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가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가권은 명나라 말 청나라 초 홍희관이 지선선사로부터 소림 무공을 전수받아 창시한 중국 무술이다. 호학권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명나라를 기리는 의미의 '홍' 자를 사용하고, 황비홍을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홍가권은 강(剛)을 위주로 하며, 일지수, 공자복호권, 호학쌍형권, 철선권 등의 특징을 가진다. 홍가권은 영화와 만화에도 등장하며,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무술 - 중국 무술
    중국 무술은 자기 방어, 사냥 기술, 군사 훈련의 필요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다양한 격투 시스템과 무기술을 아우르는 용어로, 쿵푸와 우슈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림사, 도교 철학, 여러 유파를 거쳐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스포츠, 대중문화, 건강 증진 수단으로 세계에 보급되어 우슈라는 스포츠로도 발전했다.
  • 중국의 무술 - 절권도
    절권도는 이소룡이 창시한 무술로, 다양한 무술의 요소를 융합하여 '무법으로써 유법을 삼고, 무한으로써 유한을 삼는다'는 철학을 바탕으로 변화와 발전을 지향하며, 이소룡 사후 여러 분파로 나뉘어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원별 무술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기원별 무술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 무술에 관한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무술에 관한 - 종합격투기
    종합격투기는 타격과 그래플링 기술을 모두 활용하는 격투 스포츠로, 고대 판크라티온 등에서 기원하여 발리 투두, 프로레슬링 등을 거쳐 발전했으며, UFC 출범 후 대중적 인기를 얻어 현재는 통합 규칙을 따르는 UFC, 벨라토르 MMA, 원 챔피언십 등이 주요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홍가권
개요
이름홍가권 (洪家拳)
로마자 표기Hong Ga Gwon
다른 이름홍가 (洪家)
홍권 (洪拳)
홍가권 (Hung Ga Kuen)
홍가르 (Hung Gar)
홍가르권 (Hung Gar Kuen)
의미홍가 (洪家): 홍씨 가문, 홍권 (洪拳): 거대한 주먹
특징
주요 기술타격
창시 국가중국
역사
창시자홍희관
기원소림권법, 남권, 오형, 백호파 (白虎派), 복건백학권, 목가권 (황비홍 계보에 추가 영향)
파생 무술채가권
불가권
홍불권
조가권
영향
관련 무술중국 무술
주요 인물
유명 수련자(하단 참조)
기타
올림픽 종목아니오

2. 역사

홍가권의 역사는 17세기 청나라 시기 중국 남부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설에 따르면, 복건성 남소림사의 승려였던 지선선사(至善禪師)가 홍가권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 소림사만주족청나라 통치에 반대하는 인물들의 은신처였으며, 무술 수련은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소림사가 불타자 많은 이들이 지선선사와 함께 남소림사로 피신했고, 그곳에서 지선선사는 속가 제자들에게도 소림 무술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7]

차 상인이었던 홍희관(洪熙官)은 지선선사의 가장 뛰어난 제자로 알려져 있다. 홍희관은 스승에게 배운 소림 무술을 바탕으로 홍가권을 창시했다고 여겨진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홍희관은 소림의 호권(虎拳)과 아내 방영춘(方永春, 학권(鶴拳)의 명수)에게 배운 학권을 결합하여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을 만들었으며, 이것이 홍가권의 핵심이 되었다고 한다.[8] 이 때문에 홍가권은 호랑이의 강맹함과 학의 유연함을 동시에 갖추어 음양(陰陽)의 조화를 이루는 권법으로 평가받는다.

'홍(洪)'이라는 명칭은 명나라를 세운 홍무제연호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만주족청나라에 반대하며 명나라 부흥을 꾀했던 한족 비밀결사 홍문(洪門)은 소림사 파괴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결성했다고 주장했으며, 이들이 수련한 무술을 '홍가(洪家)' 또는 '홍권(洪拳)'이라 불렀다. 홍희관이라는 이름 자체도 명나라 초대 황제를 기리기 위한 가명이라는 설이 있을 정도로, 홍가권은 초기부터 반청복명(反淸復明)의 기치를 내건 저항 세력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발전했다.

