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인리히 쉬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인리히 쉬츠는 1585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로, 초기 바로크 음악의 중요한 인물이다. 그는 베네치아에서 조반니 가브리엘리에게 사사받았으며, 드레스덴 궁정 악장으로 활동하며 교회 음악과 세속 음악을 작곡했다. 30년 전쟁 중에는 작품 활동에 제약이 있었지만, 전쟁 후 다시 대규모 작품을 썼으며, 만년에는 수난곡을 작곡했다. 쉬츠는 독일 바로크 음악의 기초를 다졌으며, 북독일 오르간 악파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다윗의 시편》, 《칸티오네스 사크레》, 《크리스마스 이야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회 음악가 - 카를로 제수알도
카를로 제수알도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이자 작곡가로, 아내 살해 사건으로 유명하며 반음계적 화성과 격정적인 감정 표현이 특징인 마드리갈을 작곡했다. - 교회 음악가 -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작곡가로, 나폴리에서 오페라,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 다양한 성악 작품을 남겼으며, 다카포 아리아 형식 발전과 이탈리아 서곡 형식 확립에 기여하며 17세기와 18세기 이탈리아 음악 양식의 중요한 연결 고리를 형성했다. - 독일의 클래식 오르간 연주자 - 펠릭스 멘델스존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독일에서 태어난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며,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다양한 작품을 남겼고, 바흐의 음악 부활에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 독일의 클래식 오르간 연주자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뛰어난 대위법 기법과 독창적인 화성으로 서양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10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긴 거장이다. - 1672년 사망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1672년 사망 - 이와키 노부타카
이와키 노부타카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사타케 가문에서 쿠보타 번의 중신으로 활약하다 카메다 번주가 되었고 번정의 기초를 다진 후 은거했다.
하인리히 쉬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하인리히 쉬츠 (Heinrich Schütz) |
출생일 | 1585년 10월 18일 (구력 10월 8일) |
출생지 | 쾨스트리츠 |
사망일 | 1672년 11월 6일 |
사망지 | 드레스덴 |
서명 | 쉬츠 서명 |
직업 | |
직업 | 바로크 음악 작곡가, 오르간 연주자 |
장르 | 바로크 음악 |
작품 목록 | |
작품 목록 | 작품 목록 |
2. 생애
하인리히 쉬츠는 독일 초기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로, 요한 헤르만 셰인, 사무엘 샤이트와 더불어 "3S"로 불린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보다 100년 앞서 태어나 독일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독일 음악의 아버지"로 평가받는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585-1615)

쉬츠는 1585년 독일 중부 튀링겐 주 바트 쾨스트리츠에서 여관을 운영하던 크리스토프 쉬츠와 유프로시네 비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9] 1590년 가족은 바이센펠스로 이사했고, 아버지는 그곳에서 여관을 운영하며 나중에는 시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1598년 바이센펠스의 여관에 머물던 헤센-카셀의 모리츠 방백이 어린 쉬츠의 음악적 재능을 발견했다. 방백의 권유와 부모의 동의 하에, 쉬츠는 1599년 카셀로 가서 방백의 후원 아래 교회 학교 가수로 활동하며 김나지움에서 교육받았다.
1607년부터는 마르부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는 동시에 오르간 연주와 작곡 공부도 병행했다. 이후 방백의 장학금을 받아 1609년 이탈리아 베네치아로 유학을 떠나, 산 마르코 대성당의 오르가니스트였던 조반니 가브리엘리에게 1612년까지 음악을 배웠다. 가브리엘리는 쉬츠가 평생 '스승'이라 부른 유일한 인물이었으며, 임종 직전 쉬츠에게 자신의 반지를 물려주었다. 유학 중이던 1611년 쉬츠는 첫 작품집인 《Il primo libro de madrigali|일 프리모 리브로 데 마드리갈리ita》(마드리갈집 제1권, SWV 1-19)을 출판했다.
스승 가브리엘리가 1612년 사망한 후, 쉬츠는 1613년 독일로 돌아와 방백 모리츠의 배려로 카셀 궁정의 제2 오르가니스트로 1615년까지 활동했다.
