랑선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랑선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랑선시를 포함한 1개의 시와 10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대부터 중국과의 교역로로 번성했으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다. 1831년 응우옌 왕조에 의해 성으로 설치되었으며, 프랑스 식민지 시대와 베트남 전쟁을 거치며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부각되었다. 현재는 농업, 임업, 광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랑선성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역사 유적을 보유하여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중국과의 국경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랑선성 - 동당 전투
동당 전투는 1885년 청불 전쟁 중 프랑스군이 청나라군의 방어선을 뚫고 동당을 점령한 전투로, 프랑스군의 승리였으나 3주 후 진남관 전투 패배로 청불 전쟁 종결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랑선성 - 박레 매복
박레 매복은 1884년 6월 23일 프랑스군이 통킹 지역 박레에서 청나라 군대의 매복 공격을 받아 청불 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 베트남 동북부 지방 - 타이응우옌성
타이응우옌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성으로, 역사적 배경과 복합적인 지형, 아열대 몬순 기후를 가지며, 농업, 산업, 외국인 투자가 활발하고, 타이응웬시를 중심으로 3개의 시와 6개의 현으로 구성된 행정 구역을 가지며, 누이콕 호와 프엉호앙 동굴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다. - 베트남 동북부 지방 - 뚜옌꽝성
뚜옌꽝성은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산악 지형의 성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뚜옌꽝시를 행정 중심지로 하여 농업, 임업, 광업에 기반한 경제 활동과 다양한 소수 민족의 문화를 특징으로 한다. - 베트남의 성 - 빈딘성
빈딘성은 참파 왕국의 유적과 떠이선 왕조의 발상지이며, 꼰 강을 비롯한 여러 강이 흐르는 지역으로, 뀌년 항을 통해 해상 운송이 이루어진다. - 베트남의 성 - 동나이성
동나이성은 베트남 남동부에 위치하여 호찌민시와 인접하고 주요 국도와 철도가 통과하며 떤선녓 국제공항과 가까운 교통 요충지이자 풍부한 수자원과 자원을 보유한 주요 산업 및 농업 지역으로, 2개의 성급시와 9개의 군으로 구성되고 롱탄 국제공항 건설이 진행 중이며 환경 오염 문제를 안고 있다.
랑선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국가 | 베트남 |
지역 | 동북부 |
성도 | 랑선 |
면적 | 8310.18 km2 |
인구 | 807,315 명 (2023년)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 인구 | 168,000 명 |
민족 구성 | 눙족: 42.90% 따이족: 36.08% 킨족: 16.09% 야오족: 3.61% 기타: 1.32% |
GDP | VND 30조 3550억 (미화 13억 1800만 달러) |
인간 개발 지수 (HDI) (2020년) | 0.692 (43위) |
시간대 | ICT (UTC+7) |
지역 번호 | 205 |
ISO 코드 | VN-09 |
웹사이트 | 랑선 성 공식 웹사이트 |
행정 구역 | |
구분 | 1개의 시, 10개의 농촌 현 |
정치 | |
정치 체제 | 성 |
인민위원회 의장 | 호앙 반 응이엠 |
인민위원회 위원장 | 호 띠엔 튜 |
2. 역사
랑선성은 고대 청동기 시대부터 중국과 베트남을 잇는 중요한 교역로였으며, 박선 문화와 같은 초기 정착민들의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35][38] 중국 삼국시대에는 사섭과 같은 호족이 지역 세력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딘 왕조와 리 왕조 시기에는 중국과의 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졌다.[37]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명나라 시기에는 크게 요새화되었으며,[39][35] 응우옌 왕조 시대인 1831년 민망 황제에 의해 공식적으로 성(省)이 설치되었다.