명나라 시대에 산시성에서는 홍가권을 바탕으로 다른 무술을 조합하여 새로운 무술이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타이완에서는 반청 운동가로 알려진 정성공이 세운 조직을 통해 중국 남방으로 널리 퍼져나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홍가권은 크게 황비홍(黃飛鴻) 이전의 '노홍권(老洪拳)'과 황비홍 이후의 '신파 홍권(新派洪拳)'으로 나뉜다. 현대 홍가권의 발전과 대중화에는 광둥성의 민간 영웅으로 추앙받는 황비홍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황비홍은 아버지 황기영(黃麒英)으로부터 가문의 홍가권을 전수받고, 여러 스승에게 다양한 권법과 기술을 배워 이를 홍가권에 통합하고 개량하여 오늘날과 같은 체계를 완성했다. 그의 대에 이르러 홍가권은 광둥성을 대표하는 무술로 명성을 떨쳤다.

2. 1. 기원

홍가권의 역사는 명나라청나라 초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정설에 따르면, 복건성 남소림사의 속가 제자였던 홍희관(洪熙官)이 소림 무공의 달인이자 고승인 지선선사(至善禪師)로부터 소림의 무공을 전수받은 것에서 시작된다.[7] 홍희관은 스승에게 배운 권법을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개량하고 스승의 조언을 구해 새로운 권법을 창안했으며, 여기에 자신의 성씨인 '홍(洪)'을 붙여 홍가권(洪家拳)이라 이름 지었다.

전설에 따르면, 홍가권의 등장은 17세기 중국 남부에서 활동한 소림사 승려 지선선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청나라의 압제 시기, 소림사는 만주족 통치에 반대하는 이들의 은신처가 되었고, 무술 수련 역시 은밀하게 이루어졌다. 소림사가 불타자 지선선사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복건성의 남소림사로 피신했다. 그곳에서 지선선사는 소림쿵푸 기술을 승려뿐만 아니라 속가 제자들에게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차 상인이었던 홍희관 역시 남소림사로 피신하여 지선선사 밑에서 수련했으며, 그의 가장 뛰어난 제자가 되었다.

다른 전설에 따르면, 지선선사는 홍희관 외에도 네 명의 뛰어난 제자를 더 두었는데, 이들이 남파 소림 무술의 다섯 가문(홍가, 채가, 목가, 이가, 유가)을 열었다고도 한다.[7]

또 다른 기원 전설 중 하나는 홍희관이 소림의 호형권(伏虎拳, 복호권)과 그의 아내에게서 배운 학형권(白鶴拳, 백학권)을 결합하여 홍가권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홍희관의 아내 방영춘(方永春, 방칠낭(方七娘)으로 추정되기도 함)은 학권의 명수였으며, 방세옥(方世玉, 홍희관의 동문)과 친척 관계였다고 한다. 이 때문에 홍가권은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으로도 불리며, 호랑이와 학의 특징적인 움직임을 통해 음양(陰陽) 사상을 담고 있다.[8]

'홍(洪)'이라는 글자는 명나라를 세운 홍무제연호에 쓰였기 때문에,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반대하는 한족 세력에게 중요한 상징이 되었다. 반청(反淸) 비밀결사인 홍문(洪門)은 소림사 파괴에서 살아남은 이들이 결성했다고 주장했으며, 이들이 수련한 무술을 '홍가(洪家)' 또는 '홍권(洪拳)'이라 불렀다. 홍희관이라는 이름 자체도 명나라 초대 황제를 기리기 위한 가명이라는 설도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홍가권은 반청복명(反淸復明)을 기치로 내건 비밀결사 사이에서 널리 수련되었다.

홍가권은 크게 황비홍 이전의 '노홍권(老洪拳)'과 황비홍 이후의 '신파 홍권(新派洪拳)'으로 나누기도 한다. 현대 홍가권의 발전과 대중화에는 광둥성의 민간 영웅 황비홍의 역할이 컸다.

홍가권은 광둥성의 5대 명권(남파 5대 명가: 홍가권, 유가권, 이가권, 채가권, 맥가권) 중 으뜸으로 꼽히며, 중국에서는 정의로운 영웅과 혁명 투사들이 익힌 권법이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2. 2. 발전

홍희관지선선사로부터 전수받은 《소림십팔나한복호권》(少林十八羅漢伏虎拳)을 개량하여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을 창안했다. 이 투로(套路)는 그 형태가 공(工)자를 띠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강맹함과 쾌속함을 추구하는 홍가권의 가장 기초적인 권법으로 알려져 있다. 공자복호권은 홍가권의 기본 기술을 가르치고 지구력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또한 홍희관은 홍가권의 유명 투로이자 실전 기술이 집약된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을 창안했다. 호학쌍형권의 창안 배경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두 가지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소림오권(少林五拳)에 포함된 호권(虎拳)과 학권(鶴拳)을 기반으로 창안했다는 설이다. 지선선사로부터 호권을 배운 홍희관이 학권의 고수인 아내 방영춘(方永春)에게 학권을 배워 호권의 강맹함을 보완했고, 스승과 사제 방세옥(方世玉)을 죽인 청조의 앞잡이 백미도인(白眉道人) 및 그의 제자 풍도덕(馮道德)과 싸우면서 즉흥적으로 호권과 학권을 결합하여 승리했다. 이후 이 기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호학쌍형권을 완성했다는 것이다.[8]
  • 둘째, 영춘권(詠春拳) 고수와의 대결 후 창안했다는 설이다. 홍희관이 영춘권 고수와 싸우던 중 즉흥적으로 호권과 학권을 결합하여 승리하였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호학쌍형권을 창안했다는 이야기다.


