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단군은 중국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때 처음 설치되었다. 이후 전한 시기에는 조나라의 수도였으며,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조국, 조군, 조주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한단군은 여러 차례 폐지 및 재설치를 반복하며, 수나라 때 조주로 통합되었다가 당나라 때 조군으로 개칭되었지만, 결국 조주로 변경되어 사라졌다.
진(秦)나라 때 한단군(邯鄲郡)이 설치되었다.
'속현'은 한단군의 하위 행정 구역을 가리킨다.
2. 역사
기원전 203년(고제 4년), 장이가 조왕(趙王)이 되어 한단군, 거록군(鉅鹿郡), 상산군(常山郡)을 관할하는 '''조국(趙國)'''이 설치되었다[1]. 이후 조국의 왕과 관할 지역은 여러 차례 변경되었다.시기 왕 사건 관할 지역 변화 기원전 198년(고제 9년) 유여의 조국이 대국(代國)을 겸병 기원전 194년(혜제 원년) 유우 유여의가 여후의 명으로 독살 기원전 181년(여후 7년) 유회 유우가 자살, 유회가 조왕 즉위 후 자살, 여록이 조왕 즉위 기원전 180년(여후 8년) 여후 사망, 문제 즉위 후 여록 살해, 조국 폐지 기원전 179년(문제 원년) 유수(劉遂) 조국 재설치 기원전 178년(문제 2년) 유벽강이 하간왕(河間王)이 되어 하간국(河間國) 분할 기원전 154년(경제 3년) 오초칠국의 난 진압 후 조국 폐지, 한단군, 거록군, 청하군(清河郡), 상산군, 중산국 설치 기원전 152년(경제 5년) 유팽조 한단군 북부에 조국 설치
전한의 조국은 기주(冀州)에 속했고, 한단, 역양, 백인, 양국의 4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환정군(桓亭郡)으로 개칭되었다[6].
29년(건무 5년), 광양왕 유량이 조왕이 되어 다시 조국이 설치되었다[7]. 후한의 조국은 한단, 역양, 백인, 양국, 중구의 5현을 관할했다[8]. 213년(건안 18년), 조왕 유규가 박릉왕(博陵王)이 되면서 조국은 폐지되고 조군(趙郡)이 세워졌다[9].
232년(태화 6년), 거록왕 조간이 조왕이 되어 조국이 세워졌다[10].
277년(함녕 3년), 사마륜이 조왕이 되어 조국이 세워졌다[11]. 진의 조국은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백인, 중구, 평향, 하곡양, 교의 9현을 관할했다[12].
북위 때, 조군은 은주에 속했고,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난성의 5현을 관할했다[13]. 북제 때, 은주는 조주로 개칭되었고, 조군은 조주에 속했다.
583년(개황 3년), 수가 군제를 폐지하면서 조군은 폐지되어 조주에 편입되었다. 596년(개황 16년), 란주가 설치되었다. 605년(대업 원년), 조주에 통합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면서 조주는 조군으로 개칭되었다. 조군은 평극, 고읍, 찬황, 원씨, 응도, 난성, 대륙, 백향, 방자, 고성의 11현을 관할했다[14].
618년(무덕 원년), 장지앙이 당에 항복하면서 조군은 조주로 개명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조주는 조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조군은 조주로 개칭되어 조군의 호칭은 사라졌다[15].
3. 속현
기원전 228년,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망시키고 한단을 중심으로 한단군을 설치했다. 문헌과 출토자료에는 조군, 한단군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제나라 임치를 중심으로 한 임치군의 처음 이름이 제군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한단군 역시 처음에는 조군으로 불렸을 가능성이 있다.
기원전 203년 한고제 4년, 장이가 조왕(趙王)이 되면서 한단군, 거록군(鉅鹿郡), 상산군(常山郡)을 관할하는 조국(趙國)이 설치되었다. 이후 조국은 여러 차례 왕이 바뀌고 폐지, 재설치를 반복했다. 기원전 154년 경제 3년, 오초칠국의 난 진압 후 조국은 폐지되고 한단군, 거록군, 청하군(清河郡), 상산군, 중산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2년 유팽조가 조왕이 되면서 한단군 북부에 다시 조국이 설치되었다.