2. 1. 고대 ~ 응우옌 왕조
랑선이라는 이름은 한월어 량산(諒山)에서 유래했다.이 지역의 역사는 청동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에는 홍강 삼각주에서 중국 광저우로 이어지는 교역로 상에 위치하여 문물이 교류되었다.[35][6] 약 7,000년에서 9,000년 전에는 박선 문화의 초기 정착민들이 랑선성의 석회암 동굴에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38][8]
중국 삼국시대에는 사섭이 이곳의 호족으로 세력을 떨쳤다. 그는 이 지역의 특산물과 진귀한 보물들을 매년 오의 손권에게 바치고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딘 왕조(968~980) 시기에는 이 지역의 무역 성장을 장려하였으며, 중국 송나라에 융저우에서의 무역 관계 수립을 요청하기도 했다.[37][7] 중국 측 기록에 따르면, 당시 베트남은 향료, 코끼리 상아, 코뿔소 뿔, 금, 은, 소금 등을 중국의 직물과 교환했다.[37][7] 이후 리 왕조 시대에는 끼꿍강 유역의 빈빈(Vinh Binh)에 큰 시장이 형성되었다.[37][7]
1406년 4월 4일, 중국 명나라 사신이 국경을 넘어 랑선 지역으로 들어오자, 호꾸이리의 군대가 매복 공격하여 명나라가 호송하던 쩐 왕자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9][9] 명나라의 영락제는 이를 명에 대한 적대 행위로 간주하고 징벌적 성격의 원정을 단행하는 빌미가 되었다.[39][9] 명나라의 영향 하에 있던 1527년부터 1592년 사이에는 국경 지역으로서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어 랑선 지역이 크게 요새화되었으며, 그 흔적은 오늘날에도 남아있다. 리 왕조 시기에 축조된 성채는 랑선 시 서쪽의 석회암 바위 위에 자리 잡고 있다.[35][6]
응우옌 왕조 시대인 1831년, 민망 황제의 행정 개편에 따라 베트남 북부에 설치된 13개 성 중 하나로 랑선성이 공식적으로 만들어졌다. 1802년 응우옌 왕조가 세워진 이후 베트남 북부 지역은 총독(혹은 부왕)의 통치를 받아왔으나, 이때 성 단위 행정 구역으로 재편된 것이다.
2. 2. 프랑스 식민지 시대

1885년, 당시 번성했던 랑선시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프랑스군은 이곳을 까오방에 있는 다른 기지를 지원할 군사 기지로 개조하였다.[6][35]
프랑스 식민 통치 기간 동안 고고학적 발견도 이루어졌다. 1906년 고고학자 앙리 망쉬(Henri Mansuy)는 포빈자(Pho Binh Gia) 근처의 탐칸(Tham Khanh) 동굴을 발견하고, 이곳에서 독특한 석기 도구와 박선 문화(Bacsonian) 관련 유해를 발굴했다.[10][40][8][38] 이후 1922년부터 1925년까지 M. 콜로니(M. Colani)는 랑선성 일대를 광범위하게 탐사하며 산악 지역에서 고대 박선 문화와 관련된 43개의 유적지를 추가로 확인했다.[8][3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이 랑선 지역을 일시적으로 점령하기도 했다. 1940년, 일본은 비시 프랑스 정부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주둔에 관한 협정을 맺었으나, 합의가 채 마무리되기도 전에 이를 어기고 중국 방면에서 군대를 철수시켜 베트남 북부 국경을 넘어 공세를 시작했다. 일본군은 베트남-중국 국경을 넘어 12km 안쪽, 랑선 기차역 근처까지 진입하여 9월 22일 공격을 개시했고, 25일에는 랑선성을 점령했다. 그러나 비시 프랑스 정부가 협정 위반에 대해 히로히토 천황에게 항의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결국 9월 26일 저녁, 양측 간의 적대 행위가 중단되었고, 랑선성은 곧 비시 프랑스 군대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11][41]
2. 3. 베트남 민주 공화국 수립 이후
