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드 (노르드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드(Hǫðr)는 노르드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전사'를 의미하며 발드르를 죽인 맹인 신으로 묘사된다. 《고 에다》에서는 라그나로크 이후 발드르와 함께 부활하여 새로운 세계를 다스릴 것이 예언되며, 《산문 에다》에서는 로키의 계략에 속아 겨우살이로 발드르를 죽이고 동생 바리에 의해 살해당한다.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데인인의 사적》에서는 인간 영웅 호테루스로 등장하여 발데루스와 대립하며, 《Hversu Noregr byggðist》에서는 하델란의 통치자로 묘사된다. 빅토르 뤼드베리는 호드를 로키의 도구로 해석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드르 - 포르세티
포르세티는 북유럽 신화에서 정의와 화해를 주관하는 아시르 신족의 신으로, 글리트니르 궁전에서 재판을 주관하며 프리슬란트 지역의 신 포시테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 발드르 - 소크
톡크는 북유럽 신화에서 발드르의 귀환을 막은 거인 여성으로, 발드르를 위한 눈물을 거부하여 그의 부활을 좌절시켰으며, 로키로 추정되기도 한다. - 데인인의 신화적 왕 - 구드프레드
구드프레드는 8세기 말에서 9세기 초에 덴마크를 통치하며 샤를마뉴와 대립하고, 오보트리테족을 공격했으며, 다네비르케 방벽 강화와 헤데비 확장 등 왕국 방어에 힘썼으나 암살당한 왕이다. - 데인인의 신화적 왕 - 흐로드가르
흐로드가르는 앵글로색슨 문학 《베오울프》에 등장하는 덴마크의 왕으로, 괴물 그렌델의 공격을 받아 게아트족 영웅 베오울프의 도움을 받는다. - 살해된 신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살해된 신 - 프레이
프레이는 풍요, 다산, 평화를 주관하는 바니르 신족의 주요 신으로, 뇨르드의 아들이자 프레이야의 오빠이며, 게르드와 결혼하여 피요르니르를 낳았고, 스키드블라드니르, 굴린부르스티 등의 신성한 물건들을 소유하고 라그나로크에서 수르트와 싸우는 운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스웨덴 왕조의 시조로 묘사되기도 한다.
호드 (노르드 신화)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호드르 |
문화 | 노르드 신화 |
역할 | 겨울, 어둠, 영웅, 전사, 운명, 불화의 신 |
상징 | 미 mist, 화살 |
가족 | 아버지: 오딘 어머니: 프리그 형제: 발드르, 헤르모드, 뫼닐, 브라기, 토르, 티르, 비다르, 발리 |
이름 | |
로마자 표기 | Hodeu |
데인인의 사적 | |
전임자 | 흐롤프 크라키 |
후임자 | 흐뢰레크 링그슬링게르 |
대수 | 13 |
직책 | 데인인의 왕 |
2. 이름
학자 앤디 오차드에 따르면, 신의 이름인 ''호드''(Hǫðr)는 '전사'로 번역될 수 있다. 얀 데 브리스와 블라디미르 오렐은 이 이름이 고대 노르드어 ''hǫð'' ('전쟁, 살육')와 유사하며, 고대 영어 ''heaðu-deór'' ('전쟁에서 용감하고 튼튼한')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원시 게르만어 ''*haþuz'' ('전투'; 고대 고지 독일어 ''hadu''-, 고대 작센어 ''hathu''-, 고대 프리지아어 ''-had'', 부르군트어 *''haþus'')에서 유래되었다고 적고 있다.
로키에게 속아 형제인 선신 발드르를 그의 유일한 약점인 겨우살이(미스틸테인)로 쏘아 죽게 만들었다. 이 일로 인해 후에 발드르의 동생인 바리에게 복수당해 살해당했다. 하지만 라그나로크 이후에는 발드르와 함께 부활하여 화해하고, 새로운 세계를 다스리는 젊은 신들 중 한 명이 된다고 전해진다.
