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방은 베트남 초기 역사에 등장하는 국가로, 신화 속의 거대한 새를 의미하는 한자어에서 유래되었다. 록뚝이 씩꾸이국을 다스리면서 경양왕을 칭하고, 락롱꾸언과 어우꺼 사이에서 훙브엉이 태어나 기원전 2879년 반랑을 건국하면서 홍방 왕조가 시작되었다. 홍강 하류 삼각주 지역에서 훙 브엉의 지도 아래 반랑국이 건국되었으며, 농업을 기반으로 15개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훙브엉은 18대에 걸쳐 세습되었으나, 기원전 258년 툭판에게 패배하여 멸망하고 어우락이 건국되었다. 반랑의 경제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농업 경제였으며, 동선 문화를 통해 청동기 기술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방 왕조 - 낀즈엉브엉
《대월사기전서》등 베트남 역사서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인물 낀즈엉브엉은 염제 신농의 증손으로 남쪽을 다스렸으며, 락 롱꿘의 아버지로서 훙왕의 조상으로 숭배받지만, 응오 티 시 등 일부 역사가들은 그의 기록이 소설에서 차용되었다고 비판한다. - 베트남의 고대사 - 남월
남월은 기원전 203년부터 기원전 111년까지 중국 남부와 베트남 북부에 존재했던 조타가 건국한 고대 국가로, 한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었으나 한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고 한족과 월족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다. - 베트남의 고대사 - 박선 문화
박선 문화는 오늘날 베트남 북부 지역의 신석기 시대 문화로, 동굴이나 암반에서 거주하며 사냥, 채집, 초기 농업을 했고, 정교한 석기와 도자기, 다양한 재료의 장신구를 사용했다. - 베트남의 왕조 - 응우옌 왕조
응우옌 왕조는 응우옌 푹 아인이 떠이선 왕조를 무너뜨리고 1802년부터 1945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왕조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며, 프랑스 침략으로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일부가 되었고, 베트남 역사상 최초로 현재의 베트남과 거의 같은 영토를 통일했다. - 베트남의 왕조 - 전 레 왕조
전 레 왕조는 980년 레 호안이 건국하여 북송의 침략을 격퇴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국력 쇠퇴로 1009년 리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홍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반랑 |
장칭 밍 | 문랑국 |
상태 | 왕국 |
시대 | 고대사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 |
정부 형태 | 군주제 |
시작 사건 | 경양왕의 익귀 연맹 설립 |
종료 사건 | 남강의 지도자인 촉반(후에 어우락)에게 정복됨 |
이전 | 해당 없음 |
계승 | 어우락 |
![]() | |
수도 | 응안홍 (기원전 2879년 – 기원전 2524년) 응이아린 (기원전 29세기) 퐁쩌우 (기원전 2524년 – 기원전 258년) |
종교 | 애니미즘 민간 신앙 |
통치자 | |
칭호 | 왕 |
첫 번째 통치자 | 흥브엉 1세 |
첫 번째 통치자 통치 기간 | 기원전 2879년–기원전 2794년 |
마지막 통치자 | 훙브엉 18세 |
마지막 통치자 통치 기간 | 기원전 408년–기원전 258년 |
역사 | |
익귀 연맹 설립 | 기원전 2879년 |
국호 변경 | 락롱꿘이 국호를 반랑으로 변경 (기원전 2524년) |
멸망 | 기원전 258년 |
기타 정보 | |
현재 국가 | 베트남 중국 |
2. 국호 및 어원
'홍방'이라는 이름은 초기 베트남 역사서에 중국어로 쓰여진 의 한월어 발음이다. 그 의미는 신화 속의 거대한 새(鴻)로 추정된다.[8]
프랑스 언어학자 미셸 페를뤼스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시노티베트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걸쳐 동남아시아 민족 명칭에 속하는 단어군인 文郎vi '반랑'(고대 중국어: *''mə[n]''-''C.rˤaŋ'')을 "인간, 사람"을 뜻하는 어근 *'-ra:ŋ'에서 유래했다고 보았다. 그는 다음의 예시들을 제시했다.
