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남기업은 1951년 창립된 대한민국의 종합 건설 회사이다. 1965년 해외 건설 면허를 취득하며 해외 시장에 진출했으며,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했다. 1980년대 대우 그룹에 인수되었으나, 2000년 대우 계열에서 분리되었다. 2015년 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했고, 2017년 회생 절차가 종료된 후 SM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현재는 '경남아너스빌' 브랜드로 아파트를 건설하며, 국내외에서 다양한 건설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015년에는 자원 외교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수사를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M그룹 - 남선알미늄
남선알미늄은 1947년 설립된 알루미늄 압출 및 창호 제조 기업으로,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을 거쳐 SM그룹 편입 후 플라스틱 제조, 금형 제작, 자동차 부품 제조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며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SM그룹 - 국일제지
국일제지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으로, KRX 100, KRX 300, KTOP 30 지수 등 주요 지수에 편입되어 대한민국 증권 시장에서 회사의 규모와 성장성을 인정받고 있다. - SM의 자회사 - 울산방송
울산방송(ubc)은 1997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한 대한민국의 지역 민영 방송사로, 울산, 양산, 경주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며 TV와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SBS와 제휴하여 프로그램들을 자체 편성 및 송출하고 2017년 ubc UHD 방송을 개국했다. - SM의 자회사 - 남선알미늄
남선알미늄은 1947년 설립된 알루미늄 압출 및 창호 제조 기업으로,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을 거쳐 SM그룹 편입 후 플라스틱 제조, 금형 제작, 자동차 부품 제조 등 사업 다각화를 추진하며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충청남도의 기업 - 남양유업
남양유업은 1964년에 설립되어 유제품 및 음료를 제조하며 사업을 확장해 왔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충청남도의 기업 - 현대트랜시스
현대트랜시스는 1994년 설립되어 자동차 변속기 및 시트를 생산하며, 현대파워텍을 합병하고 사명을 변경하여 파워트레인, 시트, 연구 개발 등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경남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남기업주식회사 |
원어 | KEANGNAM ENTERPRISES, LTD |
형태 | 주식회사, 대기업 |
창립 | 1951년 8월 29일 |
시장 정보 | 한국: 000800 |
상장 폐지 | 2015년 4월 15일 |
장소 | 충청남도 아산시 청운로176번길 25, 2층 (권곡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박석준 (대표이사) |
전 회장 | 성완종 |
산업 | 건설, 제조, 서비스 |
사업 | |
목적 사업 | 토목, 건축, 포장, 상하 ·수도설비, 위생 및 냉난방 설비공사업, 전기공사업과 통신공사업, 문화재보수공사업, 조경 및 식목에 관한 사업, 소방설비업, 측량, 설계, 시공 및 감리업, 광산개발 및 동 시공사업, 해외건설업, 노동, 자재공급업, 제반물자의 매매 및 무역업, 해륙운송업, 생산업 및 가공업, 시설물 유지 관리업, 산림개발업 및 목재가공업, 용역(건물관리)업 및 써비스업, 주택건립 및 분양사업, 토석채취 및 골재생산판매업, 철강재설치공사업, 화학공장발전소 및 일반산업공장시설의 건설을 위한 사업의 관리설계, 엔지니어링, 구매조달, 검사, 공사감리, 시운전 및 공장과 발전소의 조업보수 등에 관한 일체의 기술용역업, 일반토목건축시설 및 수자원 전반에 걸친 시설의 건설을 위한 사업의 관리설계, 엔지니어링, 측량, 구매조달, 검사, 공사, 책임감리(종합감리업), 시운전, 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보수 등에 관한 일체의 기술용역업, 공장 및 발전소의 제공정시설 및 장치와 일반토목건축설비, 수자원 전반에 걸친 제공정 시설 및 장비에 관한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 분석과 이에 따른 조사연구 및 개발사업, 환경오염방지시설 및 가스사업에 관한 사업관리, 설계, 엔지니어링, 측량, 구매조달, 검사, 공사감리, 시운전 등에 관한 일체의 