쉬츠(Schütz)는 독일어로 궁수자리를 의미하기 때문에, 라틴어식 별명인 '사기타리우스'(Sagittarius)로 불리기도 했다.[9] 그는 출판된 악보에 라틴어식 이름 '''Henricus Sagittarius'''를 사용했으며, 서명 시에도 라틴어를 의식하여 이름 하인리히(Heinrich)를 '헨리히'(Henrich)로 표기하곤 했다.
2. 2. 드레스덴 궁정 악장 시절 (1615-1672)
1615년, 방백과 선제후 간의 오랜 협상 끝에 쉬츠는 작센 선제후 궁정 작곡가로 일하기 위해 드레스덴으로 이주했다.[3] 그는 드레스덴 궁정 악단(현재의 작센 국립 오케스트라 드레스덴)의 지휘를 맡게 되었는데, 이 악단은 훗날 작센 국립 오케스트라 드레스덴의 기초가 되었다.[3] 당시 악장 로기에르 미히엘(Rogier Michael)이 병환 중이었고 미하엘 프레토리우스가 대행했기에 처음에는 프레토리우스와 함께 지휘했으나,[3] 1617년 정식 궁정 악장(카펠마이스터)으로 임명되었고,[3] 1621년 프레토리우스가 사망한 후 167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악장 자리를 지켰다.[3]1619년 쉬츠는 마그달레나 빌데크(Magdalena Wildeck, 1601년생)와 결혼했다.[3] 같은 해 그는 다윗 시편 가집(Psalmen Davidsde)을 출판하여 헤센-카셀 방백 모리츠에게 헌정했다.[3] 쉬츠 부부는 1621년 안나 유스티나(Anna Justina), 1623년 유프로시네(Euphrosyne) 두 딸을 낳았으나, 부인 마그달레나는 1625년 세상을 떠났다.[3]
드레스덴 궁정 악장으로서 쉬츠는 합창단과 기악 연주자들로 구성된 궁정 악단을 감독했으며, 때로는 정치적 판단까지 포함하여 궁정 음악 전반에 대한 책임을 졌다.[3] 그는 교회 음악과 세속 음악 모두를 다루었으나, 징슈필이나 발레와 같은 극장용 세속 음악은 대부분 악보가 소실되고 대본만 남아있다.[3]
1618년 시작된 30년 전쟁은 쉬츠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쟁으로 인한 황폐화 속에서 그의 드레스덴 작곡은 이전보다 규모가 작아질 수밖에 없었지만, 이 시기에도 매력적인 작품들이 탄생했다.[3] 1620년대 후반부터 전황이 악화되면서 악장으로서의 정상적인 활동은 어려워졌고, 이후 상당 기간 흩어진 악단을 재건하는 데 힘써야 했다.[3]
전쟁 중에도 쉬츠는 여러 차례 드레스덴을 떠났다. 1628년에는 다시 베네치아를 방문하여 클라우디오 몬테베르디를 만났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 1633년에는 덴마크 코펜하겐의 왕실 결혼식 음악 작곡을 위해 초청받았으며, 1635년 드레스덴으로 돌아왔다.[3] 선제후 궁정의 어려운 사정으로 인해 1641년에도 다시 덴마크를 장기간 방문했다.[3]
1648년 30년 전쟁이 종결된 후, 쉬츠는 다시 드레스덴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대규모 작품들을 작곡했다.[3] 특히 1660년대에는 바흐 이전 시대의 가장 중요한 수난곡들을 작곡했다.[3][10]
1655년 딸 유프로시네가 세상을 떠났으며, 같은 해 쉬츠는 볼펜뷔텔의 카펠마이스터 직을 겸임하기도 했다.[3]

말년에 쉬츠는 은퇴를 원하여 누이가 있는 바이센펠스로 돌아가기도 했으나(이 집은 현재 하인리히 쉬츠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선제후 궁정의 요청으로 종종 드레스덴으로 돌아와야 했다.[3] 1672년 드레스덴에서 뇌졸중으로 8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6][11] 그는 옛 드레스덴 프라우엔교회에 묻혔으나, 그의 묘는 1727년 새로운 드레스덴 프라우엔교회를 건축하면서 파괴되었다.[3]
쉬츠는 당대 중요한 음악 교육자였으며, 그의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4][5]
- 하인리히 알베르트
- 크리스토프 베른하르트
- 안톤 콜란더
- 콘스탄틴 크리스티안 데데킨트
- 카를로 파리나
