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치하이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치하이킹은 운전자가 지나가는 차량에 탑승하여 이동하는 행위로, 손짓 등의 신호를 통해 의사를 표시한다. 신호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엄지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하거나 목적지를 적은 표지판을 사용하기도 한다. 히치하이킹은 법적으로 금지된 곳이 드물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장소에서 제한된다. 1970년대 이후 감소 추세에 있으며,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 부족, 안전 문제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에는 히치하이커들의 공동체 강화 노력과 공공 정책적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히치하이킹은 범죄 위험이 따르므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관련 문화 콘텐츠도 존재한다.

2. 히치하이킹 신호 및 방법

히치하이커는 자신이 자동차를 얻어 타기를 원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신호를 사용한다. 이러한 신호는 손짓과 같은 신체적 표현일 수도 있고, 목적지를 적은 표지판과 같은 것일 수도 있다.[27][1] 히치하이커가 사용하는 신호, 특히 손짓과 같은 신체 신호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28][2]

2. 1. 일반적인 신호

히치하이커는 자신이 자동차를 얻어 타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다양한 신호를 사용한다. 이는 손짓과 같은 신체적 표현일 수도 있고, 글씨를 쓴 표지판 같은 것일 수도 있다.[27][1] 이러한 신체 신호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가장 널리 알려지고 많은 지역에서 통용되는 방식은 엄지손가락을 위로 들어 보이는 엄지 척 제스처이다. 주로 유럽,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호주 등에서 사용되는데, 히치하이커는 보통 자동차가 오는 방향을 등지고 서서 도로 쪽으로 팔을 뻗어 엄지손가락을 위로 세우거나 차량 진행 방향을 가리킨다.[28][2] 한국에서도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에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히치하이킹 의사를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모든 지역에서 같은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차를 세우기도 한다.[28][2]

신체 신호 외에도, 자신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를 크고 명확하게 적은 종이나 팻말을 들어 보이는 방법도 흔히 사용된다.

2. 2. 지역별 특이 신호

히치하이커는 다양한 신호를 사용하여 차량 탑승 의사를 나타낸다. 이러한 신호는 신체적 제스처나 목적지를 적은 표지판 등 다양하며,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27][1]

  • 일부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차를 세우는 신호를 보낸다.[28][2]
  • 베트남 전쟁 중이던 1971년, 미국의 운전자들은 히치하이커(주로 군부대 근처에 거주하는 군인)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를 사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차량에 더 이상 태울 공간이 없음을 알리기 위해 운전자는 차량 지붕을 가볍게 두드렸다. 또한, 운전자의 목적지가 가까워 히치하이커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전달하는 신호도 사용되었다.

3. 법적 규제

히치하이킹은 역사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이동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히치하이킹은 합법적인 행위로 간주된다.[3][29]

그러나 일부 국가나 지역에서는 운전자와 히치하이커의 안전을 이유로 특정 장소에서의 히치하이킹을 제한하는 법률을 두고 있다.[3] 예를 들어, 보행자의 통행 자체가 금지된 고속도로 (예: 독일아우토반, 이탈리아아우토스트라다, 미국의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 등)에서는 일반적으로 히치하이킹도 금지된다.[4][5] 이러한 경우, 히치하이커들은 보통 고속도로 진입로나 휴게소, 트럭 정류장 등 합법적으로 히치하이킹이 가능한 장소에서 차를 얻으려고 시도한다.[4][5][6]

과거 히피 문화의 영향 등으로 히치하이킹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기도 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규제가 생기면서[25] 예전만큼 활발하지는 않은 경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히치하이킹은 합법적인 이동 수단 중 하나로 이루어지고 있다.

