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오네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오네르는 소련을 비롯한 공산주의 국가에서 운영된 청소년 조직이다. 1922년 러시아에서 시작되어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모델로 삼았지만, 공산주의 이념 교육과 당의 통제를 받았다. 소련 시대에는 엘리트 청소년을 선발하여 공산주의 사회의 간부 후보로 육성했으며, 집단농장화 과정에서 쿠라크 숙청 운동에 동원되기도 했다. 동구권 및 기타 공산주의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각국의 지도자 이름을 딴 조직이 운영되었다. 현재는 중국, 베트남, 북한, 쿠바 등 일부 국가에서 조직이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콤소몰 -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
    콤소몰스카야 프라우다는 1925년 창간된 러시아의 신문으로, 공산주의 청년 동맹 기관지에서 시작하여 독립 신문으로 전환되었으며, 현재는 가스프롬 관련 미디어 파트너가 소유하고 있다.
  • 콤소몰 - 모스콥스키 콤소몰레츠
    모스콥스키 콤소몰레츠는 1919년 창간되어 콤소몰 모스크바 위원회의 기관지 역할을 하다 1990년 이후 시사, 사회,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러시아 신문으로,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히트 퍼레이드 "Zvukovaya Dorozhka"를 진행하며 70만에서 93만 부 사이의 발행 부수를 가진다.
  • 피오네르 - 조선소년단
    조선소년단은 1946년 북한에서 창립된 9~15세 청소년 단체로, 주체사상과 김일성 일가 숭배 교육을 하며, 2018년 기준 275만 명의 단원 수를 보유하고, 주요 기념일에 신규 입단이 이루어지며, 일본에서도 조선총련 주도로 운영되고 조선학교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가입한다.
  • 피오네르 - 소년궁
    소년궁은 사회주의 국가에서 청소년들의 교육과 여가 활동을 위해 설립된 시설로, 소련에서 시작되어 중국소년선봉대와 연계되어 발전했으며,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 사회주의 이념 교육, 문화예술 중심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다.
  • 소련 -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은 이오시프 스탈린이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자연과 사회의 발전 법칙을 설명하며, 스탈린의 권력 강화와 정당화를 위해 1936년 소련 헌법 도입 과정에서 작성된 저작이다.
  • 소련 - 스타하노프 운동
    스타하노프 운동은 1930년대 소련에서 시작된 노동 생산성 향상 운동으로, 소련 공산당 주도하에 사회주의 경쟁의 한 형태로 전개되어 생산 목표 초과 달성을 장려했지만 과도한 목표 설정과 실적 부풀리기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피오네르
개요
아르텍 국제 어린이 센터의 젊은 개척자 캠프
아르텍 국제 어린이 센터의 젊은 개척자 캠프
국가소련 및 동구권 국가
창립1922년 5월 19일
해산1991년
이념공산주의, 사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조직 구조
대상 연령10-15세 (대략)
관련 조직소련 공산당, 콤소몰
하위 조직악탸브랴타 (7-9세)
역사
기원보이 스카우트 운동에서 유래
설립 배경어린이들을 위한 공산주의 교육
혁명 정신 고취
활동
활동 내용정치 교육 및 선전
사회 봉사 활동
문화 활동 (캠프, 스포츠 등)
군사 훈련 (준군사 활동)
주요 행사집회 및 시위 참여
공산주의 기념 행사
선전 활동
상징
상징물붉은 넥타이
배지
깃발
구호모든 나라 프롤레타리아여, 단결하라!
영향
사회적 영향공산주의 체제 유지에 기여
어린이들의 사회화에 영향
정치적 세뇌 비판 존재
기타
유사 조직조선소년단 (북한)
중국소년선봉대 (중국)
관련 용어 (러시아어)
피오네르 (Pioner)пионе́р (개척자)
악탸브랴타 (Oktyabryata)октябрята (10월)