언어/민족/왕국 | 명칭 및 설명 |
---|---|
말랭 | 베트남과 라오스에 거주하는 비엣어족 민족의 민족명칭. 페를뤼스는 비엣어 *m.leŋ이 *m.ra:ŋ의 "약강 후기 형태"라고 주장한다. |
삼국지 탕밍, 당나라 문서 다오밍 | 오늘날 캄보디아 북쪽에 있던 왕국 |
초기 앙코르 시대 말리엉 [məlɨə̆ŋ], 앙코르 시대 말리엉 [məlɨə̆ŋ] | 8세기에 자야바르만 2세에 의해 정복된 왕국. 음성적으로 말랭과 관련이 있지만, 더 이상의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 |
므랑마 (မြန်မာmy), 중국어 표기 | 중세 중국어 *muk̚-lɑŋᴴ → 북경어 무랑 |
말레이어 | *ʔuʀaŋ "인간, 사람" |
원시 몬크메르어 | *t₂nra:ŋ "남자, 수컷"[10] |
반랑에 대한 초기 기록은 중국 문헌에서 나타나며, 당나라 (7세기~9세기) 시대 퐁쩌우(푸토성) 지역에 대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11][12][13] 그러나 중국 기록에는 반랑이라는 이름이 다른 지역의 민족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어,[14][15] 명칭의 정확한 의미와 기원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3. 역사
홍방 왕조는 건국 설화, 초기 역사, 멸망의 세 단계로 역사를 나눌 수 있다.
《영남척괴(嶺南拓怪)》와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 따르면, 중국 신화 속 염제(炎帝) 신농(神農)씨의 3대 후손 데민(帝明, 제명)이 남쪽으로 순행하다 록뚝(祿續, 녹속)을 낳았다. 데민은 록뚝에게 남방 씩꾸이국(赤鬼國, 적귀국)을 다스리게 했다. 록뚝은 동딘꾸언의 딸 턴 롱과 결혼하여 락롱꾸언(Lạc Long Quân|貉龍君vi)을 낳았다. 락롱꾸언은 북쪽 데 라이의 아내 어우꺼(Âu Cơ)를 유인하여 100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이들이 베트남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 락롱꾸언과 어우꺼는 50명씩 아들들을 데리고 바다와 산으로 갔는데, 산으로 간 50명 중 가장 강한 자가 훙브엉으로 봉해져 기원전 2879년 나라 이름을 《반랑(文郎)》이라 하였다.[20][21]
초대 훙브엉은 백성들에게 쌀 경작법을 전파하여 문명의 시조로 추앙받는다. 반랑국은 퐁쩌우(Phong Châu|퐁쩌우vi)에 수도를 두었으며, 현재 푸토를 중심으로 그 영토가 어디까지 이르렀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씩꾸이(Xích Quỷ)국의 영토보다는 넓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북으로는 중국 광동, 광서 지방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남으로는 현재 중부 베트남 이북으로 추정된다.[16]
반랑국은 중앙집권 국가는 아니었으며, 락허우(Lạc Hầu), 락뜨엉(Lạc Tướng), 보찐(Bố Chính) 등의 지방관들이 각 지역을 다스렸다.[24] 락뜨엉은 보통 훙브엉 가문의 일원이었다.[24] 쩐쫑낌의 ''베트남 간략사''(베트남 슐럭)에는 반랑국이 15개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25]이름 현재 위치 퐁쩌우 (왕의 수도) 푸토성 쩌우지엔 (朱鳶) 선떠이 푹록 (福祿) 선떠이 떤흥 (新興) 흥화 (일부 푸토성) 및 뚜옌꽝성 부딘 (武定) 타이응우옌성 및 까오방성 부닌 (武寧) 박닌성 룩하이 (陸 海) 랑선성 닌하이 (寧海) 꽝옌 (일부 꽝닌성) 즈엉뚜옌 (陽泉) 하이즈엉성 자오찌 (交趾) 하노이, 흥옌성, 남딘성 및 닌빈성 끄우쩐 (九真) 탄호아성 호아이호안 (懷驩) 응에안성 비엣트엉 (越 裳) 꽝빈성 및 꽝찌성 끄우득 (九德) 하띤성 빈반 (平文) 닌빈성 다이강에서 타라디엡산까지
기원전 258년, 홍방 왕조의 마지막 훙브엉인 훙주에브엉(Hùng Duệ Vương)은 툭판에게 패배하여 왕조가 몰락하였다.[22][23] 툭판은 락 비엣과 어우 비엣을 통합하여 어우락을 세우고 안즈엉브엉이라 칭하였다.[22][23]
3. 1. 건국 설화
《영남척괴(嶺南拓怪)》에 따르면, 중국 신화의 염제(炎帝) 신농(神農)씨의 3대 후손인 데민(帝明, 제명)은 남방 순행 중 록뚝(祿續, 녹속)을 낳았다. 데민은 록뚝으로 하여금 남방의 씩꾸이국(赤鬼國, 적귀국)을 다스리게 하였다.
