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S (대한민국의 방송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BS는 1954년 12월 15일 개국한 한국 최초의 종교 방송국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는 정치적 입장을 취했으며, 언론 통폐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1987년 보도 방송을 재개하며 정상화되었다. 이후 FM 방송 채널을 확대하고, 1995년 CBS 음악FM, 1998년 CBS 표준FM, 2002년 CBS TV를 개국하며 방송 영역을 넓혔다. 2003년에는 인터넷 뉴스인 노컷뉴스를 창간했으며, 현재 CBS TV, CBS 표준FM, CBS 음악FM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CBS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가입되어 있으며, 한국 교회를 대표하는 기독교 교단에서 파송된 이사들로 이사회를 구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텔레비전 방송국 - CTS기독교TV
CTS기독교TV는 1954년 개국한 기독교 방송으로, 케이블 및 위성 방송과 라디오 방송을 통해 기독교 전문 콘텐츠를 제공하며 국내외 지부를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전달하는 대한민국의 방송 사업자이다. - 기독교 텔레비전 방송국 - GOODTV
GOODTV는 1997년 8월 30일에 창립된 기독교 방송으로, 인터넷 방송 개국, 채널명 변경, 사옥 신축, 스마트TV 앱 출시 등의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가톨릭평화방송
가톨릭평화방송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설립하여 라디오와 TV 방송을 운영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cpbc+라는 OTT 서비스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 195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닛폰 방송
닛폰 방송은 1954년 설립되어 도쿄에서 중파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이래, '올나이트 닛폰'과 같은 인기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세대에 영향을 주고 후지 TV 설립에 기여했으며, 디지털 전환과 함께 현재 AM/FM 방송 및 디지털 플랫폼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본의 민영 라디오 방송국이다. - 1954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미야자키 방송
미야자키 방송은 1954년 라디오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1960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한 미야자키현의 민영 방송국으로, JNN에 가맹하여 뉴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며, AM 라디오, FM 보완 중계국,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미야자키현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마스코트 캐릭터 활용 및 SDGs 미디어 콤팩트 가입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한다.
CBS (대한민국의 방송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이름 | CBS 기독교방송 |
영문명 |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
약칭 | CBS |
구분 | 민영 방송, 종교방송(개신교) |
방송 영역 | 라디오(지상파) - 표준FM, 음악FM, AM, FM TV(케이블TV, 위성방송, IPTV) |
설립일 | 1954년 4월 2일 |
개국일 | 라디오: 1954년 12월 15일 텔레비전: 2002년 3월 7일 |
본사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59-1 |
사장 | 김진오 |
자회사 | CBSi 노컷뉴스 |
슬로건 | 바르고 따뜻한 세상을 만드는 방송 |
웹사이트 | CBS기독교방송 공식 홈페이지 |
영어 표기 | |
영어 |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CBS) |
한국어 표기 | |
한글 | 기독교방송 |
한자 | 基督敎放送 |
일본어 표기 | |
히라가나 | きりすときょうほうそう |
가타카나 | キドッキョパンソン |
방송국 정보 | |
유형 | 라디오 네트워크 (1995년–현재) 텔레비전 네트워크 (2002년–현재) |
설립자 | 알 수 없음 |
방송 지역 | 대한민국, 미국 |
본사 위치 | 목동 |
소유주 | 알 수 없음 |
모회사 | 알 수 없음 |
주요 인물 | 김진오 (사장) |
디지털 방송 | 알 수 없음 |
제휴 방송국 | 알 수 없음 |
그룹 | 알 수 없음 |
이전 제휴 방송국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http://www.cbs.co.kr/ |
자회사 | 노컷뉴스 |
2. 역사
(재)CBS기독교방송(eng, 약칭 CBS)은 대한민국의 기독교 방송사로, 흔히 CTS기독교TV와 구분하기 위해 "CBS기독교방송"으로 불린다.
