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휴 블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휴 블레어는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장로교 집안 출신으로,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는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수사학 및 문학 교수로 활동하며 《오시안의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 《설교집》, 《수사학과 문학 강좌》 등의 저서를 남겼다. 블레어는 사회적 안정과 점진적인 변화를 추구하며, 교육과 문학을 통해 사회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저서들은 한때 큰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점차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문학 평론가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스코틀랜드의 문학 평론가 - 토머스 칼라일
    토머스 칼라일은 19세기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프랑스 혁명사》, 《영웅 숭배론》 등의 저서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웅 숭배론, 민주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펼쳤다.
  • 18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18세기 스코틀랜드 사람 -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는 뉴커먼 기관을 개량하여 현대적인 증기 기관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극적으로 높여 산업 혁명의 핵심 동력이 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와트(단위)로 기념된다.
  • 1718년 출생 - 마리아 아녜시
    마리아 가에타나 아녜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철학자로, 미적분학 교과서를 출판하여 유럽에 영향을 미치고 "아녜시의 마녀" 곡선으로 알려졌으며, 아버지 사망 후에는 가난한 이들을 위해 헌신했다.
  • 1718년 출생 - 계황후
    청나라 건륭제의 황후인 계황후는 휘발나랍씨로, 황귀비에서 황후가 되었으나 강남 순행 중 머리를 자른 사건으로 폐위되어 시호도 받지 못했으며, 그녀의 성씨, 생년, 폐위 경위 등은 논쟁의 여지가 있다.
휴 블레어
기본 정보
휴 블레어 목사
인물 정보
출생일1718년 4월 7일
출생지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사망일1800년 12월 27일 (향년 82세)
국적스코틀랜드
직업신학자, 작가, 수사학자
학력에든버러 대학교
소속에든버러 대학교
종교스코틀랜드 교회
영향 받은 인물조지프 애디슨, 리처드 스틸
저서
주요 저서설교집 (1777–1801)
기타 저서수사학과 문장론 강의 (1783)
고대 시에 대한 비판적 논문 (1763)
호메로스와 오시안의 시의 진위 (1763)
수상
수상 내역에든버러 왕립 학회 회원 (FRSE)

2. 생애

휴 블레어는 교육받은 장로교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목회자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았다.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도덕 철학과 문학을 공부하고 장로교 목사 안수를 받았다. 이후 여러 교회를 거쳐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 의장을 역임한 제임스 배너테인의 딸 캐서린 배너테인과 1748년 4월에 결혼했으나, 두 자녀는 모두 일찍 세상을 떠났다.[1]

그는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심 인물로서 데이비드 흄, 애덤 스미스 등과 교류하며 학문적, 사회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살았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휴 블레어는 에든버러장로교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에든버러 상인 존 블레어였으며, 증조부는 세인트 앤드루스의 로버트 블레어 목사였고, 총회 의장을 역임한 데이비드 블레어 목사는 그의 삼촌이었다.[1]

어려서부터 몸이 약했던 블레어는 하이 스쿨을 거쳐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도덕 철학과 문학을 공부하고 21세에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논문 "Dissertatio Philosophica Inauguralis de fundamentis et obligatione legis naturae"는 도덕과 덕의 원리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훗날 출판된 그의 ''설교''의 내용을 예고한다.[2]

2. 2. 목회 활동

블레어는 1741년에 장로교 목사 면허를 받았다.[1] 얼마 지나지 않아 리븐 백작이 블레어의 인기를 듣고 그를 파이프의 콜레시 교구 교회에 목사로 임명했다.

1743년 블레어는 캐논게이트 교회의 2차 담당으로 선출되었다.[1] 1754년 레이디 예스터 교회의 단독 담당으로 임명되었고, 4년 후인 1758년에는 세인트 자일스 대성당의 2차 담당으로 옮겼다.[3] 비록 "2차 담당"이었지만, 이는 스코틀랜드에서 성직자가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위 중 하나였다. 블레어는 이 지위를 여러 해 동안 유지하면서, 그의 강연을 담은 5권짜리 시리즈인 ''설교''를 출판하여 큰 명성을 얻었다.

1777년에는 71연대가 창설될 때 에든버러 성에 주둔한 군종목사로 임명되기도 했다.[5]

2. 3. 학문 활동과 교수 생활

블레어는 1757년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759년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수사학 및 문학 강연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대학교로부터 보수를 받지 않고 학생들에게 직접 돈을 받았지만, 그의 강좌가 인기를 얻으면서 정규 강좌가 개설되었고, 1762년 조지 3세 국왕의 승인을 받아 대학교의 수사학 및 문학 교수가 되었다. 그는 1783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다. 은퇴 후 블레어는 여러 강연을 묶어 ''수사학과 문학 강연''으로 출판했다.

