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스키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스키선은 시마네현 마쓰에시의 신지 역과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의 빈고오치아이 역을 잇는 서일본 여객철도(JR 서일본)의 철도 노선이다. 총 연장 81.9km의 단선 비전철 노선으로, 18개의 역이 있다. 과거에는 급행 열차도 운행했으나, 1990년 이후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2024년 3월부터는 모든 정기 열차가 원맨 운전으로 운영된다. 1932년 개통 이후,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폭설과 호우로 인한 운행 중단이 잦다. 2023년 토롯코 열차 오쿠이즈모 오로치호의 운행이 종료되었고, 2024년 4월부터 관광 열차 아메츠치가 운행을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쇼바라시의 교통 - 게이비선
게이비선은 서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역과 오카야마현 빗추코지로역을 잇는 총 159.1km의 단선 비전철화 철도 노선으로, 주고쿠 산지를 지나며 과거 게이비 철도로 건설되어 쇼바라선, 산신선과 통합되었고 2018년 서일본 호우 피해 이후 지역 교통망 유지 및 활성화 논의가 진행 중이다. - 오쿠이즈모정 - 요코타정
요코타정은 1889년 요코타촌으로 발족하여 1941년 정으로 승격했으나, 1957년 합병 후 이듬해 요코타정으로 재출범한 시마네현의 옛 정으로, 2005년 니타정과 합병하여 오쿠이즈모정이 되면서 폐지되었으며, 국도 제314호선과 기스키 선이 지나고 아즈마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 오쿠이즈모정 - 니타정
니타정은 1955년에 여러 촌이 합병하여 발족했으며, 2005년 요코타정과 합병하여 오쿠이즈모정이 되면서 폐지되었다. - 마쓰에시의 교통 - 이치바타 버스
이치바타 버스는 1999년 이치바타 전기 철도에서 분사하여 설립되었으며, 시마네현 동부 지역에서 노선 버스 사업을 운영하며, 고속버스, 오키 제도 연결 버스, 일반 노선 버스를 운행한다. - 마쓰에시의 교통 - 오키키센
오키키센은 일본 시마네현 오키 제도를 운항하는 해운 회사이며, 페리와 고속선을 운영하며 오키 광역 연합의 위탁 관리로 운영되고 있다.
기스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지역 철도 |
노선 상태 | 운행 중 |
지역 | 시마네현 및 히로시마현 |
기점 | 신지 역 |
종점 | 빈고오치아이 역 |
역 수 | 18 |
개업일 | 1932년 12월 18일 |
소유자 | 서일본 여객철도 |
운영자 | 서일본 여객철도 |
노선 특징 | 농촌 |
사용 차량 | KiHa 120 시리즈 디젤 동차 |
노선 길이 | 81.9 km |
선로 구성 | 전 구간 단선 |
궤간 | 1,067 mm |
전철화 여부 | 비전철화 |
최고 속도 | 75 km/h |
명칭 | |
한국어 명칭 | 기스키 선 |
일본어 명칭 | 木次線 |
로마자 표기 | Kisuki-sen |
노선 정보 (일본어) | |
노선 종류 | 보통 철도(재래선・지방 교통선) |
전보 약호 | 키스세 |
개업일 (일본어) | 1916년 10월 11일 |
전체 개통일 | 1937년 12월 12일 |
폐지일 | 해당 없음 |
선로 수 | 전선 단선 |
전철화 방식 | 전선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특수 자동 폐색식 (궤도 회로 검지식) |
사용 차량 |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 참조 |
2. 노선 정보
- 관할 (사업 종별): 서일본 여객철도(제1종 철도사업자)
- 노선 거리 (영업 거리): 81.9km
- 궤간: 1067mm (협궤)
- 역 수: 18역 (기종점역 포함)
- * 기스키선을 소속으로 하는 역으로 한정된 경우, 산인 본선 소속의 신지 역과 게이비 선 소속의 빈고오치아이 역이 제외되어, 16역이 된다.
