 조치가 더 취해졌다. 마르세유에서 열린 수도회 총회에서 그의 저작은 절대적으로 금지되었고, 신학자 특별 위원회는 올리비의 ''Lectura super Apocalypsim''을 검토하여 60개 문장을 이단으로 규정했는데, 주로 피오레의 요아킴의 인용문이었다.[7] 1326년, 교황 요한 22세는 황제 바이에른의 루이 4세가 작센하우젠 호소문(1324)에서 이 문장들을 사용한 것을 알고 단죄했다.[8] 올리비는 공식적으로 이단으로 단죄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이름은 여러 판의 ''금서 목록''에 금지된 저자로 포함되었다.[9]

4. 2. 재평가

프란츠 에르레는 올리비가 반대자들의 저술에서 묘사된 것처럼 불경스러운 이단이 아니었으며, 그의 신학적 교리에 대한 비난은 오히려 올리비가 옹호한 엄격한 빈곤과 개혁 원칙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전술적 조치였다고 주장한다.[7] 올리비는 성 보나벤투라의 교리를 따랐지만, ''Lectura super Apocalypsim''에서 요아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점이 그를 이단으로 낙인찍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7]

5. 저작 목록

올리비의 저작은 철학, 주석 및 해석학, 신학, 프란치스코회 규칙 준수와 복음적 완전에 관한 저작, 변증 저작 및 서한, 경건 저작의 여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많은 저작이 현대에 들어 비평적으로 편집되었다.[1][2][3][4]

5. 1. 철학 저작

제목출판 정보비고
Quaestiones in secundum librum Sententiarum 3권 [= Summa Quaestionum, II]베른하르트 얀센(Bernhard Jansen) 편집. 콰라치, 콜레기움 S. 보나벤투라에, 1922-1926.
De perlegendis philosophorum libris페르디난트 들로름(Ferdinand Delorme) 편집. Antonianum 16 (1941): 31-44.
Quid ponat ius vel dominium페르디난트 들로름(Ferdinand Delorme) 편집. Antonianum 20 (1945): 309-330.S. 피롱(S. Piron) 개정판, Oliviana, 5, 2016, 온라인: https://journals.openedition.org/oliviana/882
Quaestiones logicales스티븐 브라운(Stephen Brown) 편집. Traditio 42 (1986): 337-388.
Quaestio de locutionibus angelorum실뱅 피롱(Sylvain Piron) 편집. Oliviana, 1, 2003.
Tractatus de contractibus. Traité des contrats실뱅 피롱(Sylvain Piron) 편집 및 번역. 파리, 레 벨르 레트르, 2012.영어 번역: 라이언 손턴, 마이클 쿠사토 (번역) A Treatise on Contracts, 성 보나벤투라 (뉴욕), 프란체스코 연구소 간행물, 2016. 포르투갈어 번역: 조이스 베아트리스 다 코스타, 루이스 알베르토 데 보니 (번역). Tratado sobre os Contrato. 포르투, 에디소에스 아프론타멘토, 2016.
Quaestio de divino velle et scire, Quaestio de ideisS. 피롱(S. Piron) 편집. Oliviana, 6, 2020, 온라인: https://journals.openedition.org/oliviana/977
Un trattato francescano di economia politica: il "De emptionibus et venditionibus, De usuris, De restitutionibus" di Pietro di Giovanni Olivi자코모 토데스키니. 로마: 이스토로코 이탈리아노 페르 일 메디에보. 1980.


