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제101호 ~ 제200호)는 해식애, 타포니, 멸종위기 생물 서식지 등 지형·경관적 가치와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된 섬들을 설명한다. 해당 도서들은 다양한 지형적 특징과 더불어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로서 보전 가치가 높다.

2. 지정 목록

2. 1. 제1호 ~ 제100호

2. 2. 제101호 ~ 제200호

호감섬은 해식애, 해식노치, 시스택이 형성되어 있고, 관목층에 자금우가 많이 서식하며, 해송의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멸종위기생물인 구렁이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갈매섬은 해안사구가 발달하고 멸종위기생물인 검은머리물떼새 및 흰물떼새, 쇠제비갈매기 등이 서식하며, 자란, 산제비란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밖다리섬은 파식대, 해식노치, 타포니, 해안사구가 형성되어 있고, 관목층에 자금우가 서식하며, 모새나무, 순비기나무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법고섬은 해송이 잘 발달하고 주빙하 퇴적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리부엉이, 쇠부엉이가 서식하고, 산골무꽃, 호자덩굴, 구와취, 죽대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보농도는 풍화지형, 해식동, 해식애, 해식터널이 발달하고 소사나무 등 식생이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횡경도는 해식애, 해식동, 풍화지형이 발달하고 소사나무군락 식생이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횡경도는 타포니, 해식애, 해식동, 기암괴석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내조도는 해식노치, 타포니가 발달하고 마편초, 초종용이 서식하며, 검은큰따개비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달루도는 해식애, 시스택, 파식대, 타포니, 해식노치가 발달하고 희귀식물인 실거리나무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대형제도는 해안선이 복잡하고 기암괴석이 많으며, 동백나무, 예덕나무군락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딴정금도는 해식애, 타포니, 해식동이 발달하고 해양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외치도는 파식대, 타포니, 풍화호가 발달하고 소나무군락 등 식생이 양호하며, 감탕나무, 닭의난초 등이 서식하고 자연경관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병대도는 해식애, 타포니, 시스택, 해식동이 발달하고 원추형의 수려한 갯바위섬으로 자연경관이 우수하며, 후박나무, 동백나무군락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대병대도는 원추형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지니고 후박나무, 동백나무군락 식생이 우수하며, 해양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시스택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다포도는 원추형의 갯바위섬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후박나무, 동백나무군락 식생이 우수하며, 해양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이 풍부하고 시스택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송도는 해식애가 발달하고 조간대와 조하대의 자연성이 우수하며, 곰솔, 동백나무군락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갈도는 갯바위섬으로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메밀, 잣, 밤나무, 동백나무군락이 우수하며, 조간대 및 수중환경의 자연성이 우수하고, 해식애, 시스택, 해식동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솔섬은 파식대, 해식애, 타포니가 발달하고 병아리난초군락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학섬은 해식애, 파식대가 분포하고 소나무, 후박나무군락 식생이 양호하며 자연경관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우무섬은 파식대와 해식애의 파식지형을 보이며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소나무군락 식생이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향기도는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모감주나무군락이 우수하며, 해양무척추동물상이 풍부하고 파식대, 해식애, 사력해안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흑어도는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곰솔, 피나무 식생이 우수하며, 희귀종인 높은등옆길게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옥도는 곰솔, 소나무군락식생이 양호하고 시스택, 타포니, 해식동이 발달하며 자연경관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묘도는 50년 이상 된 소나무군락이 분포하고 해양무척추동물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북격렬비도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인 매가 번식하고 주상절리, 해식동, 시스택 등이 발달하였으며, 보전가치가 높은 상록수림이 분포하고 검은따개비가 집단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곳도는 곰솔군락 식생이 우수하고 해식동, 시스택, 석영질암맥 등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묘도는 보호종인 고란초가 서식하고 소나무군락 식생이 양호하며, 타포니, 해식동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솔섬은 소나무 식생이 양호하고 자연경관이 수려하며, 타포니, 파식대, 해식애가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화도는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고란초, 