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치야마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쿠치야마역은 일본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04년 개업했다. JR 서일본, 교토 단고 철도, 호쿠탄 철도가 이 역을 이용했으나, 호쿠탄 철도는 1974년 폐지되었다. 현재는 JR 서일본과 교토 단고 철도가 운행하며, 고가역으로 3면 4선의 JR선과 1면 2선의 교토 단고 철도선이 있다. 역 주변에는 후쿠치야마성, 시청 등 주요 시설이 있으며, 버스 노선도 다양하게 운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킨키 단고 철도의 철도역 - 도요오카역 (효고현)
효고현 도요오카시에 위치한 도요오카역은 JR 서일본 산인 본선과 교토 단고 철도 미야토요선이 지나가는 효고현 북부 지역의 교통 중심지로, 1909년 개업 이후 역사 개축, 지진 피해 복구, 노선 이관 등의 변화를 거쳐 2011년 새로운 역사가 완공되었으며 주변에 시청, 상업 시설, 공원 등이 위치한다. - 기타킨키 단고 철도의 철도역 - 니시마이즈루역
니시마이즈루역은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JR 서일본의 마이즈루 선과 교토 단고 철도의 미야즈 선이 지나며, 복합 승강장 구조의 JR 구역과 단선 승강장의 교토 단고 철도 구역으로 나뉘어 운영되는 공동 사용역이다. - 후쿠치야마시의 철도역 - 이사역
이사역은 일본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의 지상역으로, 섬식 1면 2선 구조를 갖춘 무인역이며, 1904년 영업을 시작하여 1987년 JR 서일본의 역이 되었다. - 후쿠치야마시의 철도역 - 가미카와구치역
가미카와구치역은 교토부 후쿠치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의 2면 3선 지상역으로, 1911년 개업하여 1987년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이 되었으며, 역 주변에는 다치하라 우체국 등의 시설과 버스 노선이 존재한다. - 1904년 개업한 철도역 - 니가타역
니가타역은 JR 동일본의 철도역으로, 조에쓰 신칸센, 신에쓰 본선, 하쿠신 선, 에치고 선이 연결되는 니가타 지역의 주요 교통 중심지이며, 현대화된 시설과 개선된 접근성을 제공하는 니가타시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한다. - 1904년 개업한 철도역 - 료고쿠역
료고쿠역은 도쿄도 스미다구에 위치한 JR 동일본 소부 본선과 도쿄 도 교통국 오에도선의 환승역으로, 과거 보소 방면 터미널역이었으나 현재는 소부선 각역정차만 정차하며 료고쿠 국기관, 에도-도쿄 박물관과 인접해 있다.
후쿠치야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후쿠치야마역 |
로마자 표기 | Fukuchiyama-eki |
위치 | 일본 교토부 후쿠치야마시 아마타 |
운영 주체 | |
운영 회사 |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윌러 트레인 (교토 단고 철도) |
노선 | 산인 본선 후쿠치야마 선 미야후쿠 선 |
승강장 | 1면 1선 + 3면 6선 |
역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1904년 4월 1일 |
역 번호 | F01 (교토 단고 철도) |
상태 | 유인역 (미도리노 마도구치 운영) |
수송 인원 | JR 서일본: 3,783명 (2016년) 교토 단고 철도: 1,033명 (2016년) |
JR 서일본 역 상세 | |
소속 사업자 | 서일본 여객철도 (JR 서일본) |
교토 단고 철도 역 상세 | |
소속 사업자 | 윌러 트레인 (교토 단고 철도) |
2. 역사
1904년 11월 3일 일본국유철도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 및 한카쿠 철도 후쿠치야마미나미구치 (후쿠치) ~ 후쿠치야마 구간 개업으로 역이 신설되었다. 1907년 8월 1일 한카쿠 철도가 국유화되었고,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한카쿠 선 소속이 되었다. 1911년 10월 25일 반탄 선 지선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구간이 개업했다.
1912년 3월 1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반탄 선 후쿠치야마 ~ 와다야마 ~ 가스미 구간이 산인 본선에 편입되어 후쿠치야마 역도 산인 본선 소속이 되었다. 한와 선 후쿠치야마 이남은 후쿠치야마 선으로 개칭되었다. 1923년 9월 22일 호쿠탄 철도가 개업했으나, 1971년 3월 2일 휴지, 1974년 완전 폐지되었다.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소속이 되었고, 1988년 7월 16일 미야후쿠 철도가 개업했다. 1995년 4월 20일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2005년 11월 JR 서일본, 2009년 2월 기타킨키 단고 철도(현 교토 단고 철도)가 고가화되면서 역 건물이 확장되었다. 2021년 3월 13일 교통카드 ICOCA 사용이 개시되었다.