3. 1. 한국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 섹션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3. 2. 해외 사례

히치하이킹은 역사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이동 방식이었기 때문에, 이를 법적으로 제한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특정 장소에서의 히치하이킹을 규제하는 법률을 두고 있다.[3][29]

미국에서 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의 "슬러그 라인"

  • 미국: 일부 지방 정부에서는 운전자와 히치하이커의 안전을 이유로 히치하이킹을 금지하기도 한다. 1946년 뉴저지에서는 히치하이커를 체포하고 투옥하는 일이 있었으며, 이는 미국 시민 자유 연맹(ACLU)의 개입으로 이어지기도 했다.[22] 하지만 오늘날 히치하이킹은 50개 주 중 44개 주에서 합법이며, 히치하이커가 도로 위에 서 있거나 정상적인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는다. 히치하이킹이 불법인 주에서도 실제 단속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문 편이다. 예를 들어, 와이오밍 고속도로 순찰대는 2010년에 524명의 히치하이커를 만났지만 단 8명만 기소했으며, 이후 2013년 와이오밍에서는 히치하이킹이 합법화되었다.[23] 다만, 보행자 통행이 금지된 주간 고속도로 시스템에서는 히치하이킹 역시 금지된다.[4][5] 과거 미국 대공황 시기와 1960년대의 반문화 운동 기간 동안 히치하이킹은 흔한 여행 방식이었으며,[22] 낯선 사람에 대한 위험성 경고에도 불구하고 많은 이들이 이용했다.[22]

  • 유럽: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히치하이킹은 합법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오히려 권장되기도 한다.[3] 하지만 보행자 통행이 금지된 고속도로에서는 히치하이킹도 일반적으로 금지된다. 예를 들어 독일아우토반, 이탈리아아우토스트라다, 영국리투아니아를 제외한 유럽 대륙의 고속도로 등이 해당한다.[4][5] 이런 경우 히치하이커들은 보통 고속도로 입구나 트럭 정류장에서 차를 얻는데, 이는 이탈리아를 제외한[6] 유럽 대부분 지역에서 합법적인 방법이다.[4][5]


과거 히피 문화의 영향으로 전 세계를 히치하이킹으로 여행하는 젊은이들이 많았으나, 일부 국가에서 법으로 금지하면서[25] 현재는 예전만큼 활발하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국가에서 히치하이킹은 이루어지고 있다.

4. 히치하이킹의 사회적 인식 및 공동체

히치하이킹은 단순히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수단을 넘어, 여행자와 운전자 간의 사회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히치하이킹에 대한 인식과 실제 이용 양상에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동시에 히치하이커들 사이에서는 고유한 공동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4. 1. 감소 추세

2011년, ''프리코노믹스 라디오''는 히치하이킹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1970년대 이후 미국에서 히치하이킹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감소 추세는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 부족, 항공 여행 규제 완화로 인한 저렴한 항공권 가격, 여행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 증가, 더 많고 신뢰할 수 있는 개인 차량의 보급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되었다.[7] 또한 히치하이킹에 대한 두려움이 커진 데에는 ''텍사스 전기톱 학살''(1974), ''히치하이커''(1986)와 같은 공포 영화의 영향과 콜린 스탠 유괴 사건 등 실제 히치하이커가 위험에 처했던 사건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7]

한편 영국의 일부 연구자들은 영국 내 히치하이킹 감소 원인을 분석하고, 더 안전하고 체계적인 형태로 히치하이킹 문화를 되살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8]

4. 2. 히치하이커 공동체

최근 몇 년 동안 히치하이커들은 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그 예로는 히치하이커들이 서로를 위해 조직하는 연례 행사인 히치개더링과, 히치하이킹 팁을 공유하고 전 세계의 좋은 히치하이킹 장소를 찾을 수 있는 플랫폼인 히치위키 같은 웹사이트가 있다.