3. 신화 속 등장
『시어법』에서는 호드를 나타내는 케닝(은유적 표현)으로 "눈먼 아스", "겨우살이를 쏘는 자", "바리의 적" 등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저술한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에서는 호드가 인간 영웅 호텔스[33](Høtherus) 또는 호텔[34](Høther)로 등장한다. 이 이야기에서 그는 숲에 사는 신 사출르누스에게서 미밍이라는 신검을 얻어, 약혼녀 난나를 두고 경쟁하던 반신 발데루스(Balderus) 및 오티누스, 토르와 같은 신들과 싸운다. 결국 호텔스는 발데루스를 죽이지만, 발데루스의 복수를 위해 나선 보우스(발리, Bous)와의 싸움에서 함께 목숨을 잃는다.[35]
3. 1. 《고 에다》
호드는 여러 번 시 에다에서 언급되며, 항상 발드르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 다음 구절은 무녀의 예언에서 발췌한 것이다.
이 이야기는 신 에다에 있는 정보와 잘 들어맞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기서는 발드르의 복수하는 형제(발리)의 역할이 강조된다.
발드르와 호드는 또한 라그나로크 이후의 세계에 대한 ''무녀의 예언''의 묘사에서도 언급된다.
시 ''바프스루드니르말''은 라그나로크에서 살아남는 신들이 비다르, 발리, 모디와 마그니이며 호드와 발드르는 언급되지 않는다고 알려준다.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신화는 또 다른 에다 시인 ''발드르의 꿈''에서도 언급된다.
호드는 에다에서 이름으로 다시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는 ''짧은 무녀의 예언''에서 언급된다.
로키에게 속아 형제인 선신 발드르를 그의 유일한 약점인 겨우살이(미스틸테인)로 꿰뚫었다. 후에 동생인 발리에게 복수당해 살해당했다. 라그나로크 이후에는 발드르와 함께 부활하여 화해하고 새로운 세계를 다스리는 젊은 신들 중 한 명이 된다.
또한 『시어법』에서는 호드를 나타내는 케닝으로 "눈먼 아스," "발드르의 살해자," "겨우살이를 쏘는 자," "발리의 적" 등을 소개하고 있다.
3. 2. 《산문 에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산문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 부분에서 호드는 불길하게 소개된다. 그는 아스 중 하나로, 맹인이지만 강한 힘을 지녔다. 그러나 신들은 그의 이름을 부를 일이 없기를 바랐는데, 이는 그의 손으로 벌어진 일이 신들과 인간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기억될 비극이었기 때문이다.[6]호드는 발드르의 죽음 이야기가 나올 때까지 다시 언급되지 않는다. 발드르는 겨우살이를 제외한 세상 모든 것으로부터 해를 입지 않으리라는 맹세를 받았기에, 신들은 장난삼아 그에게 여러 물건을 던지며 놀았다. 이때 로키가 겨우살이를 가져와 팅으로 갔다. 맹인이라 멀리 서 있던 호드에게 로키가 다가가 왜 발드르에게 무언가를 던져 경의를 표하지 않느냐고 묻는다. 호드가 자신은 앞을 보지 못하고 무기도 없다고 답하자, 로키는 자신이 발드르의 위치를 알려줄 테니 이 겨우살이 가지를 던지라고 부추겼다. 호드는 로키의 말대로 겨우살이를 던졌고, 이는 발드르를 꿰뚫어 그를 죽게 만들었다. 이는 신들과 인간들에게 일어난 가장 큰 불행으로 여겨졌다.[8]
발드르가 쓰러지자 신들은 큰 충격에 빠졌지만, 그곳이 신성한 장소였기에 아무도 즉시 복수할 수 없었다.[8] ''길피의 속임수''는 이후 호드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지만, 라그나로크 이후의 세계를 묘사하는 부분에서 그가 헬에서 돌아온다고 언급한다. 그때 호드는 발드르와 함께 앉아 서로 이야기하며 과거의 비밀스러운 지혜와 미드가르드 뱀, 펜리르 등에 대해 논할 것이라고 예언된다.[10] 이는 고 에다의 ''볼루스파''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산문 에다의 ''스칼드샤파르말'' 부분에서는 호드를 가리키는 여러 케이닝(은유적 표현)이 소개된다. "맹목적인 신", "발드르의 살해자", "겨우살이의 던지는 자", "오딘의 아들", "헬의 동료", "발리의 적" 등이 그것이다.[12] 이러한 케닝은 현존하는 스칼드 시에서는 직접 발견되지 않는다. 스노리는 발리에 대한 케닝도 제시하는데, "오딘과 린드의 아들", "프리그의 의붓아들", "아시르의 형제", "발드르의 복수자", "호드의 적이자 살해자" 등으로 묘사된다.[12]