- 복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단선)
- * 교행 가능 역: 5 (가모나카 역 · 기스키 역 · 이즈모미나리 역 · 이즈모요코타 역 · 이즈모사카네 역)
- 전철화 구간: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
- 폐색 방식: 특수 자동 폐색식(궤도 회로 검지식)
- 최고 속도:
- * 신지 역 - 기스키 역 간: 75km/h
- * 기스키 역 - 빈고오치아이 역 간: 65km/h
- 운전 지령소: 기스키 운전 지령소
2. 1. 노선 데이터
관할 (사업 종별) : 서일본 여객철도 (제 1 종 철도사업자)[5]- 노선 거리 (영업 거리) : 81.9km[5]
- 궤간 : 1067mm[5]
- 역 수 : 18역 (기종점역 포함)[5]
- * 기스키 선을 소속 역으로 한정된 경우, 산인 본선 소속의 신지 역과 게이비 선 소속의 빈고오치아이 역이 제외되어, 16역이 된다.
- 복선화 구간 : 없음 (전 구간 단선)[5]
- * 교행 가능 역 : 5 (가모나카 역 · 기스키 역 · 이즈모미나리 역 · 이즈모요코타 역 · 이즈모사카네 역)[5]
- 전철화 구간 : 없음 (전 구간 비전철화)[5]
- 폐색 방식 : 특수 자동 폐색식(궤도 회로 검지식)[5]
- 최고 속도 :[5]
- * 신지 역 - 기스키 역 간 : 75km/h
- * 기스키 역 - 빈고오치아이 역 간 : 65km/h
- 운전 지령소 : 주고쿠 종합 사령소 요나고 사령소 기스키 파견소[6]
- IC승차 카드 대응 구간: 없음[6]
3. 역 목록
기스키선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명 | 일어 역명 | 역 애칭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신지 | 宍道일본어 | - | 0.0 |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 | rowspan="16"|시마네현 | rowspan="2" colspan="2"|마쓰에시 | ||||||
미나미신지 | 南宍道일본어 | 3.6 | 3.6 | | | ||||||
가모나카 | 加茂中일본어 | 5.1 | 8.7 | | rowspan="7" colspan="2"|운난시 | ||||||
하타야 | 幡屋일본어 | 3.1 | 11.8 | | | ||||||
이즈모다이토 | 出雲大東일본어 | 2.1 | 13.9 | | | ||||||
미나미다이토 | 南大東일본어 | 3.6 | 17.5 | | | ||||||
기스키 | 야마타노오로치/ヤマタノオロチ일본어 | 3.6 | 21.1 | | | |||||||
히노보리 | 스사노오노미코토/すさのおのみこと일본어 | 3.7 | 24.8 | | | |||||||
시모쿠노 | 아요아요/あよあよ일본어 | 6.7 | 31.5 | | | |||||||
이즈모야시로 | 데나즈치/てなづち일본어 | 5.9 | 37.4 | | rowspan="7"|니타군 | rowspan="7"|오쿠이즈모정 | |||||||
이즈모미나리 | 오쿠니누시미노코토/おおくにぬしみのこと일본어 | 4.1 | 41.5 | | | |||||||
가메다케 | 스쿠나히코나미노코토/すくなひこなみこと일본어 | 4.4 | 45.9 | | | |||||||
이즈모요코타 | 구시나다히메/くしいなだひめ일본어 | 6.4 | 52.3 | | | |||||||
야카와 | 아시나즈치/あしなづち일본어 | 4.0 | 56.3 | | | |||||||
이즈모사카네 | 아메노마나이/あめのまない일본어 | 7.0 | 63.3 | | | |||||||
미노하라 | 다카마가하라/たかまがはら일본어 | 6.4 | 69.7 | | | |||||||
유키 | 油木일본어 | 5.6 | 75.3 | | rowspan="2"|히로시마현 | rowspan="2" colspan="2"|쇼바라시 | ||||||
빈고오치아이 | 備後落合일본어 | 6.6 | 81.9 |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 | |
신지 역과 기스키 역은 JR 서일본 직영역이며, 그 외의 역은 간이 위탁역 혹은 무인역이다. 매일 4~10개의 디젤 열차가 운행된다. 신지 ~ 키스키 구간에는 열차가 더 많지만, 키스키 ~ 빈고오치아이 구간에는 열차가 거의 없다. 겨울철에는 폭설로 인해 운행이 자주 중단된다.
정기 열차는 전 열차 보통 열차이다. 임시 쾌속 열차 "아메츠치"의 정차역은 열차 기사를 참조해야한다.
