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코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스코보는 불가리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기원전 7천 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9세기에는 요새가 건설되어 도시로 발전했다. 1395년에 건설된 에스키 모스크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이다. 19세기에는 담배 생산으로 유명했지만, 현재는 식품, 기계, 섬유 산업이 주를 이룬다. 하스코보는 온대 기후를 보이며, 불가리아인, 튀르크인,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이반 디모프 드라마 극장, 역사 박물관 등이 있으며, 성모 마리아 기념비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스코보주 - 디미트로브그라드 (불가리아)
디미트로브그라드는 불가리아 하스코보 주에 있는 계획 도시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세 마을이 합쳐져 건설되었으며, 현대적인 산업 중심지이자 공산주의 이념을 구현한 로마 제국풍 건축 양식과 불가리아 최초의 플라네타륨을 갖춘 유럽 교통 허브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소피아
소피아는 불가리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발칸 반도 중심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 유적을 보유한 불가리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불가리아의 도시 - 도브리치
도브리치는 불가리아 북동부 도브루자 지역의 중심 도시로서,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풍부한 문화 유적과 공원을 자랑하는 매력적인 관광지이다.
| 하스코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공식 명칭 | Хасково (하스코보) |
| 다른 이름 | Hasköy (하스쾨이), Узунджово (우준드조보) |
| 위치 | 불가리아 |
| 속한 주 | 하스코보 주 |
| 시장 | 스타니슬라프 데체프 |
| 면적 | 25.555km² |
| 해발 고도 | 203m |
| 시간대 | 동유럽 표준시(EET) |
| 여름 시간대 | 동유럽 하계시(EEST) |
| 우편 번호 | 6300 |
| 지역 번호 | 038 |
| 차량 번호 | X |
| 인구 (2023년) | 64,564명 |
| 도시 인구 | 83,682명 |
| 웹사이트 | https://web.archive.org/web/20121213080413/http://www.haskovo.bg/en/%7C하스코보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
2. 역사
하스코보는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대인 9세기에 요새가 건설되면서 도시로 발전했다. 이 도시는 클로코트니차, 하르만리이스카, 마리차강 사이에 위치하여 중요한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1395년에는 발칸 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 중 하나인 에스키 모스크(에스키 자미)가 건설되었으며, 이 모스크의 미나레트는 기울어져 있다.
1782년 당시 이 마을은 마르사(Marsa)라고 불렸다. 이후 "하스쿄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는데, 이는 아랍어로 소유지를 의미하는 'has'와 튀르키예어(터키어)로 마을을 의미하는 'köytr'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으로는 'has'가 터키어로 "청정"을 의미한다는 설도 있으며, 불가리아 민족 부흥 시대에 이 마을이 "청정한 마을"로 불렸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후 터키어 'köytr'는 불가리아어 (슬라브어 방언) 지명 접미어 '-ovo'로 대체되어 현재의 "하스코보"라는 이름이 되었다.
19세기에는 많은 불가리아인들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에디르네, 에노스(Enos), 이스탄불로 이어지는 교역로의 중심지로 면제품, 견사, 카펫 산지로 명성을 얻었다.
1878년 불가리아 해방 이후 하스코보는 품질 좋은 담배 산지로 유명해졌으나, 주요 담배 생산 회사였던 BT 하스코보가 폐쇄되면서 현재는 담배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다. 오늘날에는 식품, 기계, 섬유 생산이 주요 산업이다.
남극 대륙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 그리니치 섬의 하스코보 만(Haskovo Cove)은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1. 고대와 중세
선사 시대, 트라키아, 그리스, 로마, 비잔틴 시대에 걸쳐 오랜 역사를 증명하는 유물들이 하스코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하스코보 지역에 약 7천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고 추정한다.9세기 제1차 불가리아 제국 시대에 하스코보에 요새가 건설되었고, 곧 도시로 발전했다. 이 도시는 클로코트니차( Клокотница / ''Klokotnitsa''bg ), 하르만리이스카 강(Харманлийскаbg / ''Harmanliyska''), 마리차강(Марица / ''Maritsa''bg) 사이에 위치하여 중요한 지역 중심지 역할을 했다.