록뚝은 동딘꾸언의 딸 턴 롱과 결혼하여 락롱꾸언(Lạc Long Quân|貉龍君vi)을 낳았다. 락롱꾸언은 북쪽의 데 라이의 아내인 어우꺼(Âu Cơ)를 유인하여 100명의 아들을 낳았는데, 이들이 베트남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락롱꾸언과 어우꺼는 50명씩 아들들을 데리고 각각 바다와 산으로 갔는데, 산으로 간 50명 중 가장 강한 자가 훙브엉으로 봉해지고 기원전 2879년 나라 이름을 《반랑(文郎)》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에도 나타난다.[20][21]
3. 2. 초기 역사
초대 훙브엉은 백성들에게 쌀 경작 방법을 전파하여 오늘날까지 문명의 시조로 추앙받는다. 반랑국은 퐁쩌우(Phong Châu|퐁쩌우vi)에 수도를 두었으며, 현재의 푸토를 중심으로 그 영토가 어디까지 이르렀는지 명확하지 않으나, 씩꾸이(Xích Quỷ)국의 영토보다는 넓었으리라는 점에서 북으로는 중국의 광동, 광서 지방까지는 미치지 못하고 남으로는 현재의 중부 베트남 이북으로 추정된다.[16]
반랑국은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는 아니었으며, 락허우(Lạc Hầu), 락뜨엉(Lạc Tướng), 보찐(Bố Chính) 등의 지방관들이 각 지역을 다스리는 형태였다.[24] 락뜨엉은 보통 훙브엉 가문의 일원이었다.[24]
쩐쫑낌의 저서 ''베트남 간략사''(베트남 슐럭)에 따르면, 반랑국은 아래와 같이 15개 지역으로 나뉘어 있었다.[25]
이름 | 현재 위치 |
---|---|
퐁쩌우 (왕의 수도) | 푸토성 |
쩌우지엔 (朱鳶) | 선떠이 |
푹록 (福祿) | 선떠이 |
떤흥 (新興) | 흥화 (일부 푸토성) 및 뚜옌꽝성 |
부딘 (武定) | 타이응우옌성 및 까오방성 |
부닌 (武寧) | 박닌성 |
룩하이 (陸 海) | 랑선성 |
닌하이 (寧海) | 꽝옌 (일부 꽝닌성) |
즈엉뚜옌 (陽泉) | 하이즈엉성 |
자오찌 (交趾) | 하노이, 흥옌성, 남딘성 및 닌빈성 |
끄우쩐 (九真) | 탄호아성 |
호아이호안 (懷驩) | 응에안성 |
비엣트엉 (越 裳) | 꽝빈성 및 꽝찌성 |
끄우득 (九德) | 하띤성 |
빈반 (平文) | 닌빈성 다이강에서 타라디엡산까지 |
3. 3. 멸망
기원전 258년, 홍방 왕조의 마지막 훙브엉인 훙주에브엉(Hùng Duệ Vương)은 툭판에게 패배하여 왕조가 몰락하였다.[22][23] 툭판은 락 비엣과 어우 비엣을 통합하여 어우락을 세우고 안즈엉브엉이라 칭하였다.[22][23]4. 경제
반랑의 경제는 쌀 경작 중심의 농업 경제였다. 산림업, 수렵, 채집, 축산업, 수산업, 낙농업, 염전, 양봉 등 다양한 경제 활동도 병행되었다. 청동 주조 기술이 발달하였다.