선로는 전선 단선으로, '◇'・'◆'는 열차 교환이 가능하고(◆는 스위치백역), '|'는 열차 교환이 불가능하다.
3. 1. 역 목록
기스키선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역명 | 일어 역명 | 역 애칭 | 역간 거리 | 영업 거리 | 접속 노선 | 소재지 | ||
---|---|---|---|---|---|---|---|---|
신지 | 宍道일본어 | - | 0.0 | 서일본 여객철도 산인 본선 | 시마네현 | 마쓰에시 | ||
미나미신지 | 南宍道일본어 | 3.6 | 3.6 | |||||
가모나카 | 加茂中일본어 | 5.1 | 8.7 | 운난시 | ||||
하타야 | 幡屋일본어 | 3.1 | 11.8 | |||||
이즈모다이토 | 出雲大東일본어 | 2.1 | 13.9 | |||||
미나미다이토 | 南大東일본어 | 3.6 | 17.5 | |||||
기스키 | 야마타노오로치/ヤマタノオロチ일본어 | 3.6 | 21.1 | |||||
히노보리 | 스사노오노미코토/すさのおのみこと일본어 | 3.7 | 24.8 | |||||
시모쿠노 | 아요아요/あよあよ일본어 | 6.7 | 31.5 | |||||
이즈모야시로 | 데나즈치/てなづち일본어 | 5.9 | 37.4 | 니타군 | 오쿠이즈모정 | |||
이즈모미나리 | 오쿠니누시미노코토/おおくにぬしみのこと일본어 | 4.1 | 41.5 | |||||
가메다케 | 스쿠나히코나미노코토/すくなひこなみこと일본어 | 4.4 | 45.9 | |||||
이즈모요코타 | 구시나다히메/くしいなだひめ일본어 | 6.4 | 52.3 | |||||
야카와 | 아시나즈치/あしなづち일본어 | 4.0 | 56.3 | |||||
이즈모사카네 | 아메노마나이/あめのまない일본어 | 7.0 | 63.3 | |||||
미노하라 | 다카마가하라/たかまがはら일본어 | 6.4 | 69.7 | |||||
유키 | 油木일본어 | 5.6 | 75.3 | 히로시마현 | 쇼바라시 | |||
빈고오치아이 | 備後落合일본어 | 6.6 | 81.9 |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 |
신지 역과 키스키 역은 JR 서일본 직영역이며, 그 외의 역은 간이 위탁역 혹은 무인역이다. 매일 4~10개의 디젤 열차가 운행된다. 신지 ~ 키스키 구간에는 열차가 더 많지만, 키스키 ~ 빈고오치아이 구간에는 열차가 거의 없다. 겨울철에는 폭설로 인해 운행이 자주 중단된다.
정기 열차는 전 열차 보통 열차이다. 임시 쾌속 열차 "아메츠치"의 정차역은 열차 기사를 참조해야한다.
선로는 전선 단선으로, '◇'・'◆'는 열차 교환이 가능하고(◆는 스위치백역), '|'는 열차 교환이 불가능하다.
4. 운행 형태
1990년 3월 10일에 급행 "치도리"가 폐지된 이후에는 보통 열차만 운행하게 되었고, 같은 해부터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원맨 운전이 실시되고 있다. 2024년 3월 16일 개정으로 모든 정기 열차가 원맨 운전이 되었다.
1998년 4월 25일부터 기스키선 이용 촉진을 목적으로 행락 시즌에 토롯코 열차인 오쿠이즈모 오로치호가 운행되었다.[23] 2009년부터 이즈모노쿠니・히이카와 서밋[24]이 운행 경비 등을 부담하였으며, 2010년 승차 인원은 16,712명(승차율 72.1%)으로, 시마네현 외에서 온 관광객이 이용하는 인기 열차로서 시마네현을 대표하는 관광 자원이었다.[25][26] "오쿠이즈모 오로치호"가 운행되지 않는 날에는 키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간에 임시 열차가 1왕복 운행되었다.[27] 차량 노후화로 인해 2023년 11월 23일을 기해 운행을 종료했다.[75][76][28][29]
2024년 4월 7일부터 오쿠이즈모 오로치호의 후속으로 아메츠치라는 관광 열차가 운행된다.[30][28][31] 차량 성능 문제로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에는 운행하지 않는다.[32]
2019년 3월 16일 개정 시점에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 시도역 - 키스키역·이즈모요코타역 간 등 구간 운전 열차가 있으며, 시도역 - 키스키역 간은 1~2시간에 1대 정도, 키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간은 2~3시간에 1대 정도가 운행되고 있다.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2왕복이며,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을 운행하는 정기 열차는 전 구간 운행 열차에 아침에 운행되는 키스키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 구간 열차 1왕복을 더한 1일 3왕복뿐이다. 2003년 11월 30일까지는 4왕복이 운행되었고, 빈고오치아이역에서 차량의 야간 체박이 있었다.