2. 4. 말년과 죽음

블레어는 1783년 은퇴할 때까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유지했으며, 은퇴 후에는 자신의 강의를 묶어 《수사학과 문학 강좌》를 출판했다.[1] 그는 에든버러 왕립학회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 1789년부터 1796년까지 문학 회장을 역임했다.[1]

블레어는 레스탈릭에 별장을 가지고 있었다.[6] 1800년 12월 27일 에든버러 아가일 광장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7] 그는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7] 묘는 원래 표시가 없었지만, 그를 기념하기 위해 그레이프라이어스 교회 남서쪽에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앨런 램지와 콜린 맥로린의 비석 사이에 놓여 있다. 기념비는 라틴어로 새겨져 있어 그의 이름을 Hugo Blair로 표기했다.

3. 주요 저작

블레어는 다양한 저술을 남겼는데, 그중에서도 《오시안의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 《설교집》, 《수사학과 문학 강좌》가 대표작으로 꼽힌다.

블레어는 제임스 맥퍼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고대 켈트 시인 오시안의 시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그 진정성을 옹호하는 《오시안의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을 썼다.[1] 또한 그는 장로교 설교가로서 실용적인 기독교 도덕을 장려하는 설교를 모아 《설교집》을 출판했다.[9] 《설교집》은 신학보다는 도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애국심과 공적인 행동, 그리고 정중한 세속 문화에서 장려되는 도덕적 덕성을 강조한다.[9]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을 묶어 《수사학과 문학 강좌》를 출판했다.[11] 이 책은 고전 수사학과 근대 문학 이론을 결합하여 작문과 언어 사용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오랫동안 작문 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었다.[11]

이 외에도 셰익스피어 작품집을 편집하고, 프랜시스 허치슨의 ''도덕 철학 체계''에 대한 서평을 쓰는 등 다양한 저작 활동을 했다.

3. 1. 《오시안의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 (1763)

1763년 블레어는 그의 첫 번째 잘 알려진 공개 저작인 《오시안의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을 출판했다. 오랫동안 스코틀랜드 고지대의 켈트 시에 관심을 가져온 블레어는 제임스 맥퍼슨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고대 켈트 시인 오시안의 시에 대해 칭찬하는 글을 썼으며, 그 진정성을 옹호했다.[1] 블레어는 친구 제임스 맥퍼슨에게 《고대 시의 단편》으로 출판하도록 권유한 시의 정당성에 대한 권위자 역할을 했다.

이 논문은 맥퍼슨이 고대적이고 숭고하다고 주장한 시가 사실은 여러 현대 시인들이 썼거나, 심지어 맥퍼슨 자신이 썼을 수도 있다는 주장에 정면으로 반박했다. 1765년 이후 논문은 이 작품에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해 모든 오시안 출판물에 실렸다. 블레어의 찬사는 결국 헛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그 시들이 거짓으로 여겨졌고 맥퍼슨은 문학적 위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이 작품은 블레어의 문학 비평가로서의 능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지는 않지만, 블레어 자신의 취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는 그의 후기 저술에 중요한 주제이다.

3. 2. 《설교집》 (1777-1801)

블레어는 1777년에 5권으로 구성된 《설교집》(Sermons)의 첫 번째 책을 출판했다. 이 책은 그가 장로교 설교가로서 행했던 실용적인 기독교 도덕을 장려하는 설교 모음집이다. 당시 종교적 가르침의 출판물이 인기를 잃어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설교집》의 성공은 블레어의 설교가로서의 성공과 궤를 같이했다. 블레어의 웅변 실력은 '거친 발음'으로 묘사될 정도로 좋지 않았지만, 그는 스코틀랜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설교가로 여겨졌다. 그의 성공은 청중이 그의 정중하고 체계적인 스타일을 쉽게 따라갈 수 있었던 데 기인하며, 이 스타일은 인쇄물로도 쉽게 옮겨졌다.[9]

《설교집》은 블레어가 온건파 또는 관용주의에 속했음을 보여준다. 여러 면에서 블레어는 사회적으로 보수주의적이었다. 그는 급진적인 변화를 믿지 않았으며, 그의 가르침은 안전하고 궁극적으로 상류층을 위한 것이었다. 블레어는 또한 원죄, 완전한 부패, 그리고 지옥과 같은 칼뱅주의 교리를 거부하는 등 자유주의적 경향을 보였다.[9]