2. 역사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 동안, 대부분의 스카우트 지도자들과 스카우트들은 백군에 가담하여 적군에 맞서 싸웠다.[1] 1918년부터 1920년 사이, 전 러시아 공산주의 청년 연맹(콤소몰)은 스카우트 운동을 근절하고 공산주의 이념을 교육하는 새로운 청소년 조직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내인 나데즈다 크룹스카야1922년 "공산주의 청년 연맹과 보이스카우트 운동"이라는 에세이를 쓰는 등 피오네르 운동에 주요한 기여를 했다.[2]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최초의 피오네르 조직이 설립되었다.[2] 피오네르 운동은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모델로 하여, "항상 준비하라!"라는 모토를 채택하고 빨간 스카프를 착용하는 등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피오네르는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주의 원칙 교육을 포함했고, 이는 세뇌의 한 형태로 비판받기도 했다.[1]

소련 시절, 수천 개의 소년 개척자 캠프와 소년 개척자 궁전이 건설되었고, 피오네르를 위한 신문과 잡지가 많이 발행되었다. 피오네르는 프롤레타리아 출신의 건강하고 학력이 우수하며 품행이 방정한 청소년 중에서 선발된 엘리트적인 존재로, 미래 공산주의 사회의 간부 후보로 여겨졌다.[12]

네커치프 매는 법


피오네르는 대략 10세부터 15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교 단위로 편성되었다. 입단식에는 피오네르 궁전에서 레닌상 앞에서 선서문을 읽는 의례가 있었다. 슬로건은 보이스카우트를 모방하여 Всегда готов!|프시그다 가토프ru(“(언제라도) 모든 준비 완료!”)이다.

부농(쿨라크) 출신 아동은 가입할 수 없었다.[12] 가입 후에도 교회에 있는 것이 발각된 경우에는 제명되었으며, 매도당하고 흙을 던져졌다.[12]

스탈린이 주도한 소비에트 연방의 집단농장화에 따른 쿠라크 숙청 운동에서 피오네르는 선봉으로 활동했다.[13] 대기근 상황에서 피오네르는 두세 개의 옥수수를 주운 농촌 여성을 체포하여 극북의 강제 수용소에 수용하기도 했으며, 곡물을 "훔치는" 농민을 체포할 때마다 표창을 받았다.[13]

파블리크 모로조프는 아버지를 쿠라크로 고발하여 아버지가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고, 삼촌들에게 살해당했지만 사후 영웅으로 표창되었다.[14]

소련의 피오네르 조직은 동구권 및 기타 공산주의 국가들로 확산되었다. 각국의 피오네르 조직은 주로 유명한 공산주의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동독에는 에른스트 텔만 피오네르 조직이 있었고, 불가리아에는 디미트로프의 9월 피오네르가, 알바니아에는 엔베르 호자의 피오네르가, 쿠바에는 호세 마르티의 피오네르가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에는 피오니르(Pionýr)라는 조직이 있었다. 1989년 민주화 이후, 구 동유럽 국가에서는 피오네르의 명칭이 사라지고 보이 스카우트나 걸스카우트로 개편되었다.[15]

2. 1. 기원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내전 동안 대부분의 스카우트 지도자들과 스카우트들은 백군에 가담하여 적군에 맞서 싸웠다.[1] 1918년부터 1920년 사이, 전 러시아 공산주의 청년 연맹(콤소몰)은 스카우트 운동을 근절하고 공산주의 이념을 교육하는 새로운 청소년 조직을 만들기로 결정했다.[1]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내인 나데즈다 크룹스카야1922년 "공산주의 청년 연맹과 보이스카우트 운동"이라는 에세이를 쓰는 등 피오네르 운동에 주요한 기여를 했다.[2]

2. 2. 소련의 피오네르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최초의 피오네르 조직이 설립되었다.[2] 피오네르 운동은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모델로 하여, "항상 준비하라!"라는 모토를 채택하고 빨간 스카프를 착용하는 등 유사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피오네르는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주의 원칙 교육을 포함했고, 이는 세뇌의 한 형태로 비판받기도 했다.[1]

