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의 문화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동시의 문화유산은 안동시가 지정한 유형 문화유산을 의미하며, 2009년부터 지정이 시작되어 2018년까지 총 115건이 지정되었다. 문화유산은 건축물, 비석, 불상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개인, 문중, 안동시 등 다양한 소유주에 의해 관리된다. 안동시는 유교 문화 보존에 힘쓰며, 문화유산 활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유산 지정 기준, 관리 소홀, 보수 진영과의 갈등 등 논란과 과제도 존재한다.
wikitable
2. 안동시 지정 문화유산 목록
2. 1. 지정 번호 및 명칭
2. 2. 문화유산 유형별 분류
경덕사는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으며, 예안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어필영정각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으며, 전의 이씨 청헌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침류정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으며, 전의 이씨 양정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신당은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에 있으며, 수곡리 주민들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취적헌은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으며, 평해 황씨 취적헌공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명고택은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으며, 김재교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역동재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역동재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홍문은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김정일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암서원은 안동시 풍산읍 매곡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신안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서간사는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졸루정은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복야공파 길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흥해배씨가수천재사는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 있으며, 흥해 배씨 백중당공파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익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섬학계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계서원은 안동시 와룡면 도촌1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도촌옥봉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권씨도촌문중종택은 안동시 와룡면 도촌1리에 있으며, 권석창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소계서당은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으며, 김종길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송정은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영해 박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유헌은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호정은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으며, 원주 변씨 동호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림정사는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안동 장씨 춘파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취담정은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에 있으며, 김중헌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파산정은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 있으며, 풍산 류씨 파산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노동서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노동재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곡재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산24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야유당은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권원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구천강당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경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허영정은 안동시 일직면 광연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남정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장직수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수은종택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장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수옥정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장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산천정사는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에 있으며, 고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분지고택은 안동시 남선면 원림1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임호서당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갈계정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2리에 있으며, 김창선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송하재사는 안동시 임하면 금소2리에 있으며, 예천 임씨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재사는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에 있으며, 김옥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죽림헌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김세준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괴와구려는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김시일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천임씨금양파종택은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으며, 예천 임씨 임명호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재는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에 있으며, 봉화 금씨 성재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한천정사는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월정은 안동시 예안면 삼계리에 있으며, 청송 심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자운재사는 안동시 예안면 신남리에 있으며, 이성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목재고택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동언)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은구장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태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원대고택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재철)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계정사는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으며, 이주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서운정은 안동시 성곡동에 있으며, 이동순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침천정은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으며, 이필주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하계정은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으며, 이부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간재종택은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천와는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암은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능동재사는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에 있으며, 광산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요산정은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추원재는 안동시 녹전면 서삼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정은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암은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이동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정은 안동시 녹전면 갈현리에 있으며, 평택 임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양남씨연원재사는 안동시 이천동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호정은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산49-1에 있으며, 순흥 안씨 충정공파 청원정공 종중(안차웅)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벽헌은 안동시 석동길 1156에 있으며, 천호상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해저댁고택은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으며, 김태연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간산고택은 안동시 미동길 53-23에 있으며, 김식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칠곡고택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산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북강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애련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옹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곡동 까치구멍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성이씨감동재사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성이씨성곡재사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반고택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원모와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분섭 까치구멍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운숙 초가겹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원숙 초가겹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명실 초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춘백 초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주정씨 추원재 재사는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 현삼길 101-1에 있으며, 청주 정씨 설헌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만초고택은 안동시 임하면 중앙길 48에 있으며, 임태문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정재는 안동시 예안면 정산리 1164-1에 있으며, 단양 우씨 문희공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야당정은 안동시 도산면 웃제비실길 56에 있으며, 밀성 박씨 돈재후야당공파 종친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지공 사당은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 산243-2에 있으며, 경주 이씨 재정공파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리정사는 안동시 와룡면 지내리에 있으며, 