왕자귀나무 등 멸종위기/보호종이 자생하며, 풍하혈, 타포니 등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족도는 해식애, 타포니 등 지형·경관적 가치가 우수하고 난온대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개린도는 넓은 파식대가 발달하고 바다제비 등 조류의 대량번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흑검도는 해송, 동백나무군락 등 다양한 식생이 분포하고 멸종위기종인 매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청도는 역빈, 파식대, 노치, 해식동이 발달하여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상장도는 파식대, 파식구 등 지형·경관적 가치가 우수하고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목과도는 해식애, 해식동 등 지형·경관적 가치가 우수하고 가침박달의 남한계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막도는 주상절리, 수직형해식애, 타포니 등이 발달하여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해안무척추동물상이 풍부하며 해조류 식생이 다양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서만도는 노치, 해식동 등 특이지형이 발달하고 멸종위기종 노랑부리백로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남형제섬은 시스택, 해식애,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북형제섬은 해식애, 해식동 및 시스택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칼새 서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주전자섬은 시스택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식생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칼새 집단서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골도는 30년 내외 곰솔군락과 콩짜개덩굴이 발달하고 멸종위기생물 새호리기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각흘도는 까마귀쪽나무 등 희귀식물이 분포하고 50년 이상의 상록활엽수림, 곰솔, 굴참나무 및 소사나무 등 삼림이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대삼도는 보호종인 애기등, 자란 등 희귀식물이 서식하고 한국특산식물 옥녀꽃대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부도는 해식애, 타포니,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해식동굴에 칼새가 집단번식하며 다양한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장구도는 세뿔석위, 바위손, 다정큼나무 등 군락지가 분포하고 식생 및 자연성이 우수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고여는 칼새 집단 번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죽도는 백로류 집단번식지(둥지 1,000여 개)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송도는 왜가리 집단 번식지(둥지 1,500여 개)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안목섬은 해식애, 해식동, 암설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자생하며, 곰솔, 동백나무군락 등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밖목섬은 노치, 타포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식물상이 분포하며, 동백나무, 곰솔, 후박나무, 까마귀쪽나무 등 혼효군락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상비사도는 해식애, 파식대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공룡발자국 화석지형이 분포하며 일엽초군락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하비사도는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공룡발자국 화석지형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윗대호섬은 해식애, 풍화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털머위, 돈나무, 해국 등 희귀식물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문래섬은 해안사구가 발달하고 해안무척추동물상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곰섬은 해식애,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곰솔군락이 발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잠도는 식생이 우수하여 생태적, 학문적 보전가치가 있고 멸종위기야생동물 Ⅰ급인 매와 칼새 번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장구섬은 다양한 지질구조와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상록활엽수림의 생태적, 학문적 보전가치가 있으며, 해조류 및 해안저서무척추동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문어북도는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식생이 우수하며, 상록활엽수림의 생태적, 학문적 보전가치가 있어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문어남도는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해안초지식생이 발달하였으며, 해조류가 우수하고 해안무척추동물이 다양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가덕도는 해안초지식생의 발달, 생태 및 학문적 보전가치가 있고 해조류 및 해안무척추동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십이동파도1은 육상곤충류가 높은 군집밀도를 보이고 다양한 해조류가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십이동파도2는 