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소판 감소와 혈전증이 동반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두통, 뇌졸중 유사 증상, 복통, 위장관 출혈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뇌정맥동 혈전증, 내장 정맥 혈전증, 폐색전증,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 등이 보고되었다. 원인으로는 백신 접종 후 혈소판 인자 4에 대한 항체 생성, 면역 반응 등이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벡터 백신과의 연관성이 제기되었다.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헤파린 대신 다른 항응고제 사용, 정맥 면역 글로불린(IVIG) 투여 등이 권장된다. 이 질환은 주로 55세 미만 여성에게서 발생하며, 유럽 의약품청(EMA)과 세계 보건 기구(WHO)는 특정 백신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백신 접종 정책에 변화를 가져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응고 병증 - 혈우병
혈우병은 혈액 응고 인자 부족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혈우병 A, B, C 등이 있으며 출혈이 주 증상이고 유전자 치료제 개발로 완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 응고 병증 - 파종성 혈관내 응고
파종성 혈관내 응고는 여러 원인으로 혈액 응고 시스템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혈관 내에 미세 혈전이 광범위하게 생성되는 질환으로, 장기 부전 및 출혈 경향이 나타나며 패혈증, 악성 종양, 임신 합병증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고, 임상 양상 및 혈액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진단하며, 원인 질환 치료와 항응고제 투여, 혈액 성분 수혈 등으로 치료한다. - 코로나19 -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은 이만희를 교주로, 요한계시록을 중심으로 한 종말론적, 메시아적 성격의 종교 단체로, 공격적인 전도 방식과 코로나19 집단 감염 등으로 사회적 논란을 야기하며 주류 기독교계에서 이단으로 간주된다. - 코로나19 - 코로나19 봉쇄
코로나19 봉쇄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시행된 이동 및 사회적 활동 제한 조치로, 사망률 감소 효과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사회적 부작용과 정부 대응의 중요성, 그리고 국가별 상이한 영향에 대한 논쟁과 비판이 존재한다.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
---|
2. 증상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혈전증은 백신 투여 후 4~28일 사이에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55세 미만의 여성에게서 보고되었다.[10][1][18] 상세한 증상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설명한다.
2. 1. 일반 증상
COVID-19 백신 접종 후 2~3일 이내에는 흔히 나타나는 일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대개 경미하고 일시적이다.[49]2. 2. 특이 증상
이 반응이 나타나는 사람들에게는 몇 가지 비교적 드문 유형의 혈전증, 즉 뇌정맥동 혈전증과 내장 정맥의 혈전증이 구체적으로 보고되었다.[49][55]- 뇌정맥동 혈전증: 심한 두통, 뇌졸중과 유사한 증상(사지 및/또는 안면 근육의 쇠약), 발작 및 혼수를 유발할 수 있다.[19]
- 내장 정맥 혈전증: 복통, 복강 내 체액 축적 및 위장관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20][21]
보다 흔한 폐색전증과 같은 다른 형태의 혈전증도 발생할 수 있다. 동맥 혈전증도 보고되었다.[22] 낮은 혈소판 수는 주사 부위 외에 점상출혈 (피부 아래의 작은 혈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49]
전신의 혈관에서 혈전이 광범위하게 형성되는 파종성 혈관 내 응고 (DIC)가 이 증후군의 일부로 보고되었다.[23] DIC는 비정상적인 출혈, 숨가쁨, 흉통, 신경학적 증상, 저혈압 또는 부종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24]
3. 원인
COVID-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혈소판 감소증과 혈전증(혈액 응고)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보고되면서 이 질환에 대한 초기 우려가 제기되었다. 여러 사례에서 혈소판 인자 4(PF4)에 대한 항체가 확인되었는데,[25] 이는 특정 약물(헤파린) 투여 시 나타나는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HIT)과 유사한 면역 반응으로 추정된다.[27][49] 하지만 보고된 사례 대부분은 헤파린 투여 이력이 없었으며,[25] 드물게 헤파린 노출 없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성 HIT 유사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26]
혈소판 감소증 자체는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후 흔히 나타날 수 있으며,[28]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벡터 투여 후에도 보고된 바 있다.[29]
유럽 의약품청(EMA)은 AZD1222 백신 및 얀센 COVID-19 백신과 이 증상 간의 인과 관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으며,[30] 2021년 4월, HIT와 유사한 면역 반응이 "그럴듯한 설명"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49]