5. 2. 주석 및 해석학 저작

출판 연도저자제목출판 정보
1991마르코 바르톨리(Marco Bartoli)Super Lamentationum Ieremie|예레미야 애가 해설la로마, ISIME
1997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 게데온 갈(Gedeon Gal)Peter of John Olivi on the Bible. Principia quinque in Sacram Scripturam, Postilla in Isaiam et in I ad Corinthios|성경에 대한 피에르 드 장 올리비: 성서에 대한 다섯 가지 원리, 이사야서와 고린토 전서 해설영어세인트 보나벤처, NY, 프란치스코 학회 출판
1999요하네스 슐라게테르(Johannes Schlageter)Expositio in Canticum Canticorum|아가 해설la그로타페라타, 콰라치 형제 출판
2001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Peter of John Olivi on the Acts of the Apostles|사도행전에 대한 피에르 드 장 올리비영어세인트 보나벤처, NY, 프란치스코 학회 출판
2003요하네스 슐라게테르(Johannes Schlageter)Lectura super Proverbia, Lectura super Ecclesiasten|잠언 강의, 전도서 강의la그로타페라타, 콰라치 형제 출판
2006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Peter of John Olivi on Genesis|창세기에 대한 피에르 드 장 올리비영어세인트 보나벤처, NY, 프란치스코 학회 출판
2010알랭 보로(Alain Boureau)Lecturae super Pauli Epistolas|바울 서신 강의la브레폴스(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233)
2010포르투나토 이오첼리(Fortunato Iozzelli)Lectura Super Lucam et Lectura Super Marcum|루카 복음 해설과 마르코 복음 해설la그로타페라타, 콰라치 형제 출판-산 보나벤투라 대학 재단
2012실뱅 피론(Sylvain Piron)Lectura super Mattheum, prologus|마태오 복음 해설, 서론la올리비아나 4 (http://oliviana.revues.org/498)
2015워렌 루이스(Warren Lewis)Lectura super Apocalypsim|요한 계시록 해설la세인트 보나벤처, NY, 프란치스코 학회 출판, 2015; 영어판, 피에르 드 장 올리비: 묵시록 해설--번역, 주석 및 서론, 2017.
2015알랭 보로(Alain Boureau)Lectura super Iob|욥기 해설la브레폴스(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275)
2002스테파노 데프라이아(Stefano Defraia)5개의 쿼들리베타, 그 외, 텍스트에 관한 질문그로타페라타, 콰라치 형제 출판


5. 3. 신학 저작

제목편집자출판 정보
Quaestiones De Deo Cognoscendo (부록)베른하르트 얀센 (Bernhard Jansen)콰라치, 콜레기움 S. 보나벤투라에, 1922-1926. (Quaestiones in secundum librum Sententiarum 3권, pp. 453–554)
Quaestio de angelicis influentiis페르디난트 델롬 (Ferdinand Delorme)콰라치, 1934. (Bonaventura. Collationes in Hexaemeron et bonaventuriana quaedam selecta, pp. 363–412)
Quaestiones de incarnatione et redemptione. Quaestiones de virtutibus.아퀼리노 에멘 (Aquilino Emmen), 에른스트 스타터 (Ernst Stadter)그로타페라타, 콜레기움 산 보나벤투라에, 1981.
Quaestiones de novissimis ex Summa super IV Sententiarum피에트로 마라네시 (Pietro Maranesi)그로타페라타: 에디치오네스 콜레기 S. 보나벤투라에, 2004.
'Una questione inedita dellOlivi sullnfallibilità del Papa (Quaestiones de perfectione evangelica 12)미켈레 마카로네 (Michele Maccarone)Rivista della Chiesa in Italia. 3 (1949): 309-343.
Petri Iohannis Olivi de renuntiatione papae Coelestini V quaestio et epistola (QPE 13)리바리우스 올리거 (Livarius Oliger)Franciscanum Historicum. 11 (1918): 340-366.
Quaestiones de Romano pontifice.마르코 바르톨리 (Marco Bartoli)그로타페라타, 프라티 에디토리 디 콰라치, 2002.
'La Quaestio fr. Petri Iohannis Olivi sur lindulgence de la Portiuncule''피에르 페아노 (Pierre Péano)Archivum Franciscanum Historicum. 74 (1981): 64-76.


5. 4. 프란치스코회 규칙 준수와 복음적 완전에 관한 저작

저자제목출판 정보비고
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피에르 올리비의 규칙 해설(Peter Olivi's Rule Commentary)》비스바덴, F. 슈타이너, 1972.《판 및 발표(Edition and Presentation)》
아킬리누스 에멘(Aquilinus Emmen), 펠리치아노 시몬치올리(Feliciano Simoncioli)"올리비의 관상, 활동적인 삶과 혼합된 삶에 대한 교리(La dottrina dell'Olivi sulla contemplazione, la vita attiva e mista)"《프란체스코 연구》, 60 (1963) : 382-445; 61 (1964): 108-167.QPE 1-4
아킬리누스 에멘(Aquilinus Emmen)"올리비의 서약의 종교적 가치에 대한 교리(La dottrina dell'Olivi sul valore religioso dei voti)"《프란체스코 연구(Francescani)》, 63 (1966): 88-108.QPE 5
아킬리누스 에멘(Aquilinus Emmen)"올리비의 평가에서의 처녀성과 결혼(Verginità e matrimonio nella valutazione dell'Olivi)"《프란체스코 연구(Studi Francescani)》, 64 (1967): 11-57.QPE 6
요하네스 슐라게터(Johannes Schlageter)《가난한 자의 구원과 부자의 멸망. 페트루스 요한니스 올리비, OFM, 최고의 빈곤에 대한 질문(Das Heil der Armen und das Verderben der Reichen. Petrus Johannis Olivi, OFM, Die Frage nach der höchsten Armut)》베를 i. 베스트팔렌, 디트리히-쾰데-출판사, 1989.QPE 8
데이비드 버(David Burr)《데 우수 파우페레(De usu paupere). 퀘스티오와 트랙타투스(The Quaestio and the Tractatus)》피렌체-퍼스, 레오 S. 올쉬키-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대학교 출판부, 1992.QPE 9
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피에르 올리비, 멘디시테이트에 대한 퀘스티오, 비평적 판(Peter Olivi Quaestio de mendicitate, critical édition)"《프란체스코 연구(Franciscanum Historicum)》, 87 (1994): 299-347.QPE 10/15
데이비드 버(David Burr), 데이비드 플러드(David Flood)"피에르 올리비: 재산과 수입에 관하여(Peter Olivi: On property and revenue)"《프란체스코 연구(Franciscan Studies)》, 40 (1980): 18-58.QPE 16
페르디난드 델롬(Ferdinand Delorme)"Fr. P. J. Olivi questio de voto regulam aliquam profitentis"16 (1941): 131-164.QPE 17