1954년 12월 15일, CBS는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이자 기독교 복음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 종교방송국으로 출범했다.[8][1] 개국 당시 명칭은 'CBS기독교방송국'(基督敎放送局)이었으며, 호출 부호는 'HLKY'였다.[8][1] 초기에는 종교 프로그램 외에도 다양한 방송을 송출했으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어지는 권위주의 정권 하에서 인권 신장과 민주화를 위한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2]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1980년 11월 25일, 전두환 군사정권이 단행한 언론통폐합 조치로 인해 큰 시련을 맞게 된다.[9] CBS는 민주화 운동에 동참했다는 이유로 보도 기능이 전면 금지되었고, 상업 광고 송출 중단과 함께 선교 목적의 방송만 하도록 강요받는 등 심각한 언론 탄압을 겪었다.[9] 이로 인해 재정난에 빠지기도 했으나, 1986년 'CBS 기능 정상화 100만인 서명운동'을 시작하는 등 방송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9]
1987년 6.29 선언 이후 같은 해 10월 15일, CBS는 마침내 보도 기능을 회복하고 해직되었던 언론인들도 복직하며 정상화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9] 1992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지동 시대를 마감하고 양천구 목동으로 사옥을 이전했으며,[2] 이후 방송 채널 확장에 나서 1995년 CBS 음악FM,[4] 1998년 CBS 표준FM을 차례로 개국했다.[5]
2000년대 들어서는 영상 및 뉴미디어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2002년 3월 7일 CBS TV를 개국하고[6] 미주 지역 송출을 시작했으며,[7] 2003년 11월 3일에는 인터넷 뉴스 매체인 노컷뉴스를 창간했다.[10] 2005년부터는 스카이라이프와 지역 케이블 방송을 통해 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7] 2006년에는 무가지 신문 데일리노컷뉴스를 창간했으나, 2014년 7월 15일 경영 악화로 폐간되었다.
2. 1. 개국 (1954)
(재)CBS기독교방송(eng, 약칭 CBS)은 1954년 12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방송이자 기독교 교양 육성과 복음 전파를 위한 민간 종교방송국으로 출발했다.[8][1] 개국 당시 명칭은 'CBS기독교방송국'(基督敎放送局)이었으며, 호출 부호는 'HLKY'였다.[8][1] 이는 한국방송공사(KBS) 이후 최초로 민간 단체가 주도하여 설립한 방송국이었다.초창기 CBS는 종교 프로그램 외에도 음악, 오락, 뉴스 등 다양한 분야의 방송을 송출했다. 또한,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인권 신장과 경제 민주화에 기여하며 당시 권위주의 정권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2]
그러나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전두환 정권 시절 단행된 언론 통폐합 정책의 주요 대상이 되는 배경이 되었다.[3] 1980년 언론 통폐합 조치로 인해 CBS는 오락 프로그램과 뉴스 보도, 상업 광고 송출이 금지되었고, 종교 프로그램 중심으로 편성이 강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방송 운영은 교회의 헌금에만 의존하게 되어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다.
민주화를 향한 사회적 열망이 높아지던 1986년부터 CBS 방송 내용 정상화를 요구하는 서명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1987년부터 뉴스 프로그램이 재개되었고, 언론 통폐합으로 해직되었던 직원들이 복귀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989년 1월 1일, 상업 광고 방송을 다시 시작하며 8년 만에 방송 정상화를 이루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전북 등 주요 5개 도시의 중파(AM) 방송망에 더해, 수신이 원활하지 않았던 지역을 위한 FM 방송을 개국하며 방송 범위를 넓혀나갔다.
2. 2. 언론통폐합과 탄압 (1980년대)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는 정치적 입장을 취했던[2] CBS는 1980년 11월 25일, 전두환 군사정권이 단행한 언론통폐합 조치로 인해 큰 탄압을 받았다.[9] 이는 CBS가 민주화 운동에 동참하며 정권에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9][2]언론통폐합으로 CBS는 보도 기능이 전면 금지되었으며, 뉴스 프로그램과 상업 광고 송출이 중단되었다. 오직 선교 목적의 종교 프로그램만 방송하도록 강요받았고, 오락 프로그램 또한 폐지되어 종교색이 더욱 강해졌다.[9] 이 조치로 인해 CBS는 심각한 재정난에 빠졌으며, 운영을 교회의 헌금에만 의존해야 했다.
