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이마기러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흰이마기러기는 러시아 북극권과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이동하여 월동하는 기러기이다. 몸길이는 53~66cm이며, 이마와 정수리가 흰색이고, 복부에 불규칙한 검은 가로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습지, 농경지, 목초지에서 서식하며 초식성으로 풀이나 나뭇잎을 먹는다. 서식지 파괴와 수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며, 개체군을 강화하기 위한 재도입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흰이마기러기는 일본의 전통 문양인 가몬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러기속 - 거위
거위는 회색기러기와 큰고니를 기원으로 하는 가축화된 조류로, 식량, 깃털, 경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며, 야생 조상보다 큰 몸집과 높은 번식력을 가지고 있고, 식용뿐 아니라 깃털을 이용한 제품 생산, 제초 등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지닌다. - 기러기속 - 쇠기러기
큰흰이마기러기는 밝은 주황색 다리와 흰 이마 무늬가 특징인 기러기과의 조류로, 회색기러기보다 작고 작은흰이마기러기보다 크며,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북부에서 번식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월동하며, 깃털 동위원소 분석으로 이동 경로 추적 및 조류 인플루엔자 연구에 활용된다. - 한국의 겨울철새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한국의 겨울철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흰이마기러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nser erythropus (Linnaeus, 1758) |
이명 | Anas erythropus Linnaeus, 1758 |
멸종위기등급 (IUCN) | VU (취약) |
![]() | |
영어 이름 | Lesser white-fronted goose |
일본어 이름 | カリガネ (Karigan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기러기목 |
과 | 오리과 |
아과 | 기러기아과 |
속 | 마간속 |
종 | 흰이마기러기 |
기타 | |
몽골어 이름 | (Odoi Galaghu) |
몽골어 이름 (해석) | 작은 기러기 |
러시아어 이름 | Пискулька (Piskul'ka) |
스웨덴어 이름 | Fjällgås (Fjaellgaas) |
핀란드어 이름 | Kiljuhanhi (Kiljuhanhi) |
네덜란드어 이름 | Dwerggans (Dwerggans) |
중국어 이름 | 小白额雁 (Xiǎo bái é yàn) |
2. 분포
러시아의 북극권 지역과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 인도・중화인민공화국・일본・헝가리・카스피해・흑해 연안 지역으로 남하해서 월동한다.[21] 스칸디나비아~유럽러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유럽~중앙아시아에서 월동하는 개체군과, 시베리아에서 번식하고 동아시아(중국・일본・한반도)에서 월동하는 두 개체군으로 나뉜다.[18]
전장 53 - 66 센티미터이다. 익장 36 - 39 센티미터,[19] 익개장 128 센티미터,[21] 체중 1.4 - 2.5 킬로그램이다.[19] 전신이 암갈색이지만[18][21] 이마에서 정수리까지만 희다.[21] 복부에는 불규칙한 검은 가로줄무늬가 있다.[18] 날개가 길어서 날개 끝이 꼬리깃보다 뒤로 삐친다.[20]
흰이마기러기는 습지, 농경지, 목초지에서 서식한다.[19][11] 식성은 초식성으로, 풀(사초 따위)이나 나뭇잎 등을 먹는다.[21][13]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수렵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21] 1981년에 스웨덴과 네덜란드 사이의 흰머리기러기 왕래를 부활시키기 위해 흰뺨기러기에게 탁란시키는 시도가 진행되어 성과가 있었다.[21]
일본의 가몬 등 전통문양에 사용되는 기러기문양(雁金紋)은 흰이마기러기를 도식화한 것이다.[10][13][15]
[1]
간행물
"''Anser erythropus''"
2018
흰이마기러기는 유럽 남부에서 겨울을 나며, 그레이트브리튼과 인도에서 겨울철에 드물게 발견되는 나그네새이다.[8] 예전에는 잉글랜드 글로스터셔의 WWT 슬림브리지에서 개체가 정기적으로 나타났지만, 오늘날에는 유럽 번식지의 개체 수 감소로 이러한 기록이 줄었다. 야생 조류 사육장에서 널리 사육되므로, 탈출하는 개체가 발생하며, 여름에 관찰되거나 다른 야생 기러기와 함께 있는 개체는 사육된 개체일 가능성이 높다.
알바니아, 아르메니아, 이라크, 이란, 인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그리스, 조지아, 크로아티아, 시리아, 스웨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대한민국, 체코, 중화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투르크메니스탄, 일본, 노르웨이, 헝가리, 핀란드, 불가리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폴란드, 북마케도니아, 몽골, 몬테네그로,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러시아 등지에서 발견된다.[9]
일본에는 겨울에 시마네현의 신지호, 미야기현의 이즈누마, 나가누마 등에서 월동하며(겨울새), 가을에는 이동 중에 홋카이도의 사로베츠 원야 등에도 찾아온다(나그네새).[10]
3. 형태
눈테는 노란색이다.[20] 부리는 짧고[19] 분홍색이다.[19][21] 다리는 귤색이다.[18][19]
작은 흰이마기러기는 눈에 띄는 노란색 눈테가 있으며 흰색 얼굴 반점이 머리 꼭대기까지 이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흰이마기러기는 밝은 주황색 다리와 쥐색 윗부분 날개덮깃으로 회색기러기와 쉽게 구별할 수 있다.
