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차센하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스 차센하우스는 독일의 수학자로서, 1912년 코블렌츠에서 태어나 1991년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에밀 아르틴의 영향을 받아 군론, 대수학, 정수론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했으며, 나비 보조정리를 증명하고 차센하우스 군을 연구하는 등 업적을 남겼다. 1937년 《군론 교재》를 집필하고, 1960년에 개정판을 출판했으며, 다항식 인수분해를 위한 칸토어-차센하우스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등 여러 학문적 성과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블렌츠 출신 -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후작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후작은 오스트리아 제국의 외교관이자 정치가로서 빈 회의를 주도하여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세력 균형을 재정립하고, 보수주의 이념으로 자유주의와 민족주의를 억압하려 했으나 1848년 혁명으로 실각했다. - 코블렌츠 출신 - 클레멘스 브렌타노
클레멘스 브렌타노는 독일 낭만주의 시대의 작가이자 시인으로, 아힘 폰 아르님과 함께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를 편찬하고 안나 카타리나 에머리히의 환시를 기록하여 낭만주의적, 종교적 색채를 띤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 - 피에르 아고스티니
피에르 아고스티니는 아토초 과학 분야의 선구적인 프랑스 실험 물리학자로, 다광자 이온화 연구를 통해 임계이상 이온화를 최초로 관측하고 250아토초 펄스 열을 생성하는 데 성공하여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교수 - 존 글렌
존 글렌은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정치인으로, 1962년 최초로 지구 궤도 비행을 한 미국인이며, 해병대 조종사, 시험 조종사, NASA 우주비행사로서 활약했고, 이후 오하이오주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77세에 두 번째 우주 비행을 한 인물이다.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마크 놀
마크 놀은 미국의 역사학자이자 기독교 사상가로, 휘튼 칼리지와 노터데임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복음주의 운동 내 반지성주의를 비판하며 복음주의 신념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하여 2006년 국립 인문학 메달을 수여받았다. -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 - 스탠리 하우어워스
스탠리 하우어워스는 서사 신학과 탈자유주의 신학에 기반하여 신학적, 철학적 관점을 제시하며 교회 공동체의 중요성, 기독교 평화주의 옹호, 신학과 윤리의 통합을 주장하는 미국의 신학자이자 윤리학자이다.
한스 차센하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한스 율리우스 차센하우스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912년 5월 28일 |
출생지 | 독일 코블렌츠 |
사망일 | 1991년 11월 21일 |
사망지 | 미국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
국적 |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및 소속 | |
분야 | 수학 |
소속 | 로스토크 대학교 맥길 대학교 노터데임 대학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
출신 대학 | 함부르크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에밀 아르틴 |
박사 제자 | 요아힘 램베크 |
주요 업적 | |
주요 업적 | 차센하우스 알고리즘 차센하우스 공식 차센하우스 군 차센하우스 보조정리 차센하우스 근방 벌레캄프-차센하우스 알고리즘 칸토어-차센하우스 알고리즘 슈어-차센하우스 정리 |
수상 | |
수상 | 제프리-윌리엄스 상 (1974년) 레스터 R. 포드 상 (1968년) |
2. 생애
한스 차센하우스는 1912년부터 1991년까지 살면서 수학, 특히 군론과 정수론에 큰 업적을 남겼다. 그의 생애는 크게 초기, 나치 독일 시기, 전후 활동 및 학문적 업적으로 나뉜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내용은 간단하게 요약)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에밀 아르틴에게 배우며 나비 보조정리를 증명하고, 차센하우스 군을 연구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나치 시기에는 하빌리타치온 취득 후 교수가 되었고, 전쟁에도 참여했다. 전후에는 캐나다와 미국 대학에서 교수로 정수론을 연구했고, 정수론 저널 편집장 등을 맡았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2-1934)
1912년 5월 25일 독일 코블렌츠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역사학자이자 알베르트 슈바이처의 생명 존중 사상을 따르는 사람이었다. 차센하우스 가족은 총 3남 1녀를 두었는데, 장남 한스 외에 남동생 귄터Güntherde와 빌프레트Wilfredde, 누이 힐트군트Hiltguntde가 있었다. 차센하우스의 아버지는 학교 교장으로 재직했으나, 나치 정권이 들어서면서 슈바이처를 지지했기 때문에 해고당했다.[1]함부르크 대학교에 입학하여, 17세 때 이미 에밀 아르틴에게서 해석학 강의를 수강하였다.[2] 21세에 군의 합성열에 대해 연구하였고, 나비 보조정리butterfly lemma영어를 증명하였다. 1934년 6월에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박사 학위 논문은 오늘날 차센하우스 군이라고 불리는 군에 대한 것이었다.
2. 2. 나치 독일 시기 (1934-1945)
차센하우스는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에밀 아르틴의 영향을 받아 수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17세에 이미 아르틴의 해석학 강의를 수강할 정도로 뛰어난 학생이었다.[2] 21세에는 군의 합성열을 연구하여 나비 보조정리(버터플라이 보조정리)를 증명했다. 1934년 6월, 프로베니우스 군을 안정자로 사용하는 이중 전이 순열군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는데, 이 군은 현재 차센하우스 군으로 불리며 유한 단순군 분류에 큰 영향을 미쳤다.1936년, 아르틴의 조수가 되었으나 이듬해 아르틴이 미국으로 이민을 가면서, 1938년에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했다. 1937년에는 《군론 교재》(Lehrbuch der Gruppentheoriede)를 집필하였다.