3. 1. 면역 반응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드물게 혈소판 감소증과 혈전증(혈액 응고)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사례들 중 다수에서 혈소판 인자 4(PF4)에 대한 항체가 확인되었다.[25] 이는 헤파린이라는 약물을 투여받은 일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HIT)과 유사한 면역 반응으로 보인다.[27] 하지만 보고된 사례의 환자들은 헤파린을 투여받은 적이 없었다.[25] 드물게는 헤파린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자가면역 현상으로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 기록이 있다.[26]혈소판 감소증 자체는 여러 바이러스 감염 후 또는 감염 중에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며,[28] 그 정확한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벡터를 정맥 주사한 후에도 일관되게 보고된 바 있다.[29]
유럽 의약품청(EMA)은 2021년 4월 7일, 혈전과 낮은 혈소판 수치가 함께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면역 반응"이 "그럴듯한 설명"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헤파린 치료를 받은 사람에게서 가끔 나타나는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HIT)과 유사한 상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49] EMA는 AZD1222 백신과 얀센 COVID-19 백신(존슨앤드존슨)과의 인과 관계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30]
3. 2. 기타 요인
헤파린 투여 없이도 혈소판 인자 4(PF4)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혈소판 감소증과 혈전증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25] 이는 드물게 자가면역 현상으로 나타나며,[26]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HIT)과 유사한 기전으로 설명된다.[27] 유럽 의약품청(EMA)은 이러한 현상의 "그럴듯한 설명"으로 HIT와 유사한 "면역 반응"을 지목하기도 했다.[49]다양한 바이러스 감염 후 또는 감염 중에 혈소판 감소증이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그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28]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벡터를 정맥에 투여했을 때도 혈소판 감소증이 일관되게 보고되었다.[29]
4. 진단
영국에서는 영국 응급 의학회(Royal College of Emergency Medicine)를 비롯한 전문 학회에서 의심 사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22] 이 지침은 백신 접종 후 특정 기간 내에 나타나는 증상을 바탕으로 초기 검사와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검사 단계는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4. 1. 초기 검사
영국에서는 영국 응급 의학회(Royal College of Emergency Medicineeng)를 비롯한 전문 학회에서 의심 사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백신 투여 후 5~28일 사이에 우려되는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혈전성 합병증 가능성에 대해 평가받으며, 초기 검사로 전혈구 계산 (혈소판 수 포함)을 실시한다. 혈소판 수가 감소하면 D-이량체 및 피브리노젠 수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수치가 특정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혈액학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22]4. 2. 추가 검사
영국에서는 영국 응급의학회(Royal College of Emergency Medicine)를 비롯한 전문 학회에서 의심 사례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백신 투여 후 5일에서 28일 사이에 우려되는 증상이 나타난 사람은 혈전성 합병증 가능성을 평가받게 되며, 초기 검사로 전혈구 계산(혈소판 수 포함)을 실시한다. 이 검사에서 혈소판 수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면, 추가적으로 D-이량체 및 피브리노젠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 만약 이 수치들이 특정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하면 혈액학 전문가의 조언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22]5. 치료
(내용 없음)
5. 1. 항응고제
전문 학회 지침은 헤파린이 현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헤파린 대신 다른 항응고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것을 권장한다.[31][32] 상황에 따라 직접 작용 경구 항응고제, 아르가트로반, 폰다파리눅스 또는 다나파로이드와 같은 대체 요법이 사용될 수 있다.[31]5. 2. 혈소판 수혈
혈소판 수혈은 혈전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31]5. 3. 면역글로불린 요법
영국 혈액학회의 영국 지침에서는 병원성 항체의 수치를 줄이기 위해 정맥 면역 글로불린 (IVIG) 투여를 권장한다.[31]5. 4. 기타