소련 시절, 수천 개의 소년 개척자 캠프와 소년 개척자 궁전이 건설되었고, 피오네르를 위한 신문과 잡지가 많이 발행되었다. 피오네르는 프롤레타리아 출신의 건강하고 학력이 우수하며 품행이 방정한 청소년 중에서 선발된 엘리트적인 존재로, 미래 공산주의 사회의 간부 후보로 여겨졌다.[12]

피오네르의 상징 마크는 레닌의 옆모습과 피오네르의 슬로건이 그려진 붉은 별과 모닥불의 불꽃을 조합한 것이다. 그 외에 마크가 들어간 깃발을 내건 호른과 붉은 별이 장식된 모닥불의 마크도 존재한다. 호른을 부는 소년 소녀도 상징적으로 다루어져, 소련 국내에 있던 피오네르 궁전 앞에는 그 동상이 세워졌다. 단원의 상징은 붉은 네커치프이다.

피오네르는 대략 10세부터 15세를 대상으로 하며, 입단식에는 피오네르 궁전에서 레닌상 앞에서 선서문을 읽는 의례가 있었다. 단의 편성은 학교 단위로 이루어졌다. 슬로건은 보이스카우트를 모방하여 Всегда готов!|프시그다 가토프ru(“(언제라도) 모든 준비 완료!”)이다.

건설적인 측면에서는 참여가 자유 의지에 맡겨졌지만, 소련의 경우 단계를 거쳐 입단 희망자를 조금씩 받아들였다. 최종적으로 소속될 수 있는 것은 전체 아동의 20% 정도였다. 3학년이 되면 입단이 인정되지만, 처음 입단할 수 있는 것은 '우수한' 아이들로 한정되었다. 수 주 후에 '다음으로 '행실이 좋은'' 아이들의 입단이 인정되었으며, '못하는' 아이들도 입단 선발 대상이 되는 것은 4학년 이후였다. 자유 의지에 의한 입단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공산당의 의중을 헤아린 학교 교사에 의한 우등생 권유에 대해, 해당 아동에게 입단 의사가 없는 경우에도 (아동의 가족과 함께) 의심의 눈초리가 쏟아졌다. 결국은 아동 스스로 짐작하여 입단하는 흐름이 일반적이었다(1980년 시점에서 약 2000만 명[11]).

부농(쿨라크) 출신의 아동은 가입할 수 없었다.[12] 가입 후에도 교회에 있는 것이 발각된 경우에는 제명되었으며, 한 소녀는 교회에 간 것이 발각된 후, 학교에서 전교생 앞에 세워져 다른 아이들에게 '교회에 가는 것은 학교의 수치다', '붉은 스카프를 착용할 자격이 없다'고 매도당하고, 흙을 던져졌다.[12]

2. 3. 쿠라크 숙청 운동 참여

스탈린이 주도한 소비에트 연방의 집단농장화에 따른 쿠라크 숙청 운동에서 피오네르는 선봉으로 활동했다.[13] 대기근 상황에서 피오네르는 두세 개의 옥수수를 주운 농촌 여성을 체포하여 극북의 강제 수용소에 수용하기도 했으며, 곡물을 "훔치는" 농민을 체포할 때마다 표창을 받았다.[13]

쿠바니 강 우스치-라빈스크의 콜호스에서는 피오네르 분견대 "콜호스 농민의 길 소년단"이 절도 혐의가 있는 주민 명단을 작성하고, "이들 주민은 확실히 절도를 하고 있으며, 왜냐하면 그들은 쿠라크이기 때문이다"라고 보고했다.[13] 포스티셰프는 밭에서 감시 활동에 동원된 아동이 50만 명이며, 1만 명의 아동이 도둑인 쿠라크(부농)와 싸우고 있다고 보고했다.[13]

파블리크 모로조프(1918-32)는 게라시모프카 마을의 촌 소비에트 의장인 아버지를 쿠라크로 고발하여 아버지가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고, 삼촌들에게 살해당했지만 사후 영웅으로 표창되었다.[14] 1934년에는 부모가 곡물을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공산당에 통보한 "피오네르"가 잇달아 표창을 받았다.[13]