2. 2. 오스만 제국 시대
1361년 에디르네 정복 직후, 하스코보와 그 주변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2] 당시 하스쾨이(Hasköy)는 메흐메트 2세 시대에 약 750명이 거주했으며, 12개의 구역으로 나뉜 150가구의 무슬림으로 구성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 대부분 동안 이 마을은 주로 농업적인 특징을 띠었고, 수공업이 발달하여 안장 제작, 무두질, 제화, 모피, 비누, 양초 제작 등의 장인들이 하스쾨이에 정착했다.[2] 1515년에는 인구가 274가구 1400명으로 증가했고, 1530년에는 마을에 금요 모스크(자미) 1개와 소규모 모스크 6개가 있었다고 기록되었다.1592년 오스만 제국의 대재상 시난 파샤는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대상 숙소 2개, 목욕탕 2개, 상점, 모스크 및 구빈원을 건설하도록 지시했다.[2]
19세기에 하스쾨이는 시장과 박람회를 통해 필리베 산자크 (구)의 중요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동시에 점점 더 많은 불가리아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이 마을에 정착하게 되었다. 1870년대 하스쾨이는 불가리아 민족 부흥 운동과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 혁명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이후 이 마을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사실상 종료되었다.
2. 3. 현대
1878년부터 1885년까지 동루멜리아에 속했다가, 이후 190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선언한 불가리아 공국에 편입되었다. 불가리아 독립 이후 하스코보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1878년 오스만 통치로부터 해방된 후, 하스코보 지역은 고품질 담배 생산으로 유명해졌다. 하지만, 한때 큰 규모였던 담배 회사 "하스코보-BT"가 2005년에 폐쇄된 이후, 현재 이 지역에는 담배 생산 시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4] 현재는 식품, 기계, 섬유 산업이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3. 지리
하스코보는 쾨펜 기후 구분으로는 온대 기후(Cfa), 트리워타 기후 구분으로는 (Do)에 속하며, 대륙성 기후에 근접해 있다.
3. 1. 기후
하스코보는 온대 기후(쾨펜: Cfa, 트리워타: Do)에 속하며, 대륙성 기후에 근접해 있다. 겨울은 춥지만, 불가리아 서부와 북부 지역만큼 눈이 많이 오지는 않는다. 여름은 덥고 늦여름은 다소 건조하다. 연평균 기온은 약 13°C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최고 기온 (°C) | 6.1°C | 8.3°C | 14.1°C | 19.2°C | 24.8°C | 28.1°C | 31.8°C | 32.1°C | 27°C | 20.1°C | 13.1°C | 7.3°C | 19°C |
| 평균 최저 기온 (°C) | -1.1°C | -0.4°C | 2.8°C | 7.6°C | 13.1°C | 16.3°C | 18.6°C | 18.8°C | 14.2°C | 9.6°C | 4.5°C | 0°C | 8.7°C |
| 평균 강수량 (mm) | 41.9mm | 34.7mm | 56.5mm | 42.8mm | 54.6mm | 28.5mm | 31.3mm | 21.7mm | 23.6mm | 24.4mm | 39.8mm | 43.1mm | - |
| 평균 일조 시간 | 102 | 124 | 173 | 216 | 270 | 302 | 336 | 325 | 241 | 172 | 127 | 92 | 2480 |
4. 인구
1887년 하스코보의 인구는 14,191명이었다.[5] 이후 시골 지역과 주변 작은 마을에서 이주해온 사람들로 인해 인구가 10년마다 증가하기 시작했다. 1987년부터 1991년까지 인구가 9만 명을 넘어 정점을 찍었다.[6] 2017년 12월, 하스코보 시 경계 내 인구는 71,214명이었고, 법적으로 관련된 인근 마을을 포함한 하스코보 시의 인구는 87,780명이었다.[9]
| 연도 | 1887 | 1910 | 1934 | 1946 | 1956 | 1965 | 1975 | 1985 | 1992 | 2001 | 2011 | 2021 |
|---|---|---|---|---|---|---|---|---|---|---|---|---|
| 인구 | 14,191 | 15,067 | 26,516 | 27,435 | 38,812 | 57,681 | 75,136 | 87,763 | 80,700 | 80,303 | 76,397 | 65,829 |
4. 1. 민족 및 종교 구성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들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0][11]| 민족 | 인구 | 비율 |
|---|---|---|
| 불가리아인 | 54,869명 | 79.3% |
| 튀르크인 | 12,507명 | 18.1% |
| 로마인 | 691명 | 1.0% |
| 기타 | 400명 | 0.8% |
| 불분명 | 709명 | 0.7% |
| 미신고 | 7,221명 | 9.5% |
| 총계 | 76,397명 | 100% |
하스코보주에 거주하는 튀르크인(12.5%) 대부분은 하스코보 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불가리아인은 도시보다 주에서 더 높은 비율(79.4%)을 차지한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동방 정교회 신자는 약 80%인 반면, 이슬람교 신자는 약 20%이다.