기술용역업, 건축자재의 생산 및 판매업, 철근 및 콘크리트공사업, 숙박업 및 이와 관련된 부대사업, 산업설비 공사업, 펄프, 종이 및 종이 제품 제조업, 의료, 정밀, 광학기기 및 제조업, 그외 기타 분류안된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M업, 가구 및 기타제품 제조업, 금융 및 보험관련 서비스업, 유통업, 인터넷, 홈네트워크 사업, 환경오염(수질, 대기, 소음, 진동) 방지시설업, 오수분뇨처리시설, 정화조 및 축산폐수정화시설 설계 시공업, 일반폐기물 및 특정폐기물 처리시설 설계 ·시공업 및 처리 운영업, 부동산 매매, 임대업 및 컨설팅업, 사무용 및 상업용 건물, 공장 등의 시설관리 및 시장의 종합관리업, 국내 및 해외 종합 건설용역업, 실버사업 및 레저사업, 민자로 유치되는 사회간접자본시설 및 각종 민자사업에 대한 투자, 건설, 운영사업, 리모델링 및 인테리어업, 국내외 투자 및 개발사업, 플랜트 설계, 제작, 시공 및 감리업, 군납업 및 군납 공사업, 국내 및 해외 토지개간, 간척 및 매립사업, 국내 및 해외 자원개발 및 판매업, 국내 및 해외 발전 및 발전시설 운영업, 에너지 수출입, 저장, 판매와 그 부산물의 정제·판매업, 건설사업관리업, 국내외 골프장 건설 및 운영업, 국내외 벤처사업(벤처기업 발굴 및 투자), 자동차 및 중기의 임대업, 집단에너지의 생산·수송·분배 및 기타 이와 관련되는 사업, 집단에너지 공급시설의 설치 및 운용, 발전·송전·배전·전기판매·구역전기사업 및 기타 이와 관련되는 사업, 전기사업과 관련된 시설의 설치 및 운용, 토양정화업, 지하수정화업, 환경컨설팅업, 집단에너지 시설의 설계, 시공 및 운영업, 철도 및 이와 유사한 사업에 대한 투자, 건설, 운영사업, 국내 및 해외 농업개발사업, 위 각호에 관련되는 사업에 관한 내외국인 또는 법인과의 투자 수탁경영업, 전 각호에 관련되는 일체의 부대사업 |
재무 정보 | |
자본금 | 35,043,050,000원 (2019.12) |
매출액 | 276,319,218,241원 (2019) |
영업 이익 | 15,466,696,974원 (2019) |
순이익 | 18,525,580,136원 (2019) |
자산 총액 | 334,433,538,346원 (2019.12) |
주주 정보 | |
주주 |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외 특수관계인: 94.17% |
모기업 |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
기타 정보 | |
종업원 | 364명 (2019.12) |
자회사 | KN ReadyMix |
2. 연혁
연도 | 내용 |
---|---|
1980년 | 건설수출 5억불탑 수상 |
1981년 | 한국전력공사 본사 신축공사 수주 |
1982년 | 건설수출 10억불탑 수상 |
1983년 | 말레이시아 말레이은행본점 신축공사 수주 |
1984년 8월 1일 | 경남금속 법정관리 개시 결정 |
1984년 11월 16일 | 대우그룹 김우중 회장, 경남 대주주 지분(26.81%) 인수 |
1987년 3월 21일 | (주)대우 계열 7개사가 김우중 지분(26.81%) 분할 인수, 산업합리화계획에 의거 경남금속 출자지분 양도 |
1992년 | 대한주택공사 우수시공업체 선정 |
1994년 | 아프리카 에리트레아 진출(Semble 주택 건설공사수주) |
1995년 | 영국 LRQA사로부터 ISO 9001 인증 획득 |
1996년 | 대한주택공사 우수시공업체 선정, 건설교통부 한국형 하천정화기술을 신기술로 지정 |
1997년 | 한국통신 우수시공업체 선정, 영국 LRQA사로부터 ISO 14001 인증 획득 |
1999년 8월 26일 | (주)대우 계열 12개사 워크아웃 대상기업 지정 (주식회사 대우, 경남기업, 대우자동차판매 포함) |
2000년 2월 9일 | 최대주주변경 (한국외환은행 ( 23.91% ), 한빛은행 ( 23.91% )) |
2000년 4월 15일 | 대우계열에서 분리 |
2000년 | 대한주택공사, 인천광역시 우수시공업체 선정 |
2001년 | 창립 50주년, 강릉시 우수시공업체 선정, 동탑산업훈장 수훈(호남선 복선화공사) |
2002년 | 철도청 우수건설업체 선정, 대통령 표창 수상(아프리카지역 민간외교 및 산업발전에 기여) |
2003년 8월 29일 | 충남 건설업체 대아건설(주)이 최대주주가 됨 (51.00% 지분 소유) |
2004년 | 서울특별시 우수시공업체 선정, 본사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동 242-10으로 이전, 경남기업(주)가 대아건설(주)를 흡수합병 (최대주주 성완종, 18.47% 소유) |
2. 1. 1950년대 ~ 1970년대: 창립과 성장
1951년 8월 29일 대구시 동인동 41번지에서 경남토건(주)로 창업했다. 초대 대표이사는 정원성이었으며, 건설업 면허 제2호를 취득했다.[1]1954년 5월 7일 경남기업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2]
1965년 11월 15일 업계 최초로 해외에 진출하여 태국 카닷트 중앙방송국 TOWER를 건설했으며, 해외건설업면허 1호를 취득했다.[3]
1967년에는 월남에 진출하여 Ban Bet Thuet 외과병원 신축공사를 수주했다.[4]
1968년에는 일반건설업면허 2호를 취득했다.[5]
1971년에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하여 수마트라 도로공사를 수주했다.
