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은 18개의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주시가 가장 인구가 많다. 19개의 행정 구역 목록과 인구, 면적 정보를 표로 제공한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미수복 지역이 있으며, 이천군, 김화군,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이 이에 해당한다. 과거에는 태백시와 동해시가 읍에서 시로 승격되었고, 김화군, 춘천군, 원주군, 명주군, 삼척군은 인접 시에 통합되었으며, 울진군과 울릉군은 다른 광역자치단체로 이관되었다.
2. 강원특별자치도의 행정 구역
강원특별자치도는 7개의 시와 11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이름 한자 인구 (명) 면적(km2) 원주시 原州市 313,479 867.36km2 춘천시 春川市 269,723 1116.64km2 강릉시 江陵市 218,637 1039.82km2 동해시 東海市 95,289 180.07km2 속초시 束草市 84,315 105.3km2 삼척시 三陟市 72,599 1186.05km2 태백시 太白市 51,043 303.52km2 홍천군 洪川郡 69,832 1816.05km2 철원군 鐵原郡 48,745 890.3km2 횡성군 橫城郡 44,359 997.71km2 평창군 平昌郡 43,675 1464.16km2 정선군 旌善郡 41,133 1219.58km2 영월군 寧越郡 40,556 1127.46km2 인제군 麟蹄郡 31,691 1646.36km2 고성군 高城郡 30,231 664.34km2 양양군 襄陽郡 27,986 628.9km2 화천군 華川郡 24,191 909.1km2 양구군 楊口郡 21,747 700.85km2 합계 1,543,555 16874.59km2
2. 1. 시
강원특별자치도에는 7개의 시가 있다. 다음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한 시들의 목록과 관련 정보이다.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
원주시 | 原州市 | 313,479 | 867.36km2 |
춘천시 | 春川市 | 269,723 | 1116.64km2 |
강릉시 | 江陵市 | 218,637 | 1039.82km2 |
동해시 | 東海市 | 95,289 | 180.07km2 |
속초시 | 束草市 | 84,315 | 105.3km2 |
삼척시 | 三陟市 | 72,599 | 1186.05km2 |
태백시 | 太白市 | 51,043 | 303.52km2 |
2. 1. 1. 원주시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행정 지도 |
---|---|---|---|---|
원주시 | 原州市 | 313,479 | 867.36km2 |
2. 1. 2. 춘천시
'''춘천시'''(春川市)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있는 시이다. 인구는 269,723명이고, 면적은 1116.64km2이다.
2. 1. 3. 강릉시
'''강릉시'''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이다. 한자로는 江陵市로 표기한다. 1039.82km2의 면적에 218,637명이 살고있다.[1]
한자 | 인구(명) | 면적(km2) |
---|---|---|
江陵市 | 218,637 | 1039.82km2 |
2. 1. 4. 동해시
'''동해시'''(東海市)는 인구 95,289명, 면적 180.07km2이다.
2. 1. 5. 속초시
속초시는 인구 84,315명, 면적 105.3km2이다.
2. 1. 6.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시이다. 인구는 72,599명이고, 면적은 1186.05km2이다.
2. 1. 7. 태백시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
태백시 | 太白市 | 51,043 | 303.52km2 |
태백시는 강원특별자치도의 시이다.
2. 2. 군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
홍천군 | 洪川郡 | 69,832 | 1816.05km2 |
철원군 | 鐵原郡 | 48,745 | 890.3km2 |
횡성군 | 橫城郡 | 44,359 | 997.71km2 |
평창군 | 平昌郡 | 43,675 | 1464.16km2 |
정선군 | 旌善郡 | 41,133 | 1219.58km2 |
영월군 | 寧越郡 | 40,556 | 1127.46km2 |
인제군 | 麟蹄郡 | 31,691 | 1646.36km2 |
고성군 | 高城郡 | 30,231 | 664.34km2 |
양양군 | 襄陽郡 | 27,986 | 628.9km2 |
화천군 | 華川郡 | 24,191 | 909.1km2 |
양구군 | 楊口郡 | 21,747 | 700.85km2 |
2. 2. 1. 홍천군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
洪川郡 | 69,832 | 1816.05km2 |
2. 2. 2. 철원군
철원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하는 군이다. 2023년 기준으로 인구는 48,745명이고, 면적은 890.3km2이다.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
鐵原郡 | 48,745 | 890.3km2 |
2. 2. 3. 횡성군
'''횡성군'''(橫城郡)은 강원특별자치도의 군이다. 인구는 44,359명, 면적은 997.71km2이다.[1]
한자 | 橫城郡 |
---|---|
인구 (명) | 44,359 |
면적(km2) | 997.71km2 |
2. 2. 4. 평창군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행정 지도 |
---|---|---|---|---|
평창군 | 平昌郡 | 43,675 | 1464.16km2 |
2. 2. 5. 정선군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행정 지도 |
---|---|---|---|---|
정선군 | 旌善郡 | 41,133 | 1219.58km2 |
2. 2. 6.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군이다. 인구는 40,556명이고, 면적은 1127.46km2이다.