홍가권은 여러 세대를 거쳐 마침내 황비홍(黃飛鴻)에게 전수되었다. 황비홍은 광동십호(廣東十虎) 중 한 명이었던 아버지 황기영(黃驥英)으로부터 가문의 홍가권을 익혔다. 그는 전수받은 홍가권을 다시 개량하여 불필요한 동작을 없애고 새로운 형태를 추가했다. 특히 공자복호권과 호학쌍형권은 황비홍에 의해 크게 개량되어, 허점이 많은 동작이 배제되고 실용적인 동작으로 개편되었다.

황비홍은 기존 홍가권 외에도 여러 스승으로부터 다양한 권법과 기술을 배워 홍가권에 통합시켰다.

스승전수받은 권법/기술
소걸아(蘇乞兒)《취팔선권》(醉八仙拳)
임복성(林福成) (철교삼(鐵橋三)의 제자)철선권》(鐵線拳), 《비타》(飛砣)
송휘당(宋輝鏜)《무영각》(無影脚)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황비홍은 오늘날 홍가권의 체계를 완성시켰으며, 새롭게 추가된 권법들로 인해 교습 체계가 완비되어 근대 홍가권의 맥을 형성했다. 이 때문에 황비홍 계보의 제자들은 그를 사실상 근대 홍가권의 시조로 여기고 있다. 황비홍 대에 이르러 홍가권은 채리불권(蔡李佛拳), 영춘권(詠春拳) 등 다른 남파 권법들을 누르고 영남 제일의 무술로 명성을 떨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황비홍은 홍가권의 일대종사(一代宗師)이자 중흥조로 추앙받는다.

황비홍 계열 홍가권의 핵심적인 4가지 수련 형(수공형)은 다음과 같다.


  • '''공자복호권 (工字伏虎拳)'''

: 홍가권의 기본기를 다지고 체력을 기르는 형이다. 발놀림이 공(工)자와 유사한 경로를 따른다. 최소 지선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가 홍희관 등에게 전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호학쌍형권 (虎鶴雙形拳)'''

: 공자복호권을 바탕으로 기술의 폭을 넓히는 형이다. 황비홍은 철교삼의 교수(橋手, 브릿지 핸드) 기술과 하반신 단련법(뿌리내림), 그리고 다른 문파(팻가, 나한, 라마)의 장권(長拳, 긴 팔) 기술을 호학쌍형권에 융합시켰다고 전해진다.

  • '''오형권 (五形拳) / 오형오행권 (五形五行拳)'''

: 호학쌍형권의 외적인 힘과 철선권의 내적인 힘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는 형이다. 남파 무술의 특징적인 오형(五形: 용, 뱀, 호랑이, 표범, 학)과 오행(五行: 흙, 물, 불, 쇠, 나무)의 원리를 담고 있다. 황비홍이 오형권을 만들었고, 그의 수제자인 람 사이윙(林世榮)이 이를 오형오행권(십형권)으로 확장했다. 람 사이윙 계열에서는 오형오행권이 오형권을 대체했다.

  • '''철선권 (鐵線拳)'''

: 내력(內力)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 형으로, 광동십호 중 한 명인 철교삼(鐵橋三, 본명 량쿤/梁坤, 1815–1887)에게서 유래했다. 황비홍은 십대 시절 철교삼의 제자인 임복성(林福成)에게서 이를 배웠다. 철선권은 기공(氣功) 수련과 등척성 운동(특히 동적 긴장)을 결합한 형태이며, 전통적으로 손목에 철환(鐵環)을 차고 수련했다. 꾸준히 수련하면 상당한 힘과 안정적인 자세(뿌리)를 기를 수 있으나, 수련을 중단하면 효과가 빠르게 사라진다.