2. 4. 동구권 및 기타 국가로의 확산

소련의 피오네르 조직은 동구권 및 기타 공산주의 국가들로 확산되었다. 각국의 피오네르 조직은 주로 유명한 공산주의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동독에는 에른스트 텔만 피오네르 조직이 있었고, 불가리아에는 디미트로프의 9월 피오네르가, 알바니아에는 엔베르 호자의 피오네르가, 쿠바에는 호세 마르티의 피오네르가 있었다. 체코슬로바키아에는 피오니르(Pionýr)라는 조직이 있었다. 동유럽 국가에서는 보이 스카우트나 걸스카우트 조직도 전통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회주의 체제로 이행된 후 피오네르가 설립되었을 때, 특히 가톨릭 교회가 영향력을 가진 폴란드 등에서는 기독교 교회 등의 스카우트 조직도 피오네르의 틀 안에서 존속된 사례도 있었다.[15] 1989년 민주화 이후, 구 동유럽 국가에서는 피오네르의 명칭이 사라지고 보이 스카우트나 걸스카우트로 개편되었다.[15]

3. 조직 및 활동

1917년부터 1921년까지의 러시아 내전 동안, 대부분의 러시아 스카우트 마스터와 많은 스카우트들은 백군의 일원으로 적군에 맞서 싸웠다. 1918년에서 1920년 사이에, 전 러시아 공산주의 청년 연맹 (콤소몰)은 스카우트 운동을 근절하고 소련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포괄하는 공산주의 형태의 조직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직은 형태 면에서는 스카우트 운동을 닮았지만, 공산주의적 가르침으로 아이들을 교육했다.[1]

소련 인민 위원회의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블라디미르 레닌의 아내이자 교육 인민 위원)는 개척자 운동의 주요 기여자 중 한 명이었다. 1922년 그녀는 "공산주의 청년 연맹과 보이 스카우트 운동"이라는 에세이를 썼다. 그러나 "개척자"라는 이름을 도입하고 스카우트의 상징과 의식을 채택하도록 콤소몰을 설득한 것은, 콤소몰과 적군을 지지했던 남아있는 스카우트 마스터들이었다.[2]

최초의 개척자 조직은 1922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설립되었다. 이후, 유사한 조직들이 동구권 국가들과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에서 설립되었다.

개척자 운동은 스카우트 운동을 모델로 하여 준비성, 스포츠 및 야외 활동 기술 증진과 같은 원칙을 공유한다. "항상 준비!"라는 모토는 스카우트 모토에서 채택되었다. 회원은 개척자로 불렸으며, 목 스카프—일반적으로 빨간색, 때로는 하늘색—를 착용했는데, 이는 스카우트 유니폼에서 채택된 전통이다.

그러나 두 운동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스카우트 운동은 정부 통제 및 정당과 독립되어 있지만, 개척자 운동은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주의 원칙 교육을 포함한다. 공산주의 반대자들은 이것이 세뇌의 한 형태라고 주장한다.

개척자 운동은 공산당 집권 국가뿐만 아니라, 정당이 어린이 조직을 지원할 만큼 규모가 큰 일부 국가에서 공산당이 야당인 경우에도 존재해 왔고, 현재도 존재한다. 공산주의 국가에서 개척자 운동 가입은 공식적으로 선택 사항이지만, 회원 자격은 많은 이점을 제공하므로 대다수의 어린이가 가입한다. 소련 시절에는 수천 개의 소년 개척자 캠프와 소년 개척자 궁전이 소년 개척자만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정부와 노동 조합의 후원을 받아 무료로 운영되었다. 수백만 부의 소년 개척자를 위한 신문과 잡지가 발행되었다.