아침에는 산인 본선으로 직통하여 마쓰에역까지 운행되는 열차가 있으며 (반대 방향은 없음), 평일에는 산인 본선 내에서 쾌속 열차 (라이타역·타마쓰쿠리온센역 통과)가 된다. 2001년 3월 2일까지는 요나고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있었다. 밤의 시도 발 이즈모요코타행 막차는 토요일만, 아침의 이즈모요코타 발 시도행 첫차는 일요일만 키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구간을 운휴한다. 보수 공사 때문에 낮 시간대의 열차는 시도역 - 키스키역 간은 셋째 주 일요일, 키스키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은 둘째 주 목요일에 운휴하며, 이 경우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은 1일 2왕복만 운행된다. 이 운휴에 대해서는 과거에는 대행 수송도 없었지만, 현재는 대행 수송이 있다는 것을 시간표에 안내하고 있다.
키스키역이나 이즈모요코타역 등에서 교행에 의한 장시간 정차를 하는 열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요 시간은 전 구간 운행으로 2시간 반에서 3시간 정도 걸리는 것도 있다.
키스키선은 주고쿠 지방의 험한 산악 노선이며, 호우·폭설에 의한 운휴도 많다. 기록적인 폭설을 기록한 2005년도 (헤이세이 18년 폭설)에는,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이 2005년12월 22일부터 2006년3월 29일까지 적설을 이유로 운휴했고, 2006년7월 20일부터 같은 해 7월 27일에도 호우에 의한 재해 때문에 같은 구간이 운휴했다. 특히, 2012년 이후에는 거의 매년 겨울철에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에서 눈 때문에 장기 운휴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이 구간은 급경사 지형에 더하여 적설량이 많기 때문에, 제설 작업으로 눈사태를 유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 (특히 이즈모사카네역 부근에서는 역사의 바로 위에 선로가 있어 눈사태가 발생하면 역 주변을 덮치게 된다)이고, 최대 난소였던 이즈모사카네역 - 미이노하라역 간에 병행하는 국도 314호선이 정비되었기 때문에, 폭우·폭설 시에는 택시에 의한 대행 운행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키스키선의 존속 요인이었던 "연선 도로가 미정비"라는 이유는 해소되었다. 다만, 같은 시마네현·히로시마현 경계의 초한산 노선이었던 산코선 (2018년 4월 1일 폐선)과 달리, 폐선 제안은 지금까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22년 4월 11일에 JR 서일본은 로컬선의 노선별 수지를 공표하고, 노선의 활성화책 등을 관계 자치 단체와 협의하고 싶다는 생각이며, 폐선도 시야에 두고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되었다.
4. 1. 운행 열차
1998년 4월 25일부터 기스키선 이용 촉진을 목적으로 행락 시즌에 토롯코 열차인 오쿠이즈모 오로치호가 운행되었다.[23] 2009년부터 이즈모노쿠니・히이카와 서밋[24]이 운행 경비 등을 부담하였으며, 2010년 승차 인원은 16,712명(승차율 72.1%)으로, 시마네현 외에서 온 관광객이 이용하는 인기 열차로서 시마네현을 대표하는 관광 자원이었다.[25][26] "오쿠이즈모 오로치호"가 운행되지 않는 날에는 기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간에 임시 열차가 1왕복 운행되었다.[27] 차량 노후화로 인해 2023년 11월 23일을 기해 운행을 종료했다.[75][76][28][29]2024년 4월 7일부터 오쿠이즈모 오로치호의 후속으로 아메츠치라는 관광 열차가 운행된다.[30][28][31] 차량 성능 문제로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에는 운행하지 않는다.[32]
4. 2. 운행 빈도 및 소요 시간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는 급행 "치도리", "야행 치도리" 등의 우등 열차가 운행되었지만, 1990년 3월 10일에 "치도리"가 폐지된 후에는 보통 열차만 운행하게 되었고, 같은 해부터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원맨 운전이 실시되고 있다. 2024년 3월 16일 개정으로 모든 정기 열차가 원맨 운전이 되었다.2019년 3월 16일 개정 시점에서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 외에 시도역 - 키스키역·이즈모요코타역 간 등 구간 운전 열차가 있으며, 시도역 - 키스키역 간은 1~2시간에 1대 정도, 키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간은 2~3시간에 1대 정도가 운행되고 있다. 전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는 2왕복이며,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을 운행하는 정기 열차는 전 구간 운행 열차에 아침에 운행되는 키스키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 구간 열차 1왕복을 더한 1일 3왕복뿐이다. 2003년 11월 30일까지는 4왕복이 운행되었고, 빈고오치아이역에서 차량의 야간 체박이 있었다.