이를 통해 스노리는 발리가 호드를 죽여 발드르의 복수를 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지만,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그 내용을 직접 서술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스노리가 자신의 이야기 속에서 호드를 로키에게 속아 의도치 않게 비극을 저지른, 본질적으로 죄가 없는 존재로 묘사했기 때문에 발리에 의한 복수 이야기를 불쾌하게 여겨 생략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14]
3. 3. 스칼드 시가
호드르(회드르)의 이름은 스칼드 시가에서 전사를 나타내는 케닝의 일부로 여러 차례 등장한다.[20][21] 예를 들어, Höðr brynju|호드르 브린유non는 "고리의 회드르"라는 뜻으로 전사를 의미하며, Höðr víga|호드르 비가non는 "전투의 회드르"를 뜻한다.일부 학자들은 시인들이 호드르를 용맹한 전사에 비유하는 것이 스노리 스투를루손이 《길피의 속임수》에서 묘사한 모습, 즉 다른 이의 도움 없이는 누구도 해칠 수 없는 눈먼 신이라는 설정과 잘 맞지 않는다고 지적한다.[22] 이는 당시 일부 시인들이 《길피의 속임수》에 나오는 이야기 외에 호드르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다른 신화를 알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신들의 이름이 케닝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시인들이 케닝의 일부로 특정 신의 이름을 사용하는 데 큰 의미를 두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해석도 있다.[22]
또한, 《시어법》에서는 호드르를 가리키는 케닝으로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소개하고 있다.
- "눈먼 아스"
- "겨우살이를 쏘는 자"
- "바리의 적"
3. 4. 《데인인의 사적》
삭소 그라마티쿠스(Saxo Grammaticus)가 저술한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Gesta Danorum'')에서는 호드(Hǫðr)가 호테루스(Hotherus)라는 이름의 인간 영웅으로 등장한다. 그는 덴마크와 스웨덴 왕가의 인물로, 스웨덴 왕 호트브로드(Hothbrodd)의 아들이자 아티슬(Athisl)의 형제이다. 호테루스는 나중에 찬탈자 히아르투아르(Hiartuar)가 죽은 후 스웨덴과 덴마크의 지배자가 되지만, 『데인인의 사적』에 기록된 그의 이야기는 주로 왕이 되기 전 젊은 시절에 초점을 맞춘다.
호테루스는 수영, 궁술, 싸움, 음악 등 다방면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며, 왕 게바루스(Gevarus)의 딸 난나(Nanna)는 그를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오디누스(Odinus)의 아들인 발데루스(Balderus) 역시 목욕하는 난나를 보고 첫눈에 반해 그녀에게 강한 집착을 보이며, 경쟁자인 호테루스를 제거하기로 마음먹는다.
어느 날 사냥을 나섰던 호테루스는 짙은 안개 속에서 길을 잃고 전쟁의 운명을 관장하는 숲의 처녀들을 만나게 된다. 그들은 호테루스에게 발데루스가 난나를 원하고 있으며, 그가 반신(半神)이기에 평범한 방법으로는 해칠 수 없다고 경고한다. 이 말을 들은 호테루스는 게바루스 왕을 찾아가 딸과의 결혼을 청한다. 왕은 호테루스를 좋게 생각했지만, 발데루스 역시 같은 요청을 했기에 그의 분노를 살까 두려워했다. 대신 게바루스는 호테루스에게 발데루스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무기에 대해 알려주는데, 그것은 숲의 사티로스인 미밍구스(Mimingus)가 지키고 있는 특별한 검이었다. 미밍구스는 검 외에도 소유자의 부를 늘려주는 마법 팔찌도 가지고 있었다. 호테루스는 순록이 끄는 마차를 타고 혹독하게 추운 지역을 지나 교묘한 계략으로 미밍구스를 사로잡아 검과 팔찌를 손에 넣는다.
호테루스가 강력한 유물을 얻었다는 소식을 들은 작센의 왕 겔데루스(Gelderus)는 그를 공격하기 위해 함대를 준비한다. 게바루스는 호테루스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전투 장소를 알려준다. 전투가 시작되자 호테루스와 그의 군대는 테스투도(testudo) 진형을 이루어 적의 미사일 공격을 막아내며 자신들의 투사 무기는 아꼈다. 결국 무기가 떨어진 겔데루스는 평화를 간청할 수밖에 없었고, 호테루스는 그를 용서하고 동맹으로 삼는다. 또한 호테루스는 뛰어난 언변으로 호갈란트(Hålogaland)의 헬고(Helgo) 왕이 신부를 얻도록 도와 또 다른 동맹을 확보한다.