전문 학회 지침에서는 현상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헤파린 대신 다른 항응고제를 사용하여 치료할 것을 권장한다.[31][32] 상황에 따라 직접 작용 경구 항응고제, 아르가트로반, 폰다파리눅스 또는 다나파로이드와 같은 대체 요법이 사용될 수 있다.[31] 혈소판 수혈은 혈전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는다.[31] 영국 혈액학회의 영국 지침에서는 병원성 항체의 수치를 줄이기 위해 정맥 면역 글로불린 (IVIG) 투여를 권장한다.[31] 피브리노겐 수치가 낮으면 피브리노겐 농축액 또는 냉동 침전물을 사용하여 교정해야 할 수 있다.[31]6. 역학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특히 AZD1222 백신과 관련하여 매우 드문 혈전 사례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독일의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와 영국의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등 각국 보건 당국은 초기 사례들을 분석했으며, 특히 뇌정맥동 혈전증(CVST)과 같은 특정 유형의 혈전이 낮은 혈소판 수치와 함께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했다.[33][34] 유럽 의약품청(EMA) 등 규제 기관들은 백신과 이러한 희귀 혈전 사이의 연관성 가능성을 조사하기 시작했다.[34]
초기 보고에서는 특정 연령대나 성별에서 더 많은 사례가 관찰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이는 국가별 백신 접종 전략이나 다른 요인(예: 피임약 복용)의 영향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33][25] 이후 더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면서 발생률과 위험 요인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35][51]
6. 1. 국제 현황
영국에서는 2021년 6월 2일 기준으로 372건의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례가 보고되었다. 연령별 발생률은 18세에서 49세 사이에서는 100만 회 접종당 19.8회, 50세 이상에서는 10.3회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성이 200명, 남성이 169명이었다. 독일에서는 2021년 5월 31일까지 106건이 보고되었으며, 캐나다에서는 2021년 5월 28일까지 44건이 보고되었는데, 이 중에는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사례가 각각 1건씩 포함되어 있었다.독일의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는 AZD1222 백신을 접종받은 독일인 약 270만 명 중 31건의 뇌정맥동 혈전증(CVST) 사례와 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기록했다.[33] 반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에는 이러한 유형의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34] 2021년 4월 2일, 영국의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역시 AZD1222 백신 접종 후 낮은 혈소판 수치와 관련된 CVST 22건 및 다른 혈전 문제 8건을 보고했다.[34] 유럽 의약품청(EMA)은 이전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특정 희귀 혈전 사이의 연관성이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34]
독일에서 보고된 희귀 혈전 사례는 주로 55세 미만의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독일이 초기에 AZD1222 백신 접종을 65세 미만으로 제한하여 접종 인구가 상대적으로 젊었고, 이 연령대 여성들의 피임약 복용률이 높았던 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뇌정맥동 혈전증(CVST)은 호르몬 피임약을 사용하는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므로, 이것이 백신 접종 후 여성에게서 사례가 더 많이 보고된 요인 중 하나일 수 있다.[33][25] 반면, 영국은 화이자 백신과 AZD1222 백신 모두 고령층에게 먼저 접종하고 점차 접종 연령을 낮추는 방식으로 진행했다.[33]
영국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의 보고에 따르면, 2021년 11월 3일까지 AZD1222 백신 1차 접종이 약 2,490만 회 이루어진 가운데 총 425건의 관련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 중 73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은 약 17%에 달했다.[35][51]
6. 2. 대한민국 현황
2021년 5월 31일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59]6. 3. 규제 현황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는 AZD1222 백신을 접종받은 독일인 270만 명 중 31건의 뇌정맥동 혈전증 (CVST) 사례와 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보고했다.[33] 영국의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역시 2021년 4월 2일, 낮은 혈소판 수치와 관련된 CVST 22건 및 기타 혈전 문제 8건을 보고했으며, 이는 화이자 백신 접종 후에는 발견되지 않은 유형의 사례라고 덧붙였다.[34] 유럽 의약품청(EMA)은 초기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특정 희귀 혈전 간의 연관성이 "입증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34]독일에서의 희귀 사례는 주로 55세 미만 여성에게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독일이 초기에 AZD1222 백신 접종을 65세 미만으로 제한하여 접종 인구가 상대적으로 젊었고, 피임약 복용 여성 비율이 높았던 배경과 관련될 수 있다. CVST는 호르몬 피임약 사용자에게 더 흔하게 나타나므로 이 요인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33][25] 반면 영국은 화이자 백신과 AZD1222 백신 모두 고령층부터 접종을 시작했다.[33] 영국 MHRA는 2021년 11월 3일까지 AZD1222 1차 접종 2,490만 회 중 425건의 관련 사례가 발생했으며 이 중 73명이 사망(17%)했다고 보고했다.[35][51]