- 요한 빌헬름 푸르크하임
- 요한 카스파 호른
- 카스파 키텔
- 크리스토프 키텔
- 요한 클렘
- 아담 크리거
- 요한 야콥 뢰베
- 요한 나우바흐
- 다비트 폴레
- 필립 스톨레
- 요한 타일레
- 클레멘스 티메
- 요한 피어단크
- 마티아스 베크만
- 프리드리히 베르너
- 프리드리히 폰 베스토프
3. 음악적 특징
쉬츠의 작품은 스승 가브리엘리와 몬테베르디 등 이탈리아 음악, 특히 다중창과 콘체르타토 양식의 영향을 강하게 보여준다. 그의 "Es steh Gott auf"(SWV 356)는 여러 면에서 몬테베르디와 비교되기도 한다.[7] 또한 16세기 네덜란드 작곡가들의 영향도 나타난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대부분 종교적인 것으로, 기악 반주가 있는 독창곡부터 아 카펠라 합창 음악까지 다양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Psalmen Davids''(다윗의 시편, 작품 2), ''Cantiones sacrae''(칸티오네스 사크레, 작품 4), 세 권의 ''심포니아에 사크레'', ''Die sieben Worte Jesu Christi am Kreuz''(십자가 위의 예수 그리스도의 일곱 말씀), 세 개의 수난곡, ''크리스마스 스토리'', 그리고 귀족 친구 하인리히 포스투무스 로이스를 위해 작곡된 장례 음악 ''Musikalische Exequien''(1636) 등이 있다. 이 장례 음악은 독일 최초의 레퀴엠으로 간주되며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쉬츠의 음악 스타일은 경력 초기에 가장 진보적인 면모를 보였으나, 점차 단순하고 엄격해지는 경향을 보이며 후기 수난곡 작품에서 절정에 달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30년 전쟁으로 독일의 음악 기반 시설이 파괴되어 베네치아 스타일의 대규모 작품 연주가 어려워진 실용적인 이유도 작용했다.
음악적으로 쉬츠는 선법 스타일로 작곡한 마지막 세대의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의 화성은 대위법적인 성부 진행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현대적인 의미의 화성 진행과는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종지 부분에서는 강한 조성적인 긴장감을 보여주기도 한다. 모방 기법을 즐겨 사용했지만, 후속 성부가 일정한 박자 간격이나 예측 가능한 음정으로 등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동시대 작곡가인 요한 헤르만 샤인이나 사무엘 샤이트의 규칙적인 모방과는 대조를 이룬다. 개별 성부의 독립적인 움직임과 대위법적 결합은 때때로 강렬한 불협화음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무엇보다 쉬츠의 음악은 가사의 억양과 의미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이를 표현하기 위해 ''musica poetica''에서 유래한 기법들을 사용했는데, 이는 고전 수사학의 표현 방식과 유사하다. 쉬츠는 라틴어와 독일어 스타일 모두에 능숙했으며, 후기 작품으로 갈수록 그의 스타일은 더욱 간결해졌다.
초기 마드리갈 모음집을 제외하면 쉬츠의 세속 음악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몇몇 가정용 노래(''아리엔'')나 기념 작품(예: ''Wie wenn der Adler sich aus seiner Klippe schwingt''(SWV 434)) 외에는 순수한 기악곡은 전무하며, 이는 그가 당대 최고의 오르간 연주자 중 한 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이다. 다만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중 대화를 연결하는 짧은 기악 악장인 "신포니아" 정도가 예외이다.