조망점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후박나무, 동백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십이동파도4는 팽나무군락이 분포하고 다양한 해조류 생육지이며,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인 매와 칼새 등 조류의 번식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십이동파도9는 후박나무, 사철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고 가마우지 등 조류의 서식지이며, 다양한 해조류 생육지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외횡견도는 해식애 등 독특하고 수려한 경관을 보이고 다양한 식물종과 동백나무, 참식나무군락 등 상록수림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무명도는 주상절리, 해식애 등 독특한 해양 경관을 보이고 멸종위기생물 매가 서식하며 다양한 해안무척추동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변도는 해식애, 해식동 등 수려한 경관을 보이고 후박나무, 동백나무군락이 분포하며 멸종위기생물 매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오도는 팽나무군락 등 식생이 안정적으로 발달하고 전형적인 해안도서 식생의 층상구조를 보이며,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 등 다양한 조류가 번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석도는 보전상태가 양호한 동백나무군락이 분포하고 희귀조류인 뜸부기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아랫돈배섬은 타포니, 자갈해안, 단구면이 발달하고 멸종위기생물 2급 삵이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내매물도는 거대 타포니군이 밀집하고 3단 단구면, 나마, 포트홀 등 해안미지형이 발달하였으며, 해조류 및 해안무척추동물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해조류인 국수나물과 뜸부기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진지외도는 해식애, 해식동, 타포니, 단구면, 파식대 형성 등 수려한 경관을 보이고 해안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이 풍부하며, 곰솔, 소사나무군락이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지마도는 해식애, 토르, 암맥 등 해안지형·경관이 발달하고 다양한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며, 특정식물Ⅴ등급종 자리공, Ⅳ등급종 섬딸기, Ⅲ등급종 멀꿀 등이 분포하고 한국특산식물 맥도딸기가 분포하며 천연기념물 흑비둘기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토도는 파식대, 해식애, 해식노치 육계사주 등 우수한 지형·경관을 보이고 모밀잣밤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며, 특정식물V등급종 고란초, Ⅲ등급종 상동나무, 다정큼나무, 홍도원추리, 멀꿀, 털머위가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보든아기섬은 섬 전체에 타포니가 발달하고 후박나무군락, 후박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 등 다양한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며, 특정식물Ⅳ등급종 섬딸기, Ⅲ등급종 상동나무, 다정큼나무, 까마귀쪽나무, 우묵사스레피, 한국특산식물 맥도딸기가 분포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평여도는 대규모 해식애, 해식동, 토르 등 해안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종 Ⅰ급종 매 번식지이며, 특정식물Ⅲ등급종 낚시돌풀, 까마귀쪽나무 등 6종이 분포하고 남서해안의 전형적인 해조식생군락을 유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가덕도는 특정식물Ⅲ등급종인 애기참반디 등 서어나무, 나도밤나무, 정금나무, 말채나무, 다릅나무 등 식물종다양성이 풍부하고 IUCNRedList취약종(VU)인 섬개개비 등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해1도는 포트홀, 노치, 타포니 등 해안지형·경관이 발달하고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 번식지이며, IUCNRedlist 취약종(VU)인 섬개개비 번식 가능성이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해2도는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IUCNRedlist 취약종(VU)인 섬개개비 번식 가능성이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구도는 파식대, 해식와, 대규모 타포니와 파식대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미지형이 이루는 경관이 수려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 수달, 구렁이가 서식하며,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인 모밀잣밤나무군락과 돈나무, 후박나무 등 난대성 식물을 비롯한 식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저도는 전형적인 파식대 및 해식애, 자갈 해안 등 지형경관이 발달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 구렁이,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며, 음나무, 졸참나무, 소사나무 등이 곰솔과 혼효림을 이루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이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다라도는 대규모 해식애, 풍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규모 동굴(풍화동) 등 경관이 수려하고 해양성 조류인 가마우지 집단 번식, 바다제비가 서식하며, 해양생물 서식에 양호한 환경으로 자연성이 높아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대술개도는 해식애의 규모와 전형성이 뛰어나며, 토르와 소규모 암괴원, 섬에서 주변 해역과 도서를 