후쿠치야마역은 북긴키 특급망인 북긴키 빅X 네트워크 요충지에 위치하며, 과거 국철 후쿠치야마 철도관리국 및 JR 서일본 후쿠치야마 지사(긴키 총괄본부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치야마 관리부에 흡수)가 설치되어 주변 철도망 요충지 역할을 수행했다.
2. 1. 일본국유철도 및 JR 서일본
- 1904년 11월 3일: 일본국유철도 후쿠치야마 ~ 아야베 ~ 신마이즈루 구간 및 한카쿠 철도의 후쿠치야마미나미구치 (후쿠치) ~ 후쿠치야마 구간 개업으로 일본국유철도 역이 신설되었다.
- 1907년 8월 1일: 한카쿠 철도가 국유화되었다.
- 1909년 10월 12일: 노선 명칭 제정에 따라 한카쿠 선 소속이 되었다.
- 1911년 10월 25일: 반탄 선 지선 와다야마 ~ 후쿠치야마 구간이 개업했다.
- 1912년 3월 1일: 노선 명칭 개정으로 한카쿠 선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과 반탄 선 후쿠치야마 ~ 와다야마 ~ 가스미 구간이 산인 본선에 편입되어 후쿠치야마 역도 산인 본선 소속이 되었다. 한와 선 후쿠치야마 이남은 후쿠치야마 선으로 개칭되었다.
-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 소속이 되었다.
- 1995년 4월 20일: 아야베 ~ 후쿠치야마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 2021년 3월 13일: 교통카드 ICOCA 사용이 개시될 예정이다.[10][11]
2. 2. 교토 단고 철도 (구 기타킨키 단고 철도)
1988년 7월 16일 : 미야후쿠 철도가 개업했다.[2]2009년 2월: 기타킨키 탱고 철도(현재의 교토 단고 철도)가 고가화되었다.[3]
미야후쿠선이 운행하고 있으며, 미야후쿠선의 역에는 "'''F1'''"의 역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2]
2. 3. 호쿠탄 철도 (폐선)
1923년 9월 22일, 호쿠탄 철도가 개업하였다.[4] 1971년 3월 2일 호쿠탄 철도는 휴지되었으며, 1974년 2월 28일 폐지되었다.[4]호쿠탄 철도는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으로, 일본국유철도 후쿠치야마역 1번선 홈의 서쪽을 임대하여 사용했다.[21] 1988년 미야후쿠 철도 미야후쿠선이 개업했을 때 같은 장소가 해당 노선용 홈이 되었다.
3. 역 구조
기타킨키 단고 철도 전용 섬식 승강장 1면 2선,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용 섬식 2면 및 단식 1면의 총 3면 5선의 승강장을 가진 고가역이다. 2005년에 JR 서일본이, 2009년에 기타킨키 탱고 철도(현재의 교토 단고 철도)가 고가화하였다.[3]
JR 역 구역에는 미도리노 마도구치 매표소가 있으며, 교토 단고 철도 구역에는 2개 선로를 운행하는 섬식 승강장이 있다. 이 역은 KTR이 운영하는 15개의 유인역 중 하나로, "탄고 릴레이" 특급 열차가 KTR선 플랫폼에 도착하고 출발한다.
2005년 JR 서일본, 2009년 기타킨키 탱고 철도(현 교토 단고 철도)의 고가화와 함께 역 건물이 확장되어, 1층 전문점가는 "비에라 후쿠치야마"로 영업 중이다.[3] 역 출입구도 기존 북쪽에 더해 남쪽에도 설치되었다.
과거 개찰구 내 키오스크와 역소바 판매점 「오니소바야」가 영업했지만,[17] 고가화 완료 전에 폐업했다.
3. 1. JR 서일본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역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단식 승강장 1면 1선, 총 3면 5선의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1·2번 승강장은 길이 280m, 폭 4.5 - 7.0m의 섬식 승강장, 3·4번 승강장은 길이 180m, 폭 6.8 - 8.4m의 섬식 승강장, 5번 승강장은 길이 130m, 폭 5.8m의 단식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15] 1·2번 승강장은 과거 장거리 특급 열차가 정차했던 흔적이 남아 있어 다른 승강장보다 길이가 길다.[16]
개찰구는 1층에 있으며, ICOCA 도입에 따라 자동 개찰구로 변경되었다.[8][9] 고가화와 동시에 모든 승강장에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관리역장이 배치된 직영역이며, 관리역으로서 산인 본선의 후나오카역 - 가미야쿠노역 간, 후쿠치야마선의 히로노역 - 단바타케다역 간, 마이즈루선 내의 모든 역을 관할하고 있다.
