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꼬리도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꼬리도요(학명: Limosa limosa)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는 새의 일종이다.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으며, 현재 4개의 아종으로 나뉜다. 흑꼬리도요는 크고 긴 부리를 가진 큰 도요류로, 번식기에는 붉은색 부리와 검은색 꼬리를, 겨울에는 회갈색 깃털을 보인다. 유라시아 대륙의 중·북부에서 번식하며, 아프리카, 인도, 호주 등지에서 월동한다. 흑꼬리도요는 무척추동물을 주로 먹으며,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흑꼬리도요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준위협종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시아의 새 - 바위비둘기
    바위비둘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비둘기과의 새로, 야생에서는 바위 절벽에 살지만 도시 환경에도 적응하여 살아가며, 인간과의 공생 관계 속에서 질병 매개 및 환경 오염의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 유라시아의 새 - 쇠물닭
    쇠물닭은 전 세계 습지에 서식하며 녹색빛 발과 붉은색 이마판을 가진 물닭속의 새로,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로 일부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한국의 새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한국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흑꼬리도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무나가르 디치다 호수의 흑꼬리도요
자무나가르 디치다 호수의 비번식 깃털을 가진 흑꼬리도요
학명Limosa limosa
명명자Linnaeus, 1758년
상태준위협
상태_참조https://www.iucnredlist.org/details/22693150/0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도요목
도요과
흑꼬리도요속 (Limosa)
흑꼬리도요 (L. limosa)
아종
분포
흑꼬리도요 분포도
흑꼬리도요의 분포 범례: #FFFF64 번식지, #69AF5E 서식지, #695AFF 월동지
이명
음성

2. 분류

검은꼬리도요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가 자신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Scolopax limosa''라는 이명으로 공식적으로 기술했다.[3]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Limosa 속을 도입하면서 현재는 이 속에 속한다.[4][5] 속명 ''Limosa''는 라틴어로 "진흙투성이"를 의미하며, ''limus''는 "진흙"을 뜻한다.[6] 영어 이름 "godwit"는 약 1416–17년에 처음 기록되었으며, 이 새의 울음소리를 흉내 낸 것으로 여겨진다.[7]

2. 1. 아종

검은꼬리도요는 4개의 아종으로 분류된다.[5]

아종학명명명자 및 명명년도특징분포 지역
아이슬란드 검은머리도요L. l. islandicaBrehm|브렘de, 1831limosa에 비해 부리와 다리가 짧고, 배까지 붉은색을 띤다.아이슬란드에서 주로 번식, 페로 제도, 셰틀랜드 제도, 로포텐 제도에서도 번식.
유럽 검은머리도요L. l. limosa린네, 1758머리, 목, 가슴이 옅은 주황색이다.서유럽과 중부 유럽에서 중앙아시아, 아시아 러시아예니세이강까지 번식.
아시아 검은머리도요L. l. melanuroidesGould|굴드영어, 1846깃털은 islandica와 유사하지만, 새가 뚜렷하게 더 작다.몽골, 중국 북부,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에서 번식.
L. l. bohaiiZhu, Piersma, Verkuil & Conklin|주, 피어스마, 베르쿠일 & 콘클린영어, 2020러시아 극동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중국 북동부, 홍콩, 베트남, 말레이시아 반도에서 비번식.


3. 형태

어린 개체 (분홍색 부리)


흑꼬리도요는 크고 긴 부리(7.5cm~12cm), 목, 다리를 가진 큰 도요류이다. 번식기 동안 부리는 노란색 또는 주황색-분홍색을 띠며 끝은 어둡고, 겨울에는 기저부가 분홍색이다. 다리는 짙은 회색, 갈색 또는 검은색이다. 암컷과 수컷은 비슷하지만, 번식 깃털에서는 수컷의 더 밝고 넓은 주황색 가슴, 목 및 머리로 구분할 수 있다. 겨울에는 성체 흑꼬리도요는 균일한 갈색-회색 가슴과 윗부분을 가진다. 어린 개체는 목과 가슴에 옅은 주황색을 띤다.

비행 중에는 뚜렷한 검은색과 흰색 날개와 흰색 허리가 쉽게 보인다. 땅에 있을 때는 비슷한 알락꼬리도요와 구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흑꼬리도요의 더 길고 곧은 부리와 더 긴 다리가 특징이다. 흑꼬리도요는 알락꼬리도요와 몸 크기와 형태가 비슷하지만 더 키가 크다.

부리부터 꼬리까지 42cm이며, 날개 길이는 70cm~82cm이다. 수컷은 약 280g이고 암컷은 340g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약 5% 더 크며, 부리가 12–15% 더 길다.