조망하는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와 해양성 조류 칼새가 서식하며, 해양무척추동물 종 다양성이 높으며 격판담치, 거북손, 검은큰따개비 서식대가 발달하는 등 생물분포대가 뚜렷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외엽산도는 시스택, 해식애, 토르 등 특이지형이 분포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가 서식하며 번식 가능성이 크며, 암반이 발달하는 등 다양한 해양생물 서식에 적합한 환경이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국흘섬은 대규모 해식애, 토르, 시아치 등 경관이 수려하고 칼새를 비롯한 해양성 조류가 서식하며 번식 가능성이 있으며, 해양무척추동물 종 다양성이 높으며 격판담치, 거북손, 검은큰따개비 서식대가 발달하는 등 생물분포대가 뚜렷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육각도는 멸종위기생물 수달 배설물과 서식굴이 확인된 서식처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바람막이도는 다양한 형태의 타포니, 차별풍화에 의한 기암 등 풍화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동물 수달이 서식하며, 섬개개비와 검은머리물떼새가 번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둔북섬은 큰 규모의 해식애가 발달하고 파식대, 염풍화혈, 마린포트홀, 노치, 판상절리, 응회암층리 등이 이모식적으로 발달하였고,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불무기도는 멸종위기생물 검은머리물떼새가 번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안매도는 타포니, 노치, 해식애,암석단구 해식곡으로 이루어진 전형적 암석해안 경관이 수려하고 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락, 후박나무-참식나무군락, 동백나무-까마귀쪽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의 군락계층구조가 안정적이고 보전상태가 양호하며, 멸종위기생물 수달, 매, 흑비둘기,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대마도는 타포니, 노치, 해식애, 암석단구 해식구조곡으로 이루어진 전형적 암석해안 경관이 수려하고 곰솔-까마귀쪽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밀사초군락 등 식생이 우수하며, 멸종위기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형제도는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진 퇴적층리, 해식애로 이루어진 경관이 수려하고 멸종위기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형제도1은 화산쇄설물로 이루어진 퇴적층리, 타포니, 해식애로 이루어진 경관이 수려하고 멸종위기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송도는 침식곡의 해식애, 다양한 규모의 타포니 등 경관이 수려하고 까마귀쪽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였으며, 멸종위기생물 수달 및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매물도는 다양한 형태의 주상절리 경관이 수려하고 육박나무, 까마귀쪽나무, 황칠나무 등 식물 종 다양성이 높고 육박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동백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가 안정적이고 보전상태가 양호하며, 멸종위기생물 수달, 흑비둘기가 서식하고 해조류 생육에 양호한 환경이여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소덕우도는 구름다리형태노치, 몽돌해안, 파식대, 해식애, 타포니 등 경관이 수려하고 동백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우묵사스레피군락, 후박나무군락 등 보전상태가 양호하고 식생구조가 안정되어 보전가치가 높은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였으며, 멸종위기생물 수달, 매, 흑비둘기,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구도는 해식애, 해식동, 타포니, 거력해안, 자갈해안 등 경관이 수려하고 나도은조롱, 영주치자, 육박나무, 황칠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 등으로 이루어진 생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까마귀쪽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가 안정적이고 보전 상태가 양호하며, 멸종위기생물 수달, 매, 흑비둘기가 서식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중갈매기섬은 해식애의 규모가 크고 전형성이 높으며 멸종위기생물 수달이 서식하고 해안무척추동물 종 다양성이 풍부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밀매도는 규모가 큰 해식애가 발달하여 경관이 수려하고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원추리 군락이 분포하며, 칼새 등 조류 생물다양성이 높으며 맹금류가 서식하고 해조류 식생이 발달하였으며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갈매기섬은 해식애의 규모와 전형성이 뛰어나며 경관이 수려하고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다정큼나무군락 등 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였으며, 까마귀쪽나무, 후박나무 등 다양한 상록활엽수와 섬향나무, 세뿔석위 등 희귀식물이 생육하고 동박새, 휘파람새, 칼새 등 조류 종다양성이 높으며 이동성 조류의 기착지이고, 해안 무척추동물종 다양성이 높으며 희귀종인 각시깃꼴풀, 세가와오디풀 등 다양한 홍조류가 분포하고 해조류 자연식생 보전상태가 양호하여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2. 3. 제201호 ~ 제300호

3. 해제 목록

wikitable

번호명칭지정일해제일면적 (m²)지번비고


4. 특정도서 보전의 과제와 전망

4. 1.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

4. 2. 해양 쓰레기와 오염

4. 3. 개발 압력과 관리 강화

4. 4. 더불어민주당의 입장과 정책 방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