전한의 조국은 기주(冀州)에 속했고, 한단, 역양, 백인, 양국 4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환정군(桓亭郡)으로 개칭되었다.[6] 원시 2년(2년) 기준 인구는 84,202호, 349,952명이었다.[17]
29년(건무 5년), 유량이 조왕이 되면서 조국이 재설치되었다.[7] 후한 조국은 한단, 역양, 백인, 양국, 중구 5현을 관할했다.[8] 213년(건안 18년), 조국은 폐지되고 조군(趙郡)이 설치되었다.[9]
232년(조예 태화 6년) 조간이 조왕이 되면서 조국이 설치되었다.[10] 277년(함녕 3년), 사마륜이 조왕이 되면서 조국이 설치되었다.[11] 진의 조국은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백인, 중구, 평향, 하곡양, 교 9개 현을 관할했다.[12]
북위 때 조군은 은주에 속했고,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난성 5현을 관할했다.[13]
596년(수문제 개황 16년) 난주(欒州)로 설치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조주(趙州)로 변경되었다.
3. 1. 진 (기원전 228년 설치)
기원전 228년, 진나라가 조나라를 멸하고 조나라의 서울 한단을 중심으로 설치했다. 명칭은 문헌자료나 출토자료나 모두 조군, 한단군으로 부르며, 제나라의 서울 임치를 중심으로 하는 임치군의 첫 이름이 제군임을 고려하면 이 군도 첫 이름이 조군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치소는 한단현이다.[16] 다음은 전래문헌과 출토자료에서 확인되는 현 목록으로, 출토자료가 확인된 경우에는 출토자료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문헌자료를 제시했다.[16]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근거 한단 邯鄲 한단시 대북성고성(大北城古城) 진나라 봉니 한단지승(邯鄲之丞) 등 백인 柏人 허베이성 룽야오현 경내 1984년 허베이성 린청현 동 백창고성(柏暢古城)유지에서 출토된 진나라 병기 “백인”과에 새겨진 “백인”(柏人) 등 무안 武安 허베이성 우안시 고진고성(古镇古城) 전세 진나라 병기 “무안”(武安)과 등 호 鄗 허베이성 바이샹현 북 20리 상가항에서 출토된 진나라 봉니 “호승지인”(鄗丞之印) 등 역양 易陽 허베이성 융녠 구 허베이 융녠현 시가장(施家庄)에서 출토된 진나라 도문에 “역정”(易亭) 신도 信都 허베이성 싱타이시 허베이 린청현 동 백창고성유지에서 출토된 조나라 병기 “이년형령”과 명문에 “이년형령[二年型(邢)命(令)]…(후략)" 등 업 鄴 허베이성 린장현 업북성(鄴北城) 전세 전국 위나라 병기 삽이년업령과 명문에 “삽이년업령적[卅二年業命(令)狄…(후략)” 등 광평 廣平 허베이성 취저우현 북 전세 진나라 대 관인(官印) “광평군인”(廣平君印) 등 음안 陰安 허난성 칭펑·난러 사이 전국 위나라 교형포(橋形布) “음안”[(阜+金)安)”포 위 魏 허베이성 다밍현 남동 운몽 수호지진간 “15년공위”(十五年攻魏) 무시 武始 허베이성 한단시 남서 펑펑 광구 《사기·진본기》에 “소양왕 13년, 상수가 한나라를 쳐 무시를 취하다.” 등
3. 2. 전한 (기원전 203년 ~ 8년)
기원전 203년(고제 4년), 장이가 조왕(趙王)이 되면서 한단군, 거록군(鉅鹿郡), 상산군(常山郡)을 관할하는 '''조국(趙國)'''이 설치되었다.[1] 기원전 198년(고제 9년)에는 대왕 유여의가 조왕이 되어 조국이 대국(代國)을 겸영했다. 기원전 194년(혜제 원년), 조왕 유여의가 여후의 명으로 독살당하고, 회양왕(淮陽王) 유우가 조왕이 되었다.[2] 기원전 181년(여후 7년), 조왕 유우가 자살하자, 양왕 유회가 조왕이 되었다. 같은 해, 유회가 자살하자, 여록이 조왕이 되었다. 기원전 180년(여후 8년), 여후가 사망하고, 문제가 즉위하자, 여록은 살해당하고 조국은 폐지되었다.[3]
기원전 179년(문제 원년), 유우의 아들 유수(劉遂)가 조왕이 되어 조국이 다시 세워졌다. 기원전 178년(문제 2년), 유수의 동생 유벽강이 하간왕(河間王)이 되어, 하간국(河間國)이 분할되었다.[4] 기원전 154년(경제 3년), 오초칠국의 난이 진압되자, 조국은 폐지되고, 한단군, 거록군, 청하군(清河郡), 상산군, 중산국이 설치되었다. 기원전 152년(경제 5년), 경제의 아들 광천왕(廣川王) 유팽조가 조왕이 되어, 한단군 북부에 조국이 설치되었다.[5]