쉬츠는 이탈리아의 새로운 음악 양식, 특히 베네치아 악파의 복합창 양식, 콘체르토 양식, 통주 저음 기법을 독일에 도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이후 독일 음악, 특히 북독일 오르간 악파의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스벨링크와 함께 시작되어 한 세기 후 J.S. 바흐의 음악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바흐 이후에는 브람스와 안톤 베베른이 쉬츠의 작품을 연구하며 영향을 받았다.
쉬츠는 독일 초기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가장 중요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요한 헤르만 샤인, 사무엘 샤이트와 함께 "3S"로 불리기도 하며, 바흐보다 100년 앞서 태어나 독일 음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은 인물로서 "독일 음악의 아버지"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는 젊은 시절 이탈리아 초기 마드리갈 양식을 익혀 독일어 종교 가사에 음악을 붙였고, 만년의 수난곡에서는 독일 전통의 성서 이야기 음악 형식에 이탈리아 오라토리오 형식을 결합하는 독창성을 보여주었다. 그의 업적은 종교 전쟁이라는 어려운 시기를 거치며 독일 바로크 음악의 기초를 다졌다는 점에서 중요하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제대로 평가받기 시작했다.
독일어로 "쉬츠"가 궁수자리를 의미하기 때문에 라틴어 이름인 "사기타리우스"(Sagittarius)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9] 출판된 악보에는 라틴어식 이름 "헨리쿠스 사기타리우스" ('''Henricus Sagittarius''') 를 사용했으며, 서명 시에도 라틴어를 의식하여 'Heinrich' 대신 'Henrich'라고 표기하기도 했다.
4. 주요 작품
하인리히 쉬츠의 500곡이 넘는 개별 작품이 현재까지 남아 있다. 그의 주요 작품들은 여러 곡을 묶어 출판되었으며,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이나 마태, 루가, 요한에 따른 수난곡과 같은 주요 단일 작품들도 출판되었다. 쉬츠의 전체 작품 목록은 하인리히 쉬츠의 작품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번호인 SWV는 베르너 비팅거(Werner Bittinger)가 정리한 쉬츠 작품 목록(SWV)의 번호이다.
다음은 주요 출판 작품 목록이다.
출판 연도 | 작품 번호 (SWV) | 작품명 | 출판 장소 | 비고 |
---|---|---|---|---|
1611년 | 1–19 | Il primo libro de Madrigali (마드리갈 제1집) | 베네치아 | 작품 1 |
1619년 | 22–47 | 다비드의 시편 (제1권) | 드레스덴 | 작품 2 |
1623년 | 50 | Historia der ... Auferstehung ...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 이야기) | 드레스덴 | 작품 3 |
1625년 | 53–93 | Cantiones sacrae (신성 칸타타) | 프라이베르크 | 작품 4 |
1628년 | 97–256 | 베커 시편 (다윗 시편 가집) | 프라이베르크 | 작품 5 (1661년 개정) [14] |
1629년 | 257–276 | Symphoniae sacrae I (신성 교향곡 제1집) | 베네치아 | 작품 6 |
1636년 | 279–281 | 무지칼리셰 엑세퀴엔 (음악 장례식) | 드레스덴 | 작품 7 |
1636년 | 282–305 | Kleine geistliche Konzerte I (소 종교 협주곡 제1집) | 라이프치히 | 작품 8 [15] |
1639년 | 306–337 | Kleine geistliche Konzerte II (소 종교 협주곡 제2집) | 라이프치히 | 작품 9 [16][17] |
1645년경 | 478 | Die sieben Worte Jesu Christi am Kreuz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 오라토리오 | |
1647년 | 341–367 | Symphoniae sacrae II (신성 교향곡 제2집) | 드레스덴 | 작품 10 |
1648년 | 369–397 | Geistliche Chor-Music (종교적 합창 음악, 29곡의 모테트) | 드레스덴 | 작품 11 [18] |
1650년 | 398–418 | Symphoniae sacrae III (신성 교향곡 제3집) | 드레스덴 | 작품 12 |
1653년경 | 480 | 루카 수난곡 (성 루카에 따른 수난곡) | ||
1657년 | 420–431 | Zwölf geistliche Gesänge (12개의 종교적 노래) | 드레스덴 | 작품 13 |
1664년 | 435 | Historia der ... Geburt ... Jesu Christi (크리스마스 이야기) | 드레스덴 | |
1665년 | 481 | Johannes-Passion (성 요한에 따른 수난곡) | 드레스덴 | 1666년 출판 |
