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남 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남 지방은 김제 벽골제금강 하류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소백산맥에 의해 영남 지방과 지리적으로 구분된다. 지질학적으로는 옥천지향사대에 속하며, 영산강, 섬진강, 만경강 등의 강이 흐른다. 가장 높은 산은 지리산이다. 여름과 겨울 모두 강수량이 많으며, 특히 서해안 지역은 겨울에 눈이 자주 내린다.

과거 백제의 지배를 받다가, 신라에 의해 통일 신라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후백제를 거쳐 고려에 귀속되었다. 고려 시대에 '전라도'라는 명칭이 사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전라도 감영이 전주에 설치되었다. 1896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리되었으며, 2024년 전라북도는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되었다.

호남 지방은 과거 쌀 생산량이 많았으며, 현재는 여수광양을 중심으로 중화학공업이 발달했다. 주요 도시로는 광주광역시, 전주시, 순천시 등이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등의 고속도로와 호남선, 전라선 등의 철도 노선이 지나가며, 광주공항, 무안국제공항 등의 공항이 있다. 서남 방언을 사용하며, 다양한 축제와 특색 있는 음식이 발달했다. KIA 타이거즈, 전북 현대 모터스 등 스포츠 구단이 있으며, 다양한 방송국과 관공서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라도 - 서남 방언
    전라남도, 전라북도,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서남 방언은 표준어와 다른 음운, 어휘, 문법적 특징을 가지며 창작물에 활용되기도 하지만 사회적 인식에 있어 복합적인 면모를 보인다.
  • 전라도 - 전라감영
    전라감영은 조선시대 전라도의 행정 중심지로, 관찰사의 업무 및 생활 공간과 주요 시설로 구성되어 약 500년간 존속했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일부 소실되었다.
  • 한국의 지역 - 전라남도
    전라남도는 호남 지방의 광역자치단체로, 마한의 영역에서 시작되어 전라도에서 분리되었고, 제주도와 광주광역시가 분리된 후 무안군에 도청을 두고 서해와 남해안에 접하며 농업과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 5개 시와 17개 군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한국의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특별자치도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행사하며 국제자유도시를 지향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기반인 곳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호남 지방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한국어 표기호남
한자 표기湖南
로마자 표기Honam
IPA/ho.nam/
위치
위치대한민국 남서부 지역
포함 지역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기타
호남대학교호남대학교 길 안내

2. 지리

호남 지방은 김제 벽골제금강 하류의 남쪽에 위치한 지방이다. 동쪽으로 소백산맥이라는 자연적 장애물로 영남 지방과는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있다. 소백산맥이 끝나는 지리산의 남동부에는 섬진강이 흐르며, 영남 지방과 경계를 이룬다. 서북쪽으로는 호서 지방과의 경계를 따라 금강이 흐르고, 동북쪽으로는 대둔산(878m)과 민주지산(1242m)의 산맥을 기준으로 호서 지방과 자연적 경계를 이룬다.

지질학적으로는 옥천지향사대(沃川地向斜帶)에 속한다.

호남 지방을 흐르는 대표적인 강으로는 영산강섬진강, 만경강, 동진강, 탐진강, 금강이 있다. 금강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에서 발원하여 진안군을 거쳐 북쪽으로 흘러 충청도로 들어가고, 하류는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경계가 된다. 나머지 네 강은 호남 지방 안에서 흐르는데, 만경강완주군에서 발원하여 전주시, 익산시를 거쳐 김제시에서 황해로 흘러들고, 동진강정읍시에서 발원하여 김제시를 거쳐 부안군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섬진강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백운면에서 발원하여 임실군을 지나 전라남도 곡성군광양시로 흐르며, 전라남도 남부를 흐르는 큰 지류 보성강이 있다. 영산강은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발원하여 광주광역시, 나주시를 거쳐 영암군에서 황해로 흘러든다.

가장 높은 산은 해발 고도 1916.77m의 지리산이며, 그 외에도 덕유산(1614m), 월출산(809m), 내장산(763m), 마이산(673m), 모악산(793m) 등이 있는데, 소백산맥이 관통하는 호남 동부 지방을 제외하면 관동 지방이나 영남 지방보다 대체로 해발 고도가 낮은 편이다.

3. 기후

여름과 겨울 모두 다우지에 속한다. 특히 호남 지방 서해안 지역은 지형적 영향으로 겨울에 눈이 자주 내린다.