언론의 자유가 억압받는 상황 속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고조되자, CBS 내부에서도 정상화를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986년에는 'CBS 기능 정상화 100만인 서명운동'이 전개되었다.[9] 이러한 노력과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발표된 6.29 선언 이후, 같은 해 10월 15일 CBS는 마침내 보도 기능을 회복하고 뉴스 방송을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9] 또한, 언론통폐합 과정에서 강제로 해직되었던 언론인들도 복직되었다.[9]
이후 1989년 1월 1일에는 상업 광고 방송까지 재개하면서, CBS는 언론통폐합 이후 8년 만에 완전한 방송 정상화를 이루었다.
2. 3. 사옥 이전과 방송 확장 (1990년대 ~ 2000년대)
1992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9 (연지동 136-46)에서 현재의 위치인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59-1 (목1동 917-1)으로 사옥을 이전했다.[2]사옥 이전 후 CBS는 방송 채널 확장에 나섰다. 1995년에는 음악 전문 채널인 CBS 음악FM을 개국했고,[4] 이어 1998년에는 시사 보도를 중심으로 하는 CBS 표준FM을 개국하여[5] 라디오 방송 채널을 다양화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영상 미디어 분야로 사업을 확장했다. 2002년 3월 7일에는 CBS TV가 개국했으며,[6] 같은 해 미주 지역 CBS TV 송출을 시작하며 해외 위성방송사와 제휴하여 본격적인 해외 영상 송출 시대를 열었다. 2005년부터는 국내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와 지역 케이블 방송을 통해 TV 방송을 송출하는 한편, 미국에서도 방송을 시작하며 국제 방송을 개시했다.[7]
뉴미디어 분야 진출도 활발했다. 2003년 11월 3일에는 종합 멀티미디어 인터넷 뉴스인 '노컷뉴스'를 창간하여[10] 온라인 뉴스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2006년 11월 29일에는 무가지 신문인 '데일리노컷뉴스'를 창간했으나, 이 신문은 2014년 7월 15일 경영 악화로 폐간되었다.
2. 4. 뉴미디어 진출 (2000년대 ~ 현재)
2002년 CBS TV가 개국하며 방송 영역을 확장했다.[6] 이듬해인 2003년 11월 3일에는 종합 멀티미디어 인터넷 뉴스 매체인 '노컷뉴스'를 창간하여 뉴미디어 시대를 열었다.[10] 2005년부터는 국내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와 지역 케이블 방송을 통해서도 TV 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미국을 대상으로 위성방송을 시작하며 국제 방송으로 영역을 넓혔다.[7]2006년 11월 29일에는 무가지 신문인 '데일리노컷뉴스'를 창간하며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으나, 2014년 7월 15일 경영 악화로 인해 파산하며 폐간되었다.
현재 CBS는 채널별로 특화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표준 FM 방송은 시사 보도를 중심으로, 음악 FM 방송은 음악 전문 채널로 운영되며, TV 방송은 개신교 선교 관련 내용을 주로 다룬다. 뉴스 포털 사이트인 '노컷뉴스'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 연예,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제공하며, CBS의 자회사인 CBSi가 발행과 운영을 맡아 CBS의 뉴미디어 분야를 이끌고 있다.
2014년에는 창사 60주년을 맞아 새로운 심벌을 도입했으나, 일부 프로그램 오프닝이나 지역 CBS에서는 기존 로고와 새 로고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같은 해 4월 29일 CBS광주방송에서 파업으로 인해 온에어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가 6월 1일에 재개되는 일도 있었다. 2015년 3월 11일에는 CBS TV의 HD 방송이 시작되었고, 같은 해 9월 14일에는 CBS 인터넷 라디오 레인보우를 통해 24시간 크리스천 음악 방송인 JOY4U가 개국했다.