승강장 | 노선 | 방향 | 행선지 | 비고 |
---|---|---|---|---|
1・2 | 산인 본선 | 상행 | 아야베・니시마이즈루・교토 방면[18] | 특급・보통 |
하행 | 와다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온센 방면[18] | 일부 보통 | ||
후쿠치야마선 | 사사야마구치・다카라즈카・오사카 방면[18] | 특급・단바지 쾌속 | ||
3・4 | 산인 본선 | 하행 | 와다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온센 방면[18] | 특급・보통 |
후쿠치야마선 | 사사야마구치・다카라즈카・오사카 방면[18] | 일부 특급・단바지 쾌속・보통 | ||
교토 단고 철도 미야후쿠선 | 오에・미야즈・아마노하시다테 방면[18] | JR선에서 직통하는 특급 | ||
5 | 후쿠치야마선 | 사사야마구치・다카라즈카・오사카 방면[18] | 단바지 쾌속・보통 | |
산인 본선 | 하행 | 와다야마・도요오카・기노사키온센 방면[18] | 일부 보통 |
- 2번 승강장은 상행 본선, 3번 승강장은 하행 본선이지만, 교토 방면 열차가 1・2번 승강장만을[19] 사용하는 것 외에는 노선이나 행선지를 구분하지 않고 운용한다. JR선에서 교토 단고 철도 미야후쿠선으로 직통하는 특급 열차도 JR선 승강장을 사용한다.
- 도요오카 방면 보통 열차는 1・2번 승강장에 정차하며, 교토 방면 보통 열차와 맞이편 환승이 고려되는 경우가 많다.
- 특급 열차는 교토 방면 "기노사키" "하시다테"가 1번 승강장, 오사카 방면 "고노토리"가 2번 승강장에 들어간다. 반대 방향 열차는 "기노사키" "하시다테"가 3번 승강장, "고노토리"가 4번 승강장에 도착하여, 특급 열차끼리 맞이편 환승이 가능하다. 단, 아침 시간대에 한해 일부 오사카 방면 『고노토리』가 3・4번 승강장에서 출발한다.
- 도요오카 쪽에는 후쿠치야마 전차구로 분기하는 선로가 있다.
3. 2. 교토 단고 철도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고가역으로, JR 홈 북쪽에 있다.[4] 전차가 입선하는 경우가 있어 양쪽 선 모두 전차선이 가설되어 있다.종일 역무원이 배치되는 직영역이다. 개찰구는 북쪽 출구 측의 전용 계단을 올라간 2층에 있으며, 교토 단고 철도 전용 자동 발권기 등이 있다. 교토 단고 철도 개찰구에서 콘코스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JR 역의 2층 콘코스와 연결된 연락 개찰구가 설치되어 있다.
고가화 전의 홈은 과거의 기타탄 철도 역이 설치되어 있던 위치에 있었다.
JR과의 직통을 하는 특급 열차는 JR 홈에 발착한다 (구조상, 미야후쿠선에서는 JR의 1 - 4번 승강장으로의 출발·입선에도 대응).
- 배선상의 본선은 1번선(1번 승강장)이다.
4. 이용 현황
2016 회계 연도에 JR 서일본 측 역은 하루 평균 3,783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같은 기간 교토 단고 철도(KTR) 역은 1,033명의 승객이 이용했다.[1]
교토부 통계서 (2007년도 이전) 및 후쿠치야마시 통계서 (2008년도 이후)에 따르면, 두 회사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의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 | 1일 평균 승차 인원 | |
---|---|---|
JR 서일본 | 교토 단고 철도 | |
1999년 | 4,304 | 1,134 |
2000년 | 4,186 | 1,263 |
2001년 | 4,052 | 1,197 |
2002년 | 3,951 | 995 |
2003년 | 3,992 | 1,027 |
2004년 | 3,926 | 901 |
2005년 | 4,019 | 847 |
2006년 | 3,992 | 800 |
2007년 | 3,932 | 805 |
2008년 | 3,913 | 966 |
2009년 | 3,678 | 1,018 |
2010년 | 3,715 | 1,055 |
2011년 | 3,660 | 1,061 |
2012년 | 3,784 | 1,038 |
2013년 | 3,751 | 1,085 |
2014년 | 3,673 | 1,105 |
2015년 | 3,679 | 1,055 |
2016년 | 3,783 | 1,033 |
2017년 | 3,756 | 990 |
2020년 | 2,788 |
5. 역 주변
후쿠치야마성, 후쿠치야마 시청이 역 주변에 있다. 북근기 빅X 네트워크의 요충지로, 과거 JR 서일본 후쿠치야마 지사가 있어 주변 지역 철도망의 중심지였다.