5. 공공 정책적 지원

일부 국가에서는 히치하이킹을 장려하고 지원하기 위한 공공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주로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 주민들의 이동성을 높이고, 환경 보호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유럽의 일부 국가에서는 지방 자치 단체 주도로 히치하이킹을 위한 편의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5. 1. 독일 및 유럽 일부 지역

플렌스부르크의 목적지 표지판이 있는


2010년대 중반부터 독일의 지방 자치 단체들은 히치하이킹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오스트리아벨기에의 독일어 사용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이는 사회적, 환경적 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데, 대중교통이 부족한 지역에서 자가용이 없는 젊은층과 노년층을 포함한 지역 주민들의 이동성을 높이고, 지역 사회 간의 연결망을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개선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지원은 주로 사람들이 차를 기다릴 수 있는 히치하이킹 벤치( Mitfahrbänke|미트파르벵케de )를 설치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벤치들은 보통 눈에 잘 띄는 밝은 색상으로 칠해져 있으며, 마을 출구나 기존 버스 정류장 근처와 같이 차량이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한다. 일부 벤치에는 히치하이커가 가고 싶은 목적지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도록 지명이 적힌 큰 접이식 또는 슬라이드식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일부 Mitfahrbänke|미트파르벵케de는 농촌 지역 개발을 위한 유럽 연합(EU)의 LEADER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설치되었다.[9]

오스트리아에서는 Mitfahrbänke|미트파르벵케de가 특히 니더외스터라이히 주와 티롤 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는 오스트리아 연방 농업, 지역 및 관광부에서 추진하는 klimaaktiv|클리마악티브de 기후 보호 이니셔티브를 통해 장려되고 있다.[10] 2018년에는 티롤의 MobilitäterInnen|모빌리테터이넨de 네트워크가 '히치하이킹 벤치 성공적 도입을 위한 매뉴얼'을 발행하기도 했다.[11]

6. 안전 문제 및 주의사항

히치하이킹은 본질적으로 서로 모르는 사람과 폐쇄된 공간(차량)을 공유하는 행위이므로, 히치하이커와 운전자 양측 모두에게 잠재적인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26] 상대방의 신원이나 의도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범죄나 위험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히치하이킹의 실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포괄적인 통계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다.[12] 이는 안전 관련 데이터를 정확히 수집하기 위해 필요한 히치하이커의 총 수, 실제 탑승 횟수, 그리고 문제 발생 건수 등을 체계적으로 집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13] 따라서 히치하이킹을 시도할 경우, 이러한 정보의 불확실성과 잠재적 위험성을 충분히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6. 1. 범죄 위험

히치하이킹은 서로 모르는 사람과 함께 차를 타는 행위이기 때문에, 상대방의 신원을 알 수 없어 범죄로 이어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26] 운전자와 히치하이커 양측 모두 잠재적인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낯선 사람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는 운전자와 히치하이커 모두에게 해당된다. 운전자는 일부 히치하이커가 강도를 저지르거나, 심한 경우 성폭행 또는 살해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22] 반대로 히치하이커 역시 운전자에 의해 동일한 유형의 범죄 피해를 볼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22][26]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남성이고 히치하이커가 여성인 경우, 인적이 드문 곳으로 유인되어 강간이나 강제추행과 같은 성범죄 피해를 입은 사례가 있다.[26] (다만, 이러한 상황을 악용한 무고나 억울한 누명 사건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26]) 또한, 현금 등 금품이나 차량 자체를 강탈하거나 운전자를 살해할 목적으로 히치하이커로 위장하는 범죄자도 존재한다. 일본의 가쓰타 기요타카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다.[26]

이러한 히치하이킹과 관련된 위험성에 대한 두려움은 ''텍사스 전기톱 학살''(1974), ''히치하이커''(1986)와 같은 영화나, 콜린 스탠 유괴 사건 등 히치하이커가 위험에 처했던 실제 사건들을 통해 사회적으로 확산된 측면이 있다.[7]

6. 2. 안전 수칙

1970년대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안전에 관하여''의 한 에피소드로, 히치하이킹의 안전성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히치하이킹의 안전성에 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12] 안전과 관련된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하려면 히치하이커 수, 차량 탑승 횟수, 문제 발생 건수를 모두 집계해야 하는데, 이 모든 작업이 어렵기 때문이다.[13]