EMA는 2021년 3월 28일 기준으로 백신 접종 후 보고된 전체 색전 및 혈전증 발생 건수가 일반 인구 발생률보다 낮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특정 증후군은 백신과의 연관성 가능성을 제기했으며, EMA는 백신이 원인이라는 증거는 없지만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36] 이에 EMA는 백신 접종 후 호흡 곤란, 흐린 시야, 심하거나 지속적인 두통 등 혈전증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적 진찰을 받을 것을 권고했다.[36]
2021년 4월 7일, EMA의 에머 쿡 집행 이사는 언론 브리핑에서 EMA의 약물 감시 위험 평가 위원회(PRAC)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부작용 위험보다 전반적으로 크다고 재확인했음을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의 심각성과 백신의 효과를 언급하며 예방 접종의 중요성을 역설했다.[37][38] 그는 "PRAC는 매우 심층적인 분석을 거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보고된 특이한 혈전증 사례를 백신의 가능한 부작용으로 등재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습니다"라고 덧붙였다. 같은 브리핑에서 PRAC의 사미나 스트라우스 박사도 해당 혈전 장애가 백신의 '매우 드문 부작용'이라는 결론을 확인했다.
같은 날 영국 MHRA는 기자 회견에서 AZD1222 백신 접종과 희귀 혈전 간의 연관성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밝혔으며, 이에 따라 영국은 30세 미만에게는 다른 백신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39] 이는 20-29세 연령대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아 백신 접종의 이익이 잠재적 위험과 비슷해지기 때문이라는 위험-이익 분석(코로나19 감염 중간 노출 위험 기준)에 근거했다.[40][39] 더 높은 연령대에서는 위험 대비 이점 비율이 증가했다.[39]
세계 보건 기구(WHO)는 2021년 4월 7일 잠정 성명에서 자문 기관인 GACVS가 희귀 혈전 사례와 AZD1222 백신 사이의 인과관계가 "그럴듯하지만 확인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41]
이후 2021년 4월 20일, EMA의 PRAC는 존슨앤존슨 얀센 백신에 대해서도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매우 드문 특이 혈전 사례와의 가능한 연관성을 발견했으며, 이를 매우 드문 부작용으로 등재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EMA는 얀센 백신의 전반적인 위험-이익 균형은 여전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42]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는 2021년 12월 16일, 희귀 혈전에 대한 우려로 인해 모더나 및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을 얀센 백신보다 우선적으로 권장한다고 발표했다.[43][44] 다만 얀센 백신은 특별히 요청하는 사람들에게는 계속 제공될 수 있도록 했다.[45]
각국 보건 당국도 대응에 나섰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 자문단은 추가 정보가 나올 때까지 백신 접종 후 혈전증 관리에 헤파린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52] 독일은 희귀 혈전 부작용 우려에 따라 60세 미만에게 AZD1222 백신 사용을 중단했는데, 이는 이전에 고령층 데이터 부족을 이유로 65세 이상 사용을 중단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조치였다.[53] 네덜란드는 AZD1222 백신 사용을 며칠간 중단한 후 60세 이상에게만 접종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54]
호주의 호주 예방 접종 기술 자문 그룹(ATAGI)은 2021년 4월 8일, 호주 정부에 50세 미만 성인에게는 AZD1222보다 화이자 COVID-19 백신을 우선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이는 고령층의 코로나19 중증 위험이 더 높고(따라서 백신 이익이 큼), 50세 미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결정이었다.[55] ATAGI는 50세 이상 및 부작용 없이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에게는 여전히 AZD1222 백신을 권장했다.[55] 호주 빅토리아주에서는 일부 50세 미만 접종 예약자가 현장에서 거부당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호주 정부는 AZD1222 백신 접종을 선택하는 50세 미만 대상자를 위한 특별 동의 절차를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56]
7. 역사
2020년 12월 여러 코로나19 백신이 승인되어 대규모 접종이 시작되었으며, 여기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의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AZD1222)도 포함되었다.
