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화랑대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랑대연구소는 육군사관학교 부설 연구기관으로, 1981년 인문과학연구소와 응용과학연구소의 통합으로 설립되었다. 교수 연구 활동 지원, 학술회의 주관, 정기 학술 간행물 발간, 한국군사학교육학회 운영을 주요 임무로 한다. 육군사관학교 학교장, 연구소장, 정책심의위원회, 기획총괄장교, 연구심의위원회, 편집위원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개의 연구실을 운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부설연구소 - 육군사관학교 종합체육관
    육군사관학교 종합체육관은 생도들의 체력 단련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4월 26일 준공되었으며, 국제 규격의 경기장과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체력 증진 및 정신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제공한다.
  • 공공기관(육군 산하) - 육군사관학교 종합체육관
    육군사관학교 종합체육관은 생도들의 체력 단련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4월 26일 준공되었으며, 국제 규격의 경기장과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체력 증진 및 정신력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과 활동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은 육군사관학교 내에 위치한 군사 박물관으로,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군사 유물을 전시하며, 제1, 2 전시실, 육사기념관, 옥외 및 야외 전시장을 갖추고 있다.
화랑대연구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일반 정보
이름화랑대연구소
현지어 이름花郞臺硏究所
영어명Hwarang-dae Research Institute
약칭(정보 없음)
설립일1967년 6월
설립 근거(정보 없음)
전신(정보 없음)
해산일(정보 없음)
후신(정보 없음)
관할(정보 없음)
소재지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574 (공릉동)
직원(정보 없음)
예산(정보 없음)
모토(정보 없음)
조직
기관장 직책연구소 소장
기관장 성명이원우
상급 기관육군사관학교
산하 기관(정보 없음)
기타
웹사이트화랑대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화랑대연구소는 1967년 6월 한국군사연구실로 처음 문을 열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개편과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981년 7월 인문과학연구소와 응용과학연구소를 통합하여 화랑대연구소가 발족되었다. 1988년 교수부 소속으로, 1995년 학교장 직속 기관으로 편제가 바뀌었다.

2001년에는 국방유적 및 군사환경 연구실, 화생무기대응체계연구실이, 2004년에는 응용수학연구실이 추가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조직 개편을 통해 연구 분야를 확장하였다.

2015년에는 군대윤리연구실이 신설되었고, 2016년 대외 수탁 업무는 산학협력단으로 이관되었다. 2018년 생명윤리위원회, 2019년 연구 정책심의위원회 및 사관학교 국제심포지엄 위원회가 신설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67년 ~ 1981년)


  • 1967년 6월 한국군사연구실이 발족되었다.
  • 1972년 3월 응용과학연구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1973년 응용과학연구위원회는 응용과학연구소로 개편되었다.
  • 1974년 1월 한국군사연구실은 인문과학연구소로 개편되었다.
  • 1981년 7월 인문과학연구소와 응용과학연구소가 통합되어 화랑대연구소가 발족되었다.

2. 2. 발전 및 확장기 (1988년 ~ 2011년)

1988년 10월, 화랑대연구소는 교수부 소속으로 편제되었다. 1995년에는 학교장 직속 기관으로 연구소 편성 및 편제가 개편되었다.

2001년 1월 국방유적, 군사환경 연구실이 추가되었고, 같은 해 12월에는 화생무기대응체계연구실이 개설되었다. 2004년 2월에는 응용수학연구실이 개설되었다.

