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잘츠기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츠기터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942년에 여러 마을을 통합하여 형성된 독립시이다. 이 도시는 오더발트 숲과 잘츠기터 구릉 사이에 위치하며, 철광석 채굴과 제철소 설립을 위해 나치 독일 시대에 크게 발전했다. 잘츠기터는 31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7개의 타운으로 나뉘어 행정 구역을 관리한다. 1937년 헤르만 괴링 제철소 설립 이후 인구가 급증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연합군의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여러 산업 시설과 박물관, 역사적인 건축물, 자매 도시 관계를 통해 지역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노버주 - 괴팅겐
    괴팅겐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737년 괴팅겐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의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하노버주 - 뤼네부르크
    독일 니더작센주에 있는 뤼네부르크는 제염업으로 한자 동맹 도시로 번성했던 역사를 지닌 도시로, 구시가지 보존과 뤼네부르크 석남지 인접으로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지반 침하 현상과 뤼네부르크 대학교가 특징이다.
  • 니더작센주 - 괴팅겐
    괴팅겐은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도시로, 1737년 괴팅겐 대학교가 설립되어 학문의 도시로 발전했으며, 다양한 연구 기관과 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 니더작센주 - 하노버
    하노버는 니더작센주의 주도로, 영국과의 동군연합 시대를 거쳐 공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2000년 세계박람회를 개최한 문화, 경제 중심지이다.
  • 독일의 도시 - 프랑크푸르트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은 독일 헤센주에 있는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자 유럽중앙은행을 비롯한 주요 국제기구의 본거지이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을 거쳐 유럽 최대의 고층빌딩 도시이자 국제적인 교통 허브로 성장한 다문화 도시이다.
  • 독일의 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잘츠기터
개요
잘더 성 정면 겨울 풍경
잘더 성
잘츠기터 문장
잘츠기터 문장
잘츠기터 깃발
잘츠기터 깃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잘츠기터
현지어 이름Soltgitter (잘츠기터)
위치독일 니더작센주
면적223.92 km²
높이80-275 m
시간대중앙유럽 표준시 (UTC+1)
여름 시간 (DST)중앙유럽 일광 절약 시간 (UTC+2)
행정
국가독일
니더작센주
행정 구역도시 (urban)
자치체 구분7개 읍, 31개 자치구
시장프랑크 클링겔빌
시장 임기2021–26
시장 직함Oberbürgermeister (시장)
소속 정당CDU
통계
인구104,948명 (2022년 12월 31일)
인구 밀도469 명/km²
식별 번호
우편 번호38226, 38228, 38229, 38239, 38259
지역 번호05341
차량 번호판SZ
지방 자치체 코드03 1 02 000
지리
도시 간 거리약 23 km (동서), 약 51 km (남북)
기타
웹사이트잘츠기터 공식 웹사이트

2. 명칭

1942년 3월 31일까지 "잘츠기터"는 현재 잘츠기터-바트 자치구에 위치한 마을의 이름이었다. 그 후 1951년까지 "잘츠기터"는 당시 존재했던 와텐슈테트-잘츠기터 시의 자치구 이름이었다. 1951년, 잘츠기터 자치구는 잘츠기터-바트로 개명되었고, 잘츠기터라는 이름이 비워지면서, 그때까지 "와텐슈테트-잘츠기터"라고 불렸던 도시의 새롭고 더 간결한 이름이 되었다. (현재 "잘츠기터-와텐슈테트"는 수백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작은 자치구의 이름이다.)[4]

3. 지리

잘츠기터는 오더발트 숲과 잘츠기터-회헨추크("잘츠기터 구릉") 사이에 있는 뢰스로 덮인 넓은 계곡에 위치해 있다. 남북 길이는 24km, 동서 길이는 19km이다. 가장 높은 지점은 잘츠기터-바트 북서쪽에 위치한 함베르크 언덕(275m)이다.