전한의 조국은 기주(冀州)에 속했고, 한단, 역양, 백인, 양국의 4현을 관할했다. 왕망 때, 환정군(桓亭郡)으로 개칭되었다.[6]
기주자사부에 속했다.[17]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84,202호, 349,952명이 있었다. 아래의 속현 목록은 《한서》지리지의 내용이다.[18][17] 원연·수화 연간(기원전 8년 무렵)의 현황으로 여겨지며, 총 4현이다. 치소는 한단현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한단현 | 邯鄲縣 | 한단시 | 도산(堵山)에서 우수수(牛首水)가 나와 동으로 백거수(白渠水)로 들어간다. 조 경후가 중모에서 여기로 천도했다. |
역양현 | 易陽縣 | 한단시 융녠 구 남동 | 안사고·전조망·왕선겸 등에 따르면 역수{易水, 남역수(南易水), 명수(洺水)라고도 함}의 북쪽[陽]이라 역양이라 한다. |
박인현 | 柏人縣 | 한단시 룽야오 현 서 | |
양국현 | 襄國縣 | 싱타이시 | 옛 형나라다. 서산(西山)에서 거수(渠水)가 나와 북동으로 임(任)현에 이르러 침수(浸水)로 들어간다. 또 요수(蓼水)와 빙수(馮水)가 있어 모두 조평(朝平)현에서 우수(湡水)로 들어간다. |
다음은 조국에서 분봉된 조왕의 왕자후들로, 총 31후국이다.
이름 | 봉해진 때 | 폐해진 때 | 왕자후표의 말격 | 지리지의 소속 군 |
---|---|---|---|---|
봉사(封斯) | 원삭 2년 6월 갑오일 | 상산 | ||
한회(邯會) | ? | 위 | ||
위문(尉文) | 원정 5년 | 남 | ||
유구(楡丘) | ||||
양참(襄嚵) | 광평 | |||
조절(朝節) | 오봉 4년 | |||
동성(東城) | 원정 원년 | |||
음성(陰城) | 태초 원년 | |||
한평(邯平) | 원삭 3년 3월 을묘일 | 원정 5년 | 광평 | |
무시(武始) | 태시 4년 | 위 | 위 | |
상씨(象氏) | 시건국 원년 | 거록 | ||
역안(易安) | 시원 원년 | 호 | ||
백창(柏暢) | 원삭 5년 11월 신유일 | 시원 3년 | 중산 | |
호(鄗) | 원정 5년 | 상산 | ||
장북(漳北) | ? | 원봉 3년 | 위 | |
남련(南䜌) | ? | 정화 2년 | 거록 | 거록 |
남릉(南陵) | ? | 후3년 | 임회 | |
호(鄗)[19] | ? | 정화 4년 | 상산 | |
안단(安檀) | ? | 후3년 | 위 | |
원척(爰戚) | ? | 후3년 | 제남 | |
율(栗) | 정화 원년 | ? | 패 | |
효(洨) | ? | 패 | ||
효(猇) | ? | |||
즉비(揤裴) | ? | 동해 | 위 | |
한구(邯溝) | 지절 2년 4월 계묘일 | ? | 위 | |
낙양(樂陽) | ? | 상산 | 상산 | |
상중(桑中) | ? | 상산 | ||
장(張) | 신작 2년 | 상산 | 광평 | |
도향(都鄕) | 감로 2년 7월 신미일 | ? | 동해 | 상산 |
백향(柏鄕) | 경녕 원년 4월 정묘일 | ? | 거록 | |
안향(安鄕) | ? | 거록 |
3. 3. 신 (9년 ~ 23년)
군의 이름을 환정(桓亭)으로 고치고 다음 현의 이름을 고쳤다.전한 | 신 |
---|---|
박인 | 수인(壽仁) |
3. 4. 후한 (25년 ~ 220년)
29년(건무 5년), 광양왕 유량이 조왕이 되면서 다시 조국이 설치되었다.[7] 후한의 조국은 한단, 역양, 백인, 양국, 중구의 5현을 관할했다.[8] 213년(건안 18년), 조왕 유규가 박릉왕(博陵王)이 되면서 조국은 폐지되고 조군(趙郡)이 설치되었다.[9]3. 5. 서진 (266년 ~ 316년)
232년(조예 태화 6년) 거록왕 조간이 조왕이 되면서 조국이 설치되었다.[10]277년(함녕 3년), 사마륜이 조왕이 되어 조국이 세워졌다.[11] 진의 조국은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백인, 중구, 평향, 하곡양, 교의 9개 현을 관할했다.[12]
3. 6. 북위 (386년 ~ 534년)
526년(북위 효명제 효창 2년) 이전까지 정주에 속했으나, 상주와 정주에서 '''은주(殷州)'''가 분리되면서 은주에 속하게 되었다. 은주는 5개 현, 31,899호, 148,314명을 거느렸다. 평향현, 중구현, 백인현은 남조군으로 분리되었다.[2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극현 | 平棘縣 | 스자좡 시 자오 현 | 평극성(平棘城)이 있었다. |