2006년 3월에는 11개 일반연구실 및 3개 특화연구실로 조직이 개편되었고, 2007년 1월에는 군사학 특화 연구실을 포함하여 11개 일반연구실 및 4개 특화연구실로 개편되었다. 2009년 1월에는 미래전쟁 특화 연구실을 포함, 11개 일반연구실 및 5개 특화연구실로 조직이 다시 개편되었다. 2010년 1월에는 11개 일반연구실 및 2개 특화연구실로, 2011년 1월에는 15개 일반연구실 및 2개 특화연구실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연도내용
1988년 10월화랑대연구소를 교수부 소속으로 편제
1995년학교장 직속 기관으로 연구소 편성 및 편제 개편
2001년 1월국방유적, 군사환경 연구실 추가
2001년 12월화생무기대응체계연구실 개설
2004년 2월응용수학연구실 개설
2006년 3월11개 일반연구실 및 3개 특화연구실로 조직 개편
2007년 1월11개 일반연구실 및 4개 특화연구실로 조직 개편(군사학 특화 연구실)
2009년 1월11개 일반연구실 및 5개 특화연구실로 조직 개편(미래전쟁 특화 연구실)
2010년 1월11개 일반연구실 및 2개 특화연구실로 조직 개편
2011년 1월15개 일반연구실 및 2개 특화연구실로 조직 개편


2. 3. 최근 변화 (2015년 ~ 현재)

2015년 1월 군대윤리연구실이 신설되고 일반연구실이 16개로 증설되었다. 2016년 1월에는 대외 수탁 업무를 산학협력단으로 이관하였다. 2018년 6월에는 생명윤리위원회가 신설되었다. 2019년 2월, 연구센터 창설로 위원회 명칭이 연구소 정책심의위원회에서 연구 정책심의위원회로 변경되었다. 2019년 4월에는 사관학교 국제심포지엄 위원회가 신설되었다.

3. 임무

화랑대연구소는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 교수 연구 활동 및 국고 연구 지원: 육군사관학교 예산으로 지원되는 연구 과제 수행 및 행정 업무를 지원하고, 연구실별 세미나 및 학술 교류 활동을 지원한다.
  • 학술회의 주관: 국내외 학술 교류 활성화를 위해 화랑대 국제심포지엄(HIS), 국제 사관학교 심포지엄(ISOMA), 대학생 안보토론대회 등 다양한 학술회의를 주관한다.
  • 정기 학술 간행물 발간: 군사학 분야 연구 성과 공유 및 학문적 발전을 위해 한국군사학논집, 화랑대논문집, 군사연구총서 등의 정기 간행물을 발간한다.
  • 한국군사학교육학회 지원: 군사학 학문 체계 정립과 학술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한국군사학교육학회 창립(2008년)을 지원하고, 학회 활동을 돕는다.

3. 1. 교수 연구 활동 지원

육군 예산으로 지원되는 연구 과제 수행 및 행정 업무를 지원하며, 연구실별 세미나 및 학술 교류 활동을 지원한다. 연구 과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지정 연구
일반 연구
기타


3. 1. 1. 국고 연구 지원

육군 예산으로 지원하는 연구 과제 수행과 관련된 행정 업무를 지원하며, 연구실별로 실시하는 세미나와 학술 교류 활동 등을 지원한다.

구분내용
지정 연구
일반 연구
기타


3. 2. 학술회의 주관

화랑대연구소는 국내외 학술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학술회의를 주관하고 있다.

대표적인 학술회의로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화랑대 국제심포지엄(HIS)이 있으며, 1981년 처음 개최된 이래 군 발전을 위한 학문 연구를 활성화하고 민·군·산·학 간 최신 학술 정보 교류를 촉진하며, 사관생도들의 군 관련 학술 분야 안목을 넓히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국제 사관학교 심포지엄(ISOMA)은 세계 각국 사관학교와의 교류를 통해 육군사관학교 교육 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해 2007년부터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 2017년 제5회 대회에서는 21개국 대표들이 국제사관학교 협의체(IAMA)를 창설하였고, 육군사관학교는 IAMA 자문위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생 안보토론대회는 2002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토론 대회로, 대학생들에게 안보 문제에 대한 토론 기회를 제공하고 안보 현실과 육군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육군본부가 주최하고 지상군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실시되며, 육군사관학교와 국내 주요 대학이 공동 주관한다.