4. 역사

십제가 팽창하면서 마한은 점차 호남 지방에 국한되었다. 530년경 성왕이 마한을 멸망시켜 호남 지방은 백제에 강제 병합되었다.[1]

고구려 멸망 후 요동반도, 해서 지방과 함께 고구려 부흥운동의 한반도 남부 중심지였다. 보장왕의 아들 보덕왕이 금마저(金馬渚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세운 보덕국(674년 ~ 683년)이 9년간 존속했다. 보덕국 멸망 후 익산의 고구려 유민들은 남원경(南原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으로 이주하였다.[1]

이후 신라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고 나당 전쟁에서 승리한 뒤 보덕국 등의 군소국가를 해체하고 삼국통일을 달성하면서 신라의 행정 구역 9주 가운데 전주(全州)와 무주(武州)를 호남 지방에 설치했다. 신라 말기에는 견훤이 봉기하여 후백제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고려가 후백제를 멸망시키면서 고려가 점령하였다.[1]

고려 시대에 '''전라도'''라는 명칭이 탄생한 이래 명칭 변경만을 되풀이하였으며 그 영역은 고려 말까지 유지되었다.[1]

조선 건국 이후 '''전라도'''는 소속 고을의 통폐합이나 부활이 이루어졌을 뿐 그 영역은 유지되었다. 관찰사가 업무를 보는 '''전라도''' 감영전주에 두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23부제가 도입되면서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가 설치되었다. 1896년 13도제가 시작되어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리되었고, 공주부 금산군이 전라북도로 편입되었다.

1914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24년의 행정 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14년군산부를 군산부와 옥구군으로, 목포부를 목포부와 무안군으로 분리. 전라북도 구례군전라남도로, 충청남도 개야도, 어청도 등을 전라북도로 이관.
1915년제주군을 제주도로 개칭.
1935년전주군 전주읍을 전주부로 승격, 전주군을 완주군으로 개칭. 광주군 광주읍을 광주부로 승격, 광주군을 광산군으로 개칭.
1946년제주도를 전라남도에서 분리.
1947년익산군 이리읍을 이리부로 승격.
1949년순천군 순천읍을 순천부로 승격, 순천군을 승주군으로 개칭. 여수군 여수읍을 여수부로 승격, 여수군을 여천군으로 개칭. 군산부, 목포부, 전주부, 광주부, 이리부, 순천부, 여수부를 군산시, 목포시, 전주시, 광주시, 이리시, 순천시, 여수시로 개칭.
1963년전라북도 금산군을 충청남도로, 전라남도 영광군 위도면을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이관.
1969년무안군 도서 지역을 신안군으로 분리.
1981년정읍군 정주읍을 정주시로, 남원군 남원읍을 남원시로, 나주군 나주읍, 영산포읍을 금성시로 승격.
1986년광주시를 광주직할시로, 광산군 송정읍을 송정시로, 여천군 삼일읍을 여천시로 승격. 금성시를 나주시로 개칭.
1988년송정시와 광산군을 광주직할시에 편입.
1989년김제군 김제읍을 김제시로, 광양군 골약면, 태금면을 동광양시로 승격.
1995년광주직할시를 광주광역시로 개칭. 군산시와 옥구군, 이리시와 익산군, 정주시와 정읍군, 남원시와 남원군, 김제시와 김제군, 순천시와 승주군, 나주시와 나주군, 동광양시와 광양군 통합.
1998년여수시, 여천시, 여천군을 여수시로 통합.
2024년 1월 18일전라북도를 ''전북특별자치도''로 개편.


4. 1. 고대

십제가 팽창하면서 마한은 점차적으로 호남 지방에 국한되었다. 530년경 성왕이 마한을 멸망시킴으로써 호남 지방은 백제에 강제 병합되었다.[1]

고구려가 망하고 요동반도, 해서 지방과 함께 고구려 부흥운동의 한반도 남부 중심지였다. 보장왕의 아들 보덕왕이 금마저(金馬渚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세운 보덕국(674년 ~ 683년)이 9년간 지속되었다. 보덕국이 망하고 익산의 고구려유민들은 남원경(南原京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으로 이주하였다.[1]

이후 신라고구려, 백제를 멸망시키고 나당 전쟁에서 승리한 뒤 보덕국 등의 군소국가를 해체하고 삼국통일을 달성하면서 신라의 행정 구역 9주 가운데 전주(全州)와 무주(武州)를 호남 지방에 설치했으며, 신라 말기에는 견훤이 봉기하여 후백제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고려가 후백제를 패방시킴으로써 고려가 점령하였다.[1]

4. 2. 중세

고려 시대에 '''전라도'''라는 명칭이 탄생한 이래 명칭 변경만을 되풀이하였으며 그 영역은 고려 말까지 유지되었다.[1]

4. 3. 근세

조선 개국 이후 '''전라도'''는 소속 고을의 통폐합이나 부활이 이루어졌을 뿐 그 영역은 유지되었다. 관찰사가 업무를 보는 '''전라도''' 감영전주에 두었다. 1895년 지방제도 개편으로 23부제가 도입되면서 전주부, 나주부, 남원부가 설치되었다. 1896년 13도제가 시작되어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로 분리되었고, 공주부 금산군이 전라북도로 편입되었다.