4. 1. 동선 문화
기원전 2800년경 마강과 홍강(Sông Hồng) 평야 유역에서 논농사와 청동 주조 기술이 발달하여 동선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 문화는 정교한 청동 북으로 유명하다. 동선 문화 유적지에서는 청동제 무기, 도구, 수제품 등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동남아시아 지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8] 베트남 북부에서는 많은 고대 구리 광산이 발견되었다.기원전 1200년경, 마강과 홍강 평야에서 벼농사와 청동 주조 기술이 발달하면서 동선 문화가 발전했다. 동선 유적지의 청동 무기, 도구 및 북은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청동 주조 기술의 토착 기원을 나타낸다. 많은 소규모의 고대 구리 광산 유적이 베트남 북부에서 발견되었다. 동선 유적과 다른 동남아시아 유적 사이의 유사점으로는 배 모양의 관과 매장 항아리, 말뚝집의 존재, 그리고 빈랑 열매 씹기 및 이빨 검게 하기 풍습의 증거 등이 있다.
5. 역대 훙브엉
홍방 왕조는 18대 훙브엉(Hùng Vương)이 세습하며 통치한 것으로 전해진다.[30] 각 훙브엉의 재위 기간과 업적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내용은 전설과 신화에 기반한다. 홍방 시대의 역사는 각 훙 왕의 통치에 따라 나뉜다.[30] 사건의 연대 측정은 여전히 연구 대상이며, 연대 범위는 알려진 시대에 대한 보수적인 추정치이다.[31]
대수 | 왕호 | 휘 | 재위 기간 |
---|---|---|---|
1 | 낀즈엉브엉 | 록뚝(Lộc Tục) | 기원전 2879년~기원전 2839년 |
2 | 훙히엔브엉 | 숭람(Sùng Lãm) | 기원전 2839년~기원전 2439년 |
3 | 훙꾸옥브엉(Hùng Quốc Vương) 훙런브엉(Hùng Lân vương) | 런랑(Lân Lang) | 기원전 2439년~기원전 2218년 |
4 | 훙지엡브엉(Hùng Diệp Vương) | 바올랑(Bảo Lang) | 기원전 2218년~기원전 1918년 |
5 | 훙히브엉(Hùng Hy Vương) | 비엔랑(Viên Lang) | 기원전 1918년~기원전 1718년 |
6 | 훙후이브엉(Hùng Huy Vương) | 팝하일랑(Pháp Hải Lang) | 기원전 1718년~기원전 1631년 |
7 | 훙찌에우브엉(Hùng Chiêu Vương) | 랑리에울랑(Lang Liêu Lang) | 기원전 1631년~기원전 1431년 |
8 | 훙비브엉(Hùng Vi Vương) | 트어번랑(Thừa Vân Lang) | 기원전 1431년~기원전 1331년 |
9 | 훙딘브엉(Hùng Định Vương) | 꾸언랑(Quân Lang) | 기원전 1331년~기원전 1251년 |
10 | 훙응이브엉(Hùng Nghi Vương) | 홍하일랑(Hùng Hải Lang) | 기원전 1251년~기원전 1161년 |
11 | 훙찐브엉(Hùng Trinh Vương) | 훙득랑(Hưng Đức Lang) | 기원전 1161년~기원전 1054년 |
12 | 훙부브엉(Hùng Vũ Vương) | 득히엔랑(Đức Hiền Lang) | 기원전 1054년~기원전 958년 |
13 | 훙비엣브엉(Hùng Việt Vương) | 뚜언랑(Tuấn Lang) | 기원전 958년~기원전 853년 |
14 | 훙아인브엉(Hùng Anh Vương) | 쩐년랑(Chân Nhân Lang) | 기원전 853년~기원전 754년 |
15 | 훙찌에우브엉(Hùng Triệu Vương) | 까인찌에울랑(Cảnh Chiêu Lang) | 기원전 754년~기원전 660년 |
16 | 훙따오브엉(Hùng Tạo Vương) | 득꾸언랑(Đức Quân Lang) | 기원전 660년~기원전 568년 |
17 | 훙응이브엉(Hùng Nghi Vương) | 바오꽝랑(Bảo Quang Lang) | 기원전 568년~기원전 408년 |
18 | 훙주에브엉(Hùng Duệ Vương) | 후엘랑(Huệ Lang) | 기원전 408년~기원전 258년 |
6. 행정 구역
반랑국은 15개의 부(部)로 구성되었으며, 각 부는 락뜨엉(Lạc Tướng)이 통치했다.[24] 락뜨엉은 훙왕의 가족 구성원이었다.[24]
쩐쫑낌의 ''베트남 슐럭''(베트남 간략사)에 따르면, 반랑국의 15개 지역은 다음과 같다.[25] 그러나 이 명칭들은 실제로는 중국이 베트남 북부에 설치한 행정 구역의 이름을 한자-베트남식으로 따온 것이다.