5. 5. 변증 저작 및 서한


  • 프란츠 에를레(Franz Ehrle)가 편찬한 《시칠리아 왕의 아들들에게 보내는 서한》(Epistola ad regis Siciliae filios)은 《중세 문학 및 교회 역사 기록》(Archiv für Literatur- und Kirchengeschichte des Mittelalters) 3권(1887) 534-540쪽에 수록되어 있다.[1]
  • 알바누스 하이세(Albanus Heysse)가 편찬한 《형제 피에르 요한의 죽음에 관하여, 그리고 그가 성례전을 받고 한 말》(De obitu fratris Petri Iohannis et quid receptis sacramentis dixit)은 《로렌티아나 도서관 S. 크루치 플루트 31 신. 코드 3의 사본 설명》, 《프란체스코 역사 기록》(Archivum franciscanum historicum) 11권(1918) 267-269쪽에 수록되어 있다.[2]
  • 다마스 라베르지(Damase Laberge)가 편찬한 《형제 피에르 요한 올리비, O.F.M., 1283년과 1285년의 세 편의 자기 변호서》는 《프란체스코 역사 기록》(Archivum Franciscanum Historicum) 28권(1935) 115-155, 374-407쪽, 29권(1936) 98-141, 365-395쪽에 수록되어 있다.[3]
  • 실뱅 피론(Sylvain Piron), 엘사 마르무르슈테인(Elsa Marmursztejn), 신시아 킬머(Cynthia Kilmer)가 편찬한 《형제 R.에게 보내는 편지》(ad fratrem R.)는 《프란체스코 역사 기록》(Archivum Franciscanum Historicum) 91권(1998) 33-64쪽에 수록되어 있다.[4]

5. 6. 경건 저작


  • 디오니시오 파체티 편집, ''Quaestiones quatuor de Domina''. 콰라치, 콜레지움 S. 보나벤투라, 1954.
  • 라울 만셀리 편집, ''Modus quomodo quilibet postest referre gratias Deo de beneficiis ab eo receptis'', ''Miles armatus'', ''Informatio Petri Iohannis'', ''Remedia contra temptationes spirituales.'' 로마, ''Spirituali e beghini in Provenza''. ISIME, 1959, 274–290쪽.
  • 안토니오 몬테푸스코, '"L’opuscolo Miles armatus di Pierre de Jean Olieu. Edizione critica e commento"'. ''Studi Francescani''. ''108'' (2011): 50-171.

참조

[1] 학술지 The Formation of Olivi's Intellectual Project http://oliviana.revu[...] 2003
[2] 학술지 The Date of Olivi's Commentary on Matthew 1976
[3] 서적 Olivi and Franciscan Poverty The Origins of the Usus Pauper Controvers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서적 The Persecution of Peter Olivi https://archive.org/[...]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5] 학술지 Censures et condamnation de Pierre de Jean Olivi : enquête dans les marges du Vatican https://halshs.archi[...] 2006
[6] 서적 The Science of Conjecture: Evidence and Probability Before Pascal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7] 문서 Miscellanea
[8] 서적 Bonagrazia de Bergame, auteur des Allegationes sur les articles extraits par Jean XXII de la Lectura super Apocalipsim d'Olivi Edizioni Antonianum
[9] 서적 Index Librorum Prohibitorum Ex Typographia Reuerendae Camerae Apostolic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