김정렬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리재사는 안동시 일직면 광연리에 있으며, 김정렬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함경당은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에 있으며, 신청 강씨 안동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성재는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 산13-6에 있으며, 봉화 금씨 사정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독실재사는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부사공파 남독실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돈수재는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으며, 김광명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월란정사는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만취당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갈운정은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단사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낙은정은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으며, 진주 강씨 낙은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산고택은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으며, 김무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역동재사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역동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양소당 별묘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양소당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진주강씨 산고재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진주 강씨 강병도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원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강동유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상현정은 안동시 일직면 명진리에 있으며, 대구 서씨 첨주공파 안동 문중 외 2개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목정사는 안동시 예안면 도목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중령공파 도목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은정은 안동시 길안면 대사로 723-9에 있으며, 단양 우씨 대은공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8년 6월 14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의 문화유산 중 비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명칭 | 소재지 | 소유자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65호 | 선성김씨전의비 |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849 | 선성김씨 대종회 | 2013년 4월 9일 지정 | |
66호 | 봉성금씨변의비 |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 봉화금씨 성재공파 종중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6호 | 김성범·일직손씨정열효각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7호 | 이천서씨열녀비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8호 | 권백종효자비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9호 | 권두하효자비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92호 | 안동판관 김성경 유허비 | 안동시 남후면 검암1리 291 | 삼척김씨 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
93호 | 김한백 효자비각 |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산58-2 | 삼척김씨 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
94호 | 세효각 | 안동시 남선면 신석2리 산15 | 안동권씨 동정공파 종친회 음곡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석불입상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불상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90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 2. 1. 건축물
경덕사는 안동시 풍산읍 상리리에 있으며, 예안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어필영정각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으며, 전의 이씨 청헌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침류정은 안동시 풍산읍 하리리에 있으며, 전의 이씨 양정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신당은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에 있으며, 수곡리 주민들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취적헌은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으며, 평해 황씨 취적헌공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명고택은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으며, 김재교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역동재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역동재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홍문은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김정일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암서원은 안동시 풍산읍 매곡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신안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서간사는 안동시 풍산읍 서미리에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졸루정은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복야공파 길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흥해배씨가수천재사는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 있으며, 흥해 배씨 백중당공파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익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섬학계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계서원은 안동시 와룡면 도촌1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도촌옥봉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권씨도촌문중종택은 안동시 와룡면 도촌1리에 있으며, 권석창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소계서당은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으며, 김종길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송정은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영해 박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유유헌은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호정은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으며, 원주 변씨 동호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림정사는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안동 장씨 춘파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취담정은 안동시 풍천면 구담리에 있으며, 김중헌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파산정은 안동시 풍천면 도양리에 있으며, 풍산 류씨 파산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노동서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노동재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곡재사는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산24에 있으며, 안동 권씨 병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야유당은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에 있으며, 권원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구천강당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경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허영정은 안동시 일직면 광연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남정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장직수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수은종택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장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수옥정은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있으며, 이장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산천정사는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에 있으며, 고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분지고택은 안동시 남선면 원림1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임호서당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갈계정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2리에 있으며, 김창선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송하재사는 안동시 임하면 금소2리에 있으며, 예천 임씨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재사는 안동시 임하면 추목리에 있으며, 김옥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죽림헌은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김세준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괴와구려는 안동시 임하면 임하1리에 있으며, 김시일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예천임씨금양파종택은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 있으며, 임명호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재는 안동시 예안면 부포리에 있으며, 봉화 금씨 성재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한천정사는 안동시 예안면 태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오월정은 안동시 예안면 삼계리에 있으며, 청송 심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자운재사는 안동시 예안면 신남리에 있으며, 이성원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목재고택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동언)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사은구장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태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원대고택은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수자원공사(이재철)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계정사는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으며, 이주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서운정은 안동시 성곡동에 있으며, 이동순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침천정은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으며, 이필주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하계정은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으며, 이부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간재종택은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천와는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암은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에 있으며, 의성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능동재사는 