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 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주 변씨는 중국 농서 출신 변려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상장군을 지낸 변려의 후손들이 황주에 정착하여 황주를 본관으로 삼았다. 황주 변씨는 석계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전라남도 장성군과 전라북도 부안군 등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했으며, 변이중, 변희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물을 배출했다. 2015년에는 8,037명이 황주 변씨 성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황주 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황주 변씨 |
한자 표기 | 黃州邊氏 |
관향 | 황해북도 황주군 |
시조 | 변려(辺呂) |
연결된 인물 | 변희봉 균여 |
씨족 정보 | |
국가 | 한국 |
지역 | 황주군 |
연결된 구성원 | 변희봉 균여 |
기타 정보 | |
집성촌 | 전라남도 장성군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
인물 | 변균여, 변이중, 변경윤, 변휴, 변광보, 변치명, 변득양, 변훈, 변희봉, 변광용 |
년도 | 2015 |
인구 | 8,037명 |
나라 | 한국 |
2. 역사
『황주변씨세보(黃州邊氏世譜)』에 의하면 시조 변려(邊呂)는 중국 농서(隴西) 사람으로 송(宋)이 망하자 고려로 귀화하여 취성(取城:황주의 옛 지명)에서 세거하였다고 한다. 변려는 1232년(고종 19) 몽골군이 송경(松京)을 침입하자 강화(江華)로 피난 간 고종을 시종(侍從)하는데 공을 세워 상장군(上將軍)에 오르고 태천백(泰川伯)에 봉해져 식읍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황주(黃州)는 황해북도 황주군 일대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는 동홀(冬忽) 또는 동어홀(冬於忽)이라 불렸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취성군(取城郡)으로 개칭되었다. 태봉 때 황주(黃州)로 바꾸었고 983년(고려 성종 2) 황주목이 되었다. 1012년(현종 3) 안무사(安撫使)를 두었다가 다시 목으로 개편하여 서해도에 예속하였고 1217년(고종 4)에 지고령군(知固寧郡)으로 강등되었다. 1269년(원종 10) 원(元)나라의 동녕부(東寧府)에 속하였고, 1290년(충렬왕 6) 서북면으로 관을 옮겼으며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황주목(黃州牧)으로 환원되면서 서해도에 이관되었다. 조선 세조 때에 진(鎭)을 두어 2도호부, 6군, 5현 등을 관할하였다. 1896년 황해도 황주군으로 개편되었다.
석계공파(石溪公派), 명산공파(明山公派), 운곡공파(雲谷公派), 첨정공파(僉正公派), 치재공파(恥齋公派), 자하공파(紫霞公派), 망암공파(望菴公派), 휴암공파(鵂巖公派), 청암공파(淸庵公派), 사용공파(司勇公派), 절충공파(折衝公派)로 나뉘었다.
3. 본관
4. 분파
5. 항렬표
세손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항렬자[3] 치(致) 득(得)
종(宗)상(相) 용(容) 기(基) 진(鎭) 연(淵)
원(源)동(東)
주(柱)섭(燮)
환(煥)재(在)
규(圭)석(錫)
현(鉉)영(永)
태(泰)모(模)
근(根)하(夏)
희(熙)배(培)
신(信)종(鍾)
용(鎔)수(洙)
택(澤)
6. 집성촌
7. 인물
- 균여(邊均如, 923년 ~ 973년) : 고려의 승려이다. 황주 변씨는 1200년경부터 시작된 것을 기준으로 토착 변씨가 황주 변씨로 흡수된 경우의 인물이다.
- 변이중(邊以中, 1546년 ∼1611년) : 1573년 문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권율 장군을 도와 행주대첩에 기여하였다. 이이, 성혼의 제자이며, 저서로 『망암집』이 있다.
- 변경윤(邊慶胤, 1574년 ~ 1623년) : 변이중의 아들이다. 1603년 문과에 급제하였고, 1608년 시폐를 논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파직당하였다. 1618년 인목대비 폐비 사건에 반대하다가 가산을 적몰당하였다.
- 변휴(邊烋, 1640년 ~ 1699년) : 변이중의 현손으로, 1798년에 『오산명인록(鰲山名人錄)』을 저술하였다.
- 변광보(邊光輔, 1644년 ~ 1662년) : 소현세자의 딸인 경순군주의 남편으로 황창부위에 봉해졌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 변치명(邊致明, 1693년 ~ 1775년) : 1721년 진사시에 급제하고, 1751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3년 한성부우윤을 역임하였고, 1769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저서로 『묵포집』이 있고, 시호는 효헌(孝憲)이다.
- 변득양(邊得讓, 1723년 ~ 1801년) : 1754년에 진사가 되고, 1756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769년에 승지에 오르고 1774년 동지중추부사가 된 뒤 1793년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효정(孝靖)이다.
7. 1. 현대 인물
8. 과거 급제자
wikitext
황주 변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8명을 배출하였다.[4]
வகை | 이름 |
---|---|
문과 | 변경윤(邊慶胤), 변동익(邊東翼), 변득양(邊得讓), 변사달(邊四達), 변상휘(邊相徽), 변유(邊攸), 변이중(邊以中), 변치명(邊致明) |
무과 | 변하익(邊夏益) |
생원시 | 변건(邊健), 변덕용(邊德容), 변득경(邊得景), 변득형(邊得衡), 변상돈(邊相燉), 변상선(邊相璇), 변석기(邊奭基), 변유(邊攸), 변유용(邊有容), 변이중(邊以中), 변정용(邊正容), 변종유(邊鍾裕), 변채기(邊采基), 변처안(邊處安), 변치도(邊致道), 변치일(邊致一), 변치흠(邊致欽), 변호(邊浩) |
진사시 | 변광식(邊光軾), 변득양(邊得讓), 변사민(邊思閔), 변상휘(邊相徽), 변수(邊脩), 변우기(邊遇基), 변일(邊佾), 변중유(邊重裕), 변진형(邊鎭衡), 변치도(邊致道), 변치명(邊致明), 변치주(邊致周) |
9. 인구
연도 | 인구 |
---|---|
2000년 | 6,848명 |
2015년 | 8,037명 |
10.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황주변씨 黃州邊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3]
웹사이트
변씨(邊氏) 본관(本貫) 황주(黃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간행물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