아침에는 산인 본선으로 직통하여 마쓰에역까지 운행되는 열차가 있으며 (반대 방향은 없음), 평일에는 산인 본선 내에서 쾌속 열차 (라이타역·타마쓰쿠리온센역 통과)가 된다. 2001년 3월 2일까지는 요나고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도 있었다. 밤의 시도 발 이즈모요코타행 막차는 토요일만, 아침의 이즈모요코타 발 시도행 첫차는 일요일만 키스키역 - 이즈모요코타역 구간을 운휴한다. 보수 공사 때문에 낮 시간대의 열차는 시도역 - 키스키역 간은 셋째 주 일요일, 키스키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은 둘째 주 목요일에 운휴하며, 이 경우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은 1일 2왕복만 운행된다. 이 운휴에 대해서는 과거에는 대행 수송도 없었지만, 현재는 대행 수송이 있다는 것을 시간표에 안내하고 있다.
키스키역이나 이즈모요코타역 등에서 교행에 의한 장시간 정차를 하는 열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소요 시간은 전 구간 운행으로 2시간 반에서 3시간 정도 걸리는 것도 있다.
키스키선은 주고쿠 지방의 험한 산악 노선이며, 호우·폭설에 의한 운휴도 많다. 기록적인 폭설을 기록한 2005년도 (헤이세이 18년 폭설)에는,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이 2005년12월 22일부터 2006년3월 29일까지 적설을 이유로 운휴했고, 2006년7월 20일부터 같은 해 7월 27일에도 호우에 의한 재해 때문에 같은 구간이 운휴했다. 특히, 2012년 이후에는 거의 매년 겨울철에 이즈모요코타역 - 빈고오치아이역 간에서 눈 때문에 장기 운휴가 발생하고 있다.
4. 3. 운휴 정보
5. 사용 차량
## 현재 사용 차량
1993년 4월 24일부터 정기 열차는 고토 종합 차량소 이즈모 지소에 소속된 키하 120형 기동차로 운행되고 있다. 연강(普通鋼)제 차체의 200번대가 3량, 스테인리스제 차체의 0번대가 5량으로 총 8량이 사용되고 있다. 이 8량은 과거 키스키 철도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2021년 3월과 4월에 이즈모 지소로 전속되었다.
## 과거 사용 차량
1934년 8월, 요나고 기관고 기스키 분고(후의 기스키 기관구)가 개설되어 [히카미 철도] 시대의 차량을 승계했지만, 1935년 3월 31일 현재 230형, 1260형, 3040형의 3개 형식의 증기 기관차가 배치되었다.[33] 요나고 기관고 이즈모 산세이 분고에는 C12형이 배치되었지만, 구 [히카미 철도]선 시시도 - 기스키 구간은 선로가 취약하여 입선할 수 없었고, C12형은 기스키 - 야카와 구간 운전에 투입되었으며, 목재 수송 화물 열차는 기스키에서 기관차를 교체했다고 한다.[33] 1937년에 [빈고오치아이]까지 개통되어 [게이비선]과 연결되면서 기스키 기관구에 C56형이 배치(최대 13량 배치)되어 전선에서 객화차를 견인하게 되었다.[33] 동 기관차 견인에 의한 3량 편성의 야간 쾌속 열차 "야행 치도리"의 운행도 이루어졌다.[33] 1969년 4월 1일에 여객 열차는 전부 디젤차가 되었고, 화물 열차도 1971년 6월에 증기 기관차 견인이 폐지되었다.[33] 또한 1957년부터 C11형도 배치되었다.[33]
디젤차는 1959년에 키하 02형 기동차가 배치되었고, 이어서 키하 07형 기동차도 배치되었다[34]。 키하 02형은 1965년 6월 30일에 사라졌지만[35], 키하 07형은 국철에서 마지막인 1970년까지 볼 수 있었다.[34] 이윽고 구배용 2기 엔진의 강력차인 키하 52형 기동차와 키하 53형 기동차가 주력이 되었고, 키하 40형 기동차도 사용되었다.[34] 급행 열차에는 키하 58계 기동차가 사용되었다.[34]
철도성으로 인계된 차량은 증기 기관차 5량, 객차 10량[36][37], 화차 138량[37]이다.