한편, 발데루스는 무장한 채 게바루스 왕의 영토로 들어가 난나를 요구한다. 게바루스는 그에게 난나의 의사를 직접 물어보라고 답한다. 발데루스는 감언이설로 설득하려 했지만 거절당했다. 난나는 발데루스가 반신이기 때문에 인간인 자신과는 본성과 지위가 너무 달라 결혼에 적합하지 않다고 말한다.
발데루스의 행동을 전해 들은 호테루스는 동맹들과 함께 그를 공격하기로 결정한다. 대규모 해전이 벌어졌고, 신들이 발데루스의 편에서 싸웠다. 특히 토르(Thor)는 강력한 곤봉으로 적들을 무참히 쓰러뜨렸다. 전세가 불리해지자 호테루스는 기지를 발휘하여 토르의 곤봉 자루를 잘라냈고, 신들은 어쩔 수 없이 후퇴한다. 이 전투에서 동맹 겔데루스는 목숨을 잃었고, 호테루스는 그를 위해 성대한 선박 장례를 치러준다. 전투 후 호테루스는 마침내 난나와 결혼한다.
그러나 발데루스는 완전히 패배한 것이 아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다시 돌아와 육지 전투에서 호테루스를 패배시킨다. 하지만 난나를 얻지 못한 발데루스의 승리는 공허했다. 그는 난나에 대한 상심으로 인해 그녀의 환영에 시달리게 되었고,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어 걷지 못하고 수레에 실려 다녀야 했다.
이후 호테루스는 자신의 아버지를 죽인 롤프 크라키 왕(King Rolf Kraki)이 사망했다는 소식을 듣고 함대를 이끌고 덴마크로 가 왕으로 추대된다. 얼마 지나지 않아 형 아티슬의 죽음 소식을 듣고 스웨덴의 왕위까지 계승하게 된다.
시간이 흘러 호테루스와 발데루스는 세 번째로 격돌했고, 호테루스는 또다시 후퇴해야 했다. 불운한 삶에 지친 그는 왕위에서 물러날 것을 생각하며 황야를 방황한다. 그는 그곳에서 과거에 만났던 숲의 처녀들을 다시 만난다. 처녀들은 발데루스의 힘을 강화시키는 특별한 음식이 있으며, 그것을 맛보면 그를 이길 수 있다고 알려준다.
이 말에 용기를 얻은 호테루스는 망명 생활을 끝내고 돌아와 다시 발데루스와 맞선다. 하루 동안의 격렬한 전투 후, 그는 밤을 틈타 적진을 정탐한다. 그는 발데루스의 마법 음식이 준비되는 곳을 찾아내고, 음식을 준비하는 처녀들을 위해 리라를 연주한다. 처녀들은 음식을 내주지는 않았지만, 대신 승리를 보장하는 마법 허리띠를 그에게 준다.
진영으로 돌아가던 길에 호테루스는 발데루스와 마주치고, 미밍구스의 검으로 그의 옆구리를 찌른다. 치명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발데루스는 들것에 실려서라도 전투에 참여하겠다고 고집한다. 그러나 3일 후, 발데루스는 결국 상처로 인해 사망한다.