1945년 9월 호찌민 정부가 수립된 후, 포츠담 회담의 조건에 따라 베트남 북위 16도선 이북의 일본군은 중국 국민당 군대에 항복하게 되었다.[12] 당시 중국의 잠재적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호찌민은 프랑스와 협정을 체결했다. 이 프랑스-베트남 협정은 프랑스 연합과 인도차이나 연방 내에서 자유로운 베트남을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2]그러나 프랑스는 1947년 10월, 랑선을 기지로 삼아 비엣민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12][42] 비엣민은 프랑스군의 공세를 성공적으로 저지하고 프랑스군을 랑선으로 후퇴시켰으며, 이후 4번 국도에서 프랑스군을 추격하여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2][42] 결국 프랑스군은 랑선에서 철수해야 했고, 이는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2][42] 1950년에는 비엣민이 랑선성과 랑선시를 완전히 장악했다.[12][42]
전쟁 기간 중이던 1949년 6월 7일, 하이닌 성 소속이었던 록빈 현(Huyện Lộc Bình)이 랑선성으로 편입되었다.[14]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동안 랑선성은 리엔쿠 비엣 박(Liên khu Việt Bắc)의 일부였다.[14] 1956년 7월 1일에는 박장 성의 흐우룽 현(Huyện Hữu Lũng)이 랑선성으로 이관되었고, 같은 날 신설된 비엣박 자치구에 속하게 되었다.[14] 이 자치구는 1975년 12월 27일까지 유지되었다.[14] 1963년에는 성 내 여러 민족들을 대상으로 농업 협동화가 시작되었다.[14] 1964년 12월 16일에는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디엠헤 현(Huyện Điềm He)과 방막 현(Huyện Bang Mạc)의 일부 사(社)가 합쳐져 반꽌 현(Huyện Văn Quan)이, 온쩌우 현(Huyện Ôn Châu)과 방막 현의 일부 사가 합쳐져 찌랑 현(Huyện Chi Lăng)이 새롭게 형성되었다.[14]
1975년 12월 27일 비엣박 자치구가 해체된 후, 랑선성은 까오방 성과 통합되어 까오랑 성(Tỉnh Cao Lạng)이 되었다가 1978년 12월 29일에 다시 분리되었다.[14] 이 과정에서 꽝닌 성의 딘랍 현(Huyện Đình Lập)이 랑선성으로 편입되어 현재와 같은 10개 현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14]
1979년 2월, 중국은 베트남 북부 국경 마을인 동당(랑선시에서 북쪽으로 약 18km)을 통해 베트남을 침공하며 중월 전쟁을 일으켰다.[5][15][13][34][44][43] 닷새간 이어진 전투에서 약 60만 명의 중국군이 베트남으로 진격했으며, 랑선시는 20만 명에 달하는 중국군의 주요 공격 목표가 되어 점령당했다.[5][15][13][34][44][43] 그러나 베트남군은 끈질긴 저항 끝에 중국군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5][15][13][34][44][43] 이 전쟁의 경험은 랑선성 지역의 민간 설화로 남았으며, 국경 마을에는 당시의 전쟁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5][15][13][34][44][43] 전쟁 이후 국경 지역은 재건되었고, 랑선시를 통해 베트남과 중국 간의 활발한 무역이 다시 이루어지고 있다.[5][15][13][34][44][43] 한편, 1959년 중국의 침공 당시에도 랑선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재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6]
3. 지리
랑선성은 카르스트 지형의 석회암 산과 계곡이 특징적인 지역이다.[15] 성 전체 면적의 약 80%가 산과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16] 성의 크기는 남북으로 약 123km, 동서로 약 126km에 달한다.[17] 평균 해발고도는 252m이며, 가장 낮은 지점은 흐우릉현 남쪽으로 해발 20m이고, 가장 높은 지점은 랑선시 동쪽 30km 거리에 있는 머우선산(Mẫu Sơn)으로 해발 1541m이다. 머우선산 정상 부근에는 겨울철에 눈이 내리기도 한다. 성 내에 위치한 박선산맥(Bắc Sơn range) 역시 석회질 특성을 지니며, 높은 산등성이 사이에 비옥한 계곡이 있어 경치가 아름답다.[8]