3. 1. 인접 도시

북동쪽부터 시계 방향


4. 역사

잘츠기터의 역사는 14세기 초 염천(소금 샘)에서 시작되어 20세기 산업화와 전쟁, 그리고 전후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37년 나치는 잘츠기터의 철광석 매장량을 바탕으로 헤르만 괴링 제철소를 설립했다. 제철소 개발을 위해 1942년 4월 1일 ''헤르만-괴링-베르케 잘츠기터 주변 지역 정착에 관한 법령''에 따라 29개 자치구를 통합하여 ''슈타트크라이스 바텐슈테트-잘츠기터''라는 독립시를 형성했다. 이 과정에서 브라운슈바이크 자유국과 프로이센 하노버 주 간의 행정 구역 조정도 이루어졌다. 1942년 10월, 나치 친위대는 노이엔감 수용소의 하위 수용소인 드뤼테 강제 수용소를 설립하여 노예 노동을 강요했다.[5] 잘츠기터에는 3개의 강제 수용소가 있었으며, 전쟁 중 미국영국의 폭격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잘츠기터-드뤼테 강제 수용소 기념관


전후 바텐슈테트-잘츠기터는 니더작센 주 "브라운슈바이크 행정구"의 독립 도시가 되었다. 1951년 도시 이름은 "슈타트 잘츠기터"로, 잘츠기터 자치구는 "잘츠기터-바트"로 변경되었다. 1974년 니더작센 주 지역 행정 개혁으로 자치구 수가 31개로 늘었다. 철광석 채굴은 1982년까지 계속되었으며, 1975년부터 콘라트 광산에 심부 지질 처분소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이 계획되었다.

잘츠기터의 게오르그 광산, 1961년

4. 1. 초기 역사 (14세기 ~ 19세기)

잘츠기터는 14세기 초 베르프슈테트(후에 푀프슈테트) 마을 근처의 염천을 중심으로 생겨났다. '잘츠기터'라는 이름은 인접한 마을 기터(현재 도시 구)에서 유래되었으며, "up dem solte to Gytere"는 "기터 근처의 소금"을 의미하며 1347년에 처음 언급되었다.[4] 여러 샘에서 200년 동안 소금을 생산한 후, 현재 잘츠기터 지역의 농민들은 1350년경에 특허를 받았지만, 16세기 초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으로 이전되면서 다시 자치법을 잃었다. 나중에 잘츠기터는 힐데스하임 주교령에 속했다. 1803년 주교령이 프로이센으로 이전되면서 자치법이 재확인되었지만, 1815년 잘츠기터가 하노버 왕국의 일부가 되면서 다시 폐지되었다. 1830년, 염수 목욕탕이 잘츠기터에 설립되었다.

1866년 하노버 왕국이 프로이센으로 이전된 후, 잘츠기터는 프로이센 자치체가 되었고, 1929년에 다시 특허를 받았다. 그 전에는 포어잘츠와 리벤할 마을이 각각 1926년과 1928년에 통합되었다. 잘츠기터는 현재 고슬라르 (Landkreis)에 속해 있으며, 잘츠기터 자체 외에도 현재 잘츠기터-바트의 일부인 기터토르와 같은 작은 정착지를 포함했다. 1936년에는 크니에슈테트가 합병되었으며, 현재 잘츠기터-바트의 일부이다.

4. 2.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0년대 ~ 1945년)

1942년 3월 31일까지 "잘츠기터"는 현재 잘츠기터-바트 자치구에 위치한 마을의 이름이었다. 이후 1951년까지 "잘츠기터"는 당시 존재했던 와텐슈테트-잘츠기터 시의 자치구 이름이었다. 1951년, 잘츠기터 자치구는 잘츠기터-바트로 개명되었고, 잘츠기터라는 이름이 비면서 그때까지 "와텐슈테트-잘츠기터"라고 불렸던 도시의 새롭고 더 간결한 이름이 되었다. (현재 "잘츠기터-와텐슈테트"는 수백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작은 자치구의 이름이다.)[4]

4. 3. 전후 재건과 현대 (1945년 이후)

1942년 3월 31일까지 "잘츠기터"는 현재 잘츠기터-바트 자치구에 있던 마을 이름이었다. 이후 1951년까지 "잘츠기터"는 당시 존재했던 와텐슈테트-잘츠기터 시의 자치구 이름이었다. 1951년 잘츠기터 자치구는 잘츠기터-바트로 이름이 바뀌었고, 잘츠기터라는 이름이 비면서 그때까지 "와텐슈테트-잘츠기터"라고 불렸던 도시의 새롭고 더 간결한 이름이 되었다. (현재 "잘츠기터-와텐슈테트"는 수백 명이 거주하는 작은 자치구의 이름이다.)[4]

5. 행정 구역

잘츠기터와 31개 자치구


잘츠기터시는 31개의 자치구(Stadtteilede, 흔히 마을이라고 불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자치구는 다시 7개의 타운(Ortschaftende)으로 나뉘며, 각 타운은 선출된 시장과 타운 의회를 갖는다.