이 주제에 관한 두 가지 연구로는 1974년 캘리포니아 고속도로 순찰대 연구와 1989년 독일 연방 경찰(Bundeskriminalamt Wiesbaden) 연구가 있다.[12] 캘리포니아 연구에서는 히치하이커가 범죄의 피해자가 될 확률이 특별히 높지 않다는 결과를 얻었다.[14] 독일 연구에서는 실제 위험이 대중이 인식하는 위험보다 훨씬 낮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히치하이킹을 하지 말라고 권고하지 않았다.[15] 그들은 일부 경우에 언쟁이나 부적절한 언급이 있었지만, 신체적 공격은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다.[16]

권장되는 안전 수칙은 다음과 같다.[17]

  • 길가에서 신호를 보내는 대신 주유소에서 차량을 구하는 것
  • 음주 운전을 한 운전자의 차량 탑승을 거부하는 것
  • 밝은 시간대에 히치하이킹을 하는 것
  • 자신의 직감을 믿는 것
  • 다른 히치하이커와 함께 여행하는 것; 이 방법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6분의 1로 줄여준다.[18]


히치하이킹은 서로 모르는 사람과 함께 차를 타기 때문에, 서로 상대방의 신원을 알 수 없다. 따라서 히치하이킹을 하는 측 또는 운전자 측에 어떠한 의도가 있을 경우, 범죄 등 문제로 발전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운전자가 남성이고 히치하이커가 여성인 경우, 인적이 드문 곳에 주차하여 강간이나 강제추행 피해를 입은 사례도 있다[26](이러한 사례를 악용한 무고·억울한 누명 사건도 있을 수 있다.). 또한, 현금 등의 금품이나 차량 자체를 강탈하거나, 운전자를 살해할 의도로 히치하이커로 위장하는 자도 있다 (가쓰타 기요타카 사건 등).

7. 한국의 히치하이킹

한국에서도 히치하이킹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는 않다. 지역이나 계절에 따라 히치하이킹을 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인터넷 시대에 들어서면서, 히치하이킹 과정을 유튜브 등을 통해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실시간 중계하는 사람들도 나타나고 있다.

8. 히치하이킹 관련 문화 콘텐츠

히치하이킹은 독특한 경험과 여정, 때로는 위험성 때문에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자동차 문화가 발달하고 장거리 이동이 잦은 미국 등지에서는 로드 무비의 주요 소재로 등장했으며, 히치하이커와 관련된 도시 전설이나 실제 범죄 사건을 바탕으로 한 스릴러 작품도 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실제 히치하이크 경험을 담은 여행 서적이나 텔레비전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기획 소재로 다루어지기도 했다.

8. 1. 서적

히치하이킹 경험을 다룬 체험 서적과 히치하이킹을 소재로 한 다양한 주제의 책들이 출판되었다.

'''체험 서적'''

  • 존 H. 그리핀, ''흑인처럼'' (1961년): 인종차별 문제를 다루며 남부 미국을 여행한 기록이다.
  • 토니 호크스, ''냉장고와 함께 아일랜드 일주'' (1996년): 냉장고를 들고 아일랜드를 히치하이크로 여행한 독특한 경험을 이야기한다.
  • 사이먼 사이크스 & 톰 사이크스, ''무료는 없다'' (2005년): 히치하이킹 여행 경험을 담고 있다.
  • 야마조에 카츠시, ''히치하이크로 일본 일주'' (2007년): 오키나와에서 홋카이도까지 일본을 히치하이크로 일주한 경험을 담은 책이다.
  • 이케다 토모아키, ''히치하이크 여자, 인정 열도를 가다!'' (2011년): 1년 4개월 동안 일본을 히치하이크로 여행한 기록이다.
  • 미하엘라 카보르코바, ''솔로 여성 여행자: 70개국 히치하이킹에서 배운 것'' (2022년): 여성 혼자 70개국을 히치하이크로 여행한 경험과 교훈을 공유한다.
  • ''온 더 로드 1972'': 80일간의 일본 히치하이크 일주를 다룬다.