랑선성의 북쪽은 까오방성과 접한다. 주요 강인 끼꿍강(Sông Kỳ Cùng)은 243km 길이에 유역 면적은 6660km2에 달하며, 딘럽현 박싸(Bắc Xa) 산악 지역의 해발 1166m 지점에서 발원하여 랑선시를 관통한다. 이 강 주변에는 약 1000m 높이의 산으로 둘러싸인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6] 끼꿍강은 중국 떠이장강(西江) 유역의 일부이다. 끼꿍강의 지류인 반틴강(Bản Thín River)은 길이 52km, 유역 면적 320km2으로, 중국 광시 산악 지역에서 발원하여 록빈현 쿠앗사(Khuất Xá) 면에서 끼꿍강과 합류한다. 그 외 주요 강으로는 박장강(Sông Bắc Giang, 길이 114 km, 유역 면적 2670km2), 박케강(Sông Bắc Khê, 길이 54km, 유역 면적 801km2), 성에서 두 번째로 큰 강인 트엉강(Sông Thương, 길이 157 km, 유역 면적 6640km2), 호아도강(Sông Hoá Độ, 길이 47km, 유역 면적 385km2), 쭝강(Sông Trung, 길이 35 km, 유역 면적 1270km2) 등이 있다.
랑선성은 중국 광시좡족 자치구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두 개의 국제 국경 통과 지점이 있다.[18] 가장 중요한 통과 지점은 동당(Đồng Đăng)에 위치한 우호 관문(Hữu Nghị Quan)으로, 중국의 핑샹시와 연결된다. 이곳은 베트남과 중국을 잇는 역사적인 첫 육로 연결 지점이다.[15][18] 랑선시는 하노이에서 북동쪽으로 155km 떨어져 있으며, 국도 1A호선이 통과한다.[6] 또한 국도 4호선을 통해 까오방과는 135km 거리에 있다.[12]
3. 1. 기후
랑선성의 연평균 기온은 17°C에서 22°C 사이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1200mm에서 1600mm 사이이다. 여름 평균 기온은 28.5°C이고, 겨울 평균 기온은 12°C에서 13°C 사이이다. 평균 습도는 80–85%이며, 연간 평균 일조 시간은 1600시간이다.[19]
4. 행정 구역
랑선성은 1개의 시(Thành phố|타인포vie)와 10개의 현(Huyện|후옌vie)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는 2019년 베트남 인구 및 주택 조사를 기준으로 한 랑선성의 행정 구역 목록이다.
행정 구역 유형 | 이름 | 인구 (2019년) | 하위 행정 구역 수 |
---|---|---|---|
시 (Thành phố) | 랑선 시 (Lạng Sơn / 諒山vie) | 103,284 | 5 방(phường), 3 사(xã) |
현 (Huyện) | 박선 현 (Bắc Sơn / 北山vie) | 71,967 | 1 시진(thị trấn), 17 사(xã) |
현 (Huyện) | 빈자 현 (Bình Gia / 平嘉vie) | 52,689 | 1 시진(thị trấn), 18 사(xã) |
현 (Huyện) | 까오록 현 (Cao Lộc / 高祿vie) | 79,873 | 2 시진(thị trấn), 20 사(xã) |
현 (Huyện) | 찔랑 현 (Chi Lăng / 枝陵vie) | 75,063 | 2 시진(thị trấn), 18 사(xã) |
현 (Huyện) | 딘럽 현 (Đình Lập / 定立vie) | 28,579 | 2 시진(thị trấn), 10 사(xã) |
현 (Huyện) | 흐우렁 현 (Hữu Lũng / 右隴vie) | 121,735 | 1 시진(thị trấn), 23 사(xã) |
현 (Huyện) | 록빈 현 (Lộc Bình / 祿平vie) | 84,740 | 2 시진(thị trấn), 19 사(xã) |
현 (Huyện) | 짱딘 현 (Tràng Định / 長定vie) | 59,827 | 1 시진(thị trấn), 21 사(xã) |
현 (Huyện) | 반랑 현 (Văn Lãng / 文朗vie) | 49,696 | 1 시진(thị trấn), 16 사(xã) |
현 (Huyện) | 반꽌 현 (Văn Quan / 文關vie) | 54,202 | 1 시진(thị trấn), 16 사(xã) |
5. 인구 통계