5. 문화
하스코보의 주요 문화 시설로는 이반 디모프 드라마 극장, 역사 박물관, 미술관 등이 있다. 이반 디모프 드라마 극장은 1921년 개관하여 2004년에 개조되었으며, 불가리아의 유명 배우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매년 케나나 공원에서는 컬러풀 트라키아 민속 축제가 열린다.[1]
2003년 하스코보 인근 청소년 언덕에는 32미터 높이의 성모 마리아 기념비가 세워졌다.[1] 이 기념비는 성모 마리아 탄생을 기념하여 9월 8일에 제막되었으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모 마리아 기념비로 등재되었다.[1]
최근 하스코보 시내 중심가는 개조를 통해 다양한 조각상과 분수가 설치되어 현대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1]
5. 1. 주요 건축물
6. 경제
하스코보 시의 경제 구조는 다양하며, 다양한 규모의 불가리아 및 국제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업은 자사 제품을 국내외 시장에 판매한다.
시의 미래 발전은 농업 분야의 자연 및 기후 조건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유망한 시장 지향적 농업 생산 개발, 농업 컨설팅 센터 설립 등이 추진될 것이다. 이 지역의 역사적 특징과 풍부한 문화는 잘 발달된 교통 및 관광 인프라와 결합되어 관광 발전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한다. 영국, 오스트리아, 프랑스, 그리스, 튀르키예,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미국, 러시아, 세르비아, 벨라루스 등과 시가 맺은 파트너십 관계 또한 이 부분에 가치 있는 기여를 한다.
7. 자매 도시
하스코보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2]
8. 주요 인물
- 타네 니콜로프 (1873–1947):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의 혁명가[1]
- 아센 즐라타로프 (1885–1936): 과학자[2]
- 아뉴 앙겔로프 (1942년생): 불가리아 국방부 국방부 장관 대행[3]
- 스타니미르 스토일로프 (1967년생): 축구 선수 및 축구 감독[4]
- 그리고르 디미트로프 (1991년생): 테니스 선수; 2008년 윔블던 및 US 오픈 주니어 챔피언[5]
- 게오르기 안드레예프 (1969년생): 국립 민속 앙상블 "필리프 쿠테프"의 감독[6]
- 치굴리 (1957–2014): 터키계 로마니족 가수이자 음악가[7]
- 유리 유나코프 (1958년생): 로마 음악가[8]
- [https://visithaskovo.com/en/asparuh-leshnikov-ari/ 아스파루 레시니코프] – 아리 (1897–1978): 음악가[9]
- 아센 바실레프 (1977년생): 재무부 재무부 장관 대행[10]
- 가브리엘라 스토에바 (1994년생): 배드민턴 선수, 3회 유럽 배드민턴 선수권 대회 유럽 챔피언이자 유럽 게임 금메달리스트[11]
9. 기타
남극 대륙, 사우스 셰틀랜드 제도, 그리니치 섬의 하스코보 만(Haskovo Cove)은 이 도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области, общини, местоживеен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024-01-03
[2]
간행물
Hasköy (TDV İslâm Ansiklopedisi)
https://islamansiklo[...]
1997
[3]
웹사이트
Turkey in Europe
http://www.davidrums[...]
1832
[4]
웹사이트
HighBeam
https://web.archive.[...]
[5]
간행물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http://www.geography[...]
[6]
웹사이트
National Statistical Institute - Towns population 1956-1992
http://statlib.nsi.b[...]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geography[...]
2010-02-14
[8]
웹사이트
Cities of Bulgaria
http://pop-stat.mash[...]
2024-04-03
[9]
웹사이트
Cities
http://www.nsi.bg/en[...]
[10]
웹사이트
Population by age
http://www.nsi.bg/OR[...]
[11]
웹사이트
Population by ethnos
http://www.nsi.bg/OR[...]
[12]
웹사이트
Побратимени градове
https://www.haskovo.[...]
Haskovo
2021-04-29
[13]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по области, общини, местоживеене и пол | Национален статистически институт
https://nsi.bg/bg/co[...]
2024-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