'''기타 서적'''

  • 장 해럴드 브룬반, ''사라지는 히치하이커. 미국 도시 전설과 그 의미'' (1981년): 히치하이커와 관련된 도시 전설을 모아 분석한 책이다.
  • 글래드슨 I. 누와나, ''해외 여행을 하는 미국인: 떠나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 (2004년): 해외여행 시 주의사항을 다룬다.
  • 제레미 패커, ''혼돈 없는 이동성: 안전, 자동차, 시민'' (2008년): "지옥으로 가는 고속도로 히치하이킹: 미디어 히스테리와 청소년 이동성의 정치" 장에서 히치하이킹과 미디어, 청소년 문제를 다룬다.
  • 패트릭 라비올레트, 인류학자는 왜 길을 건넜는가? (''Ethnos: 인류학 저널'', 2016년): 히치하이킹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 데이비드 H. 스미스 & 프라우케 젤러, "히치봇의 죽음과 삶: 히치하이킹 로봇의 설계와 구현" (''레오나르도'', 2017년): 히치하이킹 로봇 '히치봇' 사례 연구이다.
  • 잭 리드, ''길가의 미국인: 변화하는 국가에서의 히치하이킹의 흥망성쇠'' (2020년): 미국 히치하이킹의 역사와 사회적 의미 변화를 탐구한다.
  • 엑토르 토바, ''마지막 위대한 로드 범'' (2020년): 히치하이킹과 관련된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다.

8. 2. 영화 및 TV 프로그램

히치하이크를 다룬 영상 작품은 특히 오래전부터 자동차가 보급된 미국에서 많이 제작되어 왔다. 장거리 이동을 동반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로드 무비로서의 색채를 띠는 작품이 많으며, 위험을 주제로 한 범죄 영화도 적지 않다.

  •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 1934년 미국 영화로 프랭크 카프라 감독이 연출한 스크루볼 코미디의 고전이다. 주역인 신문 기자(클라크 게이블)가 엄지손가락을 세워 히치하이크를 시도하지만 차가 전혀 멈추지 않고, 여주인공(클로데트 콜베르)이 길가에서 다리를 드러내자 단번에 차가 멈추는 장면이 유명하다. 이는 1930년대 미국에서 이미 히치하이크가 일반적인 이동 수단 중 하나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주는 예시이기도 하다.
  • 히치하이커 The Hitch-Hikereng - 1953년 미국 영화로, 배우 아이다 루피노가 감독과 각본을 맡았다. 1950년 12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히치하이커로 위장해 범행을 저지르다 사형된 연쇄 강도 살인범 Billy Cook (criminal)|빌리 쿡eng의 실화를 바탕으로 했다. 저예산 B급 필름 누아르이지만, 유사한 범죄 영화들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히치하이크 (1977년 영화) - 1977년 이탈리아와 미국이 합작하여 제작한 영화이다.
  • 히처 - 룻거 하우어가 주연한 1986년 미국 영화이다. 아이다 루피노의 "히치하이커"를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시대 변화에 맞춰 내용이 더욱 폭력적으로 각색되었다.
  • 델마와 루이스 - 1991년 미국 영화로, 브래드 피트가 매력적이면서도 어딘가 미심쩍은 히치하이커 역을 연기했다.
  •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1978년 ~) 더글러스 애덤스가 쓴 작품으로, 주인공이 우주를 히치하이크로 여행하는 내용을 다룬 SF 코미디이다. (라디오 프로그램, 소설,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었다.)


