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군포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포시의 시내버스는 군포시 면허 버스, 서울특별시, 광주시, 수원시, 안산시, 안양시, 화성시 등 타 지역 면허 버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노선으로 운행된다. 군포여객과 산본여객이 군포시 면허 버스를 운행하며, 직행좌석버스는 보영운수, 경기고속에서 운행한다. 군포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일반, 청소년, 어린이 요금이 다르게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군포시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군포시의 시내버스
군포시 시내버스 정보
일반 정보
지역경기도 군포시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군포시청 교통행정과
서비스 지역경기도 군포시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노선 수6
인가 대수50
요금 정보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기타 정보
사이트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2. 군포시의 버스 체계

군포시의 버스는 크게 시내버스와 시외버스로 구분되며, 시내버스는 다시 군포시 면허 노선과 타 지역 면허 노선으로 나뉜다.

군포시에는 군포여객산본여객이라는 두 개의 시내버스 회사가 있다.[2] 이 외에도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와 경기도 내 다른 시/군 면허 버스 노선들이 군포시를 경유한다. 광주, 수원, 안산, 안양, 화성 방면 버스가 운행 중이며, 운행 업체는 각각 경기고속, 대원고속, 경진여객[3], 삼경운수[3], 성우운수[3], 수원여객, 경원여객, 보영운수, 삼영운수, 제부여객이다. 또한, 서울특별시우신버스군포교통 버스도 운행된다.

2. 1. 군포시 면허 버스

군포시에는 군포여객산본여객이라는 두 개의 시내버스 회사가 있다.[2] 2021년 1월 기준으로, 군포여객은 2개 노선에 3대의 버스를, 산본여객은 4개 노선에 30대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군포시 면허 버스 운행 현황 (2021년 1월 기준)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군포여객23
산본여객430


2. 1. 1. 시내버스

군포시 내부를 운행하는 일반 시내버스와 특정 시간대에만 운행하는 맞춤형 버스가 있다.[2]

군포시 면허 시내버스 운수업체 현황 (2021년 1월 기준)
운행업체보유 노선 수등록 대수
군포여객23
산본여객430



군포시 면허 일반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30산본여객부곡동 (군포복합화물터미널) ↔ 금정역삼성마을 5단지, 신기초등학교, 당동중학교, 금당터널, 흥진고등학교, 산본역, 중앙공원·산본제일병원, 군포문화예술회관, 산본주택단지, 수도사업소·e비즈니스고, 중앙도서관, 수리동행정복지센터, 6·7단지, 산본역, 군포중학교, 금정새마을금고 → 금정초등학교 → 산본시장40~100전기버스 운행
31산본여객부곡공영차고지 ↔ 산본2동송정지구, 대야미역, 부곡지구, 수리산역, 산본역, 산본래미안A, 금정역8~10



군포시 면허 맞춤형 시내버스 (2021년 1월 기준)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00군포여객초막골공원 ↔ 의왕역대야미역, 송정지구, 부곡지구, 군포첨단산업단지30
100-1군포여객납덕골(수리사입구) ↔ 의왕역대야미역, 송정지구, 부곡지구, 군포첨단산업단지70


2. 1. 2. 직행좌석버스

직행좌석보영운수군포공영차고지 ↔ 신사역수리산역, 군포시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15~20대광위 준공영제 노선6501
직행좌석경기고속부곡공영차고지 ↔ 강남역부곡지구, 산본역, 군포문예회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선바위역,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20


2. 2. 타 지역 면허 버스

군포시서울특별시뿐만 아니라 경기도 내 여러 지역과 버스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광주, 수원, 안산, 안양, 화성 방면 버스가 운행 중이며, 운행 업체는 각각 경기고속, 대원고속, 경진여객[3], 삼경운수[3], 성우운수[3], 수원여객, 경원여객, 보영운수, 삼영운수, 제부여객이다.

2. 2. 1. 서울특별시 면허 버스

군포시한국어와 서울특별시한국어 주요 지역 (강남역, 사당역, 노들역, 여의도 등)을 연결하는 노선이 운행된다.

노선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간격 (분)비고
540우신버스군포공영차고지 ↔ 서울성모병원수리산역, 산본주공3·2·1단지, 군포경찰서,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구반포역, 고속터미널역4~15저상버스 운행
541우신버스군포공영차고지 ↔ 강남역수리산역, 군포문예회관, 금정역, 비산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우면지구, 서초역교대역강남역양재역12~20저상버스 운행
5530우신버스군포공영차고지 ↔ 사당역수리산역, 산본주공3·2·1단지, 군포시청, 산본시장,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신림역, 서울대입구역4~14저상버스 운행
5531군포교통군포공영차고지 ↔ 노들역군포역,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공군회관, 노량진역4~10저상버스 운행
5623군포교통군포공영차고지 ↔ 여의도당동주공A, 산본공고, 군포문예회관, 산본시장, 금정역, 명학역, 안양1번가,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보라매역, 공군회관, 여의도역4~10저상버스 운행