3. 방송 채널
CBS는 크게 라디오 방송과 텔레비전 방송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라디오 채널로는 시사와 보도 중심의 CBS 표준FM과 음악 중심의 CBS 음악FM이 있다. 텔레비전 채널인 CBSTV는 개신교 선교 관련 내용을 주로 방송한다. 이 외에도 인터넷 라디오 '레인보우'를 통해 24시간 크리스천 음악 방송 'JOY4U'를 송출하고 있다. 또한, 전국 주요 도시에 지역 방송국을 운영하며 지역 밀착형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각 채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라디오
1954년 12월 15일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방송이자 종교 방송을 목표로 호출부호 '''HLKY'''를 부여받아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1] CBS 라디오는 개국 이후 인권 신장과 경제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이어졌던 권위주의 정권 시기에는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며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2]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전두환 정권의 언론 통폐합 조치 당시 보도 기능을 빼앗기고 기독교 선교 방송만 담당하게 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3]이후 1995년 CBS 음악FM[4], 1998년 CBS 표준FM[5]을 개국하며 채널을 확장했다. 또한, CBS 인터넷 라디오 '''레인보우'''를 통해 24시간 크리스천 음악 방송 '''JOY4U'''를 2015년 9월 14일 개국하여 운영하고 있다.
CBS는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으며, 각 지역 방송국은 다음과 같다. 강원영동CBS와 경남CBS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국에서는 실시간 인터넷 라디오 청취(레인보우)를 지원한다.
방송국 | 소재지 | 개국일 | 도메인 | 실시간 청취 지원 여부 |
---|---|---|---|---|
기독교대구방송 | 대구광역시 북구 중앙대로 612 | 1959년 3월 26일 | [https://dgcbs.com/ 기독교대구방송 공식 홈페이지] | O |
기독교부산방송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암로 141 | 1959년 12월 23일 | [https://bscbs.co.kr/ 기독교부산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광주방송 |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89 | 1961년 8월 1일 | [https://gjcbs.co.kr/ 기독교광주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전북방송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번영로 453 | 1961년 11월 1일 | [https://www.jbcbs.co.kr/ 기독교전북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충북방송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수곡로5번길 17 | 1990년 6월 28일 | [https://cjcbs.co.kr/ 기독교충북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강원방송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박사로 892 | 1995년 5월 2일 | [https://www.gwcbs.co.kr/ 기독교강원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대전방송 | 대전광역시 중구 계백로 1712 | 1998년 12월 21일 | [https://www.djcbs.co.kr/ 기독교대전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포항방송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상공로 10 | 2000년 10월 24일 | [https://phcbs.co.kr/ 기독교포항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전남방송 | 전라남도 순천시 중앙로 66 8층 | 2000년 11월 6일 | [https://www.jncbs.co.kr/ 기독교전남방송 공식 홈페이지] | |
기독교경남방송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창이대로 510 4층 | 2001년 3월 8일 | [https://gncbs.co.kr/www/index/index.html 기독교경남방송 공식 홈페이지] | X |
기독교제주방송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과원북2길 1, 2층 | 2001년 6월 12일 | [https://jjcbs.co.kr/ 기독교제주방송 공식 홈페이지] | O |
기독교강원영동방송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원대로26번길 32 | 2001년 8월 20일 | [http://yd.local.cbs.co.kr/ 기독교강원영동방송 공식 홈페이지] | X |
기독교울산방송 |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16 | 2004년 3월 30일 | [https://uscbs.co.kr/ 기독교울산방송 공식 홈페이지] | O |
각 지역별 라디오 주파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표준FM, #음악FM 섹션을 참조하라.
3. 1. 1. 표준FM
1998년 12월 15일[5] CBS 표준FM이 개국했다. 주로 시사 및 보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한다.표준FM에서는 '사랑의 라디오 CBS CBS', '정직한 세상을 가꾸는 CBS', "마음과 마음 이어가요 아름다운 세상 CBS" 등의 로고송이 사용된 바 있다.
대한민국 수도권(서울 본사)을 제외한 지역국의 중파방송(AM)은 2022년 11월 8일부로 송출이 중단되어, 현재는 모든 지역에서 초단파방송(FM)으로만 청취할 수 있다.
