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구 혈당 강하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구 혈당 강하제는 당뇨병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다양한 작용 기전을 통해 혈당을 조절한다. 주요 작용 기전으로는 인슐린 민감성 증진, 인슐린 분비 촉진,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 SGLT2 억제 등이 있다. 인슐린 민감성 증진제로는 비구아니드 (메트포르민)와 티아졸리딘디온 (피오글리타존)이 있으며, 인슐린 분비 촉진제에는 설포닐우레아, 메글리티니드,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있다.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는 소장에서 탄수화물 소화를 늦추고, SGLT2 억제제는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당증, 체중 증가,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일부 약물은 특정 환자에게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분비학 - 저혈당증
    저혈당증은 혈당 수치가 70 mg/dL 미만으로 감소한 상태를 의미하며, 뇌에 포도당 공급 부족으로 신경당결핍 증상과 교감신경성 증상이 나타나고, 당뇨병 환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인슐린 과다 복용 등이 주요 원인이다.
  • 내분비학 - 페로몬
    페로몬은 동종 생물 간 정보 전달을 위해 분비되는 화학 물질로, 곤충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사회적 행동, 짝짓기, 경고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집합, 경보, 길잡이, 성 페로몬 등으로 분류되어 해충 방제 등에 활용되지만 인간 페로몬의 존재와 기능은 논란이 있다.
  • 당뇨병 -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이 제 기능을 못하여 혈당 수치가 상승하는 상태로, 고인슐린혈증을 유발하고 2형 당뇨병과 같은 대사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요인, 비만, 운동 부족 등이 주요 원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로 관리한다.
  • 당뇨병 - 인슐린
    인슐린은 췌장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호르몬으로 혈당 조절, 단백질 합성, 세포 성장에 관여하며,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고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약리학 - 수용체 길항제
    수용체 길항제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억제하는 물질로, 결합 부위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질병 치료 및 중독 해독 등에 활용된다.
  • 약리학 - 미국 식품의약국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미국 보건복지부 산하 연방 정부 기관으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의료기기 등의 안전성과 효능을 감독 및 규제하며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한다.
경구 혈당 강하제
약물 정보
약물 분류혈당강하제
투여 경로경구
ATC 코드A10 (당뇨병 치료제)
법적 규제처방전 필요
종류
경구 혈당 강하제의 작용 기전 비교
경구 혈당 강하제의 작용 기전 비교
종류비구아니드계
설포닐우레아계
글리니드계
티아졸리딘다이온계 (글리타존)
α-글루코시다아제 저해제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도파민 작용제
담즙산 결합제
작용 기전인슐린 저항성 감소
인슐린 분비 촉진
탄수화물 흡수 지연
혈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 촉진 및 글루카곤 분비 억제
신장에서의 포도당 재흡수 억제

2. 작용 기전

당뇨병 치료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작용 기전을 통해 혈당을 조절한다.


  • 인슐린 민감성 증진: 세포의 인슐린 수용체 감수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혈당 수치에 대한 인슐린의 효과를 높인다.
  • 인슐린 분비 촉진: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
  •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효소를 억제하여, 위장관에서 포도당 흡수 속도를 감소시킨다.[2]
  • 알파-아밀레이스 억제: 알파-아밀레이스 효소를 억제하여 전분 소화를 감소시킨다.[3]
  • SGLT2 억제: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 (SGLT2)를 억제하여 신장의 세뇨관에서 포도당 재흡수를 감소시켜, 소변으로 배설되는 포도당의 양을 증가시킨다.

2. 1. 인슐린 민감성 증진

인슐린 감작제는 제2형 당뇨병의 핵심 문제인 인슐린 저항성을 해결한다.[8] 세포의 인슐린 수용체 감수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고, 혈당 수치에 대한 인슐린의 효과를 높인다. 주요 약물로는 비구아니드 (메트포르민)와 티아졸리딘디온 (피오글리타존)이 있다.

비구아니드는 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고, 골격근을 포함한 말초 조직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킨다.[8] 간 또는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지만, 비구아니드인 메트포르민은 소아 및 청소년의 제2형 당뇨병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 되었다.[8] 흔한 당뇨병 치료제 중 메트포르민은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유일하게 널리 사용되는 경구 약물이다.[8] 일반적인 당화 혈색소 (A1C) 값 감소는 1.5–2.0%이다.

메트포르민은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인산 탈수소 효소를 억제하여 글리세롤 인산 셔틀 기능을 억제한다.[60] 이로 인해 세포질에 NADH가 축적되어 젖산으로 변환되는 반응이 촉진되고, 포도당 신생(당 신생, gluconeogenesis) 경로가 억제된다.[60] 결과적으로 메트포르민은 혈당을 낮춘다. 젖산 산증을 일으키기 쉬운 간 장애, 신장 장애, 심장 장애 병력이 있는 환자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61] 발열, 설사 등 탈수 우려가 있거나 요오드 조영제 사용 시에는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메트포르민1.5~4.76~14250~2,250
부포르민36~1450~150



티아졸리딘디온(TZD)은 "글리타존"이라고도 하며, PPARγ에 결합한다.[12] 이는 포도당 및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유전자 전사에 관여하는 핵 조절 단백질의 일종이다.[12] PPARγ는 인슐린 감수성 유전자에 영향을 미쳐 인슐린 의존성 효소의 mRNA 생성을 증가시켜 세포의 포도당 사용을 개선한다.[12] 또한 PPAR-α 활성을 향상시켜 HDL과 LDL의 일부 더 큰 구성 요소의 증가를 유도한다.[13] 일반적인 당화 혈색소 (A1C) 값의 감소는 1.5~2.0%이다.

피오글리타존은 핵 내 수용체 중 하나인 PPAR-γ에 결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시키는 다양한 인자의 전사 조절을 한다. 주로 말초 조직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에 관여하며, 지방 세포에 작용하여 포도당 섭취를 증가시켜 혈당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비만을 조장하기 쉽다. 부작용으로 부종이나 빈혈을 동반할 수 있는데, 신장에서의 인슐린 감수성 항진으로 인해 Na의 재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지방 세포를 분화 유도하는 한편, 골아세포 감소로 인해 골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명혈중 반감기 (hr)작용 시간 (hr)1일 사용량 (mg)
피오글리타존52015~45


2. 2. 인슐린 분비 촉진

인슐린 분비 촉진제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약물이다.[19] 주요 약물로는 설포닐우레아(글리메피리드, 글리피지드, 글리벤클라미드), 메글리티니드(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 인크레틴 관련 약물 (DPP-4 억제제, GLP-1 수용체 작용제)이 있다.

설포닐우레아는 췌장의 베타 세포의 KATP 채널을 억제하여 인슐린 분비를 유발한다.[19] 1세대 약물보다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2세대 설포닐우레아가 주로 사용되며, 글리피지드, 글리벤클라미드, 글리메피리드 등이 있다. 설포닐우레아는 혈장 단백질에 강하게 결합하며, 제2형 당뇨병에만 유효하다.[26] 주요 부작용은 저혈당증이며, 체중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26] 당화 혈색소 (A1C) 값을 1.0~2.0% 감소시킨다. 과거 톨부타미드가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고,[59], 다른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약효(참고)
글리벤클라미드2.712~241.25~7.5
글리클라지드6~126~2440~120
글리메피리드1.56~121~6중, 인슐린 저항성 개선 작용 있음



메글리티니드는 "속효성 분비 촉진제"라고도 불리며, 설포닐우레아와 동일한 칼륨 채널에 작용하지만 다른 결합 부위에 작용한다.[28] 췌장 베타 세포의 칼륨 채널을 닫아 칼슘 채널을 열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29] 레파글리니드와 나테글리니드가 있으며, 식사 직전 또는 식사와 함께 복용한다. 당화 혈색소 (A1C) 값을 0.5~1.0% 감소시킨다.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 및 저혈당증이 있다.