국가 개척자 조직은 종종 소련블라디미르 레닌,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의 엔베르 호자,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쿠바호세 마르티, 동독에른스트 텔만, 몽골 인민 공화국의 담딘 수흐바타르, 베트남의 호치민과 같이 어린 공산주의자들에게 적합한 역할 모델로 간주되는 유명한 당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다.

제일주의 운동은 현대 러시아에서 개척자 운동의 후속 조치를 시작하기 위한 국가 주도의 노력이다.

3. 1. 조직 구조

피오네르는 학교 단위로 조직되었으며, 대략 10세에서 15세 사이의 청소년들이 가입했다. 피오네르 궁전에서 레닌상 앞에서 선서문을 읽는 입단 의례가 있었다.[11]

소련의 경우, 피오네르 입단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3학년이 되면 입단이 허용되었지만, 처음에는 '우수한' 학생들부터 먼저 입단할 수 있었다. 몇 주 후에는 '다음으로 행실이 좋은' 학생들이 입단할 수 있었고, '뒤처지는' 학생들은 4학년 이후에나 입단 심사를 받을 수 있었다. 공식적으로는 자유 의지에 따른 입단이었지만, 공산당의 의중을 고려한 학교 교사들은 우등생들에게 입단을 권유했다. 이 때문에 입단 의사가 없는 학생과 그 가족들은 의심의 눈초리를 받기도 했고, 결국 학생 스스로 입단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1980년 기준 약 2000만 명).[11]

피오네르는 프롤레타리아 출신으로 건강하고 학업 성적이 우수하며 품행이 단정한 청소년 중에서 선발되었다. 이들은 공산주의 사회의 미래 간부 후보로서 엘리트적인 존재였다. 교육 심리학자 자르킨드는 피오네르의 목적을 '부르주아 계급의 유해한 이데올로기로부터 완전히 해방된 혁명적 공산주의 전사'를 육성하는 데 있다고 말했다.[12]

부농 출신 아동은 피오네르에 가입할 수 없었다.[12] 가입 후 교회에 다니는 것이 적발되면 제명되었다. 한 소녀는 교회에 간 것이 발각된 후, 학교에서 전교생 앞에 세워져 다른 학생들에게 '교회에 가는 것은 학교의 수치다', '붉은 스카프를 착용할 자격이 없다'는 매도를 당하고 흙을 맞는 일도 있었다.[12]

3. 2. 상징



피오네르의 상징 마크는 블라디미르 레닌의 옆모습과 피오네르의 슬로건이 그려진 붉은 별과 모닥불의 불꽃을 조합한 것이다. 그 외에도 마크가 들어간 깃발을 내건 호른과 붉은 별이 장식된 모닥불의 마크도 존재한다. 호른을 부는 소년 소녀도 상징적으로 다루어져, 소련 국내에 있던 피오네르 궁전 앞에는 그 동상이 세워졌다. 단원의 상징은 붉은 네커치프이다. 슬로건은 보이스카우트의 "Be prepared"(항상 준비하라)를 모방하여 '''Всегда готов!ru'''('''프시그다 가토프'''.“(언제라도) 모든 준비 완료!”)이다.

3. 3. 활동

피오네르는 보이스카우트 운동을 모델로 하여 만들어졌다. 두 운동은 준비성, 스포츠 및 야외 활동 기술 증진과 같은 일부 원칙을 공유한다.[2] "항상 준비!"라는 모토는 스카우트 모토에서 피오네르 운동이 채택했다.[2] 피오네르 단원들은 목 스카프를 착용했는데, 이는 스카우트 유니폼에서 채택된 것이다.[2]

피오네르는 야외 활동, 스포츠, 기술 교육 등 보이스카우트와 유사한 활동을 했다.[2] 여름에는 라게리(캠프)가 열렸으며, 캠프파이어(러시아어: Костёр|카스초르ru)가 연례 행사였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피오네르 단원들이 무명 용사의 비를 지키는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4. 각국의 피오네르

공산주의 선봉대(중화인민공화국), 호찌민 소년선봉대(베트남), 에른스트 텔만 피오네르 조직(독일민주공화국) 등 여러 공산주의 국가들에 피오네르 조직이 설립되었다.[1]