수컷 성조의 여름깃은 머리에서 가슴까지 적갈색이며, 정수리에서 뒷목에 걸쳐 검은 세로 얼룩이 있다. 얼굴에는 흰 눈썹 선이 있다. 몸의 아랫면은 흰색이며, 적갈색과 흑갈색 가로 얼룩이 있다. 위꼬리덮깃은 흰색이며 꼬리 깃은 검고, 비행 시에 잘 눈에 띈다. 암컷 성조의 여름깃은 수컷에 비해 옅은 색이다. 성조의 겨울깃은 머리에서 가슴에 걸쳐 몸의 윗면이 회갈색이 된다.

4. 분포 및 서식지

검은꼬리도요는 아이슬란드에서 러시아 극동 지역까지 이어진 불연속적인 번식 범위를 가지고 있다. 번식기에는 강 유역의 소택지, 큰 호수 가장자리의 홍수, 습한 스텝, 고층 습원 및 황무지에 서식한다. 유럽 개체군의 상당 부분은 저지대 습지, 해안 방목지, 목초지, 양어장 또는 하수 처리장 근처의 습지, 염분 석호와 같은 이차 서식지를 사용하기도 한다.

봄에는 주로 초원에서 먹이를 먹고, 번식 후와 겨울을 위해 진흙투성이의 기수역으로 이동한다. 아프리카 겨울 서식지에서는 늪, 홍수 및 관개된 이 새 무리를 끌어들일 수 있다. 인도에서는 내륙의 웅덩이, 호수, 습지를 사용하며 때로는 기수호, 조수 웅덩이, 기수역을 사용한다.

아이슬란드 개체군은 주로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네덜란드에서 겨울을 보내지만, 일부는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고 아마도 모로코까지 날아간다. 서유럽의 ''limosa'' 아종은 남쪽으로 모로코로 날아가 세네갈기니비사우까지 간다. 동유럽 개체군은 튀니지알제리로 이동한 다음 말리 또는 차드로 이동한다. 유럽 개체군의 어린 새들은 첫 번째 겨울을 아프리카에서 보내고 2살이 되면 유럽으로 돌아온다. 아시아 검은꼬리도요는 호주, 대만, 필리핀, 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에서 겨울을 난다.

비행 중


검은꼬리도요는 해안에 더 가까운 알락꼬리도요보다 내륙 습지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무리를 지어 서유럽, 아프리카, 남아시아, 호주로 이동한다. 때때로 알류샨 열도에서 나타나며, 드물게 북미 대서양 연안에서도 발견된다.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북부에서 번식하며, 아프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14]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각지에서 나그네새로서 봄과 가을에 도래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15] 봄보다 가을에 더 많은 수가 날아온다.[14] 이동 시기에는 , 습지, 갯벌, 하구에 서식한다.[15] 소규모 무리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14][15]

5. 생태

흑꼬리도요는 대부분 일부일처제로 번식한다. 아이슬란드 개체군 연구에 따르면, 겨울을 따로 보낸 짝은 평균 3일 안에 번식지에서 다시 만나며, 한쪽이 제때 도착하지 않으면 '이혼'이 발생하기도 한다. 흑꼬리도요는 느슨한 집단을 이루어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땅 위에 얕게 움푹 파인 곳으로, 보통 키가 작은 초목 안에 위치한다.

알은 보통 3개에서 6개이며, 올리브 그린에서 짙은 갈색을 띤다. 크기는 55mm x 37mm이고 무게는 각각 39g이다(껍질이 6%를 차지). 포란 기간은 22~24일이며 양쪽 부모 모두 알을 품는다. 새끼는 솜털로 덮여 있으며 조숙성을 띤다. 부화 후 새끼들은 둥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하며 하수 처리장, 호숫가, 늪지 및 갯벌과 같은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다. 새끼는 25~30일 후에 둥지를 떠난다.

흑꼬리도요의 번식 성공은 봄 기온과 긍정적인 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화산 폭발과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번식에 실패할 수도 있다.[9]

호주 퀸즐랜드주 동남부 맨리 마리나


흑꼬리도요는 주로 무척추동물을 먹지만, 겨울과 이동 시기에는 수생 식물도 먹는다. 번식기에는 딱정벌레, 파리, 메뚜기, 잠자리, 하루살이, 애벌레, 환형동물연체동물을 포함한 먹이를 먹는다. 때로는 물고기 알, 개구리알 및 올챙이도 먹는다. 물속에서는 머리를 완전히 잠근 채 활발하게 탐색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먹이 섭취 방법이다. 육상에서는 부드러운 땅을 탐색하고 표면에서 먹이를 줍기도 한다.