췌장β세포에 포도당을 흡수한 경우의 인슐린 분비 기구(DPP-4 억제제 및 GLP-1 작용제에 대해서는 미기재)


인크레틴은 소장에서 생성되어 췌장의 β세포에 작용,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인크레틴을 증강시키는 약물에는 DPP-4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가 있다.

DPP-4 억제제는 인크레틴 분해 효소인 DPP-4를 억제하여 인크레틴의 혈중 농도를 상승시킨다. 혈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며, 위 배출 속도를 늦춰 혈당 상승을 억제한다.

클래스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1주일신중 투여 또는 금기
III시타글립틴9.6~12.350~100(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
I빌다글립틴1.77~3.9550~100(금) 중증 간기능 장애
(신) 간기능 장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알로글립틴17.125(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리나글립틴96.9~1135특이사항 없음
III테네리글립틴17.4~30.220~40(신) 고도 간기능 장애・심부전
III아나글립틴α상: 1.87~2.02
β상: 5.75~6.20
100~200(신) 중증 신기능 장애
I삭사글립틴6.0~6.82.5~5특이사항 없음
II트렐라글립틴54.3>168100 mg/주(금) 고도 신기능 장애
(신) 중등도 신기능 장애, 뇌하수체 기능 부전, 부신 기능 부전
III오마리글립틴38.9|25 mg/주특이사항 없음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DPP-4에 의해 분해되기 어렵게 만든 약물로, DPP-4 억제제보다 강력한 효과를 나타낸다. 췌장 β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을 분비하고, α세포로부터의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한다. 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65]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리라글루티드10~110.3~0.9 mg
엑세나티드1.27~1.35

약 10주
10~20 µg
2 mg/주
릭시세나티드2.01~2.4510~20 µg
둘라글루티드1080.75 mg/주
세마글루티드1450.5~1.0 mg/주



일반명혈중 반감기 (hr)작용 시간 (hr)1일 사용량 (mg)
세마글루티드1617~14 mg


2. 3.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는 계피와 같은 식물/약초에서 발견되는 당뇨병 치료제의 일종이다.[3] 이 약제들은 소장에서 전분의 소화를 늦춰, 전분에서 생성된 포도당이 혈류로 들어가는 속도를 늦추고, 손상된 인슐린 반응이나 민감성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3]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사 전에 단일 복용량을 섭취하면 포도당 급증을 명확히 억제하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식후 고혈당증(140 mg/dL 초과; >7.8 mmol/L)을 감소시킬 수 있다.[3] 내당능 장애의 초기 단계에서만 단독으로 효과적이지만, 제2형 당뇨병에서 다른 약제와 병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형적인 당화 혈색소 (A1C) 값 감소는 0.5–1.0%이다. 아카보스, 보글리보스, 미글리톨등이 이 약물에 해당하며, 부작용(가스 및 팽만감)의 심각성 때문에 미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유럽에서 더 흔하게 처방된다.

α-글루코시데이스 억제제(α-GI)는 음식성 당질에 1000배나 친화력이 강한 당질 유사 물질(아날로그)이다. 당질이 흡수되기 위해서는 전분과 같은 다당류에서 소화 효소의 작용을 받아 이당류(맥아당이나 설탕), 단당류(포도당이나 과당)로 분해될 필요가 있다. 이 효소인 α-글루코시데이스를 억제하여 소화 흡수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혈당 상승을 억제하므로 '''식후 고혈당 개선제'''라고도 한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아카보스2~3150~300
보글리보스2~30.6~0.9
미글리톨1~3150~225



이러한 약물은 혈당의 식후 최고점을 감소시키며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효과적이지만, 식사 이외의 고혈당 치료에는 효과가 없다. 고창, 팽만감, 복부 불쾌감,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자주 보고된다. 이러한 원인은 소화되지 않고 장관에 남은 당류가 발효하여 발생하는 가스 때문이다. α-GI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이러한 부작용은 경감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염증성 장 질환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장폐색과 유사한 증상에 이를 수도 있으며,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소화관 연동 운동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의해야 한다. 체질적으로 간 장애를 일으키는 예가 있으므로 간 트란스아미나제의 정기적인 관찰을 한다. 간 장애는 약물 중단과 함께 가역적으로 개선된다. α-GI는 체중 증가 작용이 없으므로 식사 요법을 방해하지 않는다.

소량부터 시작하여 몸에 익숙해지도록 함으로써 소화기 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α-GI 약물을 사용하는 동안 저혈당이 발생했을 때는 전분이나 설탕으로는 혈당 상승에 시간이 걸리므로 포도당이나 청량 음료에 설탕 대신 사용되는 포도당 과당 액을 저혈당 처치에 사용한다.

2. 4. SGLT2 억제

SGLT2 억제제는 신장의 신세뇨관에 있는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 2 단백질을 차단하여 신세뇨관으로의 포도당 재흡수를 막아 소변으로의 포도당 배출을 촉진한다. 이는 가벼운 체중 감소와 저혈당 위험이 거의 없는 혈당 수치 감소를 모두 유발한다.[48] 경구 제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49] GLP-1 수용체 작용제와 함께, 가장 최근의 임상 진료 지침에 따르면, 메트포르민 단독으로 최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선호되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제제로 간주된다.[19] 주사 공포증이 있는 환자는 주사 대신 입으로 복용하기 때문에 이를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심혈관 질환, 특히 심부전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1차 치료제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은 이러한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의 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0] 그러나 일반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환자에게 비용이 실행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 약물 계열의 효과와 안전성이 환자의 유전적 다양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51]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2(SGLT2) 억제제는 신장의 세뇨관 내강에 존재하는 Na+-포도당 공동수송체 (SGLT: sodium-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2)를 억제한다. SGLT2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원뇨속 포도당을 나트륨과 함께 세뇨관 세포 내로 재흡수하여 요당 역치까지 포도당이 밖으로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SGLT2 억제제는 요당을 늘려 혈당을 감소시키므로, 혈당이 정상화되면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부담이 가벼워지고, 당독성이 해제될 수 있다는 컨셉으로 개발되었다.