- 증기 기관차
- 1·2: 1915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120형(121, 123).[37] 2는 국유화 이전인 1926년에 가야 철도에 양도되었다.[37] 1의 국유화 후에는 120형(121)으로 복귀.[37]
- 2(2대): 1933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 후에는 3040형(2대)(3040).[37]
- 3: 1916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5형(5).[37] 국유화 전에 폐차되었다.[37]
- 4: 1919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1040형(1045).[37] 국유화 후에는 1040형(1045)으로 복귀.[37]
- 5·6: 1923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 후에는 1260형(1260, 1261).[37]
- 객차 (모두 목제 보기 객차)
- 호로하1·호로하2: 1916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되어 코로하1620, 코로하1621이 되어 1937년에 이즈시 철도에 불하한다.[37]
- 호로하3: 1924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되어 코로하1622가 되어 1937년에 이즈시 철도에 불하한다.[37]
- 호하5: 1916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되어 코하2471이 되어 1937년에 온천 전궤에 불하한다.[37]
- 호하6: 1918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되어 코하2472가 되어 1937년에 온천 전궤에 불하한다.[37]
- 호하4, 호하7 - 호하10: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37] 국유화된 후, 코하2470, 코하2473 - 코하2476이 되어 기메이 철도에 2량, 가나이시 전기 철도에 3량 불하.[37]
- 화차
- 와7 - 와39: 10톤 적재 유개차.[37] 국유화되어 와1형(와9317 - 와9349)이 된다.[37]
- 와부107 - 와부110: 10톤 적재 유개 완급차.[37] 국유화되어 와후7700형(와후7700 - 와후7703)이 된다.[37]
- 와후111 - 와후114: 10톤 적재 유개 완급차.[37] 국유화되어 와후7700형(와후7704 - 와후7707)이 된다.[37]
- 카401 - 카404: 10톤 적재 가축차.[37] 국유화되어 카1형(카240 - 카243)이 된다.[37]
- 토220 - 토306: 10톤 적재 무개차.[37] 국유화되어 토1형(토4767 - 토4853)이 된다.[37]
- 리303 - 리308: 10톤 적재 토운차.[37] 국유화되어 리1800형(리1800 - 리1805)이 된다.[37]
연도 | 기관차 | 객차 | 화차 | |
---|---|---|---|---|
유개 | 무개 | |||
1916-1917 | 3 | 5 | 12 | 21 |
1918 | 3 | 6 | 12 | 21 |
1919 | 4 | 6 | 15 | 28 |
1920 | 4 | 6 | 20 | 36 |
1921 | 4 | 6 | 35 | 56 |
1922 | 4 | 6 | 42 | 61 |
1923 | 5 | 6 | 45 | 53 |
1924-1925 | 5 | 10 | 45 | 53 |
1926-1927 | 4 | 10 | 45 | 53 |
1928-1932 | 4 | 10 | 45 | 93 |
1933 | 5 | 10 | 45 | 93 |
- 철도원 철도 통계 자료, 철도성 철도 통계 자료, 철도 통계 자료 각 연도판
5. 1. 현재 사용 차량
1993년 4월 24일부터 정기 열차는 고토 종합 차량소 이즈모 지소에 소속된 키하 120형 기동차로 운행되고 있다. 연강(普通鋼)제 차체의 200번대가 3량, 스테인리스제 차체의 0번대가 5량으로 총 8량이 사용되고 있다. 이 8량은 과거 키스키 철도부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2021년 3월과 4월에 이즈모 지소로 전속되었다.5. 2. 과거 사용 차량