1972년에는 김해국제공항을 수주하여 성장 기틀을 마련했다.
1973년에는 국내 건설업체 중 최초로 기업을 공개했고, 말레이시아에 진출하여 연방 고속도로공사를 수주했다.
1975년 3월 18일 경남금속을 인수했다.
1977년 3월 1일 중동지역에 진출하여 사우디 BISHA AL-ALAYAH 도로공사를 수주했다.
1978년에는 스리랑카에 진출하여 Seeduwa 주택건설공사를 수주했다.
1979년에는 카메룬에 진출하여 빅토리아 정유공장 건설공사를 수주했다.
2. 2. 1980년대 ~ 2000년대: 시련과 극복
경남기업은 1980년에 건설수출 5억불탑을 수상하고, 1981년에는 한국전력공사 본사 신축공사를 수주하였다. 1982년에는 건설수출 10억불탑을 수상하였으며, 1983년에는 말레이시아 말레이은행 본점 신축공사를 수주하는 등 활발한 해외 사업을 전개했다.[1]그러나 1984년 8월 1일, 경남금속이 법정관리 개시 결정[2]을 받으면서 시련을 겪게 된다. 같은 해 11월 16일,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이 경남기업의 대주주 지분을 인수[3]하면서 대우그룹에 편입되었다. 1987년 3월 21일, (주)대우 계열 7개사가 김우중 회장의 지분을 분할 인수하고, 경남금속 출자지분을 양도하면서 구조조정이 이루어졌다.[4]
1990년대 들어 경남기업은 대한주택공사(1992년, 1996년)[5], 한국통신(1997년) 등으로부터 우수시공업체로 선정되고, 1994년 아프리카 에리트레아에 진출하는 등 다시 성장세를 이어갔다. 1995년과 1997년에는 각각 ISO 9001, ISO 14001 인증을 획득하며 품질 및 환경경영 시스템을 구축했다. 1996년에는 한국형 하천정화기술이 신기술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1999년 8월 26일, (주)대우를 비롯한 대우그룹 계열사들이 워크아웃 대상기업으로 지정되면서 경남기업은 다시 위기를 맞았다. 2000년 2월 9일, 한국외환은행과 한빛은행이 최대주주로 변경되었고, 4월 15일에는 대우그룹에서 분리되었다.
2001년 창립 50주년을 맞은 경남기업은 동탑산업훈장을 수훈하고, 2002년에는 철도청 우수건설업체 선정 및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2003년 8월 29일, 충남 지역 건설업체인 대아건설이 경남기업의 최대주주가 되었고, 2004년 8월 18일에는 본사를 충청남도 아산시로 이전했다. 2004년 10월 11일, 경남기업은 대아건설을 흡수합병하고 성완종 회장이 최대주주가 되었다.
2. 3. 2007년 ~ 현재: 재도약과 과제
2007년 베트남 지사와 마다가스카르 지사를 설립하고, 베트남에서 경남 하노이 랜드마크 타워 착공에 들어갔다.[1] 2008년에는 알제리 지사를 설립했다.[1] 2010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지사를 설립하고, 광주수완에너지를 준공했다.[1] 2011년에는 사우디 아람코 입찰자격을 획득했다.[1] 2012년에는 경남 하노이 랜드마크 타워를 준공했다.[1]2015년 3월 27일, 경남기업은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고,[1] 같은 해 4월 7일에 회생절차가 개시되었다.[1] 이후 2017년 11월 30일에 회생절차가 종료되었고,[1] 같은 해 12월에는 SM그룹 계열사로 편입되었다.[1] 2019년 5월 15일, 본점을 충청남도 아산시 청운로 176번길로 이전하였다.[1]
3. 주요 사업 분야
경남기업은 1951년 창립 이후 국내 건축, 토목, 플랜트 등 민간 및 공공 분야에서 건설 사업을 해왔다. 1967년 국내 건설업체 최초로 해외건설 면허를 취득하여, 현재 해외 10개국에서 에너지, 도로, 지하철, 철도, 항만, 교량, 터널, 플랜트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을 하는 종합건설회사이다. 중동, 동남아, 아프리카 등에 진출해 있다.[4][5]
경남기업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 건축: 경남아너스빌 브랜드 아파트, 대구 대봉동 센트로팰리스 같은 주상복합건물, 목원대학교, 영남대학교 병원, 잠실 올림픽수영장 등을 건설했다.
- 토목: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지하철, 경춘선, 경부고속도로, 동북선 경전철,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등의 공사에 참여했다.