2021년 초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AZD1222 백신 접종 후 드물게 발생하는 특이한 혈전 및 혈소판 감소증 사례들이 보고되기 시작했다. 2021년 3월 유럽 의약품청(EMA)은 덴마크의 접종 중단 발표 이후 관련 사례 검토에 착수했으며,[47] 세계 보건 기구(WHO)는 초기 검토 후 백신의 전반적인 이익이 위험보다 크다고 평가했다.[48]
EMA는 2021년 3월 말, 낮은 혈소판 수치와 관련된 매우 드문 혈전 사례에 대한 조사를 공식화했고,[36] 4월 7일에는 이를 AZD1222 백신의 매우 드문 부작용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WHO와 영국 MHRA도 유사한 입장을 발표했다.[49][39][41] 비슷한 시기, 얀센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에게서도 유사한 혈전 사례가 보고되어 조사가 시작되었다.[50]
7. 1. 관련 기관
글로벌 백신 안전은 세계 보건 기구(WHO), 특히 산하의 백신 안전에 관한 세계 자문 위원회(GAVCS)가 주관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요 의약품 규제 기관들이 관련되어 있다.- 유럽 의약품청(EMA): 유럽 연합의 지역 규제 기관이다.
-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 영국의 의료 당국이다.
-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PEI): 독일 연방 보건부의 감독을 받는 독일 연방 기관으로, 백신 및 생물 의약품 분야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WHO 협력 센터이기도 하다.[46]
7. 2. 증후군 발견
2020년 12월, 여러 코로나19 백신이 승인되어 대규모 접종이 시작되었다. 여기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기반으로 한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AZD1222)도 포함되었다.2021년 3월 11일, 유럽 의약품청(EMA)은 덴마크가 AZD1222 백신 접종 후 혈전으로 사망한 사례가 발생하여 해당 백신의 접종을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접종자들에게서도 혈전 발생 보고가 있었지만, EMA 안전위원회는 초기 검토 결과 백신 접종자의 혈전색전증 발생률이 일반 인구보다 높지 않다고 밝혔다.[47]
세계 보건 기구(WHO) 백신 안전 글로벌 자문위원회는 2021년 3월 19일 성명을 통해, AZD1222 백신과 관련된 혈전색전증 및 혈소판 감소증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감염을 예방하고 사망을 줄이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긍정적인 위험-편익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48]
2021년 3월 29일, EMA는 안전 업데이트를 통해 혈소판 감소증(낮은 혈소판 수치)과 관련된 매우 드문 특정 혈전 및 출혈 사례(파종성 혈관 내 응고, 뇌정맥동 혈전증(CVST) 포함)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AZD1222 백신과의 연관성이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36] 또한 EMA는 낮은 혈소판 수치로 인한 멍이나 출혈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 혈소판 감소증(ITP)에 대해 유럽 연합(EU)에서 사용되는 모든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평가를 시작했으며, 아직 어떤 백신과의 연관성도 확립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36]
2021년 4월 7일, EMA는 낮은 혈소판 수치를 동반한 특이 혈전이 AZD1222 백신의 매우 드문 부작용으로 등재되어야 한다고 결정했다. 같은 날 WHO와 영국 의약품 및 보건의료제품규제청(MHRA)도 유사한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당시 어떤 기관도 백신과 해당 사례들 사이에 명확한 인과 관계를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예방 차원에서 부작용 목록에 추가하기로 결정했다.[49][39][41]
2021년 4월 9일에 종료된 EMA 약물감시위험평가위원회(PRAC) 회의에서는 얀센 코로나19 백신 접종자에게서 발생한 낮은 혈소판 수치를 동반한 특이 혈전 사례 4건(사망 1건 포함)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임이 알려졌다. 당시 얀센 백신은 EU에서 승인은 되었으나 아직 배포되지 않았고, 미국에서는 접종이 진행 중이었다. PRAC는 인과 관계가 있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고 판단했으며, 규제 조치가 필요할 경우 제품 정보 변경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50]