2. 2. 7. 인제군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행정 지도 |
---|---|---|---|---|
인제군 | 麟蹄郡 | 31,691 | 1646.36km2 |
2. 2. 8. 고성군
고성군의 인구는 30,231명이고, 면적은 664.34km2이다.[1]한자 | 고성군 |
---|---|
인구 (명) | 30,231 |
면적(km2) | 664.34km2 |
2. 2. 9. 양양군
양양군 | 襄陽郡 | 27,986 | 628.9km2 |
---|
2. 2. 10. 화천군
'''화천군'''(華川郡)은 인구 24,191명, 면적 909.1km2이다.
2. 2. 11. 양구군
이름 | 한자 | 인구 (명) | 면적(km2) | 행정 지도 |
---|---|---|---|---|
양구군 | 楊口郡 | 21,747 | 700.85km2 |
강원특별자치도에는 한국전쟁으로 인해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미수복 지역이 있다. 이 지역들은 명목상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해 있으나, 실제로는 북한의 통치 하에 있다. 이북5도위원회에서 이 지역의 명목상 행정 구역을 관리하고 있다. 미수복 지역에는 이천군, 김화군[1], 통천군, 회양군, 평강군[2]이 있다.
3. 미수복 지역
3. 1. 이천군
이천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하는 군이다.
3. 2. 김화군
김화군[1]
3. 3. 통천군
통천군한국어
3. 4. 회양군
회양군
3. 5. 평강군
평강군[2]
4. 과거의 행정 구역
과거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했다가 현재는 다른 행정 구역으로 변경된 지역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 명주군 묵호읍 → 동해시 승격
- 1981년 7월 1일: 삼척군 황지읍, 삼척군 장성읍 → 태백시 승격
- 1963년 1월 1일: 김화군(군사분계선 이남 지역) → 철원군 통합 (단,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이북5도위원회에서 명목상 존치)
- 1995년 1월 1일: 춘천군(춘성군) → 춘천시 통합
- 1995년 1월 1일: 원주군(원성군) → 원주시 통합
- 1995년 1월 1일: 명주군 → 강릉시 통합
- 1995년 1월 1일: 삼척군 → 삼척시 통합
- 1962년 12월 12일: 울진군 → 경상북도 이관
- 1906년: 울릉군(울도군) → 경상남도 이관, 1914년 경상북도 이관
4. 1. 시급 지방자치단체로 승격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동해시로, 1981년 7월 1일에는 삼척군 황지읍과 장성읍이 태백시로 승격되었다.[1]4. 1. 1. 태백시 (구 삼척군 황지읍, 장성읍)
1981년 7월 1일 삼척군 황지읍과 장성읍이 태백시로 승격되었다.[1]4. 1. 2. 동해시 (구 삼척군 북평읍, 명주군 묵호읍)
1980년 4월 1일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동해시로 승격되었다.4. 2. 다른 기초지방자치단체와 통합
다음은 다른 시, 군과 통합된 강원특별자치도의 옛 행정 구역들이다.- 김화군(군사분계선 이남 지역): 1963년 철원군에 통합되었다.
- 춘천군(춘성군): 1995년 춘천시와 통합되었다.
- 원주군(원성군): 1995년 원주시와 통합되었다.
- 명주군: 1995년 강릉시와 통합되었다.
- 삼척군: 1995년 삼척시와 통합되었다.
4. 2. 1. 김화군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
김화군은 1963년 1월 1일 철원군에 통합되었다. 단,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이북5도위원회에서 명목상으로 존치시키고 있다.4. 2. 2. 춘천군 (춘성군)
1995년 1월 1일 춘천시와 통합되었다.[1]4. 2. 3. 원주군 (원성군)
1995년 1월 1일 원주시와 통합되었다.4. 2. 4. 명주군
1995년 1월 1일 강릉시와 통합되었다.4. 2. 5. 삼척군
1995년 1월 1일 삼척시와 통합되었다.4. 3.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로 이관
울진군과 울릉군(울도군)은 과거 강원도에 속했다가 다른 도로 이관된 지역이다. 울진군은 1962년 12월 12일 경상북도로 이관되었고, 울릉군은 1906년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가 1914년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4. 3. 1. 울진군
울진군은 1962년 12월 12일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1]4. 3. 2. 울릉군
1906년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가 1914년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참조
[1]
문서
김화읍 (철원군)
[1]
문서
서면 (철원군)
[1]
문서
근남면 (철원군)
[1]
문서
철원군 (남)
[2]
문서
정연리
[2]
문서
철원군 (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