《설교집》은 신학보다는 도덕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애국심, 공적 영역에서의 행동, 그리고 정중한 세속 문화에 의해 장려되는 도덕적 덕성을 강조한다. 블레어는 사람들이 노력을 통해 타고난 재능을 향상시키도록 권장하지만, 동시에 사회에서 그들에게 주어진 위치에 만족하도록 권한다. 그는 사람들에게 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삶의 즐거움을 누리고, 선행을 하고,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유지하도록 촉구한다.[9]

블레어가 감정이성에 동시에 호소하고, 비대립적이고 온건하며 우아한 스타일을 결합한 것은 각 권의 《설교집》을 점점 더 인기를 끌게 했다. 블레어 생전에 4판이 출판되었고, 사후 얼마 지나지 않아 5판이 출판되었다. 각 권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유럽 언어로 번역되어 여러 번 인쇄되었다. 블레어의 《설교집》은 교리적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결국 인기를 잃었지만—어떤 의견에서는 "따뜻한 물 한 바가지"라고 표현하기도 한다—블레어 생전과 사후 수십 년 동안 의심할 여지 없이 영향력이 있었다.[9]

제인 오스틴의 소설 《맨스필드 파크》에서, 교회를 비판하는 냉소적인 인물인 메리 크로포드는 현명한 성직자는 자신의 설교보다 블레어의 설교를 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제안한다.[9][10]

3. 3. 《수사학과 문학 강좌》 (1783)

Lectures on Rhetoric and Belles Lettres영어(수사학 및 문학 강의)는 블레어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했던 강의 내용을 묶어 출판한 책이다. 이 책은 고전 수사학과 근대 문학 이론을 결합하여, 작문과 언어 사용에 대한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한다.[11] 블레어는 '취향'의 개념을 통해 개인이 문학 작품을 올바르게 평가하고 감상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 책은 오랫동안 작문 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었다.[11]

블레어는 1783년 에든버러 대학교의 수사학 및 문학 의장직에서 물러난 후, 자신의 가르침의 유산을 위협하는 무단 복사본 때문에 자신의 강의를 출판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 결과 논쟁의 여지없이 블레어의 가장 중요한 작품인 "수사학 및 문학 강의"가 나오게 되었다. 에든버러 대학교 학생들에게 한 블레어의 47개 강의를 묶은 "강의"는 작문과 언어에 대한 젊은이들을 위한 실용적인 안내서 역할을 하며, 블레어를 서면 담론의 첫 번째 위대한 이론가로 만들었다.

"강의"는 급진적인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퀸틸리아누스와 키케로와 같은 고전 이론가들과 애디슨, 버크, 로드 케임스와 같은 현대 이론가들의 작품을 결합하여 최초의 전체 언어 안내서 중 하나가 되었다. 구두 담론뿐만 아니라 서면 담론에도 초점을 맞춘 최초의 작품 중 하나인 블레어의 "강의"는 수세기 동안의 이론을 응집력 있는 형태로 결합한 포괄적이고 접근하기 쉬운 규범적 작문 안내서이다.

"강의"의 의도는 젊은이들에게 사회적 이동성과 사회적 성공을 추구하는 데 있어 수사학과 문학의 가치에 대한 간단하고 체계적인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다. 블레어는 사회적 육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정중한 문학과 효과적인 글쓰기의 적절한 사용이 사회적 성공의 열쇠라고 믿었다. 그에게 문학 교육은 사회적으로 유용하며, 한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능력과 미덕과 도덕성을 증진하는 능력 모두에서 그러했다. 블레어는 또한 효과적인 연설가 또는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문학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미덕과 개인적인 성격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인정했다.

그의 강의는 텍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지만, 초점은 점점 더 문학 작품에 대한 적절한 반응에 맞춰지고 있다. 그는 학생들이 그 자질을 식별, 분석, 흡수할 수 있도록 문학의 자질을 설명하기 위해 현대 문학의 샘플 작품을 제공한다. 예상되는 결과는 학생들이 적절한 취향을 배양하고 훌륭한 언어의 미적 자질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블레어의 취향 개념은 인간 정신의 두 가지 뚜렷한 측면, 즉 개인의 감각과 개인의 사고 과정을 포함했다. 오감의 훈련을 통해 개인은 자신의 취향을 개선하고 완벽하게 할 수 있다. 개인의 추론 능력을 통해 개인은 진정한 즐거움을 만들어내는 것과 가짜인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훈련과 추론을 결합하면 비평가는 취향, 즉 섬세함과 취향의 정확성을 개발한다. 취향의 섬세함은 비평가의 감각과 연결되어 시각, 청각, 후각, 미각 등 감각에 대해 더 강하고 정확하게 만든다. 취향의 정확성은 비평가의 논리적 과정과 연결되어 비평가가 판단을 내리고 어떤 것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또한 특히 무엇이 좋고 진실하며 무엇이 순수하지 않거나 정당하지 않은지를 인식하기 쉽게 만든다.[11]