방자현 | 房子縣 | 스자좡 시 가오이 현 서남 | 방자성(房子城), 회군성(回車城), 평주성(平州城), 장홍사(嶂洪祠)가 현 경내에 있었다. |
원씨현 | 元氏縣 | 스자좡 시 위안스 현 서북 동양촌일대 | 원씨성(元氏城), 대령산(大嶺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고읍현 | 高邑縣 | 스자좡 시 가오이 현 동 | 광무제가 올렸다고 전해지는 비석이 있는 선정사(墠亭祠)와 고읍성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난성현 | 欒城縣 | 스자좡 시 롼청구 | 487년(북위 효문제 태화 11년) 평극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관성(關城)에 치소를 두었다. 난성(欒城)이 현 경내에 있었다. |
북위 때 조군은 은주에 속했고, 평극, 방자, 원씨, 고읍, 난성의 5현을 관할했다.[13]
3. 7. 수 (581년 ~ 618년)
596년(수문제 개황 16년)에 '''난주(欒州)'''로 설치되었다가 607년(수 양제 대업 3년) '''조주(趙州)'''로 이름이 바뀌었다. 10현 148,156호를 거느렸다.[23]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극현 | 平棘縣 | 스자좡시 자오 현 | 북제 시기 송자현(宋子縣[24])을 흡수했고 개황 초에 폐지되었다. 이후 대업 초에 송자현의 옛 땅이 평극현으로 흡수되었다. |
고읍현 | 高邑縣 | 스자좡시 가오이 현 | |
찬황현 | 贊皇縣 | 스자좡시 잔황 현 | 596년에 설치되었다. 현 경내에 공자령(孔子嶺), 백구(白溝)가 있었다. |
원씨현 | 元氏縣 | 스자좡시 위안스 현 서북 동양촌일대 | 북제 때 폐지되었다가 586년(수 문제 개황 6년) 복구되었다. 596년 영산현(靈山縣)을 신설했으나 대업 초에 폐지했다. 현 경내에 영산(靈山)이 있다. |
영도현 | 廮陶縣 | 싱타이시 닝진 현 | 586년 영요현(廮遙縣)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
난성현 | 欒城縣 | 스자좡시 롼청 구 서 | 북제 시기 폐지되었다가 596년 복구되었다. |
대륙현 | 大陸縣 | 싱타이시 닝진 현 대륙촌진(大陸村鎭) | 본래 은주 남거록군에 속했다가 훗날 남조군, 조주의 속현이 되었다. 596년 난주를 신설함에 따라 601년(수 문제 인수 원년)에 상성현(象城縣)으로 개명되었다. 대업 초 주를 폐지함에 따라 대륙현으로 바뀌었다. |
백향현 | 柏鄕縣 | 싱타이시 바이샹 현 | 596년 설치되었다. |
방자현 | 房子縣 | 싱타이시 린청 현 | 북제 시기 폐지되었다가 586년 복구되었다. 현 경내에 찬황산(贊皇山)과 팽수(彭水)가 있다. |
고성현 | 鼓城縣 | 스자좡시 진저우 시 | 북제가 하곡양현에 통폐합시키고 고성현(高城縣)이라 칭하고 거록군에 소속시켰다. 개황 초 거록군을 폐지함에 따라 590년(수 문제 개황 10년) 염주(廉州)의 속현으로 바꿨다. 596년 백향현에 통폐합시켰다가 598년 지금의 고성현을 세웠다. 대업 초 염주가 폐지되었다. |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漢書
[3]
서적
漢書
[4]
서적
漢書
[5]
서적
漢書
[6]
서적
漢書
[7]
서적
後漢書
[8]
서적
後漢書
[9]
서적
後漢書
[10]
서적
三国志
[11]
서적
晋書
[12]
서적
晋書
[13]
서적
魏書
[14]
서적
隋書
[15]
서적
旧唐書
[16]
서적
秦代政区地理
''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7]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18]
서적
한서
[19]
문서
[20]
서적
후한서
https://zh.wikisourc[...]
[21]
서적
진서
https://zh.wikisourc[...]
[22]
서적
위서
https://zh.wikisourc[...]
[23]
서적
수서
https://zh.wikisourc[...]
[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