4. 생태
번식은 난생이다. 주로 툰드라와 타이가의 경계에서 번식한다.[19][11] 5 - 6월에 3 - 8개(평균 5개)의 알을 낳는다.[20][12] 포란 기간은 25 - 28일이다.[19][11] 새끼는 부화하고 35일만에 날 수 있게 된다.[20][12]
5. 보존
헝가리에서는 1950년대 이전의 월동 개체수가 12만 마리 이상이었는데, 1980년대에는 수천 마리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21] 중국 동정호에서의 1996년 월동 개체수는 566마리로 관찰되었다.[19]
흰이마기러기는 멸종 위기 종으로 간주되지만, 개체군을 강화하기 위해 야생으로 동물을 재도입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또한 이 종은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호 협정''(AEWA)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
유전적으로 뚜렷한 개체군은 현재 최대 20쌍의 번식쌍 또는 총 60~80마리로 추정된다. 이들은 노르웨이 북부에서 번식하며, 그리스, 불가리아, 터키에서 겨울을 난다. 헝가리의 호르토바지 국립공원은 주요 중간 기착지이며, 이곳에서 가을에는 최대 2개월, 봄 이동 시기에는 1개월을 보낸다.
스웨덴 북부에서 번식하는 Fennoscandian 개체군의 일부는 2015년 기준 약 15쌍의 번식쌍 또는 총 40~50마리로 추정된다. 이 새들은 서쪽 이동 경로를 따르며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겨울을 난다. 2015년 IUCN 적색 목록에 따르면, 이 개체군의 보존 상태는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일본에서는 1999년 이후 최대 100마리 정도가 사로베츠 원야 등 이동 중에 날아들고, 미야기현 북부의 이즈 늪 등에서 월동하는 것이 밝혀졌다.[10] 시마네호에서도 약 25마리가 월동하고 있다.[13] 1999년 - 2007년에 걸쳐 도래수는 점증하는 경향을 보였다.[10]
6. 문화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수렵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3] 1981년에는 스웨덴과 네덜란드 사이의 이동을 부활시키기 위해 흰뺨기러기를 가짜 어미로 삼는 시도가 진행되어 성과를 거두었다.[13] 헝가리에서의 1950년대 이전 월동 개체수는 120,000마리 이상이었고, 1980년대의 월동 개체수는 수천 마리로 추정된다.[13] 둥팅호에서의 1996년 월동 개체수는 566마리가 관찰되었다.[11]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실기 등의 전국에 날아드는 문헌 기록이 있지만, 큰부리큰기러기와 혼동되는 경우도 있어 발견이 어렵고 기록도 부족했다.[10] 일본 기러기를 보호하는 회의 조사에 따르면 1999년 이후 최대 100마리 정도가 사로베츠 원야 등 이동 중에 날아들고, 미야기현 북부의 이즈누마 등에서 월동하는 것이 밝혀졌다.[10] 시마네호에서도 약 25마리가 월동하고 있다.[13] 1999년 - 2007년에 걸쳐 도래수는 점증하는 경향을 보였다.[10] 1978년에 다마 동물 공원이 인공 조명으로 백야를 재현하여 사육 하에 번식에 성공했다.[15]
참조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4]
논문
On the Linnaen names ''Strix funerca'' and ''Anser erythropus'' and on the species which should be referred to them
https://www.biodiver[...]
1913
[5]
웹사이트
Screamers, ducks, geese & swan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6]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7]
논문
A tree of geese: A phylogenomic perspective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rue Geese
http://nbn-resolving[...]
2016
[8]
논문
First Record of Lesser White-Fronted Goose Anser erythropus from Gujarat, India
http://www.bnhsjourn[...]
2013-12-01
[9]
간행물
"''Anser erythrop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10]
서적
"カリガネ"
株式会社ぎょうせい
[11]
서적
"カリガネ"
平凡社
[12]
서적
"ガンカモ科の分類"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3]
서적
"カリガネ"
講談社
[14]
서적
山溪名前図鑑 野鳥の名前
山と溪谷社
[15]
서적
"カリガネの繁殖 人工照明による日長調節の試み"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16]
간행물
"''Anser erythropus''"
2018
[17]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8]
서적
"カリガネ"
株式会社ぎょうせい
[19]
서적
"カリガネ"
平凡社
[20]
서적
"ガンカモ科の分類"
財団法人東京動物園協会
[21]
서적
"カリガネ"
講談社
[22]
서적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Птицы.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Русский язык, РУСС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