블레어가 훌륭한 연설가 또는 작가에게 필요한 조건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강의"의 중요한 측면이지만, 이 작품은 작문과 관련된 매우 광범위한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 블레어의 주요 고려 사항은 취향, 언어, 스타일, 웅변 또는 대중 연설의 문제이다. 또한 블레어는 "산문과 운문에서 가장 뛰어난 종류의 작품" (15)이라고 부르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제공한다.

스코틀랜드의 상식적 현실주의의 지지자로서, 블레어의 이론은 수사학의 원리가 자연의 원리에서 진화한다는 믿음에 기초하고 있다. 블레어의 취향에 대한 정의는 이러한 감정을 반영한다. "자연과 예술의 아름다움에서 즐거움을 얻는 능력: (15). 취향의 본성에 대한 그의 분석은 블레어에 따르면 취향이 수사학의 기초이며 성공적인 서면 및 구두 담론에 필요하기 때문에 작문 이론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이다.

블레어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여러 이론의 안전한 합성물이지만, 앞서 언급한 취향 분석과 같은 많은 귀중한 통찰력을 담고 있다. 블레어의 서면 담론의 역사에 대한 논의는 이 역사가 이전에 무시되었기 때문에 작문 이론에 대한 또 다른 중요한 기여이다. 또한 블레어는 역사적 글쓰기, 철학적 글쓰기, 허구적 역사, 시의 4가지 일반적인 글쓰기 범주를 명명하고 정의하고 담론의 다양한 부분을 분석하여 이후의 작문 이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블레어의 더 급진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는 아리스토텔레스수사법인 비유를 거부하는 것이다. 블레어는 발명이 지식의 결과이며 고전 이론가들이 설명한 발명의 장치로 도울 수 없다고 주장한다. 블레어는 이러한 전통적인 담론 방식을 거부하지만, 그의 작품은 여전히 규범적인 성격을 띤다.

블레어의 "수사학 및 문학 강의"는 벨레트리즘 수사학과 문학 이론의 기본 원리를 간결하고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결합한다. 고전 및 현대 이론을 활용하여 블레어의 작품은 18세기에 작문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규범적 안내서이다. 이는 거의 한 세기 동안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유럽 언어로 130개 판이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유럽에서, 예를 들어 이탈리아에서는 최소 12개의 다른 판이 출판되었지만, 가장 좋은 것은 1801년에 잠바티스타 보도니가 출판한 것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우고네 블레어"로 알려졌다.

4. 사상과 영향

블레어는 인쇄 문화가 번성하고 전통적인 수사학이 쇠퇴하던 시기에 글을 썼다. 그는 교양과 신분 상승 문제에 집중하여, 당시 우세했던 수사학적 견해를 압도했고 18세기 사람들이 자신의 신분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믿음을 활용했다. 이 시기에는 신흥 산업 자본가와 상인들이 등장하면서 중산층이 성장하고 영국 제국이 팽창했다. 블레어가 웅변술과 세련된 문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신분 상승을 이룰 수 있다는 낙관적인 견해는 당시 시대정신과 완벽하게 부합했다. 특히, 《수사학과 문학 강연》에 제시된 아이디어는 많은 명문 교육 기관에서 채택되었으며, 오랫동안 작문 지침서 역할을 했다. 《강연》은 예일대하버드와 같은 미국 대학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11]

오시안 시의 진위 여부가 밝혀진 후, 《오시안 시에 대한 비평적 논문》은 블레어의 신뢰도를 떨어뜨렸다. 《설교집》은 감상적이고 교리적 명확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변화하는 취향에 적응하지 못했다. 와틀리와 스펜서와 같은 이론가들이 블레어의 이론을 바탕으로 작문 이론 분야를 장악하면서, 《강연》 역시 인기를 유지하지 못했다.

블레어의 스페인어 번역가인 호세 루이스 무나리츠의 초상화는 1815년 고야가 그린 그림으로, 현재 마드리드의 산 페르난도 왕립 예술 아카데미에 걸려 있다. 무나리츠는 손에 블레어의 책을 들고 있다.