'''TV 프로그램'''

  • 진해! 덴파 소년 - 일본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사루이와세키의 "유라시아 대륙 횡단 히치하이크", 도로즈의 "남북 아메리카 대륙 종단 히치하이크", 방우(판야오)의 "남북 아프리카 대륙·유럽 대륙 횡단 히치하이크" 등 이른바 "히치하이크 3부작" 기획을 통해 히치하이크 여행 과정을 방송했다. 출연자들이 여정 중에 작성한 일기는 닛폰 TV에서 각각 책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 오니기리 따뜻하게 해 드릴까요 - 홋카이도 TV 방송에서 제작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 『트럭 환승 여행』 - BS 재팬에서 방송된 프로그램으로, 히치하이크를 전문적으로 다루었다.
  • 차 있는데...? - TV 도쿄에서 제작한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y Do Hitchhikers Say "(Destination)...Or Bust!"? http://mentalfloss.c[...] 2015-01-09
[2] 웹사이트 Hitchhiker's guide - what you should know? https://myluggage.io[...] 2022-07-30
[3] 문서 Nwanna
[4] 웹사이트 Hitchhiking Basics http://www.stiffarmi[...]
[5] 웹사이트 Hitchhiking https://web.archive.[...] 2012-12-04
[6] 웹사이트 Italy - Hitchwiki: The Hitchhiker's guide to Hitchhiking http://hitchwiki.org[...]
[7] 뉴스 Where Have All the Hitchhikers Gone? https://web.archive.[...] 2016-09-21
[8] 간행물 'The Neglected Art of Hitch-hiking: Risk, Trust and Sustainability' http://www.socresonl[...]
[9] 뉴스 Projekt: Nersingen will Mitfahrbänke aufstellen https://web.archive.[...] 2019-04-25
[10] 웹사이트 Die Mitfahrbank als unkomplizierte Mitfahrbörse für alle BürgerInnen https://web.archive.[...] Österreichisches Bundesministerium für Nachhaltigkeit und Tourismus 2019-04-25
[11] 서적 Handbuch für eine erfolgreiche Einführung von Mitfahrbänken http://www.mobilitae[...] MobilitäterInnen 2018
[12] 웹사이트 A dearth of research: Does anyone really know anything about hitch-hiking? https://bernd.wechne[...]
[13] 웹사이트 The Pros and Cons of Hitch-Hiking https://bernd.wechne[...]
[14] 뉴스 The 'better' Better Way http://theeyeopener.[...] 2013-05-03
[15] 웹사이트 Anhalterwesen und Anhaltergefahren: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Kurztrampens" https://prino.neocit[...] Bundeskriminalamt Wiesbaden
[16] 뉴스 Trampen ohne großes Risiko http://www.zeit.de/1[...] 1990
[17] 웹사이트 Hitchhiker's safety http://hitchwiki.org[...] 2014-01-01
[18] 학위논문 Thumbs Down: America and the Decline of Hitchhiking http://wesscholar.we[...] Wesleyan University 2015
[19] 웹사이트 Cuba Hitchhiking Guide http://www.kwintesse[...] 2012-11-27
[20] 웹사이트 booklets https://web.archive.[...] 2012-10-20
[21] 서적 Autostop polski. PRL i współczesność Korporacja Ha!art 2005
[22] 서적 Clueless in New England: The Unsolved Disappearances of Paula Welden, Connie Smith and Katherine Hull The Carrollton Press
[23] 뉴스 Wyoming Senate committee debates, advances hitchhiking bill http://trib.com/news[...] 2014-05-30
[24] 문서 いわゆる「節約旅行」「貧乏旅行」「無賃旅行」など
[25] 문서 アメリカ合衆国ではヒッチハイクを装った強盗事件が多発したため、現在では多くの州で法律で禁止されている。
[26] 웹사이트 ヒッチハイク少女が強姦される NSW {{!}} JAMS.TV オーストラリア生活情報ウェブサイト https://www.jams.tv/[...] 2023-07-12
[27] 웹인용 Why Do Hitchhikers Say "(Destination)...Or Bust!"? http://mentalfloss.c[...] 2015-01-09
[28] 웹인용 Hitchhiker's guide - what you should know? https://myluggage.io[...] 2022-07-30
[29] 문서 Nwan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