2. 3. 현대

현대 시대에 홍가권의 인기는 주로 홍가권의 대가인 광둥 민간 영웅 황비홍과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 홍가권은 역사 속 영웅이나 혁명 투사들이 사용한 권법으로 인식되어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쇼브라더스 영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지도와 인기가 매우 높다. 전란이나 정변을 피해 외국으로 이주한 무술가나 화교를 호위하던 경호원 중 홍가권 수련자가 많았기 때문에, 세계 각지의 차이나타운에는 홍가권 도장이 다수 존재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황비홍의 제자들이 전 세계 각지에 홍가권을 보급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황비홍의 수제자인 임세영(林世英)과 그의 마지막 아내인 막계란(莫桂蘭)은 홍콩에 자리를 잡고 황비홍의 홍가권을 전수하며 대를 이어왔다. 이 외에도 유럽 등지로 건너간 다른 제자들이 서양에서도 활발하게 홍가권을 보급하였다.

대만에서는 황비홍이 수군 무예 교관 시절부터 그를 따라다니며 홍가권을 배운 대만 수군 출신의 임가곤(林家坤)이 황비홍의 홍가권을 보급했다. 복건성 출신의 장극치(張克治)는 임가곤으로부터 홍가권을 전수받아 대만에서 제자들을 양성하였다. 장극치의 제자 중에는 화교 출신의 한국 무술가 필서신(畢庶信) 관장이 있으며, 그는 현재 대한민국 인천 차이나타운 근처에서 홍가권을 전수하고 있다.

3. 권법의 특징 및 체계

홍가권은 명말 청초 반청복명(反淸復明)을 기치로 내건 혁명 투사들이 연마했던 남파 권법의 한 종류이다. 당시 혁명 투사들은 오랜 시간 꾸준히 무술을 수련할 여건이 되지 않았기에, 단기간에 실전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권법이 필요했고 홍가권은 이러한 요구에 부합했다. 따라서 홍가권은 상당한 체력 단련과 실전성을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5]

홍가권의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소림 권법과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고안된 고유 수형(手形)인 일지수(一指手)가 있다. 전반적인 무술 풍격은 강(剛)함을 위주로 하며, 상황에 따라 긴 팔과 큰 자세(장교대마, 長橋大馬중국어)를 활용한 원거리 공격(장수장공, 長手長攻중국어)과 짧은 팔과 좁은 자세(단교협마, 短橋狹馬중국어)를 이용한 근접 공방(점신공방, 貼身攻防중국어)을 모두 구사한다. 특히 강력한 하체 자세(마보, 馬步)와 팔뚝 기술(교수, 橋手) 단련을 중시하는데, 이는 '동교철마(銅橋鐵馬, 구리 같은 팔과 무쇠 같은 다리)'라는 용어로 상징된다.

수련 체계는 기초를 다지는 것에서 시작하여 점차 고급 기술로 나아간다. 입문자는 먼저 홍가권의 기본 자세와 체력을 기르는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을 익힌다. 이후 홍가권의 핵심 기술과 실전 감각을 연마하는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을 배운다. 고급 과정에는 내공과 외공을 함께 단련하는 철선권(鐵線拳)이 있으며, 이 세 가지 권법을 묶어 '''홍권삼보(洪拳三寶)'''라 부르며 홍가권의 정수로 여긴다. 이 외에도 동물의 움직임을 모방한 오형권(五形拳), 십형권(十形拳) 등 다양한 권법과 목인장(木人椿) 수련, 각종 무기술 등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가권의 교수(橋手) 운용 원칙으로는 '교래교상과(橋來橋上過중국어, 상대의 공격이 오면 그 위로 넘어간다), 무교자조교(無橋自造橋중국어, 공격이 없으면 스스로 만들어 공격한다)'가 있다.[5]

3. 1. 특징

홍가권은 명말 청초 반청복명(反淸復明)을 꾀하던 혁명 투사들이 배우던 권법으로, 단기간에 강해질 수 있는 실전성을 중시하여 상당한 체력과 단련을 요구한다.[5] 혁명 투사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장기간 수련이 어려웠기에 단기 속성으로 강해질 수 있는 홍가권이 적합했다.

홍가권의 대표적인 특징은 일지수(一指手)인데, 이는 소림 권법에서 유래했기에 이와 차별화하기 위해 창안된 홍가권 고유의 수형(手形)이다. 무술 풍격은 강(剛)을 위주로 하며, 장교대마(長橋大馬, 긴 팔과 큰 자세), 장수장공(長手長攻, 긴 손으로 길게 공격), 대개대합(大開大合, 크고 넓게 열고 닫음), 단교협마(短橋狹馬, 짧은 팔과 좁은 자세), 단교공격(短橋攻擊, 짧은 팔 공격), 점신공방(貼身攻防, 몸에 붙어 공격하고 방어) 등을 특징으로 한다.