소장 상피 점막 세포에도 유사한 단백질(SGLT1)이 있으며 장관으로부터의 당 흡수에 관여하고 있다. SGLT2 억제제는 SGLT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SGLT1에 대한 영향은 경미하다. 당 배설에 의해 글루카곤 농도 상승과 간에서의 내인성 당 생성으로 인해 케토산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68][69]。2015년 5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SGLT2 억제제에 의해 케토산증 (DKA)이 발생한 사례가 축적되고 있다(2013년 3월~2014년 6월에 20례)고 경고를 발했다[70][71]。2022년 3월에는 수술 후 케토산증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SGLT2 억제제를 수술 최소 3일 전에 휴약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72]

SGLT2 억제제의 부작용은 작용 기전에서 직접 파생되며, 케토산증, 요로 감염, 질 칸디다증, 저혈당증 위험 증가 등이 포함된다.[52] 그 외에도, 이 제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발진, 홍반이 거론되고 있다. 이 계열의 약물은 그 작용 기전상 고도 또는 말기의 신장 장애 환자에게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2014년 10월에는 SGLT2 억제제 복용 환자 2명이 사망한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들은 이뇨제를 병용하고 있었다.[73]

일본 당뇨병 학회는 'SGLT2 억제제의 적정 사용에 관한 Recommendation'을 2014년 6월에 작성했으며, 임상 보고 축적에 따라 개정을 거듭하고 있다. 그 중에는 저혈당, 탈수, 케토산증, 약진, 요로 감염증에 대한 주의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74]

대표적인 SGLT2 억제제는 다음과 같다:

  • 다파글리플로진
  • 카나글리플로진
  • 엠파글리플로진
  • 레모글리플로진
  • 이파글리플로진
  • 루세오글리플로진
  • 토포글리플로진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이파글리플로진11.71~14.9750~100
다파글리플로진약 8~125~10
루세오글리플로진8.96~11.22.5~5
토포글리플로진5.40±0.622(SD)20
카나글리플로진10.2~11.8100
엠파글리플로진9.88~11.710~25


2. 5. 기타 작용 기전

LYN 키나아제 활성제인 톨리미돈(Tolimidone)은 글리타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슐린 신호를 강화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4] 톨리미돈은 130명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2a상 임상 연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25]

이미글리민은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여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억제, 골격근에서의 당 흡수 개선을 나타낸다.[75] 미토콘드리아에서는 호흡 사슬 복합체 I을 억제하여 췌장 β세포의 소포체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아폽토시스를 감소시킨다.[76] 이미글리민은 구조적으로는 메트포르민과 유사하며 혈중 반감기는 12시간, 하루 사용량은 2000mg이다.

3. 인슐린 제제

인슐린은 일반적으로 피하 주사 또는 인슐린 펌프를 통해 투여된다. 급성 치료 환경에서는 정맥 내로도 인슐린을 투여할 수 있다.[4] 인슐린은 신체에서 대사되는 속도에 따라 최고 시간과 작용 시간이 서로 다르다.[4] 더 빠르게 작용하는 인슐린은 빠르게 최고점에 도달한 후 대사되는 반면, 더 오래 작용하는 인슐린은 연장된 최고 시간을 가지며 상당한 기간 동안 신체 내에서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5]

빠르게 작용하는 인슐린에는 인슐린 리스프로(휴마로그), 인슐린 아스파트(노보로그), 인슐린 글루리신(아피드라) 등이 있으며, 최고점은 약 1시간이다. 단시간 작용하는 인슐린에는 일반 인슐린(휴물린 R, 노보린 R)과 즉효형 인슐린 아연(세미렌테)이 있으며, 최고점은 2–4시간이다. 중간형 인슐린에는 아이소판 인슐린, 중성 프로타민 하게돈(NPH)(휴물린 N, 노보린 N)과 인슐린 아연(렌테)이 있으며, 최고점은 4–10시간이다. 오래 작용하는 인슐린에는 지속형 인슐린 아연 인슐린(울트라렌테), 인슐린 글라진(란투스), 인슐린 데테미르(레베미르), 인슐린 데글루덱(트레시바)이 있으며, 작용 시간은 24시간이고 종종 최고점이 없다. 인슐린 데글루덱은 다른 대부분의 오래 작용하는 인슐린 제제보다 약 42시간의 작용 시간을 가지므로 "초장시간" 작용 인슐린으로 분류되기도 한다.[5]

인슐린 데테미르, 인슐린 글라진, 인슐린 데글루덱 및 NPH 인슐린을 비교한 연구의 체계적 검토에서 야간 저혈당증, 심한 저혈당증, 당화 혈색소 A1c,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 경색 / 뇌졸중, 건강 관련 삶의 질 또는 모든 원인 사망률에 대해 특정 형태의 인슐린이 명확한 이점이나 심각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다.[6]

대부분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는 임신 중 금기이므로 이 경우 인슐린이 선호된다.[55] 인슐린은 다른 경로로는 투여되지 않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었다. 흡입형 제제가 잠시 허가되었으나 이후 철회되었다.[7]

4. 경구용 혈당 강하제

다음은 항당뇨병제 비교표이다.[53][54] 각 계열 내에서도 약물마다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표에서 "위험 감소" 또는 "더 편리함"과 같은 비교는 표에 있는 다른 약물과의 비교이다.

항당뇨병 약물 비교[53][54]
약물 종류[54]작용 기전[55]장점[54]단점[54]
설포닐우레아 (글리부라이드, 글리메피리드, 글리피지드)KATP 채널을 억제하여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자극
메트포르민간에서 포도당 신생성을 줄이고, AMPK 신호 전달을 증가시켜 인슐린 저항성 감소
알파-글루코시다제 억제제 (아카보스, 미글리톨, 보글리보스)다당류를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하여 소장에서 탄수화물 소화 억제
티아졸리딘디온 (피오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지방과 근육에서 PPAR-γ를 활성화하여 인슐린 저항성 감소
SGLT2 억제제


4. 1. 비구아니드

비구아니드는 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고, 골격근을 포함한 말초 조직의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킨다.[8] 메트포르민은 소아 및 청소년의 제2형 당뇨병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며,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는 유일하게 널리 사용되는 경구 약물이다.[8] 당화 혈색소 (A1C) 값을 1.5–2.0% 감소시킨다.[9]

메트포르민은 미토콘드리아의 글리세롤 인산 탈수소 효소를 억제하여 글리세롤 인산 셔틀의 기능을 억제한다. 이로 인해 세포질에 NADH가 축적되어,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변환하는 반응이 촉진되면서 젖산이 축적된다. NADH 축적은 당 신생을 억제하여 혈당을 낮춘다.[60]

메트포르민은 제2형 당뇨병 치료의 1차 치료 약물로, 식이요법과 운동과 함께 초기 진단 시에 처방된다. 위장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서방형 제형도 있으며, 다른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와 병용할 수 있다. 심부전 환자에게 최선의 선택일 수 있지만,[9] 젖산 산증의 위험 때문에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방사선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 전에는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한다.[9][61]

페네트포르민과 부포르민은 젖산 산증 위험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되었다.[10][11]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메트포르민1.5~4.76~14250~2,250
부포르민36~1450~150



메트포르민은 젖산 산증을 일으키기 쉬운 간 장애, 신장 장애, 심장 장애 환자에게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61] 경미한 위장 장애는 일시적이며, 소량부터 시작하여 천천히 증량하면 완화할 수 있다. 발열, 설사 등 탈수 우려가 있거나 요오드 조영제 사용 시에는 투여를 중단한다.