피오네르 운동은 스카우트 운동과 여러 면에서 유사하다. 두 운동 모두 준비성, 스포츠 및 야외 활동 기술 증진과 같은 일부 원칙을 공유하며, "항상 준비!"라는 모토와 목 스카프를 착용하는 전통은 스카우트 운동에서 유래했다.[2]

그러나 스카우트 운동은 정부 통제 및 정당과 독립되어 있는 반면, 피오네르 운동은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주의 원칙 교육을 포함한다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4. 1. 현존하는 피오네르 조직

조선소년단의 상징


피오네르 운동은 현재 다음 국가에서 존재한다.

국가단체명
중국중국 소년선봉대
베트남호치민 소년선봉대[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조선소년단[2]
쿠바호세 마르티 피오네르 조직[3]
라오스라오 인민혁명청년동맹 산하 소년선봉대[4]
벨라루스벨라루스 공화국 피오네르 기구[5]
앙골라아고스티뉴 네투 피오네르 기구[6]
아르메니아젊은 피오네르 공화국, 레르나메르츠 소비에트 피오네르[7]
벨기에벨기에 노동자당의 피오네르[8]
키프로스연합 민주 청년 기구[9]
핀란드핀란드 피오네르 민주 연합[10]
체코피오니르[11]
멕시코인민사회당의 피오네르 협회 "비센테 롬바르도 톨레다노"[12]
포르투갈포르투갈 공산 청년[13]
러시아러시아 연방 공산당의 피오네르[14]
몰도바몰도바 공화국 공산당의 피오네르[15]
우크라이나우크라이나 공산당의 피오네르
세네갈세네갈 피오네르 전국 운동
스페인바스크 조국 공산당의 피오네르
시리아바트당 피오네르
타지키스탄킹 소모니 유산



나이가 더 많은 아이들은 다른 공산주의 조직에서 활동을 이어갈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수의 사람들만이 수행한다.

러시아 및 기타 국가의 공산당은 피오네르 조직을 계속 운영하고 있지만, 회원 수는 매우 제한적인 경향이 있다.

4. 2. 과거의 피오네르 조직

블라디미르 레닌의 실루엣과 "항상 준비!"라는 문구가 새겨진 소련 개척자 조직의 엠블럼


블라디미르 레닌의 실루엣과 "항상 준비!"라는 문구가 새겨진 소련 개척자 조직의 엠블럼이 있었다.[1] 소련의 소년 개척자 캠프와 소년 개척자 궁전은 소년 개척자만을 위해 건설되었고, 정부와 노동 조합의 지원을 받아 무료였다.[2] 국가 개척자 조직은 소련블라디미르 레닌,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의 엔베르 호자,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게오르기 디미트로프와 같이 공산주의자들에게 적합한 역할 모델로 여겨지는 유명한 당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유고슬라비아 개척자 연맹의 엠블럼


디미트로프 개척자 조직 "9월 혁명가"의 엠블럼

  • 소련: 블라디미르 레닌 전연방 개척자 조직
  •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엔베르의 개척자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디미트로프 개척자 조직 "9월 혁명가"


그 외에 다음 국가들에도 개척자 조직이 있었다.

국가조직명
미얀마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셰이성 루-응게
캄푸치아 인민 공화국캄푸치아 혁명 청년 연합, 캄푸치아 젊은 개척자 조직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사회주의 청년 연합 개척자 조직
독일 민주 공화국에른스트 텔만 개척자 조직
헝가리 인민 공화국Úttörőszövetség
인도네시아파자르 하라판
말라위말라위 청소년 개척자
말리젊은 개척자
몽골 인민 공화국수흐바타르 몽골 개척자 조직
니제르젊은 개척자
부르키나파소혁명 개척자
노르웨이젊은 개척자
폴란드 인민 공화국폴란드 스카우트 연맹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개척자 조직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유고슬라비아 개척자 연맹
미국미국 젊은 개척자