31개 자치구는 다음과 같다: 바트, 바룸, 베딩겐, 바이눔, 블레켄슈테트, 브루흐마흐터젠, 칼베흐트, 드리테, 엥겔슈테트, 엥게로데, 플라흐퇴크하임, 게브하르트하겐, 기터, 그로스 마너, 할렌도르프, 헤르테, 호엔로데, 임멘도르프, 레벤슈테트, 레세, 리히텐베르크, 로브마흐터젠, 올렌도르프, 오스터린데, 렙프너, 링겔하임, 잘더, 자우잉겐, 티데, 위핑겐, 바텐슈테트.

7개의 타운과 각 타운에 속하는 자치구는 다음과 같다.

타운자치구
타운 북부레벤슈테트, 잘더, 브루흐마흐터젠, 엥겔슈테트
타운 북동부티데, 베딩겐, 위핑겐, 자우잉겐
타운 북서부리히텐베르크, 오스터린데, 렙프너, 레세
타운 동부할렌도르프, 블레켄슈테트, 드리테, 임멘도르프, 바텐슈테트
타운 남부바트, 기터, 그로스 마너, 링겔하임, 호엔로데
타운 남동부플라흐퇴크하임, 바룸, 바이눔, 로브마흐터젠, 올렌도르프
타운 서부게브하르트하겐, 칼베흐트, 엥게로데, 헤르테


6. 인구

잘츠기터의 인구는 1942년까지는 잘츠기터-바트의 현대 분구, 1942년부터는 독립시 바텐슈테트-잘츠기터와 잘츠기터 순으로 집계되었다.[6] 1821년 2,258명이었던 인구는 1942년 108,480명으로 급증했다. 이후 인구는 변동을 거듭하여 2016년 12월에는 103,668명을 기록했다.

인구 변화[6]
연도인구
18212,258
18482,654
18712,752
18852,681
19052,837
19252,852
193319,164
1942108,480
194693,260
1948110,247
1950108,888
1961년 6월 6일110,200
1965115,500
1970119,000
1975119,000
1980113,500
1987년 5월 25일111,069
1989111,676
1997년 6월 30일116,300
2003년 10월109,632
2004년 9월108,614
2005년 2월108,174
2015년 12월101,079
2016년 12월103,668



2023년 기준 외국 출생자는 37,048명으로 전체 인구의 32.8%를 차지한다. 잘츠기터 인구의 46.3%는 이민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대다수는 중동 또는 동유럽 국가 출신이다. 잘츠기터는 니더작센주에서 독일인 대비 이민자 비율이 가장 높다.

6. 1. 주요 외국인 거주 그룹 (2024년)

주요 외국인 거주 그룹[7]
국적인구 (2024년)
터키8,214
시리아6,923
루마니아2,859
불가리아2,656
폴란드1,602
우크라이나1,544
세르비아1,255
이란1,034
알바니아761
카메룬745
인도656
튀니지549
크로아티아521
이라크487
알제리443


7. 종교

잘츠기터의 현대 도시 지역은 원래 힐데스하임 교구에 속했다. 1568년 종교 개혁이 잘츠기터에 정착되었고, 두 개의 교회 감독이 생겨났다. 현대 도시 지역의 남쪽 부분인 잘츠기터 감독은 하노버 주에 속해 있었고, 따라서 교회적으로는 하노버 복음주의 루터교회 (그리고 그 안에서는 힐데스하임 종무원)에 속했다. 그러나 북쪽 부분(레벤슈테트 감독)은 브라운슈바이크 자유주에 속해 있었고, 따라서 브라운슈바이크 복음주의 루터교회에 속했다.[8]

1942년 와텐슈테트-잘츠기터 시가 창설되었을 때, 전체 지역은 정치적으로나 교회적으로나 브라운슈바이크 주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잘츠기터의 모든 교구는 현재 브라운슈바이크 교회에 속한다. 두 감독은 오늘날 '프로프스타이'(교구)라고 불리며, 잘츠기터-바트와 잘츠기터-레벤슈테트 '프로프스타이' 모두 잘츠기터 시 내에 있지 않은 추가적인 교구를 포함한다.[8]