4. 4. 현세

5. 경제

호남 지방은 김제, 익산, 나주 등 평야 지대에 위치하여 한국에서 쌀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이었다. 최근에는 여수, 광양을 중심으로 호남의 중화학공업이 발달하였으며, 목포영암을 중심으로 산업단지가 형성되고 있다. 서해안에는 군산항, 법성항, 목포항 등이 있고, 남해안에는 완도항, 노력항, 녹동항, 여수항, 광양항 등이 있다. 주요 산업으로는 식품, 석유, 섬유 산업 등이 있으며, 주요 특산물로는 호남평야에서 재배되는 쌀이 있다.

6. 주요 도시

순위도시인구 (2019년 9월 기준)
1광주광역시1,459,632명
2전주시654,563명
3순천시282,618명
4익산시281,539명
5여수시280,497명
6군산시267,798명
7목포시230,039명
8광양시151,240명
9나주시114,476명
10정읍시110,899명
11완주군92,595명
12김제시84,266명
13남원시81,756명
14무안군81,250명
15신안군40,698명



자료: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 (2019년 9월 주민등록인구)

7. 교통

호남 지방은 고속도로, 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어 지역 간 이동이 편리하다.

7. 1. 고속도로

7. 2. 철도

전라선, 장항선, 호남고속선, 호남선, 경전선

7. 3. 항공

공항위치
광주공항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420-25
무안국제공항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공항로 970-260
여수공항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여순로 386
군산공항전라북도 군산시 옥서면 산동길 2


8. 문화

호남 지방은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호남 지방에서는 서남 방언을 주로 사용한다.

김제 지평선 축제, 함평 나비 대축제, 전주 세계 소리 축제, 완주 와일드푸드 축제, 남원 춘향제, 광주 비엔날레, 보성 다향제, 목포 해양문화축제, 남도음식문화큰잔치, 낙안읍성 민속문화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호남 지방은 홍어, 꼬막, 고추장, 비빔밥, 콩나물, 오리탕, 육전, 세발낙지, 매생이, 굴비, 녹차, 유자, 갓김치, 불고기, 한정식 등 다양한 음식으로 유명하다.

8. 1. 방언

호남 지방에서는 서남 방언을 주로 사용하며, 서남 방언은 다시 몇 개의 소방언권으로 나뉜다.

8. 2. 축제

8. 3. 음식


9. 관공서

기관명관할 구역
광주고등법원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고등검찰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호남지방통계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세관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지방고용노동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지방공정거래사무소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지방교정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지방국세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광주지방기상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광주지방보훈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경찰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경찰청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경찰청전북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소방본부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전북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교육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교육청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전북특별자치도
광주전남지방병무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지방병무청전북특별자치도
전남지방우정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지방우정청전북특별자치도
광주지방조달청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지방조달청전북특별자치도


10. 방송


11. 스포츠

호남 지방을 연고로 하는 주요 스포츠 팀으로는 K리그1전북 현대 모터스, 광주 FC, K리그2전남 드래곤즈, K3리그의 목포시청, 전남 영광 FC, 전주 시민축구단과 KBO 리그KIA 타이거즈, KBL 소속 전주 KCC 이지스가 있다.

11. 1. 축구


11. 2. 야구

KBO 리그KIA 타이거즈1982년에 창단되었으며,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를 홈구장으로, 군산월명종합운동장 야구장을 제2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리그명팀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KBO 리그KIA 타이거즈1982년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군산월명종합운동장 야구장(제2홈구장)


11. 3. 농구

KBL 소속 전주 KCC 이지스는 1977년에 창단되었으며, 전주실내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군산월명체육관을 제2홈경기장으로 사용한다.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BL전주 KCC 이지스1977년전주실내체육관
군산월명체육관(제2홈경기장)


참조

[1] 뉴스 Where is Ho (Lake) in Honam / Hoseo? Byeolgogje? Seungrimji? http://www.yonhapnew[...] 2015-03-01
[2] 웹사이트 How to get to Honam University https://www.honam.ac[...] 2018-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