이 외에도 화랑대연구소는 2011년 '전통시대 무인의 삶과 활쏘기 문화'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주제의 학술 행사를 주관하며 학술 교류 및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3. 2. 1. 화랑대 국제심포지엄 (HIS)

화랑대 국제심포지엄(HIS)은 1981년 '군대와 국가발전'이라는 주제로 처음 개최된 이래 격년으로 열리는 국제 학술회의이다. 군 발전을 위한 학문 연구 활성화, 민·군·산·학 간 최신 학술 정보 교류, 사관생도들의 군 관련 학술 분야 안목 배양을 목표로 한다. 국내외 저명 학자의 기조연설과 논문 발표로 진행되며, 사관생도를 비롯하여 국내외 대학 및 기관의 연구자, 군 관련 분야 실무자 등이 참석한다.

  • 제16회 (2011년): 북한 화생무기의 위협실태와 한국의 안보정책
  • 제17회 (2013년): 군사리더십 : 이론, 적용, 그리고 새로운 전망 (국제 사관학교 심포지엄 참여 해외 사관학교 다수 참석)
  • 제18회 (2015년): 사이버 안보위협 및 대응
  • 제19회 (2017년): 아시아 지역 사관학교의 국제교류·협력현황과 미래
  • 제20회 (2019년): 한국화생방방어학회와 공동 주최, '제7회 방호구조물 설계 및 해석 국제학술대회 (DAPS 2019)'로 진행. 방호기술의 현재와 미래 주제, Krauthammer, Guoxing Lu 교수 강연.

2019 화랑대 국제 심포지엄 DAPS 에코 백

  • 제21회 (2020년): 6.25 전쟁 70주년 기념, 국방부와 공동 주최. 'Peace and Future beyond War: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Korean War' 주제. 반기문 前 UN 사무총장, 콜린 파월미국 국무 장관 참여. 코로나19 상황으로 화상회의 및 유튜브 스트리밍 방식 진행. UN 참전국 사관학교 교수 및 사관생도들이 화상 참여, 6.25 전쟁의 역사적 의미와 한반도 평화 정착 방안 모색.

2020 화랑대 국제 심포지엄

3. 2. 2. 국제 사관학교 심포지엄 (ISOMA)

국제 사관학교 심포지엄(ISOMA)은 세계 각국 사관학교와 교류하며 육군사관학교 교육 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해 2007년 '제1회 사관학교 발전을 위한 국제심포지엄'을 시작으로 격년으로 개최되는 행사이다. 2009년 프랑스 생시르 사관학교, 2011년 콜롬비아 콜롬비아 군사종합전투학교, 2015년 스페인 육군사관학교, 2017년 캐나다 캐나다 생장 사관학교, 2019년 스웨덴에서 개최되었다. 2017년 제5회 대회(캐나다)에서 21개국 대표들이 국제사관학교 협의체(IAM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ilitary Academies)를 창설했고, 육군사관학교는 IAMA 자문위원국으로 선임되었다.

IAMA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지식 공유

# 교류 촉진

# ISOMA 조직 및 주최

# 사관학교 네트워크 강화 및 유지

# 주제별 연구 그룹 개발

역대 ISOMA 개최 현황은 다음과 같다.

역대 ISOMA
회기년도주최기관주제
제1회2007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The changing environment of future educational innovation for military academies
제2회2009프랑스 생시르 사관학교Irregular warfare training for officers
제3회2011콜롬비아 콜롬비아 군사종합전투학교Challenges for military academies in the training of 21st century officers
2013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Leadership for military officers, theories, Applications and new perspectives
제4회2015스페인 육군사관학교Comprehensive Education for officers to face New Security Challenges
제5회2017캐나다 캐나다 생장 사관학교The development of general culture and critical thinking in the training of officers and military personnel
제6회2019스웨덴 육군사관학교Managing Adaptation in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제7회2021미국 Norwich 대학교Preparing Military Leaders to Effectively Resolve 21st Century Security Challenges


3. 2. 3. 대학생 안보토론대회

대학생 안보토론대회는 2002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전국 규모의 대학생 토론 대회로, 대학생들에게 안보 이슈에 대한 토론 기회를 제공하고 안보 현실, 육군 정책 및 미래 군사력 건설 방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육군본부가 주최하고 지상군 페스티벌의 일환으로 실시되며, 육군사관학교와 국내 주요 대학이 공동 주관한다. 안보 현안을 주제로 발표, 지정토론, 의제토론 등의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약 6~8개 분과별 주제에 따라 토론 활동이 이루어진다. 우수 참가자에게는 참모총장 상장과 상금 등의 특전이 주어진다.