홍가권은 강한 자세, 특히 사평마(四平馬|쓰핑마중국어)로 대표되는 낮은 자세를 강조한다. 이는 배 위에서의 싸움을 상정했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하체 단련(鐵馬)을 중시하는 남파 소림권의 전통을 따른다. 수련 시에는 먼저 기본 자세인 참장(站樁) 연습을 통해 하체를 튼튼하게 하고 양팔(銅橋)을 힘 있게 단련해야 한다(동교철마, 銅橋鐵馬). 기를 단전까지 내리고(氣息下沈), 수(手)의 변화와 민첩성(變化靈活)을 연마한 후 상체와 하체를 배합(配合)시킨다. 신(身), 수(手), 보(步), 법(法), 요(腰), 마(馬), 안(眼), 정(精), 기(氣), 신(神)이 하나로 합쳐져야 하며(合體), 몸과 자세가 함께 움직여야 한다(身形帶動).

강한 손 기술, 특히 '교수(橋手, 팔뚝 기술)'와 다재다능한 '호조(虎爪)'가 특징이며, 기술의 근간은 '철교철마'(鐵橋鐵馬, 튼튼한 팔과 다리), '경교경마'(硬橋硬馬, 힘찬 손과 발)이다. 교(橋)는 팔뚝 부분을 의미하며, 다양한 교수를 구사하여 무거운 교수로 적의 방어를 뚫고 정면 돌파하는 공격과 전법을 특기로 한다. 이를 위해 팔뚝(교수) 단련으로 목인장을 상대하거나 무거운 철환을 팔에 걸고 형(型)을 수련한다. 홍가권의 기술은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사용하며, 때로는 방어를 상대방에게 연계 공격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체 공격을 받으면, 들어오는 힘을 자신의 방어로 맞받아치는데, 이 방어는 상대의 방어 능력을 압도할 정도로 강력하게 전달된다. 그 목적은 상대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극심한 고통을 가하여 반격을 약화시키는 것이다.[5]

호흡법에 특징이 있으며 웃음소리와 같은 발성법도 존재한다.

전통적으로 수련생들은 형(形)을 배우기 전에 몇 달에서 3년 동안 자세 훈련에 시간을 보냈으며, 때로는 마보 자세로만 30분에서 몇 시간 동안 앉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에는 이러한 방식이 비실용적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부 지도자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지침에 따라 초보자 훈련의 대부분을 자세 훈련에 할애한다.[5]

보법(步法)도 풍부하여 십이교마(十二橋馬)라고 불리는 12가지 보법이 존재한다.

십이교마 (十二橋馬)
사평대마 (四平大馬)자오마 (子午馬)복호마 (伏虎馬)기린마 (麒麟馬)
류마 (吊馬)독학마 (獨鶴馬)중자마 (中字馬)삼각마 (三角馬)
패마 (敗馬)이자겸양마 (二字鉗羊馬)도마 (跳馬)정자마 (丁字馬)



황비홍의 발 기술은 '무영각'으로 불렸으나, 이는 무영권의 기술과는 관련이 없다. 자주 등장하는 대표적인 기술로는 '환혼포학'(還魂飽鶴), '지수문제'(指手問題), '월영수각'(月影手脚), '미인조경'(美人照鏡) 등이 있다.

홍가권은 광동성 5대 명권(남파 5대 명가: 홍가권, 유가권, 이가권, 채가권, 맥가권)의 으뜸으로 여겨지며, 중국에서는 역사상의 정의로운 영웅이나 혁명 투사들이 애용한 권법이라는 좋은 이미지로 이야기되는 경우가 많다. 즉효성과 실전성이 높아 청나라 말기 반청복명을 내건 비밀결사 홍문(삼합회) 사이에서 널리 퍼졌다. 전란과 정변을 피해 국외로 이주한 무술가나 화교 호위에 홍가권 수련자가 많았던 영향으로, 세계 각지의 차이나타운에는 홍가권 도장이 다수 존재하며 쿵푸 수련이나 구정 때의 사자춤 공연 등을 통해 중국 문화를 접하는 창구가 되고 있다.