5. 비판 및 논란

피오네르 운동은 공산주의 이념을 주입하고 청소년들을 정치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스카우트 운동이 정부 및 정당과 독립적인 것과 달리, 피오네르 운동은 공산당의 통제를 받으며 공산주의 원칙을 교육한다는 점에서 세뇌의 한 형태라는 주장이 제기된다.[1]

요시프 스탈린 시대에 소비에트 연방의 집단농장화에 따른 쿠라크 숙청 운동에 피오네르가 동원된 것은 심각한 인권 침해로 여겨진다. 대기근(홀로도모르) 당시 피오네르는 곡물을 "훔치는" 농민을 체포하는 데 앞장섰으며, 이 과정에서 농촌 여성들이 두세 개의 옥수수를 주웠다는 이유로 극북의 강제 수용소에 수용되기도 했다.[13] 이들은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표창을 받았다.[13]

쿠바니 강의 우스치-라빈스크의 콜호스에서는 피오네르 분견대가 절도 혐의가 있는 주민 명단을 작성하고, 이들이 쿠라크(부농)이기 때문에 절도를 저지르고 있다고 보고했다.[13] 밭에서의 감시에는 50만 명의 아동이 동원되었고, 1만 명의 아동이 도둑인 쿠라크와 싸우고 있다는 보고도 있었다.[13]

파블리크 모로조프는 아버지를 쿠라크로 고발하여 아버지가 노동 수용소로 보내지게 한 후 삼촌들에게 살해당했지만, 사후 영웅으로 추앙받았다.[14] 1934년에는 부모가 곡물을 숨기고 있다는 사실을 공산당에 알린 피오네르들이 잇달아 표창을 받았다.[13]

피오네르 가입은 프롤레타리아 출신의 건강하고 학력이 우수하며 품행이 방정한 청소년 중에서 선발되는, 일종의 공산주의 사회의 엘리트 간부 후보를 육성하는 과정이었다. 교육 심리학자 자르킨드는 피오네르의 목적이 '부르주아 계급의 유해한 이데올로기에서 완전히 해방된 혁명적 공산주의 전사'를 육성하는 데 있다고 밝혔다.[12] 부농 출신 아동은 가입할 수 없었으며,[12] 가입 후 교회에 다니는 것이 발각되면 제명되었다. 한 소녀는 교회에 간 것이 발각된 후, 학교에서 전교생 앞에서 다른 아이들에게 '교회에 가는 것은 학교의 수치다', '붉은 스카프를 착용할 자격이 없다'고 매도당하고, 흙을 던져졌다.[12]

참조

[1] 서적 Stalinism As A Way Of Life
[2] 서적 "Lenins Kinder: Zur Genealogie der Pfadfinder und Pioniere in Russland 1908–1924" wvb, Berlin 2008
[3] 웹사이트 IFM-SEI list of members http://www.ifm-sei.o[...] 2009-02-22
[4] 웹사이트 Young Pioneers honoured on Brigade's 65th anniversary http://vietnamnews.v[...] 2006-06-29
[5] 서적 "မြန်မာနိုင်ငံအမျိုးသားမော်ကွန်း(၁၉၇၅) မျက်မှောက်ကာလမြန်မာနိုင်ငံမှတ်တမ်း" https://books.google[...] Pugaṃ Cā ʼupʻ tuikʻ 1978
[6] 간행물 တို့တေဇလူငယ် Myawaddy Publishing, Ministry of Information 1984-10
[7] 웹사이트 Lin San Tyna on Facebook https://m.facebook.c[...]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Niger (3rd ed.) Scarecrow Press
[9] 문서 Anarchism in America
[10] 문서 直訳すると十月の子。[[十月革命]]にちなむ。
[11] 문서 ピオネール 平凡社 2004
[12] 서적 囁きと密告――スターリン時代の家族の歴史 白水社 2011
[13]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14]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2007
[15] 문서 ピオネール 平凡社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