1666년 | 479 | Matthäus-Passion (성 마태에 따른 수난곡) | 드레스덴 | |
1671년 | 482–494 | Königs und Propheten 119er Psalm ... (시편 119편, 시편 100편, 독일 마니피카트: Der Schwanengesang, "백조의 노래") | 드레스덴 | 작품 최종본 (Opus ultimum), 1672년 출판 |
쉬츠는 1627년에 독일 최초의 오페라인 《다프네》(Daphne)를 작곡했으나, 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현재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
5. 유산 및 영향
쉬츠는 독일 초기 바로크 음악의 가장 중요한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젊은 시절 오르가니스트로 훈련받았으나, 점차 이탈리아 초기 마드리갈 양식을 독일어 종교 가사와 결합하여 궁정 예배를 위한 성악곡을 작곡하는 데 집중했다. 또한 궁정의 오락과 여흥을 위한 음악도 만들었다. 그의 만년 작품인 수난곡은 독일 고유의 성서 이야기 음악 형식에 이탈리아 오라토리오 양식을 접목한 특징을 보인다.
그는 베네치아 악파의 복합창 양식, 콘체르토 양식, 통주 저음 기법 등을 독일에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종교 전쟁 시대를 살았던 경험은 그의 음악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결과적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로 이어지는 독일 바로크 음악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이러한 업적은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한편, 소행성 (4134) 슈츠는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9]
참조
[1]
서적
A Heinrich Schütz Reader: Letters and Documents in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Schütz, Heinrich
http://www.oxfordmus[...]
Oxford University Press
2013-10-08
[3]
웹사이트
Heinrich Schütz
http://www.allmusic.[...]
2016-02-08
[4]
서적
Greene's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composers
[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Lutheran Church
Lutheran World Federation
[6]
웹사이트
Heinrich Schütz 1585–1672
http://www.schuetzge[...]
Internationale Heinrich-Schütz-Gesellschaft e. V.
2017-08-10
[7]
웹사이트
Gerald Drebes - 2 Aufsätze online: Monteverdi und H. Schütz
http://www.gerald-dr[...]
2017-07-30
[8]
문서
[9]
간행물
Sagittarius: Beiträge zur Erforschung und Praxis alter und neuer Kirchenmusik (サギタリウス:古典教会音楽と新しい教会音楽の研究と実践への貢献)
베ー렌라이터出版社
[10]
웹사이트
Heinrich Schütz
https://www.allmusic[...]
2016-02-08
[11]
웹사이트
Heinrich Schütz 1585-1672
http://www.schuetzge[...]
Internationale Heinrich-Schütz-Gesellschaft e. V.
2017-08-10
[12]
웹사이트
Psalmen Davids 4 Mus.pr. 2680
http://stimmbuecher.[...]
바이엘른州立圖書館의 樂譜アーカイブ
2017-08-12
[13]
웹사이트
Musicalia ad Chorum Sacrum (Geistliche Chor-Music)
http://stimmbuecher.[...]
바이엘른州立圖書館의 樂譜アーカイブ
2017-08-12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웹사이트
(4134) Schutz = 1961 CR = 1961 EG = 1979 HK5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3
[20]
서적
Heinrich Schütz: sein Leben, sein Werk, seine Zeit
Piper
[21]
서적
HEINRICH SCHÜTZ und KÖSTRITZ: zur Rezeption des Komponisten in seinem Geburtsort
Bucha bei Jena : Quartus-Verlag
[22]
간행물
Schütz - Jahrbuch
Bärenreiter
[23]
웹사이트
쉬츠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