안동시 녹전면 죽송리에 있으며, 광산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요산정은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추원재는 안동시 녹전면 서삼리에 있으며, 영천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정은 안동시 녹전면 사신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암은 안동시 녹전면 원천리에 있으며, 이동숙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모정은 안동시 녹전면 갈현리에 있으며, 평택 임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양남씨연원재사는 안동시 이천동에 있으며, 영양 남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0년 3월 12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선성김씨전의비는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으며, 선성 김씨 대종회(김종환)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봉성금씨변의비는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으며, 봉화 금씨 성재공파 종중(금장휴)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호정은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산49-1에 있으며, 순흥 안씨 충정공파 청원정공 종중(안차웅)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영벽헌은 안동시 석동길 1156에 있으며, 천호상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해저댁고택은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있으며, 김태연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간산고택은 안동시 미동길 53-23에 있으며, 김식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칠곡고택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산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북강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애련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옹정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곡동 까치구멍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성이씨감동재사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고성이씨성곡재사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반고택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원모와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분섭 까치구멍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운숙 초가겹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원숙 초가겹집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박명실 초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춘백 초가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김성범·일직손씨정열효각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천서씨열녀비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권백종효자비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권두하효자비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석불입상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으며,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청주정씨 추원재 재사는 안동시 와룡면 서현리 현삼길 101-1에 있으며, 청주 정씨 설헌공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판관 김성경 유허비는 안동시 남후면 검암1리에 있으며, 삼척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김한백 효자비각은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산58-2에 있으며, 삼척 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세효각은 안동시 남선면 신석2리 산15에 있으며, 안동 권씨 동정공파 종친회 음곡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만초고택은 안동시 임하면 중앙길 48에 있으며, 임태문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정재는 안동시 예안면 정산리 1164-1에 있으며, 단양 우씨 문희공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야당정은 안동시 도산면 웃제비실길 56에 있으며, 밀성 박씨 돈재후야당공파 종친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지공 사당은 안동시 풍산읍 만운리 산243-2에 있으며, 경주 이씨 재정공파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리정사는 안동시 와룡면 지내리에 있으며, 김정렬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동리재사는 안동시 일직면 광연리에 있으며, 김정렬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함경당은 안동시 남후면 검암리에 있으며, 신청 강씨 안동파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정성재는 안동시 예안면 귀단리 산13-6에 있으며, 봉화 금씨 사정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5년 11월 20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남독실재사는 안동시 서후면 성곡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부사공파 남독실 종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돈수재는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으며, 김광명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월란정사는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만취당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갈운정은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으며, 진성 이씨 단사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6년 11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낙은정은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으며, 진주 강씨 낙은공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산고택은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에 있으며, 김무현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역동재사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역동소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김씨 양소당 별묘는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에 있으며, 안동 김씨 양소당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진주강씨 산고재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강병도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일원재는 안동시 북후면 옹천리에 있으며, 강동유가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상현정은 안동시 일직면 명진리에 있으며, 대구 서씨 첨주공파 안동 문중 외 2개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도목정사는 안동시 예안면 도목리에 있으며, 영양 남씨 중령공파 도목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7년 6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은정은 안동시 길안면 대사로 723-9에 있으며, 단양 우씨 대은공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2018년 6월 14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2. 2. 2. 비석
안동시의 문화유산 중 비석은 다음과 같다.번호 | 명칭 | 소재지 | 소유자 | 지정·해제일자 | 비고 |
---|---|---|---|---|---|
65호 | 선성김씨전의비(宣城金氏傳疑碑) |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849 | 선성김씨 대종회 | 2013년 4월 9일 지정 | |
66호 | 봉성금씨변의비(鳳城琴氏辩疑碑) |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 | 봉화금씨 성재공파 종중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6호 | 김성범·일직손씨정열효각(金成範·一直孫氏旌列孝閣)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7호 | 이천서씨열녀비(利川徐氏烈女碑)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8호 | 권백종효자비(權伯宗孝子碑)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89호 | 권두하효자비(權斗夏孝子碑) | 안동시 민속촌길 13 | 안동시 | 2013년 4월 9일 지정 | |
92호 | 안동판관 김성경 유허비(安東判官 金成慶 遺墟碑) | 안동시 남후면 검암1리 291 | 삼척김씨 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
93호 | 김한백 효자비각(金漢伯 孝子碑閣) |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 산58-2 | 삼척김씨 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
94호 | 세효각(世孝閣) | 안동시 남선면 신석2리 산15 | 안동권씨 동정공파 종친회 음곡문중 | 2014년 4월 3일 지정 |
2. 2. 3. 기타
국신당(國神堂)은 안동시 풍산읍 수곡리에 있는 건축물로, 2009년 1월 21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4호로 지정되었다. 수곡리민이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석불입상(石佛立像)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불상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90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선성김씨전의비(宣城金氏傳疑碑)는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는 비석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65호로 지정되었다. 선성김씨 대종회(김종환)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봉성금씨변의비(鳳城琴氏辩疑碑)는 안동시 도산면 단천리에 있는 비석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66호로 지정되었다. 봉화금씨 성재공파 종중(금장휴)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안동판관 김성경 유허비(安東判官 金成慶 遺墟碑)는 안동시 남후면 검암1리에 있는 비석으로,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92호로 지정되었다. 삼척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김한백 효자비각(金漢伯 孝子碑閣)은 안동시 남후면 무릉리에 있는 비각으로,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93호로 지정되었다. 삼척김씨 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세효각(世孝閣)은 안동시 남선면 신석2리에 있는 건축물로, 2014년 4월 3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94호로 지정되었다. 안동권씨 동정공파 종친회 음곡문중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김성범·일직손씨정열효각(金成範·一直孫氏旌列孝閣)은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건축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86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이천서씨열녀비(利川徐氏烈女碑)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비석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87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권백종효자비(權伯宗孝子碑)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비석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88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권두하효자비(權斗夏孝子碑)는 안동시 민속촌길 13에 있는 비석으로, 2013년 4월 9일에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89호로 지정되었다.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3. 안동시 문화유산 정책의 특징
3. 1. 유교 문화 보존 노력
3. 2. 문화유산 활용 사업
4. 안동시 문화유산 관련 논란 및 과제
4. 1. 문화유산 지정 기준 논란
4. 2. 관리 소홀 및 훼손 문제
4. 3. 보수 진영과의 갈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