방송국 | 호출부호 | 송신소 | 표준FM | 송신소 위치 | 개국일/변경일 | 수신가능지역 | |
---|---|---|---|---|---|---|---|
주파수 | 출력 | ||||||
CBS 표준FM | HLKY | 능곡 송신소 | AM 837㎑ | 50kW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373-7 | 1966년 12월 30일 | 서울, 인천, 경기도 일원, 북한(개성) 등 일부 |
HLKY-SFM(표준) | 관악산 송신소 | FM 98.1㎒ | 10kW |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 1998년 12월 15일 | ||
경기남부 중계소 | FM 100.7㎒ | 경기도 수원시 | 2018년 | 경기도 수원시, 오산시, 화성시, 평택시 일원 | |||
강원CBS 표준FM | HLDC-FM | 느랏재 송신소 | FM 93.7㎒ | 3kW | 강원 춘천시 동면 평촌리 산46-4 | 1995년 5월 2일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일원, 경기도 가평군, 포천시, 연천군 일부 |
홍천 중계소 | 90W | 강원 홍천군 홍천읍 연봉리 191-4 |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 ||||
윗도골 중계소 | FM 94.9㎒ | 200W | 강원 원주시 소초면 수암리 산209-2 (G1방송)[11] | 2015년 4월 13일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횡성군 일원, 경기도 이천시, 여주시, 양평군 일부 | ||
강원영동CBS 표준FM | HLCO-FM | 괘방산 송신소 | FM 91.5㎒ | 3kW | 강원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 (MBC강원영동) | 2001년 8월 20일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일원, 양양군, 속초시, 고성군, 동해시, 삼척시, 평창군 일부 |
초록봉 중계소 | FM 91.9㎒ | 100W | 강원 동해시 비천동 산243-2 | 2020년 하반기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삼척시 일원, 강릉시, 정선군 일부 | ||
속초 중계소 | 강원 속초시 도문동 산321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일원, 양양군, 고성군 일부 | |||||
충북CBS 표준FM | HLAC-FM | 부모산 송신소 | FM 91.5㎒ | 3kW |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지동동 산7-3 | 1990년 6월 28일 | 충청북도 청주시, 진천군, 증평군,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
남산 중계소 | FM 99.3㎒ | 300W | 충북 충주시 안림동 산57-37 (문스톤) | 2020년 하반기 | 충청북도 충주시 | ||
대전CBS 표준FM | HLDX-FM | 식장산 송신소 | FM 91.7㎒ | 5kW | 대전 동구 낭월동 300 (TJB 대전방송) | 1998년 12월 21일 |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천안시, 충청북도 청주시, 옥천군, 보은군, 영동군 일부 |
내포 중계소 | FM 99.3㎒ | 100W | 충남 예산군 응봉면 계정리 119-6 | 2012년 6월 1일 | 충청남도 홍성군, 태안군, 서산시, 보령시, 당진시, 청양군 | ||
전북CBS 표준FM | HLCM | 오산 송신소 | AM 1314㎑ | 3kW | 전북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 214 | 1961년 11월 1일 | 전북특별자치도 일부 |
HLCM-SFM | 모악산 송신소 | FM 103.7㎒ | 5kW |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 (JTV 전주방송) | 2000년 9월 22일 | ||
교룡산 중계소1 | FM 90.7㎒ | 200W | 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1 (전주MBC) | 2012년 3월 25일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순창군 | ||
고창 중계소 | FM 96.3㎒ | 100W | 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 2013년 7월 11일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 ||
광주CBS 표준FM | HLCL | 신룡 송신소 | AM 999㎑ | 10kW | 광주 광산구 신룡동 52-1 | 1961년 6월 16일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일부 |
HLCL-SFM | 무등산 송신소 | FM 103.1㎒ | 5kW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kbc 광주방송) | 1999년 5월 4일 | ||
전남CBS 표준FM | HLCL-FM | 구봉산 송신소 | FM 102.1㎒ | 2kW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3-3 (여수MBC) | 2000년 11월 16일 | 여수시, 고흥군 일원, 광양시, 보성군, 곡성군, 구례군, 순천시 일부 |
남산 중계소 | FM 89.5㎒ | 100W | 전남 순천시 인제동 산42-2 | 2015년 6월 10일 | 순천시, 보성군, 곡성군, 구례군, 광양시 일원 | ||
대구CBS 표준FM | HLKT-SFM | 팔공산 송신소 | FM 103.1㎒ | 5kW | 경북 영천시 신녕면 치산리 산141-5 (TBC) | 1999년 3월 25일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경산시, 구미시, 영천시, 칠곡군, 경주시, 김천시,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