이름 | 현재 위치 |
---|---|
퐁쩌우 (왕의 수도) | 푸토성 |
쩌우지엔 (朱鳶) | 선떠이 |
푹록 (福祿) | 선떠이 |
떤흥 (新興) | 흥화 (일부 푸토성) 및 뚜옌꽝성 |
부딘 (武定) | 타이응우옌성 및 까오방성 |
부닌 (武寧) | 박닌성 |
룩하이 (陸 海) | 랑선성 |
닌하이 (寧海) | 꽝옌 (일부 꽝닌성) |
즈엉뚜옌 (陽泉) | 하이즈엉성 |
자오찌 (交趾) | 하노이, 흥옌성, 남딘성 및 닌빈성 |
끄우쩐 (九真) | 탄호아성 |
호아이호안 (懷驩) | 응에안성 |
비엣트엉 (越 裳) | 꽝빈성 및 꽝찌성 |
끄우득 (九德) | 하띤성 |
빈반 (平文) | 닌빈성 다이강에서 타라디엡산까지 |
7. 문화
기원전 3천 년 말과 기원전 1천 년 중반 사이, 베트남 북부의 떤선 문화와 베트남 남부의 사후인 문화에서는 정교한 도자기를 생산했다. 이 시기에는 물레 성형 도자기가 등장했지만, 패들과 모루를 사용하는 기술도 여전히 중요하게 사용되었다.[28] 용기 표면은 보통 매끄럽고 광택이 났으며, 붉은색 시유가 흔했다. 끈으로 무늬를 새기는 기술과 복잡한 절삭 장식 또한 발전하였다. 베트남 고고학자들은 절삭 장식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문화와 단계를 구분한다.
홍강 유역에서는 풍응우옌, 동다우, 고문과 같은 떤선 이전 문화의 도자기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장식 스타일을 사용했지만, 홍강 유역 문화 발전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탄호아 성의 마 강 유역에서도 콘 찬 티엔, 동 코이(바이 만), 퀴 추와 같은 3가지 떤선 이전 문화 발전 시기가 나타난다.
홍강에서 까 강 유역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서는 모든 지역 문화가 동선 문화로 발전하였다. 동선 도자기는 높은 소성 온도를 가지며 형태가 다양하지만, 장식 패턴은 이전 시대에 비해 훨씬 감소하였으며, 주로 끈으로 감싸거나 조각한 패들의 흔적으로 구성된다. 절삭 장식은 사실상 없다.