4. 2. 티아졸리딘디온

티아졸리딘디온(Thiazolidinedione, TZD)은 "글리타존"이라고도 불리며, PPARγ에 결합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약물이다.[12] PPARγ는 포도당 및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유전자 전사에 관여하는 핵 조절 단백질의 일종으로, 인슐린 감수성 유전자에 영향을 미쳐 세포의 포도당 사용을 개선한다.[12] 당화 혈색소(A1C) 값을 1.5~2.0% 감소시킨다.[12]

로시글리타존은 심혈관 위험 증가로 인해 2010년 9월 유럽 의약품청에서 EU 시장 판매 중단을 권고했다.[14] 반면, 피오글리타존은 심혈관 질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23] 심부전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15] 트로글리타존은 간염 및 간 손상 위험으로 인해 사용이 중단되었다.[16]

티아졸리딘디온은 말초 조직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며,[12] 지방 세포에 작용하여 포도당 섭취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비만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부종이나 빈혈을 동반할 수 있다. 신장에서의 인슐린 감수성 항진으로 인해 Na 재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또한 골아세포 감소로 인해 골절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부종 때문에 심부전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염산 피오글리타존(상품명 액토스)만이 유통되고 있다. 최초로 상품화된 트로글리타존(상품명 노스칼)은 간 손상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잇따라 발생하여 판매 중지되었다.

일반명혈중 반감기 (hr)작용 시간 (hr)1일 사용량 (mg)
피오글리타존52015~45


4. 3. 설포닐우레아

설포닐우레아는 췌장의 베타 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경구 혈당 강하제이다.[19] 195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개발 순서에 따라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된다.[27] 췌장 랑게르한스 섬의 β세포의 SU수용체에 결합하여 ATP 의존성 K채널을 억제함으로써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27]

글리메피리드, 글리피지드, 글리벤클라미드 등이 대표적인 설포닐우레아제이며, 주요 부작용으로는 저혈당증과 체중 증가가 있다.[26] 특히 글리벤클라미드 및 글리메피리드는 활성 대사물의 신장 배설성이 높아 당뇨병성 신증 진행에 따른 신기능 저하 시 지연성 저혈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설포닐우레아제는 인슐린 기초 분비를 촉진하므로 식전에 저혈당을 일으키기 쉽고, 인슐린 추가 분비를 촉진하지 않아 식후 고혈당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HbA1c 값만으로 효과를 판정하면 조절이 잘 되었음에도 심근 경색과 같은 대혈관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2008년 현재, 설포닐우레아제는 경증 당뇨병에는 잘 사용되지 않으며, 중증 당뇨병의 경우 고혈당 지속으로 인한 β세포 파괴(당독성) 및 인슐린 저항성 악화로 인해 효과가 없어지는 이차 무효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약효(참고)
글리벤클라미드2.712~241.25~7.5
글리클라지드6~126~2440~120
글리메피리드1.56~121~6중, 인슐린 저항성 개선 작용 있음



과거 대규모 비교 시험에서는 설포닐우레아제와 허혈성 심장 질환 위험 간의 연관성이 제기되기도 했다.[59] 1976년 미국에서는 톨부타미드가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었고, 이후 클로르프로파미드, 글리벤클라미드 등을 이용한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4. 4. 메글리티니드

메글리티니드는 췌장이 인슐린을 생산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약물로, "속효성 분비 촉진제"라고도 불린다.[28] 설포닐우레아와 동일한 칼륨 채널에 작용하지만, 다른 결합 부위에 작용하여 췌장 베타 세포의 칼륨 채널을 닫고 칼슘 채널을 열어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29]

각 식사에 대한 인슐린 반응을 높이기 위해 식사 직전 또는 식사와 함께 복용하며, 식사를 거르면 약물 복용도 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당화 혈색소 (A1C) 값 감소는 0.5~1.0%이다.

레파글리니드, 나테글리니드등이 이에 해당되며 부작용으로는 체중 증가 및 저혈당증이 있다.

페닐알라닌 유도체(글리니드계)는 설포닐우레아(SU) 구조를 갖지 않지만, SU 제제와 마찬가지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β세포의 SU 수용체(SUR1)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킨다. 식후에는 흡수가 나빠지므로 식사 직전에 복용한다. 5-15분 내에 약효가 발현되고 수 시간 내에 작용이 소실된다. 이처럼 빨리 작용하고 빨리 효과가 사라진다는 점이 SU 제제와 크게 다른 점이다. '''식후 혈당 강하제'''라고도 하며, SU 제제가 인슐린 기초 분비 촉진, 글리니드계가 인슐린 추가 분비 촉진으로 생각되고 있다. 인슐린 요법의 초속효형 인슐린과 중간형 인슐린의 대응과 비슷하지만, SU 제제와 글리니드계의 병용은 보험 진료상 인정되지 않는다. 나테글리니드는 활성 대사물의 신장 배설성이 높기 때문에, 당뇨병성 신증의 진행에 따른 신기능 저하로 인해 지연성 저혈당을 일으키기 쉽다.

일반명혈중 반감기(시간)작용 시간(시간)1일 사용량(mg)
나테글리니드0.83270~360
미티글리니드 칼슘 수화물1.2330~60
레파글리니드1.05~80.75~3.0


4. 5.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제는 계피와 같은 식물/약초에서 발견되는 당뇨병 치료제의 일종이다.[3] 소장에서 탄수화물의 소화 및 흡수를 억제하여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한다. 아카보스, 보글리보스, 미글리톨 등이 있으며, 복부 팽만감, 가스 등의 소화기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 약제들은 소장에서 전분의 소화를 늦춰, 전분에서 생성된 포도당이 혈류로 들어가는 속도를 늦추고, 손상된 인슐린 반응이나 민감성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준다.[3] 복합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사 전에 단일 복용량을 섭취하면 포도당 급증을 명확히 억제하며,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식후 고혈당증(140 mg/dL 초과; >7.8 mmol/L)을 감소시킬 수 있다.[3] 내당능 장애의 초기 단계에서만 단독으로 효과적이지만, 제2형 당뇨병에서 다른 약제와 병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형적인 당화 혈색소 (A1C) 값 감소는 0.5–1.0%이다. 이 약물들은 부작용(가스 및 팽만감)의 심각성 때문에 미국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유럽에서 더 흔하게 처방된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아카보스2~3150~300
보글리보스2~30.6~0.9
미글리톨1~3150~225



α-글루코시데이스 억제제(α-GI)는 음식성 당질에 1000배나 친화력이 강한 당질 유사 물질(아날로그)이다. 당질이 흡수되기 위해서는 전분과 같은 다당류에서 소화 효소의 작용을 받아 이당류(맥아당이나 설탕), 단당류(포도당이나 과당)로 분해될 필요가 있다. 이 효소인 α-글루코시데이스를 억제하여 소화 흡수를 완만하게 함으로써 혈당 상승을 억제하므로 '''식후 고혈당 개선제'''라고도 한다. 이러한 약물은 혈당의 식후 최고점을 감소시키며 식사와 함께 섭취하면 효과적이지만, 식사 이외의 고혈당 치료에는 효과가 없다.

고창, 팽만감, 복부 불쾌감,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자주 보고된다. 이러한 원인은 소화되지 않고 장관에 남은 당류가 발효하여 발생하는 가스 때문이다. α-GI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이러한 부작용은 경감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염증성 장 질환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장폐색과 유사한 증상에 이를 수도 있으며,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소화관 연동 운동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유의해야 한다. 체질적으로 간 장애를 일으키는 예가 있으므로 간 트란스아미나제의 정기적인 관찰을 한다. 간 장애는 약물 중단과 함께 가역적으로 개선된다.