2. 2. 2. 경기도 타 시/군 면허 버스

군포시는 인접한 광주시, 성남시, 수원시, 안산시, 안양시, 화성시 등과 다양한 버스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군포시와 인접 시/군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
지역업체노선 번호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광주대원고속65흥덕지구, 아주대입구, 명학역 등5~10분[3]
성남경기고속3500 (직행좌석)서현역, 판교역, 산본역, 한세대학교20분
수원수원여객64망포역, 수원터미널, 매교역, 명학역 등15~19분[3]
안산경원여객31-7금정역, 명학역, 신천역7~12분
3100 (직행좌석)한양대학교(안산), 상록수역, 한세대학교20~60분
3101 (직행좌석)한양대학교(안산), 상록수역, 군포역, 산본역20~60분
안양삼영운수5월암공영차고지 ↔ 영등포역
8석수공영차고지 ↔ 고천동
8-2석수공영차고지 ↔ 고천동
20송정지구 ↔ 구로디지털단지역
52-1송정지구 ↔ 부안중학교
60군포공영차고지 ↔ 동편마을
88충훈부 ↔ 산본4단지 (저상버스 운행)
보영운수11-2군포공영차고지 ↔ 갯마을앞 (저상버스 운행)
11-5군포공영차고지 ↔ 갯마을앞
15창박골 ↔ 산본8단지
15-2창박골 ↔ 롯데첨단소재
22송정지구 ↔ 청계지구
55송정지구 ↔ 금정역
87백운사입구 ↔ 금정역
917군포공영차고지 ↔ 종합운동장역
화성제부여객330제부도입구 ↔ 금정역 (반월역, 대야미, 군포역 경유)15분
340-1향남택지지구 ↔ 금정역 (국도 제39호선(서해로) 직통)30분
340-2향남택지지구 ↔ 금정역 (국도 제39호선(서해로) 직통)30분


2. 3. 시 경계 정류소만 정차하는 노선

군포시 당정동에 위치한 한솔테크노타운(26163, 40016) 정류소[4]경수대로를 기준으로 안양시의왕시가 만나는 경계 지역에 있다. 이 정류소에만 정차하는 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441우신버스월암공영차고지신사역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4~15저상버스 운행
502우신버스월암공영차고지한국은행고천동, 호계4,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 사당역, 이수역, 이촌역, 용산역, 삼각지역, 서울역, 시청역6~15상행 서빙고역 경유
저상버스 운행
301성우운수하북리(진위)범계역오산역, 병점역, 세류역, 수원역, 장안문, 만석공원, 이목동, 동원고교, 고천동, 호계47
777용남고속수원역사당역장안문, 한일타운, 파장동, 고천동, 호계4, 안양농수산물시장,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5~7
900성우운수경희대학교보라매공원영통역, 수원터미널, 수원역, 한일타운, 파장동, 고천동, 호계4, 범계4, 비산4, 대림대학교, 안양예술공원, 관악역, 석수역, 구로디지털단지역10
300
일반좌석
삼경운수하북리(진위)범계역오산역, 병점역, 수원터미널, 동수원4, 한일타운, 파장동, 고천동, 호계48
1-2삼영운수석수공영차고지의왕부곡중학교안양대교, 안양1번가, 명학역, 호계도서관, 호계4, 고천동, 의왕역6~8저상버스 운행
10보영운수창박골고천동안양1번가, 덕천마을, 범계역, 목련마을, 호계46
60-1삼영운수월암공영차고지동편마을의왕고교, 왕곡동, 오전동, 포도원, 호계4, 안양농수산물시장, 인덕원역12~17


3. 요금 체계

군포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현금, 교통카드, 조조할인 등 다양한 요금제가 적용된다.

3. 1. 요금표

군포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 다른 지역의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요금은 2019년 9월 28일에 시행된 요금표에 따라 부과된다.

3. 1. 1. 연령별 요금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2019년 9월 28일부터 시행된 요금은 다음과 같다.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3. 1. 2. 종류별 요금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조조요금 (원)
일반시내
(DRT)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1,2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1001,010870
어린이 (만 6세 ~ 11세)800730630
일반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5002,4502,050
청소년 (만 12세 ~ 18세)1,9001,8201,520
어린이 (만 6세 ~ 11세)1,7001,6401,370
직행좌석
(간선급행)
어른 (만 19세 이상)2,9002,8002,4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0001,9601,680
어린이 (만 6세 ~ 11세)2,0001,9601,680
경기순환어른 (만 19세 이상)3,1003,0502,600
청소년 (만 12세 ~ 18세)2,2002,1401,820
어린이 (만 6세 ~ 11세)2,2002,1401,820
광역급행(M버스)어른 (만 18세 이상)2,9002,8002,300
청소년 (만 12세 ~ 17세)2,1002,0001,600
어린이 (만 6세 ~ 11세)1,6001,6001,300



군포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참조

[1] 뉴스 따복버스 2대가 군포를 누빈다 http://www.gunpo.go.[...] 군포시청 교통과 2017-07-10
[2]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3] 문서 군포시 경계에 위치한 한솔테크노타운(26163, 40016) 정류소에만 정차한다.
[4] 문서 과거에는 유한양행 군포공장이 위치하고 있어 유한양행 정류소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