3. 2. 수련 체계

홍가권은 상당한 체력과 단련을 요구하는 권법으로, 명말 청초 반청복명(反淸復明)을 추구하던 이들이 단기간에 강해지기 위해 수련했던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수련 체계 역시 강인한 신체와 실전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처음 홍가권을 연마할 때는 동교철마(銅橋鐵馬)를 단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기본 자세인 참장(站樁) 수련을 통해 하체(鐵馬)를 튼튼하게 만들고, 양팔(銅橋)을 강력하게 단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수련생들은 형(形)을 배우기 전에 몇 달에서 3년 동안 자세 훈련에 집중했으며, 때로는 마보 자세로만 30분 이상 유지하는 인내력을 요구했다.[5] 이러한 기초 단련을 통해 기를 단전까지 내리고(氣息下沈zho), 신체 각 부위의 협응력(配合zho)과 민첩성(變化靈活zho)을 기르며, 몸 전체가 하나 되어 움직이는(身形帶動zho) 감각을 익힌다.

기초가 다져지면 본격적인 권법 수련에 들어간다. 홍가권의 수련 체계는 핵심적인 세 가지 권법, 즉 '''홍권삼보(洪拳三寶)'''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1. '''공자복호권(工字伏虎拳)''': 입문자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권법이다. 홍가권의 기본 자세, 보법, 수형(手形)을 익히고 기초 체력을 다지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권법의 동선이 '공(工)' 자와 유사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지선사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호학쌍형권(虎鶴雙形拳)''': 공자복호권을 익힌 후 배우는 홍가권의 핵심 투로(套路)이다. 이름 그대로 호랑이의 강맹함(虎形)과 학의 날렵하고 정교함(鶴形)을 결합한 형태로, 다양한 공방 기술과 실전적인 움직임을 연마한다. 황비홍은 자신이 배운 기술들을 이 형에 융합하여 오늘날 널리 알려진 버전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3. '''철선권(鐵線拳)''': 고급 과정에 속하는 권법으로, 내공과 외공을 동시에 단련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공(氣功)과 유사한 독특한 호흡법과 등척성 운동을 통해 강력한 내력(內力)과 방어력(橋手)을 기른다. 꾸준히 수련하면 건강 증진 효과도 있다고 여겨진다.[9] 이 권법은 광동십호 중 한 명인 철교삼(鐵橋三, 본명 梁坤|량쿤zho)에게서 유래했으며, 매우 난해하여 숙련된 수련생에게만 전수되는 경향이 있다.

홍권삼보 외에도 다양한 권법과 수련 방법이 존재한다.

  • '''오형권(五形拳)''' / '''십형권(十形拳)''': 용(龍), 사(蛇), 호(虎), 표(豹), 학(鶴)의 다섯 동물의 형상과 특징을 모방한 권법이다. 황비홍이 오형권을 체계화했으며, 그의 제자인 람 사이윙(林世榮zho)은 여기에 오행(五行: 金, 木, 水, 火, 土)의 원리까지 결합하여 십형권(五形五行拳zho)으로 발전시켰다. 오형권은 호학쌍형권의 외적인 힘과 철선권의 내적인 단련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고 평가받는다.
  • '''목인장(木人椿)''': 남파 무술에서 널리 사용되는 수련 도구이다. 홍가권에서는 권법과 무기술을 어느 정도 익힌 수련생들이 기술의 정확성, 힘의 전달, 방어(교수) 능력, 거리 감각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마하는 고급 과정에 속한다. 특히 팔뚝(橋手) 단련에 효과적이다.


홍가권의 수련 체계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기술들이 포함된다.

'''기본 보법 (十二橋馬)'''

보법보법보법보법
사평대마 (四平大馬)자오마 (子午馬)복호마 (伏虎馬)기린마 (麒麟馬)
류마 (吊馬)독학마 (獨鶴馬)중자마 (中字馬)삼각마 (三角馬)
패마 (敗馬)이자겸양마 (二字鉗羊馬)도마 (跳馬)정자마 (丁字馬)



'''주요 권법 (套路)'''

권법권법권법권법
공자복호권 (工字伏虎拳)호학쌍형권 (虎鶴雙形拳)철선권 (鐵線拳)오형권 (五形拳)
십형권 (十形拳)복호권(伏虎拳)흑호권 (黑虎拳)광호권 (狂虎拳)
나한권 (羅漢拳)취권 (醉拳)사권 (蛇拳)맹호출림 (猛虎出林)
단학조지 (單鶴朝枝)서보매화 (鼠步梅花)괴자무영각 (拐子無影脚)


  • ''참고: 황비홍 계열에서는 공자복호권, 호학쌍형권, 오형권, 철선권을 핵심 4대 수공형(手工形)으로 간주한다.''