베트남 정부 일반 통계청에 따르면, 2019년 4월 1일 기준 랑선성의 인구는 781,655명이다.[2] 총 면적은 8310.09km2이며, 인구 밀도는 94명/km2이다. 성별 인구는 남성 399,410명, 여성 382,245명으로 나타났다.[2] 도시 지역 인구는 159,814명이며, 농촌 지역 인구는 621,841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79.5%를 차지한다.[2]
랑선성에는 베트남 정부가 인정한 약 40개의 민족이 거주하며, 각 민족은 고유한 언어,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15][22]
특히 눙족은 사용하는 방언에 따라 거주 지역이 나뉘는데, 랑선성 동부에는 눙 판 슬린(Nùng Phàn Slìnhvie) 방언 사용자가, 랑선시 주변에는 눙 차오(Nùng Cháovie) 방언 사용자가, 랑선성 서부에는 눙 인(Nùng Inhvie) 방언 사용자가 주로 분포한다.[23]
참고로 2008년 통계에서는 인구 759,000명, 인구 밀도 91명/km2였으며, 당시 민족 구성 비율은 눙족 42.97%, 따이족 35.92%, 킨족 16.5% 순이었다.[49][44][54]
6. 경제
랑선성의 경제는 농업과 임업이 80%를 차지한다.[56][24] 이 지역에는 보크사이트, 인산염, 석탄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37][57][7][25] 금, 은, 납의 매장량도 상당하다.[24] 2018년 GDP 기준으로 랑선성은 베트남 63개 성 중 51위, 1인당 GDP는 47위, 성장률은 20위를 기록했다.
주요 농작물은 쌀, 고구마, 옥수수, 카사바 등으로, 1986년 기준으로 총 재배 면적 55000ha 중 40000ha를 차지했다.[56][24] 차와 황색 담배 또한 중요한 작물 중 하나이다.[56][19] 이러한 작물들은 주로 박선 산맥, 빈자 산맥, 반 꾸안 산맥의 계곡과 끼꿍 강 및 트엉 강 유역 평야에서 재배된다.[56][24] 흐울룽현과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사탕수수 농장을 운영하며 오렌지와 파인애플을 재배하고, 다른 현에서는 차와 자두를 재배하기도 한다.[56][26] 축산업도 발달하여 1986년에는 14만 마리의 물소와 소, 15만 마리의 돼지가 사육된 기록이 있다.[56][24] 특히 깟케 오리는 이 지역의 특산물로 유명하다.[56][24]
북부 산악 지역의 풍부한 삼림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물 다양성의 보고이다. 특히, 랑선성 천연 삼림 면적의 5%를 차지하는 카르스트 석회암 지형은 생물 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베트남 북동부 석회암 지형에는 69종의 포유류가 서식하며, 이 중 5종은 고유종, 26종은 희귀종이다.[22] 이 지형은 지역 주민들에게 농업용수, 땔감, 약초, 건축 자재 등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원이며, 특히 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풍부하게 공급한다.[22] 또한 석회암 지형은 아노나 나무의 성장에 적합하여, 주민들에게 연평균 약 1200만베트남 동 (약 775USD)의 상당한 수입을 안겨준다.[22]
랑선성의 주요 특산물 중 하나는 중요한 향신료인 스타아니스(학명: ''일리시움 베룸'')이다. 이 상록수는 방향성 있는 잎을 가지며, 랑선성은 베트남 내 주요 재배지로 약 9000ha 면적에서 재배되며, 특히 반꽌현에 집중되어 있다.[31] 과거 국영 농장에서 관리되었으나, 1990년대 이후 각 가구에 분배되어 관리되고 있다.[31] 향후 재배 면적을 20000ha까지 늘릴 계획이다.[31] 스타아니스 향신료의 상업 생산량은 1997년 9896ton에서 1999년 5000ton으로 감소하기도 했다.[31]
1994년 불변 가격 기준 농산물 생산액은 1076.5억베트남 동이었다.[30]
7. 관광
랑선성은 풍부한 역사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보유하여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6][15] 특히 중국-베트남 전쟁의 영향을 받은 동당(Đồng Đăng) 국경 마을은 전쟁의 잔해가 남아 있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기도 한다.[34][44][43]