2005년 JR 서일본, 2009년 교토 단고 철도가 고가화되면서 역 건물이 확장되었고, 1층에 전문점가 "비에라 후쿠치야마"가 영업 중이다.[3] 역 출입구는 북쪽과 남쪽에 있다.
과거에는 시가지가 남북으로 분단되고 건널목 교통 체증이 잦았으나, 1996년부터 고가화 공사가 진행되어 2005년 JR선, 2009년 KTR선이 고가화되면서 문제가 해결되었다.
5. 1. 북쪽 출구
역 앞은 상점가로 되어 있으며, 오래된 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역 앞에서는 광장 재정비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JR 서일본 후쿠치야마 관리부
- 후쿠치야마성 (향토 자료관)[24]
- 후쿠치야마 시청
- 후쿠치야마 경찰서 후쿠치야마역 앞 파출소
- 호키마루 공원
- 고령 신사
- 나카노마치 음식점가 - 환락가 (※전전에는 기생의 오키야가 있었다)
- 후쿠치야마 시립 쇼와 초등학교
- 후쿠치야마 시립 쥰메이 초등학교
- 후쿠치야마 우체국
- 교토 은행 후쿠치야마 지점
- 교토 북도 신용금고 후쿠치야마 중앙 지점
- 시민 교류 플라자 후쿠치야마
- 교토부도 24호 후쿠치야마 정차장선 (오시로 거리)
- 교토부도 523호 후쿠치야마 정차장 시노오선 (하나미즈키 거리)

5. 2. 남쪽 출구
후쿠치야마역 남쪽 출구는 원래 후쿠치야마 차량 사업소가 있던 곳으로, 주변 시가지와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2005년(헤이세이 17년) JR선과 2009년(헤이세이 21년) KTR선 고가화 공사와 함께 공원과 로터리가 정비되었다.
공원 앞에는 비즈니스 호텔이 건설되었으며, 국도 9호를 따라 편의점이나 음식점 등이 많이 들어서 있다.
6. 버스 노선
서일본 JR 버스, 교토 교통, 단고 해륙 교통, 오사카 버스 등이 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일반 버스 노선과 폐지 대체 버스는 북쪽 출구, 고속 버스 노선은 남쪽 출구의 각 로터리에서 출발하고 도착한다.
운행 회사 | 행선지 | 노선명 | 비고 |
---|---|---|---|
교토 교통[25] | 단바오미 | 미와선 | 2024년 3월 31일까지 서일본 JR 버스의 소노베선으로 소노베역까지 운행했다. 4월 1일부터 후쿠치야마 시내(구・미와정)의 단바오미까지의 구간은 교토 교통, 시모노단・토하라(구・미와정)에서 히야마(교토단바정) 및 히야마에서 소노베역 간은 주쿄 교통이 운행(시모노단 - 단바오미는 2개 회사 중복)[26][27] |
아야베역 앞 | 후쿠치야마선 | ||
고등기술전문학교 앞 | 나가타노선 | ||
야마노구치 | |||
세이미 고교 앞 외 | 호리 순환선 | ||
이와마 회관 앞 외 | 이와마선 | ||
고마키 | 고마키선 | ||
시모야쿠노역 앞 | 야쿠노선 | ||
치수 기념관 앞 외(북쪽 루트) | |||
단고 해륙 교통 | 가사마쓰 케이블 아래 | 요사・후쿠치야마선 | |
교에이 고교 앞 |
운행 회사 | 행선지 |
---|---|
나카로쿠닌베 버스 | 다노야마다 공민관 앞 |
안가 버스 | 하즈마키 |
미타케 버스 | 가미사사키 |
운행 회사 | 노선명・버스 애칭 | 행선지 | 공동 운행 회사 |
---|---|---|---|
일본 교통 (고베시) | 고베 - 후쿠치야마선 | 산노미야 버스 터미널 | 일본 교통 (후쿠치야마시) |
오사카 - 후쿠치야마선 | 오사카 이타미 공항・오사카 난바(OCAT) | ||
오사카 버스 | 후쿠치야마 특급 뉴스 타호 | 오사카역・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단독 운행 |
아야베 특급 뉴스 타호 | 교토역 | 단독 운행 | |
나고야 후쿠치야마 특급 뉴스 타호 | 교토역・나고야역 | 단독 운행 | |
WILLER EXPRESS | 뉴 프린스 고속 버스 | 도쿄역・오사키역 서쪽 출구 버스 터미널 / 기노사키온천역 | 단독 운행 |
7. 인접역
쾌속
쾌속 오에야마 호
보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