소량부터 시작하여 몸에 익숙해지도록 함으로써 소화기 증상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α-GI 약물을 사용하는 동안 저혈당이 발생했을 때는 전분이나 설탕으로는 혈당 상승에 시간이 걸리므로 포도당이나 청량 음료에 설탕 대신 사용되는 포도당 과당 액을 저혈당 처치에 사용한다.

4. 6. 인크레틴 관련 약물



인크레틴은 주로 소장에서 생성되어 췌장의 β세포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이다. 인크레틴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GLP-1)과 위 억제 펩타이드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자극 펩타이드, GIP)가 있으며, 이들은 효소 디펩티딜 펩티다제-4 (DPP-4)에 의해 빠르게 비활성화된다.

;DPP-4 억제제

디펩티딜 펩티다제-4 (DPP-4) 억제제는 DPP-4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여 인크레틴 GLP-1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41] 인크레틴은 혈당 의존적으로 췌장 β세포로부터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췌장 α세포로부터의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여 상승한 혈당치를 정상치로 낮추는 작용을 하며, 위로부터의 내용물 배출 속도를 늦춰 혈당치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PP-4 억제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빌다글립틴 (갈부스)
  • 시타글립틴 (자누비아)
  • 삭사글립틴 (온글리자)
  • 리나글립틴 (트라젠타)
  • 알로글립틴
  • 세타글립틴
  • 테넬리글립틴
  • 제미글립틴 (제미글로)


DPP-4 억제제는 헤모글로빈 당화혈색소 A1C 값을 0.74% 낮추었으며, 이는 다른 당뇨병 치료제와 유사하다.[42]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 결과, 시타글립틴, 삭사글립틴, 빌다글립틴, 알로글립틴 투여 시 HbA1c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43][44][45][46]

클래스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1주일신중 투여 또는 금기
III시타글립틴9.6~12.350~100(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
I빌다글립틴1.77~3.9550~100(금) 중증 간기능 장애
(신) 간기능 장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알로글립틴17.125(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리나글립틴96.9~1135특이사항 없음
III테네리글립틴17.4~30.220~40(신) 고도 간기능 장애・심부전
III아나글립틴α상: 1.87~2.02
β상: 5.75~6.20
100~200(신) 중증 신기능 장애
I삭사글립틴6.0~6.82.5~5특이사항 없음
II트렐라글립틴54.3>168100 mg/주(금) 고도 신기능 장애
(신) 중등도 신기능 장애, 뇌하수체 기능 부전, 부신 기능 부전
III오마리글립틴38.9|25 mg/주특이사항 없음



DPP-4와 억제제의 결합 부위는 5곳이며, 각각 S1, S2, S1', S2', S2E라고 불리는데, DPP-IV 억제제는 결합 부위에 따라 클래스 I(S1, S2), 클래스 II(S1, S2, S1'(, S2')), 클래스 III(S1, S2, S2E)로 분류된다[62]

DPP-IV 억제제가 더 잘 듣는 환자의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도 있다.[63] 미국 FDA는 2015년 8월, 7년간 33건의 심각한 관절염이 보고되었다고 발표했다.[64]

;GLP-1 수용체 작용제

하부 소장에 존재하는 L 세포에서 생성되는 인크레틴의 하나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수용체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강시키는 약물이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DPP-4에 분해되기 어렵고, DPP-4 억제제보다 강력한 효과가 나타난다. 췌장의 β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을 방출하고, α세포로부터의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한다. 따라서 췌 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변경 후 당뇨병성 케토산증이 발생하여 사망한 사례가 있다[65]

엑세나타이드는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승인된 최초의 GLP-1 작용제이다.[31][32]

리라글루티드는 1일 1회 투여하는 인간 유사체(97% 상동성)이다.


  • 릭시세나타이드
  • 세마글루티드
  • 둘라글루티드 - 주 1회
  • 알비글루타이드 - 주 1회
  • 티르제파티드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리라글루티드10~110.3~0.9 mg
엑세나티드1.27~1.35
약 10주
10~20 µg
2 mg/주
릭시세나티드2.01~2.4510~20 µg
둘라글루티드1080.75 mg/주
세마글루티드1450.5~1.0 mg/주



일반명혈중 반감기 (hr)작용 시간 (hr)1일 사용량 (mg)
세마글루티드1617~14 mg



이러한 약제 중 세마글루티드에 대해서는 경구 투여 제제 리벨서스가 승인되었지만[66], 복용에 어려움이 있어, 복약 순응도 저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67]

4. 6. 1. DPP-4 억제제

디펩티딜 펩티다제-4 (DPP-4) 억제제는 DPP-4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여 인크레틴 GLP-1의 혈중 농도를 증가시킨다.[41] 인크레틴은 혈당 의존적으로 췌장 β세포로부터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키는 동시에 췌장 α세포로부터의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여 상승한 혈당치를 정상치로 낮추는 작용을 하며, 위로부터의 내용물 배출 속도를 늦춰 혈당치의 급격한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PP-4 억제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빌다글립틴 (갈부스) EU 승인 2008년
  • 시타글립틴 (자누비아) FDA 승인 2006년 10월
  • 삭사글립틴 (온글리자) FDA 승인 2009년 7월
  • 리나글립틴 (트라젠타) FDA 승인 2011년 5월 2일
  • 알로글립틴
  • 세타글립틴
  • 테넬리글립틴
  • 제미글립틴 (제미글로)


DPP-4 억제제는 헤모글로빈 당화혈색소 A1C 값을 0.74% 낮추었으며, 이는 다른 당뇨병 치료제와 유사하다.[42]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 결과, 시타글립틴, 삭사글립틴, 빌다글립틴, 알로글립틴 투여 시 HbA1c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43][44][45][46]

클래스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1주일신중 투여 또는 금기
III시타글립틴9.6~12.350~100(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
I빌다글립틴1.77~3.9550~100(금) 중증 간기능 장애
(신) 간기능 장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알로글립틴17.125(신) 중등도 이상의 신기능 장애・심부전
II리나글립틴96.9~1135특이사항 없음
III테네리글립틴17.4~30.220~40(신) 고도 간기능 장애・심부전
III아나글립틴α상: 1.87~2.02
β상: 5.75~6.20
100~200(신) 중증 신기능 장애
I삭사글립틴6.0~6.82.5~5특이사항 없음
II트렐라글립틴54.3>168100 mg/주(금) 고도 신기능 장애
(신) 중등도 신기능 장애, 뇌하수체 기능 부전, 부신 기능 부전
III오마리글립틴38.9|25 mg/주특이사항 없음



DPP-4와 억제제의 결합 부위는 5곳이며, 각각 S1, S2, S1', S2', S2E라고 불리는데, DPP-IV 억제제는 결합 부위에 따라 클래스 I(S1, S2), 클래스 II(S1, S2, S1'(, S2')), 클래스 III(S1, S2, S2E)로 분류된다[62]