수년 후, 오디누스와 린다(Rinda)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부스(Bous, 발리에 해당)가 형의 복수를 위해 나타나 호테루스와 싸운다. 호테루스는 자신이 전투에서 죽을 것을 예감하고 원로 회의에 자신의 아들 로릭(Rorik)에게 왕위를 물려줄 것을 요청하여 승인받는다. 호테루스는 부스와의 전투에서 싸우다 죽지만, 부스 역시 다음 날 전투에서 입은 부상으로 사망한다.[23] 『데인인의 사적』에 따르면 호테루스[33][34]는 인간 영웅으로서, 숲의 사티로스 미밍구스에게서 얻은 특별한 검을 가지고 약혼녀 난나를 탐하는 반신 발데루스 및 오티누스, 토르와 같은 신들과 대등하게 싸우며 결국 발데루스를 죽인다. 그러나 그는 결국 발데루스의 복수를 위해 나선 보우스와의 싸움에서 함께 목숨을 잃는다.[35]
3. 5. 《Gesta Danorum på danskæ》
''Gesta Danorum på danskæ''는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Gesta Danorum''과 ''Chronicon Lethrense''라는 또 다른 라틴 연대기를 기반으로 한 고대 덴마크어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호드가 발데르를 살해한 사건에 대한 두 번째로 간결하고 유헤메리즘화된 설명이 포함되어 있다.[24] 내용은 다음과 같다.Gesta Danorum på danskæ (사본 B 77)[25] | Gesta Danorum på danskæ (사본 C 67)[26] | Deeds of the Danes in Danish (피터 턴스톨의 번역)[27] |
---|---|---|
시덴 와르 호데르 코눙, 호드브로드의 아들, 하딩 코눙의 딸의 아들, 왜냐하면 그가 가장 가까운 상속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삭스랜드에서 왕이었다. 그는 발다르, 오덴의 아들을 싸움에서 죽였고, 오덴과 토르와 그의 동료들을 쫓아냈다. 그들은 [구테로부터 왔고, 그렇지만 그들은 그러지 않았다… 시덴, 그는 봇의 아들인 싸움에서 죽었다. | 시텐 와르 호타르 코눙, 호트브로드의 아들, 하딩의 딸의 아들, 그가 가장 가까운 상속자였기 때문이다. 그는 삭스랜드의 왕이었다 [싸움에서. 그는 발다르, 오덴의 아들을 싸움에서 죽였고, 오덴, 토르와 그들의 동료들을 쫓아냈다, 그들은 구테로 여겨졌고 그러지 않았다. [그는 그의 형제의 죽음 이후 스웨리케를 얻었다. 시덴, 그는 오덴의 아들인 봇에게 싸움에서 죽었다. | 호드브로드의 아들 호테르는 왕이었고, 하딩의 딸의 아들이었으며, 그는 가장 가까운 상속자였다. 그는 작스랜드의 왕이었다. 그는 오딘의 아들 발데르를 전투에서 죽였고, 오딘과 토르와 그의 동료들을 쫓아냈다. 그들은 신으로 여겨졌지만 그렇지 않았다. 나중에 그는 오딘의 아들 보트에게 전투에서 죽었다. |
이후 호테르의 아들인 로릭 슬렝에보레(Rørik Slængeborræ), 즉 레이크(Rake)가 왕이 되었다.[27]
삭소 그라마티쿠스가 저술한 역사서 『데인인의 사적』에서는 인간 영웅 호텔스[33](Høtherus) 또는 호텔[34](Høther)로 등장한다. 그는 숲의 신 사투르누스의 검 미밍(Mimung)을 손에 넣는다. 약혼녀 난나를 두고 경쟁하던 반신 발데르(Balderus)에게 분노하여, 오딘(Othinus)이나 토르(Thor)와 같은 신들을 상대로 싸워 결국 발데르를 죽인다. 그러나 이후 오딘과 린다(린드, Rinda)의 아들인 보우스(발리, Bous)와의 싸움에서 함께 죽음을 맞이한다.[35]
3. 6. 《Hversu Noregr byggðist》
호드는 ''Hversu Noregr byggðist''(노르웨이가 어떻게 정착되었는가)의 계보에 등장한다. Gesta Danorum에서는 다르게 묘사되지만, 이 이야기에서 그는 하델란의 통치자이자 호드브로르의 아버지이다. 호드브로르의 후손들은 6대에 걸쳐 묘사되며, 여기에는 흐로문다르 사가 그리프소나르도 포함된다.[28]이 문헌에서 호드의 부모가 누구인지는 명확히 언급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는 구드뢰드의 딸인 아내 힐다(Hildr)를 통해 라움 더 올드의 두 번째 적법한 아들인 하우크(Haukr)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다. 그 근거는 라움 더 올드가 힐다와의 사이에서 네 아들을 두었고, 이 언급 이후 네 명의 남성에서 비롯된 네 개의 가계가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 가계들은 호드가 하우크 대신 그 자리를 차지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같은 순서로 라움과 힐다의 네 아들들과 일치한다.