주요 관광지로는 랑선시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두 개의 큰 석회암 동굴과 명나라 시대의 성곽이 있다.[6][15]
- 땀타인 동굴(Động Tam Thanh|땀 타인 동굴vie): 세 개의 방과 물웅덩이가 있는 매우 큰 동굴이다. 동굴 안에는 바깥의 넓은 논을 조망할 수 있는 창문이 있다. 오른쪽 바깥 방에는 1777년에 지어진 땀자오 사찰(Tam Giao Pagoda)이 있으며, 여섯 개의 사당이 모셔져 있다. 왼쪽 두 번째 방에도 사당이 있다. 특이하게도 응옥뚜옌강(Ngọc Tuyền River)이 이 동굴을 통해 산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는 "극적인 광경"으로 묘사된다. 동굴 내부에는 불교 제단이 있으며 조명이 잘 설치되어 있다.[6][15]
- 니타인 동굴(Động Nhị Thanh|니 타인 동굴vie): 땀타인 동굴에서 약 700m 떨어져 있다. 18세기 랑선 수비대의 군사 지휘관이었던 응오틴시(Ngô Thì Sĩ)가 발견했으며, 동굴 입구에는 그가 지은 시가 새겨져 있다. 땀타인 동굴과 마찬가지로 응옥뚜옌강이 이 동굴을 통과하며, 불교 제단과 조명이 갖추어져 있다. 동굴 근처에는 유럽식 복장을 한 프랑스 거주자를 묘사한 비석이 세워져 있다.[6][15]
- 명나라 성곽: 16세기에 축조된 요새 유적이다. 바위가 드러난 황량한 지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과 서쪽을 향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랑선시에서 탐틴(Tam Tinh) 도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길가에서 시작되는 계단을 오르면 성곽의 폐허에 닿을 수 있다.[6][15]
이 외에도 랑선시에는 18세기에 지어진 고대 성벽 유적이 남아 있다.[6]
참조
[1]
간행물
Biểu số 4.1: Hiện trạng sử dụng đất vùng Trung du và miền núi phía Bắc năm 2022
https://monre.gov.vn[...]
2023-10-18
[2]
서적
"Completed Results of the 2019 Viet Nam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https://www.gso.gov.[...]
Statistical Publishing House (Vietnam)
[3]
웹사이트
Tình hình kinh tế, xã hội Lạng Sơn năm 2018
http://www.langson.g[...]
2020-05-10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ex by province(*) by Cities, provincies and Year
https://www.gso.gov.[...]
2024-09-28
[5]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https://archive.org/[...]
Merriam-Webster
[6]
서적
Footprint Vietnam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2010-08-26
[7]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8]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Ban Chiang, a Prehistoric Village Site in Northeast Thailand
UPenn Museum of Archaeology
[11]
웹사이트
Vichy Indo-China vs Japan, 1940
http://stonebooks.co[...]
Stone & Stone Second World War Books
2010-08-26
[12]
서적
Vietnam handbook
https://archive.org/[...]
Footprint Travel Guides
2010-08-26
[13]
서적
Mother Jones Magazine
https://books.google[...]