종교 개혁 이후 시로 이주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중세 시대와 마찬가지로 힐데스하임 교구에 속했으며, 잘츠기터에 별도의 교구를 설립했다. 현재 시의 모든 로마 가톨릭 교구는 해당 교구에 속한다.[8]

두 주요 종파 외에도, 잘츠기터에는 자유 교회에 속하는 교회가 있다. 여기에는 침례교 교구, 하나님의 교회, 플리머스 형제단,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그리고 여러 새사도 교회가 포함된다.[8]

1970년대 외국인 노동자들의 이민으로 인해, 몇몇 이슬람 모스크가 있다. 2011년 인구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계산에 따르면, 잘츠기터는 니더작센 주의 모든 주요 도시 중에서 무슬림 이민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8]

8. 정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 점령 구역의 군정은 영국의 공동체 헌법을 시행하였다. 또한, 선출된 의회가 있다. 의회는 의원 중 한 명을 시의 지도자이자 대표인 시장(독일어: ''Oberbürgermeister'')으로 선출한다. 이 외에도 1946년부터 시 의회의 최고 행정 책임자였던 ''Oberstadtdirektor''가 있었다. 2001년부터 의회 지도자와 최고 행정 책임자의 직책이 통합되어 단순히 시장이라고 불린다. 시민들의 선출을 받은 시장은 도시를 대표하고 의회를 이끈다.

9. 경제

잘츠기터 AG의 제철소


잘츠기터에는 다음과 같은 기업들이 있다.

  • 알스톰 교통
  • 잘츠기터 AG(과거 '헤르만 괴링 베르케'였음)
  • 폭스바겐 잘츠기터 공장
  • 섀퍼 & 브뤼머
  • 로버트 보쉬
  • SMAG
  • 이케아는 잘츠기터에 가장 큰 창고를 건설했다.


잘츠기터는 다음과 같은 공공 기관의 소재지이다.

  • 연방 방사선 방호청(Bundesamt für Strahlenschutz): 1989년에 설립된 독일의 연방 방사선 방호청
  • 니더작센주(Lower-Saxony) 사법 행정부 중앙 등록 사무소


잘츠기터에서는 일간 신문인 ''잘츠기터 차이퉁''과 일요 신문 ''잘츠기터-보헤 암 존탁''이 발행된다. 또한, 행사 일정지인 ''잘츠기터 장면''과 온라인 잡지 ''잘츠기터-아투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 TV 채널인 ''TV 38''이 케이블 텔레비전을 통해 방송된다.

10. 교통

잘츠기터는 도로, 철도, 대중교통망이 잘 갖추어져 있다.

아우토반고속도로가 도시를 관통하고, 여러 개의 철도역이 있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다. 특히 잘츠기터-링겔하임역과 잘츠기터-레벤슈테트역이 중요하다. 잘츠기터에는 '중앙역(Hauptbahnhof)'이 없다.

잘츠기터는 여러 마을로 구성되어 있어, 도시 내에서는 버스 교통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0. 1. 도로

잘츠기터 북쪽에는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잘츠기터 분기점(아우토반 A 7 카셀-하노버로 갈아탈 수 있는 곳)까지 가는 아우토반 A 39가 있다. 잘츠기터는 이 아우토반으로 연결되는 5개의 입체 교차로를 가지고 있다. 잘츠기터 동쪽에는 4개의 분기점을 통해 잘츠기터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아우토반 395 (브라운슈바이크-고슬라)가 있다.

두 개의 고속도로가 잘츠기터를 관통한다.

10. 2. 철도

잘츠기터에는 6개의 철도역이 있다. 가장 중요한 역은 잘츠기터-링겔하임 구역에 있으며, 가장 중심적인 역은 잘츠기터-레벤슈테트에 있다. 잘츠기터에는 '중앙역(Hauptbahnhof)'이 없다. 잘츠기터-링겔하임역은 할레 (잘레)-고슬라-잘츠기터-힐데스하임-하노버 선에 위치해 있다. 다른 노선은 하르츠 산맥과 브라운슈바이크로 연결되며, 잘츠기터-바트를 경유한다. 잘츠기터-레벤슈테트는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출발하여 잘츠기터의 다른 역들을 경유하는 지역 노선의 종착역이다.