역대 대학생 안보토론대회
구분참가대학참가학생공동주관
제1회1381명고려대
제2회2681명경희대
제3회2984명숙명여대
제4회36135명연세대
제5회33125명성균관대
제6회31152명서울대
제7회40261명서강대
제8회40306명숙명여대
제9회48354명한양대
제10회50361명중앙대
제11회58330명서울시립대
제12회48317명서울대
제13회51301명이화여대
제14회34299명서강대
제15회50272명제주대
제16회26174명강원대
제17회81348명서울과학기술대
제18회108373명서울대
제19회고려대


3. 2. 4. 기타 세미나

2011년 11월 4일 화랑대연구소 주최로 '전통시대 무인의 삶과 활쏘기 문화'를 주제로 학계와 국궁계에서 50명이 참석한 세미나가 열렸다. 육군사관학교 교수로 근무하였던 김기훈 교수와 최진희 교수 등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내에서 국궁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는 이들이 국궁 관련 세미나, 연구 활동을 진행하며 국궁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궁뿐만 아니라 연구진들의 심도있는 연구활동이 여러 주제에 걸쳐 진행되고 있으며 문화발전, 학술교류에 큰 역할을 해내고 있다.

세미나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세미나 - '전통시대 무인의 삶과 활쏘기 문화'

  • * 1부 : 전통시대 무인의 삶과 활쏘기

  • ** 삼국시대~고려시대 활쏘기 문화

  • ** 조선전기 활쏘기 문화의 특징

  • ** 「부북일기」에 나타난 무인의 활쏘기 훈련

  • * 2부 : 근대 활쏘기의 문화적 변용

  • ** 활쏘기의 체육학적 고찰

  • ** 전국 활터의 현황과 과제

3. 3. 정기 학술 간행물 발간

화랑대연구소는 군사학 분야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학문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기 간행물을 발간하고 있다.

  • 한국군사학논집: 1964년 창간된 육사논문집을 승계한 학술지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이다. 연 3회(2월 28일, 6월 30일, 10월 31일) 발행되며, 국방·군사 관련 정책·제도, 군사전략·군사사상·군사사, 무기체계 및 장비, 국방 및 안보와 유관한 정치·외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화랑대논문집: 1964년 육사논문집으로 창간되었으며, 2008년 한국군사학논집으로 권호를 이양하고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연 2회(5월, 11월) 발간되며, 육군사관학교 발전을 위한 교육제도 및 환경, 국가안보 및 국방과학, 리더십 분야를 다룬다.

  • 군사연구총서: 군 관련 주요 현안, 국내·외 군 교육기관, 최신 군사정보 관련 내용을 번역, 저술하여 군 및 학교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89년 창간되어 2019년까지 총 81권이 발간되었다.

3. 3. 1. 한국군사학논집

한국군사학논집(https://kjmac.jams.or.kr/co/main/jmMain.kci)은 1964년에 창간된 육사논문집을 승계하여 화랑대연구소에서 연 3회(2월 28일, 6월 30일, 10월 31일) 발행하는 정기간행물이다. 2015년 7월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되었다. 논문 접수는 발간일 3개월 전까지 수시로 할 수 있다.