'''주요 무기술'''

무기술무기술무기술무기술
오랑팔괘곤 (五郞八卦棍)반룡곤 (盤龍棍)홍문곤 (洪門棍)홍문검 (洪門劍)
호접쌍도 (蝴蝶雙刀)홍문단도 (洪門單刀)철선권 (鐵扇拳)춘추대도 (春秋大刀)
삼십육판 (三十六板)홍문창 (洪門槍)우산술 (雨傘術)자모쌍도 (子母雙刀)
비구 (飛鉤)요가대팔 (瑤家大扒)도 (刀)창 (槍)
부채 (扇)


  • ''참고: 황비홍은 특히 오랑팔괘곤과 자모쌍도를 중요하게 다루었다고 전해진다.''


홍가권 수련은 단순히 기술 목록을 익히는 것을 넘어, 다음과 같은 핵심 원칙들을 체득하는 과정이다.

  • '''12가지 핵심 원칙''': 강(剛) - 유(柔) - 핍(逼) - 직(直) - 분(分) - 정(定) - 촌(寸) - 제(提) - 류(流) - 운(運) - 제(制) - 정(訂)
  • '''교수(橋手) 운용 원칙''': 교래교상과(橋來橋上過, 상대의 공격이 오면 그 위로 넘어간다), 무교자조교(無橋自造橋, 공격이 없으면 스스로 만들어 공격한다)[5]


이를 통해 강력한 기술과 함께 상황에 맞는 유연한 대처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3. 구성

홍가권을 연마하는 사람은 먼저 기본 자세 수련을 통해 기초를 다지고 권법 수련에 들어간다. 남파 무술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목인장(木人椿) 수련 역시 홍가권의 고급 과정에 포함된다. 홍가권의 교수(橋手) 운용 원칙으로는 '교래교상과(橋來橋上過), 무교자조교(無橋自造橋)'가 있다.

홍가권의 기술은 강하고 민첩한 '''마'''(馬, 다리 자세)와 강력하고 정교한 '''교수'''(橋手, 팔뚝 기술)로 특징지어진다. 특히 마보의 일종인 `사평마`(四平馬) 자세와 '호조(虎爪)' 기술이 유명하다. 기술의 근간은 '''철교철마'''(鐵橋鐵馬, 튼튼한 팔과 다리)와 '''경교경마'''(硬橋硬馬, 힘찬 손과 발)이며, 하반신 단련(예마, 禮馬)과 팔뚝(교수) 단련을 중시한다. 교수는 "권(圏)", "침(沈)", "방(傍)", "가(架)", "재(載)", "천(穿)" 등의 요결을 가지며, 무거운 교수로 상대의 방어를 뚫는 정면 돌파 공격을 특기로 한다. 이를 위해 목인장 단련이나 무거운 철환을 이용한 수련을 한다.[5]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사용하며, 방어를 상대방에게 강력한 연계 공격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목적은 상대방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극심한 고통을 가하여 상대방의 반격을 약화시키는 것이다.[5]

홍가권에서 연마해야 할 12가지 공력과 12가지 교수 요결은 다음과 같다.

  • 12가지 공력: 강(剛), 유(柔), 핍(逼), 직(直), 분(分), 정(定), 촌(寸), 제(提), 류(流), 운(運), 제(制), 정(訂)
  • 12가지 교수 요결: 침(鍼), 권(圈), 전(纏), 삽(揷), 절(截), 운(運), 봉(封), 벽(劈), 가(架), 편(鞭), 괘(掛), 분(分)


홍가권의 기술 체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분기술명설명
기본 보법 (十二橋馬)사평대마 (四平大馬)
삼각마 (三角馬)
자오마 (子午馬)
기린마 (麒麟馬)
이자겸양마 (二字箝羊馬)
복호마 (伏虎馬)
독학마 (獨鶴馬)(이 외에 류마(吊馬), 중자마(中字馬), 패마(敗馬), 도마(跳馬), 정자마(丁字馬) 등이 있음)
권법 (타오루)공자복호권 (工字伏虎拳)홍가삼보(洪家三寶) 중 하나.
호학쌍형권 (虎鶴雙形拳)홍가삼보(洪家三寶) 중 하나. 호랑이의 힘과 학의 형상을 결합. 강유겸비, 장단교 활용. 지선선사로부터 배운 장교대마(長橋大馬) 기술을 홍희관이 정리.
철선권 (鐵線拳)홍가삼보(洪家三寶) 중 하나. 내공 및 교수 단련, 양생 효과. 철교삼의 절기. 오매니구, 방영춘에게 배운 단교협마(短橋狹馬) 기술을 홍희관이 정리.
오형권 (五形拳)용형권은 철선권과 유사한 기법 포함.
십형권 (十形拳)
취권 (醉拳)
사권 (蛇拳)
맹호출림 (猛虎出林)
단학조지 (單鶴朝枝)
서보매화 (鼠步梅花)
괴자무영각 (拐子無影脚)황비홍의 무영각과는 무관.
기타 대표 기술환혼포학(還魂飽鶴), 지수문제(指手問題), 월영수각(月影手脚), 미인조경(美人照鏡) 등.
무기술우산술 (雨傘術)
반룡곤 (盤龍棍)
홍문곤 (洪門棍)
홍문검 (洪門劍)
호접쌍도 (蝴蝶雙刀)
홍문단도 (洪門單刀)
오랑팔괘곤 (五郞八卦棍)
철선권 (鐵扇拳)
춘추대도 (春秋大刀)
삼십육판 (三十六板)
홍문창 (洪門槍)
기타목인장 (木人椿)고급 수련 과정.
홍권 12교수 (洪拳十二橋手)
홍권삼전수 (洪拳三展手)