7. 1. 농업
반랑 사람들은 벼농사를 중심으로 농업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벼 이외에도 다른 곡물과 콩을 재배했으며, 주로 물소, 닭, 돼지 등을 사육했다.[26] 도자기 제작과 대나무 세공, 바구니 제작, 가죽 세공, 삼, 황마, 비단 직조와 같은 수공예도 고도로 발달했다.기원전 2000년부터 북부 베트남 사람들은 상 왕조나 라오스로부터 배운 기술을 통해 정교한 농업 사회를 발전시켰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기원전 6세기부터는 정교한 운하와 제방 시스템을 통해 논의 조수 관개가 시작되었다.[26] 이러한 관개 시스템은 베트남 사회를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관개 시스템을 집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긴밀한 마을 공동체가 필요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경쟁적인 식량 생산 방식보다 훨씬 높은 인구 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작물 수확량을 만들어냈다.[27]
7. 2. 청동기
기원전 1200년경, 마강과 홍강 평야에서 벼농사와 청동 주조 기술이 발달하면서 정교한 청동 북으로 유명한 동선 문화가 발전했다.[1] 동선 유적지의 청동 무기, 도구 및 북은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는 청동 주조 기술의 토착 기원을 나타낸다.[1] 베트남 북부에서는 많은 소규모의 고대 구리 광산 유적이 발견되었다.[1] 동선 유적과 다른 동남아시아 유적 사이의 유사점으로는 배 모양의 관과 매장 항아리, 말뚝집의 존재, 빈랑 열매 씹기 및 이빨 검게 하기 풍습의 증거 등이 있다.[1]7. 3. 도자기
반랑 시대에는 도자기 제작 기술도 발전하였다. 다양한 형태와 장식을 가진 도자기가 제작되었다. 물레 성형 도자기가 등장했지만, 패들과 모루를 사용하는 기술도 여전히 중요하게 사용되었다.[28] 용기 표면은 보통 매끄럽고 광택이 났으며, 붉은색 시유가 흔하게 사용되었다. 끈으로 무늬를 새기는 기술은 모든 문화에서 나타났으며, 복잡한 절삭 장식 또한 풍부한 장식 디자인으로 발전하였다. 베트남 고고학자들은 절삭 장식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문화와 단계를 구분한다.홍강 유역에서는 풍응우옌, 동다우, 고문 과 같은 떤선 이전 문화의 도자기가 잘 알려져 있다. 이 세 문화의 도자기는 서로 다른 장식 스타일을 사용했지만, 홍강 유역 문화 발전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탄호아 성의 마 강 유역에서도 콘 찬 티엔, 동 코이(바이 만), 퀴 추와 같은 3가지 떤선 이전 문화 발전 시기가 나타난다.
홍강에서 까 강 유역까지 뻗어 있는 지역에서는 모든 지역 문화가 결국 동선 문화로 발전하였다. 동선 도자기는 높은 소성 온도를 가지며 형태가 다양하지만, 장식 패턴은 이전 시대에 비해 훨씬 감소하였으며, 주로 끈으로 감싸거나 조각한 패들의 흔적으로 구성된다. 절삭 장식은 사실상 없다.
참조
[1]
간행물
Hùng kings' Jade Genealogies
https://baotanglichs[...]
Bảo Tàng Lịch Sử Quốc Gia (Vietnamese National Museum of History)
2012
[2]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https://zh.wikisourc[...]
[3]
서적
A brief chronology of Vietnam's history
2000
[4]
문서
Hồng Bàng period
[5]
문서
[6]
문서
Oxford Encyclopedia of the Vietnam War
[7]
웹사이트
ĐVSKTT NK 1 - Viet Texts
https://sites.google[...]
2018-12-30
[8]
서적
Master Tang Hoi]]: First Zen Teacher in Vietnam and China
2001
[9]
논문
Formation of Ethnonyms in Southeast Asia
2009-11
[10]
서적
A Mon-Khmer Comparative Dictionary
2006
[11]
서적
Tongdian
https://ctext.org/te[...]
[12]
서적
Taiping Yulan
https://ctext.org/te[...]
[13]
서적
Yuanhe Maps and Records of Prefectures and Counties
https://ctext.org/wi[...]
[14]
서적
Taiping Yulan
https://ctext.org/te[...]
[15]
서적
Commentary on the Water Classic
https://ctext.org/te[...]
[16]
웹사이트
Mission Atlas Project – VIETNAM – Basic Facts
http://worldmap.org/[...]
2012-10-07
[17]
웹사이트
Ancient calendar unearthed
http://english.vietn[...]
2014-01-05
[18]
웹사이트
6,000-year-old tombs unearthed in northeast Vietnam
http://www.thanhnien[...]
2014-01-19
[19]
문서
[20]
웹사이트
Complete Book of the Historical Records of Đại Việt.
https://sites.google[...]
2018-12-30
[21]
서적
Rice and Baguette: A History of Food in Vietnam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2]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0
[23]
서적
A History of Vietnam: From Hong Bang to Tu Duc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4]
서적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25]
서적
Việt Nam sử lược
Ho Chi Minh City General Publishing House
[26]
웹사이트
History of Vietnam from the Stone Age to today
https://quatr.us/sou[...]
2017-10-15
[27]
웹사이트
America and Vietnam: The Fifteen Year War
http://ehistory.osu.[...]
New York: Military Press
[28]
문서
1980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