1934년 8월, 요나고 기관고 기스키 분고(후의 기스키 기관구)가 개설되어 [히카미 철도] 시대의 차량을 승계했지만, 1935년 3월 31일 현재 230형, 1260형, 3040형의 3개 형식의 증기 기관차가 배치되었다.[33] 요나고 기관고 이즈모 산세이 분고에는 C12형이 배치되었지만, 구 [히카미 철도]선 시시도 - 기스키 구간은 선로가 취약하여 입선할 수 없었고, C12형은 기스키 - 야카와 구간 운전에 투입되었으며, 목재 수송 화물 열차는 기스키에서 기관차를 교체했다고 한다. 1937년에 [빈고오치아이]까지 개통되어 [게이비선]과 연결되면서 기스키 기관구에 C56형이 배치(최대 13량 배치)되어 전선에서 객화차를 견인하게 되었다. 동 기관차 견인에 의한 3량 편성의 야간 쾌속 열차 "야행 치도리"의 운행도 이루어졌다. 1969년 4월 1일에 여객 열차는 전부 디젤차가 되었고, 화물 열차도 1971년 6월에 증기 기관차 견인이 폐지되었다. 또한 1957년부터 C11형도 배치되었다.디젤차는 1959년에 키하 02형 기동차가 배치되었고, 이어서 키하 07형 기동차도 배치되었다[34]。 키하 02형은 1965년 6월 30일에 사라졌지만[35], 키하 07형은 국철에서 마지막인 1970년까지 볼 수 있었다. 이윽고 구배용 2기 엔진의 강력차인 키하 52형 기동차와 키하 53형 기동차가 주력이 되었고, 키하 40형 기동차도 사용되었다. 급행 열차에는 키하 58계 기동차가 사용되었다.
철도성으로 인계된 차량은 증기 기관차 5량, 객차 10량[36][37], 화차 138량[37]이다.
- 증기 기관차
- * 1·2: 1915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120형(121, 123). 2는 국유화 이전인 1926년에 가야 철도에 양도되었다. 1의 국유화 후에는 120형(121)으로 복귀.
- * 2(2대): 1933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 후에는 3040형(2대)(3040).
- * 3: 1916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5형(5). 국유화 전에 폐차되었다.
- * 4: 1919년에 철도원에서 불하된 1040형(1045). 국유화 후에는 1040형(1045)으로 복귀.
- * 5·6: 1923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 후에는 1260형(1260, 1261).
- 객차 (모두 목제 보기 객차)
- * 호로하1·호로하2: 1916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되어 코로하1620, 코로하1621이 되어 1937년에 이즈시 철도에 불하한다.
- * 호로하3: 1924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되어 코로하1622가 되어 1937년에 이즈시 철도에 불하한다.
- * 호하5: 1916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되어 코하2471이 되어 1937년에 온천 전궤에 불하한다.
- * 호하6: 1918년에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되어 코하2472가 되어 1937년에 온천 전궤에 불하한다.
- * 호하4, 호하7 - 호하10: 일본차량제조에서 신조했다. 국유화된 후, 코하2470, 코하2473 - 코하2476이 되어 기메이 철도에 2량, 가나이시 전기 철도에 3량 불하.
- 화차
- * 와7 - 와39: 10톤 적재 유개차. 국유화되어 와1형(와9317 - 와9349)이 된다.
- * 와부107 - 와부110: 10톤 적재 유개 완급차. 국유화되어 와후7700형(와후7700 - 와후7703)이 된다.
- * 와후111 - 와후114: 10톤 적재 유개 완급차. 국유화되어 와후7700형(와후7704 - 와후7707)이 된다.
- * 카401 - 카404: 10톤 적재 가축차. 국유화되어 카1형(카240 - 카243)이 된다.
- * 토220 - 토306: 10톤 적재 무개차. 국유화되어 토1형(토4767 - 토4853)이 된다.
- * 리303 - 리308: 10톤 적재 토운차. 국유화되어 리1800형(리1800 - 리1805)이 된다.