전통적으로 수련생들은 형(形)을 배우기 전에 몇 달에서 3년 동안 자세 훈련에 시간을 보냈으며, 때로는 마보 자세로만 30분에서 몇 시간 동안 앉아 있었다. 각 형을 배우는 데 1년 정도 걸릴 수 있었고, 무기는 마지막으로 배웠다. 요즘에는 이러한 방식의 지도가 비실용적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일부 지도자들은 여전히 전통적인 지침을 따르고 있으며, 초보자 훈련의 대부분을 자세 훈련으로 한다.[5]

4. 영화 속 홍가권

황비홍의 제자들이 주로 영화와 출판업에 종사하면서, 영화와 소설 등을 통해 홍가권과 황비홍의 이미지가 널리 퍼질 수 있었다. 1940년대부터 원로 배우 관덕흥(關德興)이 황비홍 역을 맡아 정통 홍가권을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황비홍의 직계 제자인 유가량 감독과 그의 형제들이 홍가권을 다룬 영화를 다수 제작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당시 홍콩 영화계에서는 홍가권을 구사하지 못하면 배우로 캐스팅되기 어렵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 쇼 브라더스 제작 영화 다수에서 유가량이 무술 지도나 감독을 맡아 홍가권을 선보였다.

이후 성룡, 홍금보, 원표 등 홍가권을 익힌 배우들이 코믹 무협 영화를 통해 홍가권을 선보이며 한동안 홍가권 붐이 일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영화 취권과 권정에서 성룡은 극중 홍가권 기술이나 수련법을 응용한 동작을 선보였고, 사권에서는 오형권 중 사형(蛇形拳)을 연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이연걸이 주연한 황비홍 시리즈에서는 정작 황비홍 역을 맡은 이연걸은 홍가권을 구사하지 못했기 때문에, 영화 속 무술은 정통 홍가권과는 거리가 있었다.

최근 영화에서도 홍가권은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영화 쿵푸허슬에서는 실제 홍가권 고수인 조지릉(趙志凌)이 양복점 재단사 '테일러' 역으로 출연하여 홍가권의 한 형태인 철선권(鐵線拳)을 선보였다. 또한, 영화 엽문 2에서는 홍가권 고수 '홍진남' 역을 맡은 홍금보는 홍가권을 응용한 액션으로, 극중 엽문 역의 견자단이 구사하는 영춘권과 인상적인 대결 장면을 연출했다.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Martial Arts Training Manual: An Integrated Approach Tuttle Publishing
[2] 서적 Kung Fu Basics: Everything You Need to Get Started in Kung Fu - from Basic Kicks to Training and Tournaments https://www.google.c[...] Tuttle Publishing 2018
[3] 서적 Art of Shaolin Kung Fu: The Secrets of Kung Fu for Self-Defense, Health, and Enlightenment https://www.google.c[...] Tuttle Publishing 2022
[4] 서적 Martial Arts of the Orient MMB
[5] 서적 The Way of the Warrior https://www.google.c[...] Dorling Kindersley Limited 2008
[6] 서적 Hung Gar Kung-Fu Ohara Publications
[7] 서적 Martial Arts Masters: The Greatest Teachers, Fighters, and Performers https://archive.org/[...] Lowell House Juvenile
[8] 서적 Complete Wing Chun: The Definitive Guide to Wing Chun's History and Traditions Tuttle Publishing
[9] 문서 福建少林寺に関する古文書の発見と発掘調査による遺跡発見
[10] 문서 少林拳術秘訣と五形拳に関する記述と異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