7. 3. 백신 접종 정책 변화
초기 보고에서는 특정 혈전 발생률이 젊은 여성에게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으나,[25] 영국 의약품 및 건강관리 제품 규제청(MHRA)은 모든 성별과 연령대에서 사례를 발견했으며,[51] 해당 데이터는 이 특정 혈전이 AZD1222 백신 접종을 받은 젊은 연령대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40]세계 보건 기구(WHO)는 백신 투여 결정이 위험-편익 분석에 기반해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강조했다.[41] 이 분석에는 해당 지역의 감염률과 관련된 개인의 COVID‑19 감염 위험, 연령에 따른 백신 접종 후 COVID‑19 노출 시의 이점, 그리고 백신 접종으로 인한 개인의 위험 등이 고려될 수 있다.[40]
이러한 드문 혈액 응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백신 접종 정책을 변경했다.
- 독일은 60세 미만에게 AZD1222 백신 사용을 중단했다. 이는 이전에 65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 백신 효능 데이터 부족을 이유로 사용을 중단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조치이다.[53]
- 네덜란드 보건복지체육부는 며칠간의 사용 중단 후, 60세 이상에게만 AZD1222 백신을 계속 투여하기로 결정했다.[54]
- 호주 예방 접종 기술 자문 그룹(ATAGI)은 2021년 4월 8일, 호주 정부에 50세 미만 성인에게는 AZD1222 백신보다 화이자 COVID-19 백신을 권장한다고 조언했다. 이는 고령층일수록 COVID-19로 인한 중증 위험이 커 백신 접종의 이익이 더 크고, 반면 50세 미만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증 동반 혈전증(TTS)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55] 다만, ATAGI는 50세 이상 및 부작용 없이 1차 접종을 마친 50세 미만에게는 여전히 AZD1222 백신을 권장했다.[55] 호주 빅토리아주에서는 예약이 확인되었음에도 50세 미만 일부가 접종 센터에서 거부당하는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호주 정부는 AZD1222 백신 접종을 선택하는 50세 미만을 위한 특별 동의 절차를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56]
- 캐나다 온타리오주 정부 자문 위원단은 더 많은 정보가 확보될 때까지 백신 접종 후 혈전증 관리에 헤파린 사용을 권장하지 않았다.[52]
8. 관련 연구
2021년 3월 19일, 이 질환이 인정된 지 이틀 만에 영국의 혈액학자 그룹이 연구 결과를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에 발표하여 사례 정의 기준을 세웠다. 이 연구는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 COVID-19 백신 1차 접종 후 혈소판 감소증과 혈전증 증상을 보인 29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기저 혈소판 수와 뇌내 출혈 발생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 질환을 겪은 환자의 85%가 60세 미만이었으며, 과거 혈전증이나 혈전성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위험이 더 높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전체 사망률이 22%라고 보고했으며, 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유전적 요인을 찾고 잠재적인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한 추가 연구 계획을 세웠다.[57]
참조
[1]
논문
SARS-CoV-2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2021-06
[2]
논문
SARS-CoV-2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2021-12
[3]
논문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tic thrombocytopenia
2021-11
[4]
논문
Thrombosis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associated with COVID-19 vaccines
2021-11
[5]
논문
Editorial on Thaler et al. long-term follow-up after successful treatment of vaccine-induced prothrombotic immune thrombocytopenia. Thromb Res 2021 in press
2021-10
[6]
웹사이트
AstraZeneca COVID-19 Vaccine (AZD1222)
https://www.cdc.gov/[...]