DPP-IV 억제제가 더 잘 듣는 환자의 특징에 대한 연구 결과도 있다.[63] 미국 FDA는 2015년 8월, 7년간 33건의 심각한 관절염이 보고되었다고 발표했다.[64]

4. 6. 2. GLP-1 수용체 작용제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작용제는 막 GLP 수용체에 결합한다.[29] 그 결과, 췌장 베타 세포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킨다. 내인성 GLP는 반감기가 매우 짧아, GLP 유사체 개발이 필요했다. 2019년 기준으로, 미국 임상 내분비학회(AACE)는 SGLT2 억제제와 함께 GLP-1 작용제를 메트포르민 다음으로 가장 선호하는 항당뇨병제로 지정했다. 특히 리라글루타이드는 심혈관 질환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1차 치료제로 고려될 수 있는데, 이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주요 심혈관 사건 위험 감소에 대해 FDA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19][30] 2011년 코크란 연합(Cochrane) 리뷰에서 GLP-1 작용제는 위약과 비교했을 때 HbA1c가 약 1%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6] GLP-1 작용제는 베타 세포 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치료 중단 후에는 이러한 효과는 지속되지 않는다.[26]

엑세나타이드(Byetta로 판매됨)는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해 승인된 최초의 GLP-1 작용제이다.[31][32] 엑세나타이드는 GLP와 53%의 상동성을 가지며, DPP-4에 의한 분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반감기를 연장시킨다.[33] 2011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엑세나타이드 2 mg이 인슐린 글라진, 엑세나타이드 10 μg 1일 2회, 시타글립틴 및 피오글리타존보다 HbA1c 감소가 0.20% 더 높게 나타났다.[26]

리라글루타이드는 1일 1회 투여하는 인간 유사체(97% 상동성)로,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에서 빅토자(Victoza)라는 브랜드로 개발되었다. 유럽 의약품청(EMEA)에서 2009년 7월 3일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2010년 1월 25일에 승인되었다.[34][35][36][37][38][39] 2011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리라글루타이드 1.8 mg이 인슐린 글라진보다 HbA1c 감소가 0.24% 더 높고, 엑세나타이드 10 μg 1일 2회, 시타글립틴 및 로시글리타존보다 0.33% 더 높게 나타났다.[26] 리라글루타이드와 엑세나타이드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유사체보다 더 큰 체중 감소를 보였다.[26]

타스포글루타이드는 현재 호프만-라 로슈(Hoffman-La Roche)와 함께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 릭시세나타이드(Lyxumia) 사노피
  • 세마글루타이드(Ozempic) (경구 버전은 Rybelsus)
  • 둘라글루타이드(Trulicity) - 주 1회
  • 알비글루타이드(Tanzeum) - 주 1회
  • 티르제파티드 (이중 GLP-1 및 GIP 작용제; 일라이 릴리(Eli Lilly)에서 제조, 2022년에 승인됨. 제2형 당뇨병에는 Mounjaro, 비만에는 Zepbound라는 브랜드로 판매[40]


이러한 약제는 위장 운동성을 감소시켜 메스꺼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26]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리라글루티드10~110.3~0.9 mg
엑세나티드1.27~1.35
약 10주
10~20 µg
2 mg/주
릭시세나티드2.01~2.4510~20 µg
둘라글루티드1080.75 mg/주
세마글루티드1450.5~1.0 mg/주



일반명혈중 반감기 (hr)작용 시간 (hr)1일 사용량 (mg)
세마글루티드1617~14 mg



하부 소장에 존재하는 L 세포에서 생성되는 인크레틴의 하나인 GLP-1(glucagon like peptide-1) 수용체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증강시키는 약물이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의해 DPP-4에 분해되기 어렵고, DPP-4 억제제보다 강력한 효과가 나타난다. 췌장의 β세포를 자극하여 인슐린을 방출하고, α세포로부터의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한다. 따라서 췌 기능이 저하된 환자나 1형 당뇨병 환자에게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변경 후 당뇨병성 케토산증이 발생하여 사망한 사례가 있다[65]

이 계열의 의약품 첨부 문서의 "중요한 기본적 주의"에는 다음과 같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 중 세마글루티드에 대해서는 경구 투여 제제 리벨서스가 승인되었지만[66], 기상 시 120mL의 물로 복용, 복용 전과 복용 후 30분간의 금식과 같이 복용에 어려움이 있어, 복약 순응도 저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67]

4. 7. SGLT2 억제제

SGLT2 억제제는 신장의 신세뇨관에 있는 나트륨-포도당 공동 수송체 2 단백질을 차단하여 신세뇨관으로의 포도당 재흡수를 막아 소변으로의 포도당 배출을 촉진한다.[48] 이는 가벼운 체중 감소와 저혈당 위험이 거의 없는 혈당 수치 감소를 모두 유발한다.[48] 경구 제제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49] GLP-1 수용체 작용제와 함께, 가장 최근의 임상 진료 지침에 따르면, 메트포르민 단독으로 최적으로 조절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선호되는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제제로 간주된다.[19] 주사 공포증이 있는 환자는 주사 대신 입으로 복용하는 SGLT2 억제제를 선호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심혈관 질환, 특히 심부전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1차 치료제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의 입원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50] 그러나 일반 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없어, 많은 환자에게 비용이 실행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 약물 계열의 효과와 안전성이 환자의 유전적 다양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51]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2(SGLT2) 억제제는 신장의 세뇨관 내강에 존재하는 Na+-포도당 공동수송체 (SGLT: sodium-dependent glucose transporter 2)를 억제한다. SGLT2는 사구체에서 여과된 원뇨 속 포도당을 나트륨과 함께 세뇨관 세포 내로 재흡수하여 요당 역치까지 포도당이 밖으로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SGLT2 억제제는 요당을 늘려 혈당을 감소시키므로, 혈당이 정상화되면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부담이 가벼워지고, 당독성이 해제될 수 있다는 컨셉으로 개발되었다.

소장 상피 점막 세포에도 유사한 단백질(SGLT1)이 존재하며 장관으로부터의 당 흡수에 관여한다. SGLT2 억제제는 SGLT2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며, SGLT1에 대한 영향은 경미하다. 당 배설에 의해 글루카곤 농도 상승과 간에서의 내인성 당 생성으로 인해 케토산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68][69]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5년 5월에 SGLT2 억제제에 의해 케토산증 (DKA)이 발생한 사례가 축적되고 있다(2013년 3월~2014년 6월에 20례)고 경고를 발했다[70][71]。2022년 3월에는 수술 후 케토산증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 SGLT2 억제제를 수술 최소 3일 전에 휴약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72]

SGLT2 억제제의 부작용은 작용 기전에서 직접 파생되며, 케토산증, 요로 감염, 질 칸디다증, 저혈당증 등의 위험 증가가 포함된다.[52] 그 외에도, 이 제제에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발진, 홍반이 거론되고 있다. 이 계열의 약물은 그 작용 기전상 고도 또는 말기의 신장 장애 환자에게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다파글리플로진, 카나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레모글리플로진, 이파글리플로진, 루세오글리플로진, 토포글리플로진 등이 SGLT2 억제제에 속한다.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1일 사용량(mg)
이파글리플로진11.71~14.9750~100
다파글리플로진약 8~125~10
루세오글리플로진8.96~11.22.5~5
토포글리플로진5.40±0.622(SD)20
카나글리플로진10.2~11.8100
엠파글리플로진9.88~11.710~25