4. 1. 수사학 이론

블레어는 고전 수사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근대 문학 이론을 수용하여 독자적인 수사학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언어 사용의 명확성과 간결성을 강조했으며, 독자에게 즐거움과 감동을 주는 문체를 중시했다.[11] 블레어는 퀸틸리아누스와 키케로와 같은 고전 이론가들의 작품과 조지프 애디슨, 에드먼드 버크와 같은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결합하여, 수사학과 문학에 대한 가르침을 집대성한 "수사학 및 문학 강의"를 저술했다.

블레어는 사회적 성공을 위해서는 사회적 육성과 더불어 정중한 문학과 효과적인 글쓰기의 적절한 사용이 중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문학 교육이 사회적으로 유용하며,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고 미덕과 도덕성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보았다. 또한 효과적인 연설가나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문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개인의 미덕과 성격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블레어의 취향 개념은 개인의 감각과 사고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오감의 훈련을 통해 취향을 개선하고, 추론 능력을 통해 진정한 즐거움과 가짜를 구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훈련과 추론을 결합하면 섬세함과 정확성을 갖춘 취향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블레어는 취향, 언어, 스타일, 웅변 등 작문과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들을 다루었으며, 상식적 현실주의에 입각하여 수사학의 원리가 자연의 원리에서 진화한다고 믿었다. 그의 취향에 대한 정의는 "자연과 예술의 아름다움에서 즐거움을 얻는 능력"이다.

블레어는 서면 담론의 역사를 논하고, 역사적 글쓰기, 철학적 글쓰기, 허구적 역사, 시의 네 가지 일반적인 글쓰기 범주를 제시하여 이후 작문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수사법인 비유를 거부하고, 발명이 지식의 결과이며 고전 이론가들이 설명한 발명의 장치로 도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블레어의 "수사학 및 문학 강의"는 벨레트리즘 수사학과 문학 이론의 기본 원리를 간결하고 접근하기 쉬운 형태로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 책은 18세기에 가장 포괄적인 작문 안내서 중 하나로, 거의 한 세기 동안 유럽에서 130개 이상의 판이 출판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4. 2. 영향

블레어의 사상은 당대 지성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저작들은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읽혔다. 특히, 《수사학과 문학 강좌》는 오랫동안 대학에서 작문 교재로 사용되었으며, 그의 취향 이론은 문학 비평의 발전에 기여했다.[11]

블레어의 《수사학과 문학 강좌》는 벨레트리즘 수사학과 문학 이론의 기본 원리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결합한 책이다. 이 책은 고전현대 이론을 활용하여 18세기에 작문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안내서로 평가받는다. 거의 한 세기 동안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유럽 언어로 130개 판이 출판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최소 12개의 다른 판이 출판되었는데, 그중 가장 좋은 것은 1801년에 잠바티스타 보도니가 출판한 것이다. 이탈리아에서는 "우고네 블레어"로 알려졌다.

5. 자코바이트의 난에 대한 설교

1746년 4월에 일어난 컬로덴 전투 이후, 블레어는 하나님이 영국에 이러한 보복을 내린 이유에 대한 설교를 하였다. 그는 영국이 '행복한 헌법'을 가졌었지만, 타락한 결과 사치, 삶의 방식의 타락, 종교적인 무관심으로 인해 하나님의 진노를 불러왔다고 설교하였다. 또한 하나님은 악한 사람들을 비밀스러운 방법으로 사용하여 영국인들이 신앙을 잃지 않도록 섭리 가운데 역사하신다고 선포하였다.[12]

참조

[1] 웹사이트 Rev. David Blair, Minister Edinburgh https://www.geni.com[...]
[2] 서적 Dissertatio Philosophica Inauguralis de fundamentis et obligatione legis naturae 1739
[3] 서적 Kay's Original Portraits vol.1: Rev Robert Walker
[4] 간행물 Williamson's Edinburgh Street Directory 1773
[5] 간행물 "''Fasti Ecclesiae Scoticanae''; by Hew Scott"
[6] 서적 Grant's Old and New Edinburgh vol. 5, p. 136
[7] 간행물 Edinburgh Post Office Directory 1800
[8] 뉴스 THE ACADIAN FRENCH https://novascotia.c[...] Nova-Scotia Archive
[9] 서적 "Mansfield Park,'' ch''. 9"
[10] 서적 "Jane Austen: A Companion,'' ch. 4" Thistle Publishing
[11] 서적 The Rhetoric of Western Thought: Third Edition
[12] 서적 Church and university in the Scottish Enlightenment : the moderate literati of Edinburgh https://www.worldcat[...]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5
[13] 서적 How the Scots invented the Modern World : the true story of how western Europe's poorest nation created our world & everything in it https://www.worldcat[...] Crown Publisher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