안동 중계소 | FM 92.3㎒ | 500W | 경북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 1-5 (cpbc 대구가톨릭평화방송) | 2014년 6월 25일 | 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시, 문경시, 상주시, 예천군, 의성군, 영양군, 청송군, 봉화군 | ||
포항CBS 표준FM | HLCB-FM | 도음산 송신소 | FM 91.5㎒ | 3kW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1104-1 (포항MBC) | 2000년 10월 24일 | 경상북도 포항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 |
부산CBS 표준FM | HLKP | 용호 송신소 | AM 1404㎑ | 10kW | 부산 남구 용호1동 54-1 | 1959년 12월 23일 |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
HLKP-SFM(표준) | 황령산 송신소 | FM 102.9㎒ | 5kW | 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KNN) | 1998년 12월 22일 | ||
울산CBS 표준FM | HLCD-FM | 무룡산 송신소 | FM 100.3㎒ | 3kW | 울산 북구 어물동 산195-3 (KT) | 2004년 3월 30일 |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양산시 일부 |
경남CBS 표준FM | HLCC-FM | 불모산 송신소 | FM 106.9㎒ | 5kW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MBC경남) | 2001년 3월 8일 | 경상남도 창원시, 김해시, 통영시, 거제시, 밀양시, 함안군, 의령군 |
망진산 중계소 | FM 94.1㎒ | 250W | 경남 진주시 망경동 631 (MBC경남) | 2016년 11월 21일 | 경남서부 지역 | ||
제주CBS 표준FM | HLKO-FM | 견월악 송신소 | FM 93.3㎒ | 3kW |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JIBS 제주방송) | 2001년 6월 12일 | 제주시 지역 |
어음 중계소 | FM 90.9㎒ | 제주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산72-4 | |||||
삼매봉 중계소 | 1kW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JIBS 제주방송) | 2001년 6월 12일 | 서귀포시 지역 |
3. 1. 2. 음악FM
1995년 12월 15일 CBS 음악FM이 개국하였다.[4] 주로 음악을 중심으로 방송하며, 대한민국의 주요 도시에서 청취할 수 있다.음악FM에서는 'Good Music Station CBS FM'과 같은 로고 멘트가 사용된다. 또한 신원 미상의 남성 그룹이 부른 'CBS FM~' 로고송(빠른 음악, 느린 음악, 록 버전)과 함께, 프로그램 광고 후에는 '아름다운 이 시간, 함께 만들어요. 눈부신 세상이여. CBS FM'(남성 그룹), '언제나 내게 힘을 주는 내 친구 CBS FM'(여성 가수) 등의 로고송이 사용된다. (단, 새벽 시간대 방송 제외)
=== 지역별 주파수 ===
방송국 | 호출부호 | 송신소 | 음악FM | 송신소 주소 | 개국일/변경일 | 수신가능지역 | |
---|---|---|---|---|---|---|---|
주파수 | 출력 | ||||||
CBS 음악FM | HLKY-FM | 관악산 송신소 | FM 93.9㎒ | 7kW | 경기도 과천시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 1995년 12월 15일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문산 중계소 | 500W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 산72 | 1997년 4월 24일 | ||||
강화 중계소 | 500W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 252 | |||||
부산CBS 음악FM | HLKP-FM | 황령산 송신소 | FM 102.1㎒ | 1kW |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KNN) | 2011년 2월 21일 | 부산광역시 전지역 |
녹산 중계소 | FM 105.3㎒ | 20W |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 산2-27 (봉화산) | 2017년 2월 28일 | |||
대구CBS 음악FM | HLKT-FM | 앞산 송신소 | FM 97.1㎒ | 1kW |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산227-1 (KBS대구방송총국) | 2017년 12월 1일 | 대구광역시 전지역, 경상북도 경산시,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 고령군 등 |
광주CBS 음악FM | HLEM-FM | 무등산 송신소 | FM 98.1㎒ | 1kW | 광주광역시 북구 금곡동 산1-1 (kbc 광주방송) | 2019년 1월 9일 | 광주광역시 전지역,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장성군 등 |
3. 2. TV (CBSTV)
2002년 3월 7일 CBS TV가 개국하였다.[6] 개국과 동시에 미주 지역 CBS TV 송출을 시작하며 해외 위성방송업체와 제휴하여 방송망을 넓혔고, 이를 통해 본격적인 해외 영상 송출 시대를 열었다.[7] 2005년 이후에는 국내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와 지역 케이블 방송을 통해서도 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TV 방송은 주로 개신교 선교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편성하고 있다. 2015년 3월 11일에는 CBS TV의 HD 방송 송출이 시작되었다.=== 채널 번호 ===
4. 이사회 구성
CBS기독교방송 재단 이사회는 한국 교회를 대표하는 기독교 교단에서 파송된 이사 20명과 감사 2명으로 구성된다.