10. 3. 대중교통

잘츠기터에는 세 개의 버스 회사가 있다. 잘츠기터가 많은 흩어진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버스 네트워크는 매우 중요하다.

11. 문화

잘츠기터에는 세 곳의 공공 도서관이 있다. 본 도서관은 잘츠기터-레벤슈테트(155,000권 소장)에 있으며, 잘츠기터-바트(42,000권 소장)와 잘츠기터-프레덴베르크(25,000권 소장)에 분관이 있다.[1]

잘츠기터에는 극장이 없지만, 다양한 장소에서 여러 공연이 열린다. 잘츠기터-바트에는 지역 김나지움(고등학교) 학생 극단에서 시작된 단체가 아마추어 연극을 지원하며, 100명에서 600명 사이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무대에서 공연한다. 뮤지컬 공연도 불규칙적으로 열린다.[1]

잘츠기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축제들이 열린다.[1]


  • 5월: 잘츠기터-레벤슈테트 시립 스포츠 주간
  • 5월: 잘츠기터-잘더 박물관 축제
  • 5/6월: 잘츠기터-바트 ''사격 축제'' (사격 클럽 주최)
  • 6/7월: 잘츠기터-바트 구시가지 축제

11. 1. 박물관

잘츠기터에는 다음과 같은 박물관이 있다.

  • '''잘츠기터 성 살더 시립 박물관'''(Städtisches Museum Schloss Salder): 입장료는 무료이며, 3500m2 이상의 부지에 지질학, 선사 시대, 도시 및 그 지역의 역사(예: 어룡, 레벤슈테트의 네안데르탈인, 잘츠기터 철광석 채굴 및 처리)에 대한 영구 전시가 있다. 총 3,000점 이상의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매년 특별 전시가 열린다. 기술 물체가 있는 야외 공간, 작동하는 풍차, 빙하기 길에는 매머드 등 실물 크기의 동물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 '''잘츠기터 성 살더 시립 미술관'''(Städtische Kunstsammlungen Schloss Salder)

11. 2. 건축물


  • 잘츠기터-레벤슈테트 구역:
  • * 도시 기념물 ''Turm der Arbeit'' ("노동의 탑", 도시의 상징, 1995년 건립): 이 기념물은 국가 사회주의 시대에 산업 건설 과정에서 강제 노동자와 나치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이 겪었던 고통, 오데르와 나이세강 너머 고향에서 도망친 사람들, 철강 공장 철거에 맞선 싸움, 그리고 잘츠기터 시민들의 삶과 재건을 향한 의지를 이야기한다.[1]
  • * 시청 (1959-1963년 건립)[1]
  • * 아이스 스포츠 홀 (극동 양식)[1]
  • 잘츠기터-바트 구역:
  • * 구시가지[1]
  • * Thermalsolbad ("온천 염수 욕장")[1]
  • * 개신교 교회 성 마리아 야코비: 1481년에 건설된 군사 방어 교회[1]
  • * 가톨릭 교회 성 마리엔[1]
  • * 구 니콜라이 교회 (현재는 이벤트 공간)[1]
  • * 잘츠기터 비스마르크 탑[1]
  • * 시장 광장에 있던 구 시청[1]
  • * 틸리 하우스[1]
  • * 크니슈테트의 농가 (현재는 노인 요양원 및 음악 학교)[1]
  • * "Beamtensiedlung" (1930년부터 제철소 직원의 주거지)[1]
  • 잘츠기터-엔게로데: 순례 교회, 1236년에 건축된 예배당, 프레스코가 드러난, 니더작센에서 가장 오래된 순례 교회 중 하나[1]
  • 잘츠기터-게브하르트스하겐: 바서부르크 (성), 거의 1000년 된 성[1]
  • 잘츠기터-호엔로데: 프란조젠브뤼케 ("프랑스 다리"), 이너르슈테 강을 가로지르는 석조 아치 다리[1]
  • 잘츠기터-리히텐베르크: 성터, 한때 사자공 하인리히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1552년에 파괴되었고 1950년대에 다시 공개되었다. 전망대와 레스토랑이 있다.[1]
  • 잘츠기터-링겔하임: 링겔하임 성, 10세기에 설립된 구 수도원, 1803년에 세속화되었다. 1694년에 건축된 바로크 양식 교회, 귀중한 오르간 (악기) 포함; 십자가는 힐데스하임 주교 베른바르트의 작업장 (약 1000년); 대형 성 공원 (''Schlosspark'')[1]
  • 잘츠기터-잘더: 시립 박물관이 있는 잘더 성, 이전 도시의 상징; 약 1600년경 "베저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축된 이 성은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의 귀족 가문 폰 잘더의 거주지였으며, 나중에는 공작의 영지였다; 현재는 지역 역사 박물관; 원형 평면의 성 교회 마리아-마그달레나.[1]
  • 잘츠기터-타이데: 1003년에 설립된 수도원 슈테터부르크, 여성 수도원; 11세기의 건물들이 아직 남아 있다. 수녀원장의 집은 1691년에 지어졌다. 교회는 1752년에 지어졌다. 1938년에는 이 지역이 테넌트로 재건되었다.[1]