이동 시기에는 , 습지, 갯벌, 하구에 서식한다.[15] 소규모 무리로 행동하는 경우가 많다.[14][15] 번식기에는 습지나 호수의 물가 풀밭 등에 서식하며 작은 집단을 형성하기도 한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곤충류, 조개류, 지렁이, 갯지렁이 등을 먹는다.[13][14][15]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번식 시기는 4-7월이며, 땅 위의 움푹 파인 곳에 둥지를 틀고 보통 4개의 알을 낳는다. 포란 일수는 21-23일이다. 작은 울림이 있는 소리로 "켁" 또는 "킥"하고 한두 번 연속해서 운다.[14]

2007년 조사에서 알래스카에서 뉴질랜드까지 11500km를 평균 시속 56km로 9일 만에 비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6]

둥지와 알

6. 인간과의 관계

유럽에서 흑꼬리도요는 프랑스에서만 사냥되며, 연간 6,000~8,000마리가 사냥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서유럽 개체군에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은 회원국에서 이 종에 대한 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잉글랜드에서 흑꼬리도요는 한때 식용으로 매우 귀하게 여겨졌다. 토마스 브라운 경(1605–1682)은 "흑꼬리도요는 잉글랜드에서 가장 맛있는 요리로 여겨졌으며, 크기에 비해 가장 비싼 가격을 자랑했다."라고 말했다. 옛 이름으로는 Blackwit, Whelp, Yarwhelp, Shrieker, Barker, Jadreka Snipe가 있었다. 이 종의 아이슬란드어 이름은 Jaðrakan이다.

7.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흑꼬리도요를 준위협(NT)으로 지정하였다.[11] BirdLife International(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2006년에 지난 15년 동안 흑꼬리도요의 개체수가 약 25% 감소했기 때문에 취약 근접종으로 분류했다.[1] 흑꼬리도요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이기도 하다. 2024년에는 호주 EPBC법에 따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10]

일본의 다음 현에서는 흑꼬리도요를 레드 리스트에 등재하여 관리하고 있다.[17]

등급비고
도쿄도멸종 위급 IB류구부, 기타타마와 미나미타마는 멸종 위급 II류[18]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멸종 위급 II류[19]
교토부멸종 위급종환경성의 멸종 위급 II류 상당[20]
효고현B 랭크환경성의 멸종 위급 II류 상당
오사카부, 도쿠시마현, 후쿠오카현준위협[21][22]
아오모리현희소 야생 생물 (C 랭크)환경성의 준위협 상당[23]
시가현희소종환경성의 준위협 상당


참조

[1] 간행물 "''Limosa limosa''"
[2] 웹사이트 Limosa belgica https://www.gbif.org[...] 2021-11-04
[3]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4]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Jean-Baptiste Bauche
[5] 웹사이트 Sandpipers, snipes, courser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7] OED Godwit
[8] 학술지 Discovery of a morphologically and genetically distinct population of Black-tailed Godwits in the East Asian-Australasian Flyway 2021
[9] 학술지 Effects of spring temperature and volcanic eruptions on wader productivity https://ueaeprints.u[...]
[10] 웹사이트 Limosa limosa — Black-tailed Godwit https://www.environm[...] Australian Department of Climate Change, Energy, the Environment and Water 2024-03-06
[11] 웹사이트 IUCN 201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1. (''Limosa limosa'') http://www.iucnredli[...] IUCN 2012-09-14
[12] 웹사이트 "''Limosa limosa'' (Linnaeus, 1776)" http://www.itis.gov/[...] ITIS 2012-09-15
[13] 문서 "#水辺の鳥|水辺の鳥 (2002)、114頁"
[14] 문서 "#日本の野鳥|山溪ハンディ図鑑7 日本の野鳥 (2006)、236-237頁"
[15] 문서 "#ひと目でわかる野鳥|ひと目でわかる野鳥 (2010)、80頁"
[16] 서적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 にわかには信じがたい本当にあったこと 日経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社 2019-03-25
[1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オグロシギ」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09-14
[18]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東京都の保護上重要な野生生物種(本土部)2010年版 http://www.kankyo.me[...] 東京都 2012-09-14
[19]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あいち2009 http://www.pref.aich[...] 愛知県 2012-09-14
[20]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オグロシギ http://www.pref.kyot[...] 京都府 2012-09-14
[21] 웹사이트 大阪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オグロシギ http://www.epcc.pref[...] 大阪府 2012-09-14
[22]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オグロシギ http://www.fihes.pre[...] 福岡県 2012-09-14
[23] 웹사이트 青森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 http://www.pref.aomo[...] 青森県 2012-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