일본 당뇨병 학회는 'SGLT2 억제제의 적정 사용에 관한 Recommendation'을 2014년 6월에 작성했으며, 임상 보고 축적에 따라 개정을 거듭하고 있다. 그 중에는 저혈당, 탈수, 케토산증, 약진, 요로 감염증에 대한 주의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74]。 2014년 10월, SGLT2 억제제를 복용하던 환자 2명이 사망한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들은 이뇨제를 병용하고 있었다.[73]

4. 8. 글리민계 약물

이미글리민은 구조적으로 메트포르민과 유사하다.[75]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여 췌장에서의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 간에서의 포도당 신생 억제, 골격근에서의 당 흡수 개선을 나타낸다.[75] 미토콘드리아에서는 호흡 사슬 복합체 I을 억제하여 췌장 β세포의 소포체 스트레스를 저감하고 아폽토시스를 감소시킨다.[76]

일반명혈중 반감기(hr)작용 시간(hr)하루 사용량(mg)
이미글리민122000


5. 한국의 당뇨병 치료제 개발 현황

6. 논란 및 주의사항

일부 당뇨병 치료제는 부작용 논란이 있거나 특정 환자에게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설포닐우레아제(SU제)는 과거 심혈관 질환 위험 증가 논란이 있었으며, 메트포르민과의 병용 시 심혈관 이벤트 위험이 증가한다는 지적이 있다. 간 장애 환자의 경우 설포닐우레아제는 작용이 연장될 수 있다.[78]

SGLT2 억제제는 케토산증, 요로 감염 등의 부작용 위험이 있으며, 탈수, 저혈당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고도 신기능 저하 환자에게는 설포닐우레아제는 작용이 연장되고[78], 비구아니드(BG)제는 젖산 산증을 일으키기 쉽다.[61] 티아졸리딘디온(TZD)제는 부종, 심부전을 일으키기 쉽고 늑수를 초래한다.

장 폐쇄나 복부 수술 후 환자에게 알파 글루코시데이스 억제제(αGI제)는 고창으로부터 장 폐쇄를 일으키기 쉽고, 장관 기종증이나 담도 기종증도 발생할 수 있다. 식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는 작용을 가진 난소화성 덱스트린과 병용했을 경우, 상승 억제가 강하게 나타난다.[79]

몇몇 건강식품과 한약에서 설포닐우레아제 등 경구 혈당 강하제의 함유가 보고되고 있다. 그 예로는 글리벤클라미드/格列本脲중국어, 보글리보스/伏格列波糖중국어, 메트포르민/二甲双胍중국어 등이 있다.

7. 개발 중인 약물

키세이 약품 공업에서 다이닛폰 스미토모 제약으로 도입된 SGLT1 억제제 DSP-3235는 개발이 중단되었다.[80] 렉시콘사의 소타글리플로진(Sotagliflozin영어)은 SGLT1/2 억제제이다.[80] JT의 JTT-851, 일라이 릴리의 LY2881835 등 GPR40 작용제도 개발이 중단되었다.[80]

프럭토스-1,6-비스인산가수분해효소(FBPase, Fructose 1,6-bisphosphatase영어) 억제제는 당 신생을 방해하여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다. 메타베이시스사와 다이이치산쿄가 CS-917 개발을 진행했지만 임상적 유용성을 증명하지 못했다.[81]

인슐린 수용체로부터 세포 내로 정보를 전달하는 경로에 있는 Akt(세린 트레오닌 키나아제)의 인산화를 통해 인슐린과 유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Akt 인산화 약물이 개발 중이다.

지질 저하제 중 하나인 콜레세벨람(Colesevelam HCl영어)은 담즙산과 결합하여 콜레스테롤의 장간 순환을 방해, 배설시키지만, 다면 효과(Pleiotropy (drugs)영어)로 인슐린 병용 2형 당뇨병 환자의 HbA1c를 0.5% 정도 감소시켜 미국 FDA에 승인 신청되었다.

일라이 릴리의 틸제파티드(tirzepatide영어)는 GLP-1 및 GIP 공수용체 작용제이다.[82]