한국군사학논집에 수록되는 논문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국방·군사와 관련된 정책·제도
  • 군사전략·군사사상·군사사
  • 무기체계 및 장비
  • 국방 및 안보와 유관한 정치·외교
  • 북한 및 한반도 주변 국가의 국방정책 및 군사문제
  • 첨단과학기술의 군사적 응용
  • 기타 군사학 관련 내용


육군사관학교, 국방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작성한 논문 외에도 외부 교수들의 논문도 수록된다. [https://www.kci.go.kr/kciportal/po/search/poArtiSearList.kci?sereId=SER000001512 KCI 한국학술지인용색인 사이트]에서 한국군사학논집에 수록된 모든 논문을 찾아볼 수 있다.

3. 3. 2. 화랑대논문집

1964년 육사논문집으로 창간되었으며, 2008년 64집 1권을 발간 후 한국군사학논집으로 권호를 이양하고 같은 해 11월에 화랑대논문집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연 2회 5월과 11월에 발간되고 있으며 육군사관학교 발전을 위한 교육제도 및 환경, 국가안보 및 국방과학, 리더십 분야 전반에 걸친 폭넓은 학문 분야의 연구를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선정하여 수록하고 있다. 육군사관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수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동연구자들도 논문집 발간에 기여할 수 있다.

3. 3. 3. 군사연구총서

군사연구총서는 군 관련 주요 현안, 국내·외 군 교육기관, 최신 군사정보 관련 내용을 번역, 저술하여 군 및 학교 발전에 기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89년 제1권 「2000년대 국가안보의 좌표(I) - 국방 과학 기술 편 -」을 발행한 이래로 2019년 제81권 「정보시스템 및 조직을 위한 공급망 위험관리」까지 발간되었다. 발간 및 접수는 연초 및 연말인 1월~3월과 10월~12월 사이에 이루어진다.

3. 4. 한국군사학교육학회

한국군사학교육학회(Korea Association of Military Educational Studies영어)는 2008년 2월 1일 창립총회를 열고 군사학 학문 체계 정립과 학술 교류 활성화를 목적으로 창립되었다. 초대 학회장은 육군사관학교장이었던 임충빈 육군중장이 맡았다. 많은 대한민국 대학에 군사학과가 개설되면서 군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국군사학논집에 기여하고 한국군사학교육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군사학의 학문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군사학교육학회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군사학 학문 체계 발전 및 군사 관련 여러 학문 분야의 발전

# 군사학 학문의 교육, 연구, 학술 활동 활성화 계기 마련

# 군사학 및 군사 관련 학문 분야의 인적 네트워크 구성 기반 조성

4. 조직

화랑대연구소는 육군사관학교 부설 연구기관으로, 연구소장 아래 다양한 부서와 연구실을 두고 있다. 기획총괄장교는 기획, 연구, 행정, 편집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연구심의위원회와 편집위원회는 연구 방향과 질을 관리하며, 특히 편집위원회는 한국군사학논집, 화랑대 논문집 발간을 담당한다.

16개 연구실에서는 교육발전, 군사사, 사회과학, 안보문제, 화생방/에너지, 국방체육, 시설환경, 군전자통신, 무기체계, 지역언어, 통일문제, 운영분석, 사이버전, 나노/센서국방, 국방정신문화, 군대윤리 등을 연구한다. 각 연구실은 연구실장, 연구지원장교, 연구원으로 구성된다.

4. 1. 육군사관학교 학교장

화랑대연구소가 위치한 육군사관학교 충무관

4. 2. 연구소장

구분구성
기획총괄장교기획장교, 연구장교, 행정담당사, 편집장교
연구심의위원회
편집위원회한국군사학논집, 화랑대 논문집
연구실 (16개)교육발전 연구실, 군사사 연구실, 사회과학 연구실, 안보문제 연구실, 화생방/에너지 연구실, 국방체육 연구실, 시설환경 연구실, 군전자통신 연구실, 무기체계 연구실, 지역언어 연구실, 통일문제 연구실, 운영분석 연구실, 사이버전 연구실, 나노/센서국방 연구실, 국방정신문화 연구실, 군대윤리 연구실



각 연구실은 연구실장, 연구지원장교, 연구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