AstraZeneca
2021-01-27
[7]
웹사이트
Vaxzevria (previously COVID-19 Vaccine AstraZeneca) EPAR
https://www.ema.euro[...]
2021-01-25
[8]
웹사이트
ChAdOx1 nCoV- 19 Corona Virus Vaccine (Recombinant) - Covishield
https://www.serumins[...]
[9]
웹사이트
AstraZeneca ChAdOx1-S/nCoV-19 [recombinant], COVID-19 vaccine
https://www.who.int/[...]
[10]
간행물
Use of AstraZeneca COVID-19 vaccine in younger adults
https://www.canada.c[...]
2021-03-29
[11]
뉴스
Joint CDC and FDA Statement on Johnson & Johnson COVID-19 Vaccine
https://www.fda.gov/[...]
[12]
웹사이트
Coronavirus (COVID-19) Update: FDA Limits Use of Janssen COVID-19 Vaccine to Certain Individuals
https://www.fda.gov/[...]
2022-05-05
[13]
웹사이트
Direct healthcare professional communication (DHPC): Vaxzevria (previously COVID-19 Vaccine AstraZeneca): link between the vaccine and the occurrence of thrombosis in combination with thrombocytopenia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4-13
[14]
웹사이트
Research and analysis — Coronavirus vaccine - weekly summary of Yellow Card reporting
https://www.gov.uk/g[...]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2021-04-01
[15]
AV media
EMA press conference 7th April — Conclusion of the assessment of the Pharmacovigilance Risk Assessment Committee (PRAC) of COVID-19 Vaccine AstraZeneca and thromboembolic events
https://www.youtube.[...]
2021-04-07
[16]
웹사이트
Report: AstraZeneca admitted in court doc that Covid vaccine can cause rare side effect [NSTTV] {{!}} New Straits Times
https://www.nst.com.[...]
2024-04-29
[17]
웹사이트
In a first, AstraZeneca admits its Covid vaccine can cause rare blood clots
https://www.independ[...]
2024-04-30
[18]
논문
COVID-19 vaccines and thrombosis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Taylor and Francis Group
2021-08
[19]
논문
Cerebral venous sinus thrombosis
2018-10
[20]
논문
Splanchnic Vein Thrombosis: Current Perspectives
2019-10-22
[21]
논문
Cerebral and Splanchnic Vein Thrombosis: Advances, Challenges, and Unanswered Questions
2020-03
[22]
웹사이트
Management of patien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Acute Medicine with symptoms
https://www.rcem.ac.[...]
2021-04-11
[23]
간행물
COVID-19 Vaccine AstraZeneca: benefits still outweigh the risks despite possible link to rare blood clots with low blood platelets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4]
웹사이트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 NHLBI, NIH
https://www.nhlbi.ni[...]
2019-10-08
[25]
논문
Thrombotic Thrombocytopenia after ChAdOx1 nCov-19 Vaccination
2021-06
[26]
논문
Autoimmune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2017-11
[27]
논문
Current Perspectives on Diagnostic Assays and Anti-PF4 Antibodies for the Diagnosis of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2020-08-17
[28]
논문
Thrombocytopenia in Virus Infections
2021-02
[29]
논문
Adenovirus-induced thrombocytopenia: the role of von Willebrand factor and P-selectin in mediating accelerated platelet clearance
2007-04
[30]
웹사이트
Meeting highlights from the Pharmacovigilance Risk Assessment Committee (PRAC) 6-9 April 2021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4-09
[31]
웹사이트
Guidance produced from the Expert Haematology Panel (EHP) focussed on Covid-19 Vaccine induced Thrombosis and Thrombocytopenia (VITT)
https://b-s-h.org.uk[...]
British Society for Haematology
2021-04-07
[32]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iagnosis of VITT against COVID-19: Communication from the ISTH SSC Subcommittee on Platelet Immunology
2021-06
[33]
웹사이트
AstraZeneca: Is there a blood clot risk?
https://www.bbc.co.u[...]