1942년, 리젤로테 로만(Lieselotte Lohmannde)과 결혼하여 2남 3녀(미하엘, 앙겔라, 페터)를 두었다. 1943년에는 함부르크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그의 여동생 힐트군트에 따르면, 한스는 독일의 전쟁 노력에 참여하여 "기상 관측소의 연구 과학자"로 복무했다.[1]
2. 3. 전후 활동 및 학문적 업적 (1945-1991)
1948년 영국 문화원 초청으로 글래스고 대학교를 방문하여 명예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49년 캐나다 맥길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1959년까지 재직했다. 맥길 대학교 재직 중 프린스턴 고등연구소(1955년~1956년)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1958년~1959년)를 방문 연구원으로 방문하였다. 이 시기에 전산기를 사용하여 정수론 연구를 발전시켰다.[2]1959년 미국 노터데임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1964년에는 해당 대학교 컴퓨터 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1963년 가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머숀 객원 교수(Mershon Visiting Professor)로 초빙되었으며, 1965년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정교수로 영구히 자리를 잡았다. 1982년 은퇴할 때까지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에 재직하였다. 은퇴 전까지 괴팅겐(1967년 여름), 하이델베르크(1969년 여름), UCLA(1970년 가을), 워릭(1972년 가을), CIT(1974/75), U 몬트리올(1977/78), 자르브뤼켄(1979/80)을 방문하였다.
1967년 창간된 정수론 저널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1968년 레스터 R. 포드 상을 수상했다.[3] 1991년 11월 21일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사망했다. 요아힘 람벡 등이 그의 제자이다.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차센하우스는 군론, 대수학, 정수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1937년에 출판한 《군론 교과서》(Lehrbuch der Gruppentheoriede)[4]는 에밀 아르틴의 강의를 바탕으로 한 군론 서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77년에는 Academic Press에서 차센하우스가 편집한 논문집 《수론과 대수학》을 출판했으며, 1989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에서 M. 포스트와 공동 저술한 《알고리즘 대수적 수론》을 출판했다.[6] 또한, 데이비드 G. 캔터와 함께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 인수분해를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인 칸토어-차센하우스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3. 1. 군론
차센하우스는 1937년에 《군론 교과서》(독일어: Lehrbuch der Gruppentheorie)를 출판했으며,[4] 1960년에 2판인 《군론》을 출판했다.[5] 이 책은 1933년 겨울 학기와 1934년 여름 학기 동안 에밀 아르틴이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진행한 강의를 바탕으로 한 유명한 군론 서적이다. 차센하우스는 함부르크 대학교 수학 세미나 논문집 11권, 187–220쪽에 나눗셈환이나 딕슨 근체(Dickson near-fields)가 아닌 일곱 개의 근체가 있음을 보였다.3. 2. 대수학 및 정수론
- 한스 차센하우스(1937), ''군론 교과서''(독일어: Lehrbuch der Gruppentheorie),[4] 2판(1960), ''군론''.[5] 1933년 겨울 학기와 1934년 여름 학기 동안 에밀 아르틴이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진행한 강의를 바탕으로 한 유명한 군론 서적이다.
- 차센하우스는 함부르크 대학교 수학 세미나 논문집 11권, 187–220쪽에 나눗셈환이나 딕슨 근체(Dickson near-fields)가 아닌 일곱 개의 근체가 있음을 보였다.
- 1977년 Academic Press는 차센하우스가 편집한 논문집인 ''수론과 대수학''을 출판했으며, 이는 헨리 B. 만, 아놀드 E. 로스, 그리고 올가 타우스키-토드에게 헌정되었다. 여기에는 차센하우스의 "순환 대수에 관한 정리"가 포함되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는 차센하우스와 M. 포스트가 공동 저술한 ''알고리즘 대수적 수론''을 1989년에 출판했다.[6] 1993년에 2판이 출판되었다.
- A new algorithm for factoring polynomials over finite fields|유한체에서 다항식 인수분해를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영어는 다항식 인수분해를 위한 칸토어-차센하우스 알고리즘을 소개한 논문이다.
3. 3. 칸토어-차센하우스 알고리즘
Cantor–Zassenhaus algorithm영어은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을 인수분해하는 알고리즘이다. 1981년 4월 Mathematics of Computation 학술지에 데이비드 G. 캔터와 한스 차센하우스가 "유한체 위에서 다항식을 인수분해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발표하였다.[4]참조
[1]
서적
Walls: Resisting the Third Reich
Beacon Press
[2]
논문
Emil Artin, His Life and Work
[3]
논문
On the fundamental theorem of algebra
http://www.maa.org/p[...]
[4]
논문
Review: Lehrbuch der Gruppentheorie, Vol. 1, by Hans Zassenhaus
https://www.ams.org/[...]
[5]
논문
Review: The theory of groups, 2nd ed., by Hans J. Zassenhaus
https://www.ams.org/[...]
[6]
논문
Review: Algorithmic algebraic number theory, by M. Pohst and H. Zassenhaus
https://www.ams.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