- 플랜트: 태안, 영월, 영흥 등에 화력발전소를 건설했고, 광주수완, 아산배방 등에 에너지 시설, 삼척, 통영, 평택 등지에 LNG 탱크 건설에 참여했다. 베트남, 스리랑카 등 해외에도 플랜트 시설을 건설했다.
- 해외 사업: 1965년 태국 중앙방송국 타워 건설을 시작으로, 베트남 랜드마크72를 건설했다. 2011년 사우디 ‘아람코’ 입찰 자격을 획득해 해외 플랜트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3. 1. 건축
경남기업은 국내 주택사업면허 1호를 획득, 1977년 반포 경남아파트를 시작으로 아파트를 건설하였다. 현재는 ‘경남아너스빌’ 브랜드 아파트를 용인 흥덕, 파주 교하, 성남 판교, 대전 둔산, 진해 마천, 부산 해운대 등에 건설하였다. 또한 대구 대봉동 센트로팰리스(지상 43층, 2007년 준공)와 같은 주상복합건물, 대전 목원대학교, 영남대학교 병원, 잠실 올림픽수영장 등을 완공하였다.3. 2. 토목
경남기업은 경부고속철도 노반 시설 공사를 시공하였고, 호남고속철도 공사에도 참여하고 있다. 또한 서울, 부산, 인천, 대구, 대전, 광주 지하철 공사와 경춘선 2, 6공구를 비롯한 전국의 복선 전철화 공사, 경부고속도로를 비롯해 전국 각지를 연결하는 도로 공사도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동북선 경전철 사업, 제2외곽순환고속도로(포천~화도) 등 대규모 프로젝트 최초 사업 제안자로서 국내 SOC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3. 3. 플랜트
경남기업은 태안, 영월, 영흥 등에 화력발전소를 건설했고, 광주수완, 아산배방 등에 대규모 에너지 시설을 지었다. 또한 삼척, 통영, 평택 등지에서 LNG 탱크 건설에도 참여했다. 국내 ECA 기관 및 발전 자회사와 동반으로 베트남, 스리랑카 등에도 널리 플랜트 시설이 분포되어 있다.3. 4. 해외 사업
경남기업은 1967년 국내 건설업체 최초로 해외건설 면허를 취득한 이래 현재 중동, 동남아, 아프리카 등 해외 10개국에서 에너지, 도로, 지하철, 철도, 항만, 교량, 터널, 플랜트 등 인프라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1965년 태국 중앙방송국 타워 건설을 시작으로 현재 베트남 등 5개국 20여개 현장에서 공사를 진행 중이다. 특히 베트남 '랜드마크72'는 건축 연면적 기준 세계 최대 규모(608946m2)이며 베트남 내 최고층 건물(72층, 350m)이자 국내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한 사업 중 단일 규모로는 최대 해외 투자 사업(1.1조원)이다. 2011년에는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의 입찰 자격을 획득하여 현재 대규모 해외 플랜트 시장에서 여러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4. 브랜드
경남아너스빌은 사는 사람들의 '명예(honors)'가 되는 고품격 주거공간이며 도심 속에서 안락한 휴식과 레저 생활을 재현할 수 있는 웰빙 공간을 지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1. 주요 단지 현황
지역 | 단지명 | 위치 | 준공/입주 |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해운대 경남아너스빌 | 중동 | 2012년 3월 | |
울산광역시 | 동구 | 울산 경남아너스빌 시그니처(SM삼환기업) | 방어동 | 2024년 3월 |
울주군 | 신울산 경남아너스빌 | 언양읍 | 2010년 2월 | |
대구광역시 중구 | 대구역 경남 센트로팰리스 | 태평로3가 | 2022년 7월 | |
경기도 광주시 | 탄벌 경남아너스빌 | 탄벌동 | 2011년 1월 | |
전라남도 무안군 | 남악신도시 경남아너스빌 | 삼향읍 | 2008년 11월 | |
충청남도 공주시 | 신관 2차 대아아이투빌 | 신관동 | 2002년 11월 |
5. 비리 사건
2015년 자원 외교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특수1부로부터 수사가 시작되었다.
6. 본점 및 지점
경남기업의 본점은 충청남도 아산시 청운로176번길 25, 2층 (권곡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지점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동1로 22, 9, 10층 (당산동2가)에 위치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상장폐지
http://kind.krx.co.k[...]
2015-03-01
[2]
웹인용
故 성완종 회장, "술집 여자가 안방으로 치고 들어와 엄마와 쫓겨나"
http://m.pub.chosun.[...]
2019-02-20
[3]
웹사이트
분기보고서
http://kind.krx.co.k[...]
2014-12-01
[4]
뉴스
경남기업 오늘 법정관리 신청…협력업체 등 피해 우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3-27
[5]
문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확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