2021-04-02
[34]
웹사이트
Covid-19: Seven UK blood clot deaths after AstraZeneca vaccine
https://www.bbc.co.u[...]
2021-04-03
[35]
웹사이트
Coronavirus vaccine - weekly summary of Yellow Card reporting
https://www.gov.uk/g[...]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36]
웹사이트
COVID-19 vaccine safety update: Vaxzevria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3-31
[37]
웹사이트
Press briefing on the conclusion of assessment Pharmacovigilance Risk Assessment Committee (PRAC) Vaxzevria (previously COVID-19 Vaccine AstraZeneca) and thromboembolic events
https://www.ema.euro[...]
2021-11-27
[38]
웹사이트
European Medicines Agency: Link Between AstraZeneca COVID Vaccine & Rare Blood Clots - But 'Benefits Far Outweigh Risks'
https://healthpolicy[...]
2021-11-27
[39]
뉴스
Covid: Under-30s offered alternative to Oxford-AstraZeneca jab
https://www.bbc.co.u[...]
2021-04-08
[40]
뉴스
Communicating the potential benefits and harms of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https://wintoncentre[...]
2021-04-07
[41]
간행물
Interim statement of the COVID-19 subcommittee of the WHO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on AstraZeneca COVID-19 vaccine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4-09
[42]
간행물
COVID-19 Vaccine Janssen: EMA finds possible link to very rare cases of unusual blood clots with low blood platelets
https://www.ema.euro[...]
2021-04-20
[43]
간행물
CDC Endorses ACIP's Updated COVID-19 Vaccine Recommendations
https://www.cdc.gov/[...]
2021-12-21
[44]
웹사이트
Updates to the benefit/risk assessment for Janssen COVID-19 vaccines: Applying the Evidence to Recommendation Framework
https://www.cdc.gov/[...]
2021-12-22
[45]
뉴스
CDC advisers vote to narrow use of J&J vaccine due to concerns about rare blood clots
https://www.npr.org/[...]
2021-12-16
[46]
웹사이트
Collaborating centres: Blood products and related biologicals
https://web.archiv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04-10
[47]
웹사이트
COVID-19 Vaccine AstraZeneca: PRAC investigating cases of thromboembolic events - vaccine's benefits currently still outweigh risks - Update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4-09
[48]
간행물
Statement of the WHO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GACVS) COVID-19 subcommittee on safety signals related to the AstraZeneca COVID-19 vaccine
https://www.who.int/[...]
2021-04-06
[49]
간행물
AstraZeneca's COVID-19 vaccine: EMA finds possible link to very rare cases of unusual blood clots with low blood platelets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4-09
[50]
간행물
Meeting highlights from the Pharmacovigilance Risk Assessment Committee (PRAC)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2021-04-09
[51]
간행물
MHRA issues new advice, concluding a possible link between COVID-19 Vaccine AstraZeneca and extremely rare, unlikely to occur blood clots
https://www.gov.uk/g[...]
2021-04-07
[52]
논문
Vaccine-Induced Prothrombotic Immune Thrombocytopenia (VIPIT) Following AstraZeneca COVID-19 Vaccination
https://covid19-scie[...]
2021-04-03
[53]
뉴스
Covid: How does the Oxford-AstraZeneca vaccine work?
https://www.bbc.co.u[...]
2021-04-06
[54]
웹사이트
Prikken met AstraZeneca voor mensen van 60 jaar en ouder gaat door
https://www.rijksove[...]
2021-04-08
[55]
뉴스
ATAGI statement on AstraZeneca vaccine in response to new vaccine safety concerns
https://www.health.g[...]
2021-04-08
[56]
뉴스
People under 50 turned away from Melbourne vaccination centre after new AstraZeneca advice
https://www.abc.net.[...]
2021-04-09
[57]
논문
Clinical Features of Vaccine-Induced Immune Thrombocytopenia and Thrombosis
2021-10-01
[58]
웹인용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https://terms.naver.[...]
2021-11-21
[59]
웹인용
데일리메디 AZ백신 국내 첫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례 확인
http://www.dailymedi[...]
2021-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