연도 | 기관차 | 객차 | 화차 | |
---|---|---|---|---|
유개 | 무개 | |||
1916-1917 | 3 | 5 | 12 | 21 |
1918 | 3 | 6 | 12 | 21 |
1919 | 4 | 6 | 15 | 28 |
1920 | 4 | 6 | 20 | 36 |
1921 | 4 | 6 | 35 | 56 |
1922 | 4 | 6 | 42 | 61 |
1923 | 5 | 6 | 45 | 53 |
1924-1925 | 5 | 10 | 45 | 53 |
1926-1927 | 4 | 10 | 45 | 53 |
1928-1932 | 4 | 10 | 45 | 93 |
1933 | 5 | 10 | 45 | 93 |
- 철도원 철도 통계 자료, 철도성 철도 통계 자료, 철도 통계 자료 각 연도판
6. 연선 개황
산인 본선과의 분기점인 시지미역을 출발하면, 곧바로 남쪽으로 향한다. 미나미시지미역을 지나, 첫 번째 고개를 최대 25‰의 경사와, 최저 반경 161m의 급커브로 넘으면 가모나카역에서 크게 동쪽으로 돌아서 이즈모다이토역을 경유하여 키스키역에 이른다. 키스키역부터는 쿠노가와의 계곡을 25‰의 경사로 진행하며, 시모쿠노역을 경유하여 키스키선에서는 최장의 시모쿠노 터널을 통과한다. 이즈모미나리역부터는 거슬러 올라가는 히이가와를 따라 남하하지만, 카메타케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한 번 지류인 카메타케가와를 따라가며, 이즈모요코타역에서 한산 구간으로 들어간다.
야가와역을 지나면 경사는 30‰에 달하게 되며, 주고쿠 산지의 고지대를 이즈모사카네역부터 2단식 스위치백으로 넘고 중앙 사카네 터널을 통과하면, 국도314호선의 "오쿠이즈모 오로치 루프"를 볼 수 있다.
제8 사카네 터널을 통과하면 내리막 경사가 되며, JR 서일본에서 가장 높은 해발 727m 위치에 있는 미이노하라역을 통과하고, 이윽고 히로시마현으로 들어가 사이조가와를 따라 게이비선과의 분기역인 빈고오치아이역에 도착한다.
미이노하라역과의 표고차는, 키스키선에서는 가장 낮은 시지미역에서 722m, 빈고오치아이역에서는 274m에 달한다.
6. 1. 주요 지형 및 시설
산인 본선과의 분기점인 시지미역을 출발하면, 곧바로 남쪽으로 향한다. 미나미시지미역을 지나, 첫 번째 고개를 최대 25‰의 경사와, 최저 반경 161m의 급커브로 넘으면 가모나카역에서 크게 동쪽으로 돌아서 이즈모다이토역을 경유하여 키스키역에 이른다. 키스키역부터는 쿠노가와의 계곡을 25‰의 경사로 진행하며, 시모쿠노역을 경유하여 키스키선에서는 최장의 시모쿠노 터널을 통과한다. 이즈모미나리역부터는 거슬러 올라가는 히이가와를 따라 남하하지만, 카메타케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한 번 지류인 카메타케가와를 따라가며, 이즈모요코타역에서 한산 구간으로 들어간다.야가와역을 지나면 경사는 30‰에 달하게 되며, 주고쿠 산지의 고지대를 이즈모사카네역부터 2단식 스위치백으로 넘고 중앙 사카네 터널을 통과하면, 국도314호선의 "오쿠이즈모 오로치 루프"를 볼 수 있다.
제8 사카네 터널을 통과하면 내리막 경사가 되며, JR 서일본에서 가장 높은 해발 727m 위치에 있는 미이노하라역을 통과하고, 이윽고 히로시마현으로 들어가 사이조가와를 따라 게이비선과의 분기역인 빈고오치아이역에 도착한다.
미이노하라역과의 표고차는, 키스키선에서는 가장 낮은 시지미역에서 722m, 빈고오치아이역에서는 274m에 달한다.
6. 2. 표고차
7. 이용 상황 및 경영 상황
7. 1. 평균 통과 인원 (수송 밀도)
각 연도의 평균 통과 인원 (명/일)은 다음과 같다.7. 2. 수지 및 영업 계수
계수(엔)
수입
비용
손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