구분 | 인원 |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 3명 |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 1명 |
대한예수교장로회(고신) | 1명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1명 |
기독교대한감리회 | 2명 |
기독교한국침례회 | 1명 |
기독교한국루터회 | 1명 |
대한성공회 | 1명 |
구세군 대한본영 | 1명 |
기독교대한복음교회 | 1명 |
한국기독교장로회 | 1명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1명 |
CBS기독교방송 사장 | 1명 |
전문이사 | 3명 |
총 이사 | 20명 |
감사 | 2명 |
5. 기타
법인명은 (재)CBS기독교방송이며, 영문명은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약칭은 CBS이다. 대한민국에서는 CTS기독교TV와 구분하기 위해 "CBS기독교방송"으로 통칭하기도 한다.
2003년 11월 3일에는 종합 멀티미디어 인터넷뉴스인 노컷뉴스를 창간했다.[10] 2006년 11월 29일에는 무가지 신문 데일리노컷뉴스를 창간했으나, 2014년 7월 15일 경영 악화로 파산했다. 2005년부터는 대한민국의 위성방송 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와 지역 케이블 방송을 통해 TV 방송도 송출하고 있다.
'''연도별 슬로건'''
연도 | 슬로건 |
---|---|
2008년 | 당신을 사랑합니다 |
2009년 | 당신이 희망입니다 |
2010년 | 나누면 희망이 됩니다 |
2011년 | 나눔, 사랑의 시작입니다 |
2012년 | 함께 만드는 세상이 행복합니다 |
2013년 | 사랑이 세상을 바꿉니다 |
2014년 | 당신을 믿습니다 |
2015년 | 우리에겐 꿈이 있습니다 |
2016년 | 당신을 응원합니다 |
2017년 | 나부터 새로워지겠습니다 (종교개혁 500주년 CBS, 국민일보 공동) |
2018년 | 다음 세대를 생각합니다 |
2019년 | 함께하는 세상 만들어요 |
2020년 | 평화의 길 함께 열어가요 |
2021년 | 함께라면 할 수 있어요 |
2022년 ~ 현재 | Happy Birth K 저출산 위기극복 |
2020년 8월 18일, 김정훈 기자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셧다운 조치로 모든 정규 프로그램 편성이 중단되고 음악방송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8월 20일 정오를 기해 모든 정규 방송이 정상화되었다.
CBS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 한국교회연합에는 가입하지 않았으며,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회원사이다.
참조
[1]
뉴스
敎派不協和로 진통겪는 基督敎放送局
동아일보
1969-08-23
[2]
웹사이트
기독교방송 목동사옥 신축 이전
https://news.naver.c[...]
[3]
웹사이트
기자도 서슬퍼런 신군부 총칼 앞에 숨죽여야만 했다
http://www.cbs.co.kr[...]
노컷뉴스
[4]
웹사이트
Fm 개국 앞둔 CBS 權晧景 사장
https://news.naver.c[...]
[5]
웹사이트
CBS 표준 FM 98.1MHz 개국
https://news.naver.c[...]
[6]
웹사이트
[ 2002년 3월 7일(목) 주요 경제 일정 ]
https://news.naver.c[...]
[7]
웹사이트
CBS Tv, 미주지역 위성송출 시대 개막
https://news.naver.c[...]
[8]
뉴스
敎派不協和로 진통겪는 基督敎放送局
동아일보
1969-08-23
[9]
웹사이트
기자도 서슬퍼런 신군부 총칼 앞에 숨죽여야만 했다
http://www.cbs.co.kr[...]
노컷뉴스
[10]
웹사이트
노컷뉴스 보기
http://www.nocutnews[...]
[11]
웹사이트
춘천CBS 원주 중계소 설립 허가
http://ch.local.c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