4. 현대적 해석
스웨덴의 신화학자이자 낭만주의 시인인 빅토르 뤼드베리는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가 서기 990년경 울프르 우가손이 지은 시 ''후스드라파''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29] 이 시는 아이슬란드의 족장 올라프 호스쿨드손이 자신의 새 집 히아르다르홀트 완공을 기념하며 연 연회에서 낭송되었는데, 히아르다르홀트의 벽에는 발드르 신화와 관련된 상징적인 그림들이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뤼드베리는 호드가 눈을 감고 로키가 그의 조준을 돕는 장면은 로키가 발드르 죽음의 실질적인 원인이며, 호드는 단지 로키의 "맹목적인 도구"에 불과하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해석했다. 그는 ''길피의 속임수''의 저자가 후스드라파에 묘사된 이러한 상징적인 예술 작품을 발드르의 죽음에 대한 실제 이야기로 잘못 이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참조
[1]
웹사이트
Gesta Danorum
https://norse.ulver.[...]
Saxo Grammaticus
[2]
서적
D'Aulaires' Book of Norse Myths
https://books.google[...]
New York Review of Books
2020-10-26
[3]
서적
Norse Magic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2020-10-26
[4]
서적
Goddess of the North: A Comprehensive Exploration of the Norse Goddesses, from Antiquity to the Modern Age
https://books.google[...]
Weiser Books
2020-10-26
[5]
웹사이트
Gylfaginning [R]: 23–32
http://www.hi.is/~ey[...]
2005-10-08
[6]
웹사이트
Gylfaginning 21–30
http://www.voluspa.o[...]
2011-01-19
[7]
웹사이트
Gylfaginning [R]: 49–50
http://www.hi.is/~ey[...]
2005-10-08
[8]
웹사이트
Gylfaginning 41–50
http://www.voluspa.o[...]
2011-01-19
[9]
웹사이트
Gylfaginning 51
http://www.hi.is/~ey[...]
[10]
웹사이트
Gylfaginning 51–54
http://www.voluspa.o[...]
2011-01-19
[11]
웹사이트
Skáldskaparmál – heimskringla.no
http://www.heimskrin[...]
[12]
웹사이트
Skáldskaparmál 11–20
http://www.voluspa.o[...]
2011-01-19
[13]
웹사이트
skaldskaparmal
http://www.heimskrin[...]
[14]
간행물
Divine and Human, Living and Dead
https://www.jstor.or[...]
2019
[15]
웹사이트
Konungsbók ! Hauksbók ! Combined ! Gylfaginning + Variants
http://www.hi.is/~ey[...]
2005-10-08
[16]
웹사이트
The Poetic Edda: Voluspo
http://www.sacred-te[...]
2005-10-08
[17]
웹사이트
The Elder Eddas [!] of Saemund Sigfusson
https://books.google[...]
2020-10-26
[18]
웹사이트
Heimskringla.no – Eddukvæði : Vegtamskviða
http://www.heimskrin[...]
2022-05-14
[19]
웹사이트
Heimskringla.no – Eddukvæði : Völuspá in Skamma
http://www.heimskrin[...]
2022-05-14
[20]
웹사이트
NORSE GODS: HÖÐR – Ýdalir
https://ydalir.ca/no[...]
2023-07-10
[21]
웹사이트
Hurstwic: Skaldic Poetry
https://www.hurstwic[...]
2023-07-10
[22]
서적
Vikings and the Danelaw
https://www.jstor.or[...]
Oxbow Books
2001
[23]
문서
The Danish History, Books I-IX
https://www.gutenber[...]
Oliver Elton
[24]
간행물
Princess Freawaru and Hamlet's Other Uncle
https://www.jstor.or[...]
2020
[25]
문서
Gesta Danorum pa danskæ. cod. Holm. B 77 og C 67
https://books.google[...]
Marcus Lorenzen
[26]
문서
Gesta Danorum pa danskæ. cod. Holm. B 77 og C 67
https://books.google[...]
Marcus Lorenzen
[27]
웹사이트
lejre
http://www.oe.eclips[...]
2017-11-03
[28]
문서
Of Fornjot and his Kinsmen
http://www.germanicm[...]
George L. Hardman
[29]
문서
Investigations into Germanic Mythology
William P. Reaves
[30]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1]
문서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32]
문서
スノリ『エッダ』「詩語法」訳注
谷口幸男
[33]
서적
北欧神話
東京書籍
1984
[34]
문서
デンマーク人の事績
[35]
문서
デンマーク人の事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