11. 3. 기타


  • 잘츠기터-레벤슈테트의 석기 시대 고고학 발굴
  • 야외 무대와 잉글리시 공원(1756/1821)이 있는 잘츠기터-플라흐슈퇴크하임의 농가
  • 잘츠기터 호수(Salzgittersee): 잘츠기터-레벤슈테트에 위치, 해변, 수상 스키, 보트, 인라인 스케이트, 다이빙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05년 잘츠기터 호수

12. 자매 도시

잘츠기터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9]

국가도시
Suomi|핀란드fi이마트라 (1970)
United Kingdom|영국영어스윈던 (1975)
France|프랑스프랑스어크레테유 (1980)
Россия|러시아ru스타리 오스콜 (1987)
Deutschland|독일de고타 (1988)


13. 출신 인물


  • 프리드리히 슐렘 (1795–1859), 의사이자 해부학자

프리드리히 슐렘

  • 하인리히 아렌스 (1808–1874), 철학자
  • 아우구스트 예거 (1808–1848), 작가, 프로이센 개신교회의 나치화 노력을 주도
  • 헤르만 라테만 (1852–1894), 열기구 조종사, 낙하산의 초기 시제품 실험
  • 빌헬름 바스무스 (1880–1938), 외교관, 스파이, 니더마이어-헨티히 원정의 일원
  • 하겐 슈테어 (1941년 출생), 독일계 호주 참치 양식업자이자 기업가
  • 한스요아힘 게르케 (1945년 출생), 고대 및 고전 고대 역사가
  • 하랄트 바이스 (1949년 출생), 작곡가,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 및 프리랜서 예술가
  • 크리스티안 츠바르크 (1968년 출생), 오디오 엔지니어 및 마스터링 엔지니어
  • 셰브넴 뇜메즈 (1974년 출생), 튀르키예 영화 및 TV 드라마 배우이자 TV 쇼 진행자
  • 마르틴 드레베스 (군인)
  • 다니엘 테이스 (농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Direktwahlen in Niedersachsen vom 12. September 2021 https://wahlen.stati[...] Landesamt für Statistik Niedersachsen 2021-10-13
[2] 서적 Deutsches Aussprachewörterbuch https://archive.org/[...] Walter de Gruyter
[3]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Dudenverlag
[4] 웹사이트 salzgitter.de – history of the name (German) http://www.salzgitte[...]
[5] 간행물 Neuengamme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Holocaust Encyclopedia. 2007-04-18
[6] 웹사이트 salzgitter.de: Statistisches Jahrbuch https://www.salzgitt[...]
[7] 문서 Monatsbericht Februar 2024 https://www.salzgitt[...] salzgitter.de (German)
[8] 웹사이트 Kartenseite: Muslime in Niedersachsen – Gemeinden https://kartenseite.[...] kartenseite.wordpress.com 2017-03-27
[9] 웹인용 Freunde in Europa https://www.salzgitt[...] Salzgitter 2021-03-18
[10] Population Population GER-NI
[11] 웹사이트 Bevölkerungfortschreibung http://www1.nls.nied[...] Landesbetrieb für Statistik und Kommunikationstechnologie Niedersachs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