참조

[1] 논문 Trends in Antidiabetic Drug Discovery: FDA Approved Drugs, New Drugs in Clinical Trials and Global Sales 2022-01
[2] 웹사이트 Overview of Diabetes Drugs https://www.diabetes[...]
[3] 논문 Suppression of the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y a raw medicinal herb powder is weakened when consumed in ordinary hard gelatin capsules: A randomized crossover clinical trial https://journals.plo[...] 2024-10-09
[4]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2011
[5] 서적 Endotext MDText.com, Inc. 2019-11-16
[6] 논문 (Ultra-)long-acting insulin analogues for people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2021-03
[7] 논문 Inhaled insulin: overview of a novel route of insulin administration 2010-03
[8] 논문 Erratum: Metformin: Current knowledge 2024-01-04
[9] 논문 Benefits and harms of antidiabetic agents in patients with diabetes and heart failure: systematic review 2007-09
[10] 논문 Phenformin-induced lactic acidosis in an older diabetic patient: a recurrent drama (phenformin and lactic acidosis) http://care.diabetes[...] 2006-04
[11] 논문 Buformin concentrations in a case of fatal lactic acidosis 1981
[12] 웹사이트 diabetesinsulinPPAR http://www.healthval[...] 2018-05-06
[13] 논문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s and lipoprotein metabolism 2008-01-02
[14] 간행물 European Medicines Agency recommends suspension of Avandia, Avandamet and Avaglim http://www.ema.europ[...] EMA 2009-09-23
[15] 논문 Pioglitazone an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2007-09
[16] 뉴스 Retired Drugs: Failed Blockbusters, Homicidal Tampering, Fatal Oversights https://www.wired.co[...] "[[Wired News]]" 2009-06-21
[17] 웹사이트 Expert Column – A Diabetes Outcome Progression Trial (ADOPT) http://www.medscape.[...] Medscape 2007-09-21
[18] 웹사이트 DREAM: Rosiglitazone Effective in Preventing Diabetes http://www.medscape.[...] Medscape 2007-09-21
[19] 논문 Consensus Statement b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and American College of Endocrinology on the Comprehensive Type 2 Diabetes Management Algorithm - 2019 Executive Summary 2019-01
[20] 논문 Effect of rosiglitazone on the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death from cardiovascular causes 2007-06
[21] 웹사이트 FDA Advisory Panels Acknowledge Signal of Risk With Rosiglitazone, but Stop Short of Recommending Its Withdrawal http://www.medscape.[...] Heartwire 2007-09-21
[22] 논문 The cardiovascular safety of rosiglitazone 2008-07
[23] 논문 The effect of pioglitazone on recurrent myocardial infarction in 2,445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results from the PROactive (PROactive 05) Study 2007-05
[24] 논문 Cross talk of pp125(FAK) and pp59(Lyn) non-receptor tyrosine kinases to insulin-mimetic signaling in adipocytes 2000-07
[25] 웹사이트 Melior Pharmaceuticals Announces Positive Phase 2A Results in Type 2 Diabetes Study http://www.businessw[...] 2018-05-06
[26] 논문 Glucagon-like peptide analogues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2011-10
[27] 논문 Interventions for latent autoimmune diabetes (LADA) in adults 2011-09
[28] 논문 Advances in diabetes for the millennium: drug therapy of type 2 diabetes 2004-09
[29] 웹사이트 Helping the pancreas produce insulin http://www.healthval[...] HealthValue 2007-09-21
[30] 웹사이트 Victoza (liraglutide) is Approved to Reduce the Risk of Three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in Type 2 Diabetes Patients https://www.drugs.co[...] 2019-11-16
[31] 논문 Exenatide: a GLP-1 receptor agonist as novel therapy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2006-06
[32] 논문 Exenatide in type 2 diabetes: treatment effects in clinical studies and animal study data 2006-12
[33] 논문 Exenatide: a review of its us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s an adjunct to metformin and/or a sulfonylurea) 2007
[34] 웹사이트 Novo Nordisk Files for Regulatory Approval of Liraglutide in Both the US and Europe https://www.drugs.co[...] 2008-05
[35] 웹사이트 Liraglutide Provides Significantly Better Glucose Control Than Insulin Glargine in Phase 3 Study http://www.medicalne[...] 2007-06
[36] 웹사이트 Clinical Study Shows Liraglutide Reduced Blood Sugar, Weight, and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ttp://www.medicalne[...] 2010-02-09
[37] 웹사이트 Liraglutide – Next-Generation Antidiabetic Medication http://www.drugdevel[...] 2010-02-09
[38] 웹사이트 Quarterly R&D; Update - Novo Nordisk A/S http://www.novonordi[...] 2010-02-09
[39] 웹사이트 Novo Nordisk Receives US Approval for Victoza(R) (Liraglutide)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https://money.cnn.co[...] 2010-02-09
[40] 논문 Tirzepatide versus Semaglutide Once Weekly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2021-08
[41] 논문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gliptins') for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s://www.nps.org.[...] 2021-03-07
[42]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incretin therapy in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07-07
[43] 논문 Sitagliptin is well tolerated and leads to rapid improvement in blood glucose in the first days of monotherapy in patients aged 65 years and older with T2DM
[44]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saxagliptin in olde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011-04
[45] 논문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in treatment-naive elderly patients: benefits and risks of vildagliptin monotherapy 2007-12
[46] 논문 Alogliptin use in elderly people: a pooled analysis from phase 2 and 3 studies 2009-11
[47] 논문 Review of pramlintide as adjunctive therapy in treatment of type 1 and type 2 diabetes 2009-02
[48] 논문 Canagliflozin: a novel treatment option for type 2 diabetes 2013-11
[49] 웹사이트 Drug Safety and Availability - Sodium-glucose Cotransporter-2 (SGLT2) Inhibitors https://www.fda.gov/[...] 2017-08-26
[50] 웹사이트 UpToDate https://www.uptodate[...] 2019-11-16
[51] 간행물 Imamovic Kadric S, Kulo Cesic A, Dujic T. Pharmacogenetics of new classes of antidiabetic drugs. Bosn J of Basic Med Sci. 2021. https://www.bjbms.or[...]
[52] 뉴스 SGLT2 Inhibitors (Gliflozins) – Drugs, Suitability, Benefits & Side Effects http://www.diabetes.[...] 2017-08-26
[53] 논문 Trends in ethical and legal frameworks for the use of human biobanks 2007-08
[54] 논문 The Oral Diabetes Drugs: Treating Type 2 Diabetes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2-09-18
[55] 서적 Step-Up to Medicine (Step-Up Seri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6] 웹사이트 The Oral Diabetes Drugs Treating Type 2 Diabetes Comparing Effectiveness, Safety, and Price http://www.consumerr[...] 2013-07-17
[57] 웹사이트 Sitagliptin Generic Alternatives https://sastimedic.c[...] 2024-01-31
[58] 논문 Ayurvedic treatments for diabetes mellitus 2011-12
[59] 문서 英国で実施された大規模臨床試験の一つ。
[60] 논문 Metformin suppresses gluconeogenesis by inhibiting mitochondrial glycerophosphate dehydrogenase. https://www.nature.c[...] 2015-09-21
[61] 문서 イヤーノート 2015: 内科・外科編 メディック・メディア D106 ISBN 978-4896325102
[62] 웹사이트 9つのDPP-4阻害薬、結合様式の違いに迫る! https://medical.nikk[...] 日経DI 2016-04-03
[63] 논문 Predictive Factors for Efficacy of Dipeptidyl Peptidase-4 Inhibitor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http://www.e-dmj.org[...] 2015-08
[64] 웹사이트 DPP-4阻害薬で重篤な関節痛の可能性,米FDAが安全性情報 http://mtpro.medical[...] MTPro 2015-09-12
[65] 웹사이트 リラグルチド(遺伝子組換え) 安全性情報 http://www.thpa.or.j[...] 2015-02-25
[66] 뉴스 GLP-1受容体作動薬に初の経口薬が登場 https://medical.nikk[...] 日経BP 2020-10-18
[67] 뉴스 経口GLP-1薬に期待集まる一方、高価との声も https://medical.nikk[...] 日経BP 2021-11-24
[68] 웹사이트 5剤目のSGLT2阻害薬が間もなく登場,安全性に関する最新情報も解説 http://mtpro.medical[...] メディカルトリビューン 2014-08-30
[69] 웹사이트 SGLT2阻害薬の安全性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15-06-03
[70] 웹사이트 FDA Drug Safety Podcast: FDA warns that SGLT2 inhibitors for diabetes may result in a serious condition of too much acid in the blood http://www.fda.gov/D[...] FDA 2015-06-03
[71] 웹사이트 FDAがSGLT2阻害薬によるケトアシドーシスに警告 http://www.carenet.c[...] CareNet 2015-06-02
[72] 논문 FDA revises labels of SGLT2 inhibitors for diabetes to include warnings about too much acid in the blood and serious urinary tract infections https://www.fda.gov/[...] 2022-03-15
[73] 뉴스 糖尿病新薬、使用の患者2人死亡…利尿薬を併用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4-10-11
[74] 웹사이트 SGLT2阻害薬の適正使用に関するRecommendation http://www.fa.kyorin[...] 日本糖尿病学会 2016-05-12
[75] 뉴스 ミトコンドリア機能を改善する新機序の糖尿病治療薬 https://medical.nikk[...] 日経BP 2021-08-20
[76] 웹사이트 新クラスの糖尿病治療薬「イメグリミン」がヒト膵β細胞を保護 小胞体ストレスを調節 β細胞の新たな保護メカニズムを解明 https://dm-rg.net/ne[...]
[77] 논문 Comparison of Clinical Outcomes an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Glucose-Lowering Drug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ttps://jamanetwork.[...]
[78] 서적 イヤーノート 2015: 内科・外科編 メディック・メディア
[79] 논문 サプリメント類の使用状況とその問題点 —糖尿病患者を対象にした多施設調査— https://doi.org/10.1[...] 2009
[80] 문서 http://lexpharma.com[...]
[81] 간행물 特集 次世代糖尿病治療薬 http://www.cimasj.co[...] 2008-07-01
[82] 뉴스 GLP-1とGIPの共作動薬、第3相試験の結果は? https://medical.nikk[...] 日経BP 202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