Mother Jones Magazine
2010-08-26
[14]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15]
서적
Vietnam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10-08-26
[16]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Langenscheidt Publishing Group
2010-08-26
[17]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18]
서적
Guide to Vietnam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0-08-26
[19]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20]
웹사이트
QCVN 02:2022/BXD Quy chuẩn kỹ thuật quốc gia về Số liệu điều kiện tự nhiên dùng trong xây dựng
https://luatvietnam.[...]
[21]
웹사이트
Annuaire Statistique du Vietnam
https://seadelt.net/[...]
2023-08-14
[22]
웹사이트
Filed Guide to Vietnam:Limestone Forest: Beyond Stunning Beauty
http://www.asiafores[...]
Asia Forest Network
2010-08-26
[23]
문서
Comparative Kadai: the Tai branch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ublications in Linguistics 124.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1997
[24]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25]
웹사이트
Lạng Sơn
http://encyclopedia2[...]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0-08-26
[26]
문서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27]
웹사이트
Number of cooperatives in 2008 by kind of activity and by provinc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28]
웹사이트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Number of cooperatives by province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29]
웹사이트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Number of farms by province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30]
웹사이트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Output value of agriculture at constant 1994 prices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31]
서적
Handbook of herbs and spices
https://books.google[...]
Woodhead Publishing
[32]
웹사이트
Tìm hiểu chữ “Lạng” trong địa danh Lạng Sơn
https://baolangson.v[...]
BÁO LẠNG SƠN ĐIỆN TỬ
2021-10-26
[33]
문서
https://baolangson.v[...]
[34]
서적
Merriam-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Merriam-Webster
[35]
서적
Footprint Vietnam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2010-08-26
[36]
웹인용
Provinces of North East Region: Lang Son Province
http://www.wompom.ca[...]
WomPoms Vietnam
2013-06-28
[37]
간행물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38]
간행물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7): The Ming Dynasty, 1368-1644 (Part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서적
Ban Chiang, a Prehistoric Village Site in Northeast Thailand
https://books.google[...]
UPenn Museum of Archaeology
[41]
웹인용
Vichy Indo-China vs Japan, 1940
http://stonebooks.co[...]
Stone & Stone Second World War Books
2010-08-26
[42]
서적
Vietnam handbook
https://archive.org/[...]
Footprint Travel Guides
2010-08-26
[43]
서적
Mother Jones Magazine
https://books.google[...]
Mother Jones Magazine
2010-08-26
[44]
서적
Vietnam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10-08-26
[45]
서적
Vietnam
https://books.google[...]
Langenscheidt Publishing Group
2010-08-26
[46]
간행물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47]
웹인용
QCVN 02:2022/BXD Quy chuẩn kỹ thuật quốc gia về Số liệu điều kiện tự nhiên dùng trong xây dựng
https://luatvietnam.[...]
[48]
웹인용
Annuaire Statistique du Vietnam
https://seadelt.net/[...]
2023-08-14
[49]
웹인용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in 2008 by province
http://www.gso.gov.v[...]
베트남 통계청
2010-06-23
[50]
웹인용
Population and Employment :Average male population by province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51]
웹인용
Average female population by province
http://www.gso.gov.v[...]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52]
웹인용
Average urban population by province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53]
웹인용
Average ruralpopulation by province
http://www.gso.gov.v[...]
Population and Employment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the Government of Vietnam
2010-06-23
[54]
웹인용
Filed Guide to Vietnam:Limestone Forest: Beyond Stunning Beauty
http://www.asiafores[...]
Asia Forest Network
2010-08-26
[55]
문서
Edmondson, Jerold A., Solnit, David B. (eds). 1997. Comparative Kadai: the Tai branch.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Publications in Linguistics 124. Dallas: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and the University of Texas at Arlington.
[56]
간행물
Special issue on Lạng Sơn
1988
[57]
웹인용
Lạng Sơn
http://encyclopedia2[...]
The Free Dictionary by Farlex
2010-08-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