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동 어업 정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 어업 정책(CFP)은 유럽 연합(EU)의 어업을 관리하는 정책으로, 어업의 중요성, 메커니즘, 비판, 그리고 역사적 배경을 포괄한다. EU 내 어업은 경제적 규모는 작지만, 14만 명 이상의 어부를 고용하고 있으며, 어획량, 양식업, 수산물 무역 등을 포함한다. CFP는 생산, 품질, 시장 관리, 대외 관계를 아우르며, 어획 할당량, 생산자 단체, 어선 및 육상 어업 산업 구조, 자금 지원 기구 등을 통해 운영된다. 그러나 CFP는 환경 파괴, 어족 자원 고갈, 어부들의 생계 위협, 그리고 집중화된 관리 방식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다. CFP의 역사는 19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1983년 정책 설정 이후 여러 차례 개혁을 거쳤다. 브렉시트는 CFP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과 EU 간의 무역 협상을 통해 세부 사항이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산업법 - 대구 전쟁
    대구 전쟁은 아이슬란드가 어족 자원 보호와 경제적 이익을 위해 자국 연안의 어업 수역을 확장하면서 영국과 발생한 어업 분쟁으로, 아이슬란드의 승리로 종결되어 배타적 경제수역 개념 확립에 영향을 주었다.
  • 수산업법 - 영해
    영해는 연안국이 기선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서 배타적인 관할권을 행사하는 수역으로, 외국 선박은 무해 통항권을 가지며 현재 국제적으로 12해리까지 인정된다.
  • 유럽 연합의 경제 - 공동 농업 정책
    공동 농업 정책은 유럽 경제 공동체의 식량 위기 극복을 위해 마련되어 농산물 단일 시장 형성, 생산성 향상, 식량 안정 공급에 기여했으나, 과잉 생산, 수출 보조금, 농업 보조금의 불공정성 등의 문제로 개혁을 거쳐 환경 보호, 기후 변화 대응, 농촌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과제를 안고 있다.
  • 유럽 연합의 경제 - 유로
    유로는 유럽 연합의 20개 회원국이 사용하는 통화이자 유로존의 공식 통화로, 유럽 중앙은행이 발행과 통화정책을 담당하며 유럽 통합의 중요한 이정표이지만 경제적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공동 어업 정책
개요
명칭공동 어업 정책
Common Fisheries Policy 약칭CFP
목표어족 자원 관리, 어업 및 양식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보장
관할 구역유럽 연합 수역
관련 기관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유럽 의회, 유럽 연합 이사회
법적 근거유럽 연합 기능 조약 (TFEU)
역사
최초 시행1970년
주요 개정1983년, 1992년, 2002년, 2013년
목적어족 자원 보존 및 관리
어업 활동의 경제적, 사회적 지속 가능성 확보
유럽 연합 어업 공동체의 이익 보호
주요 내용
어획량 할당각 회원국에 어획량 할당 (쿼터제)
어업 활동 규제조업 가능 지역, 어획 방법, 어구 사용 제한 등 규정
어획 금지 구역 및 기간 설정
자원 보존 조치어린 물고기 보호, 산란기 어류 보호
멸종 위기종 보호
어업 감시 및 단속불법 어업 방지, 규정 준수 여부 감시
국제 협력다른 국가 또는 국제 기구와의 어업 협정 체결
공동 자원 관리
정책 도구
TAC (Total Allowable Catch)총 허용 어획량 설정
쿼터각 회원국별 어획 할당량
기술적 조치어구 규제, 조업 금지 구역 설정 등
통제 및 집행어업 감시, 불법 어업 제재
다년 계획특정 어종 또는 해역에 대한 장기 관리 계획
문제점 및 비판
어족 자원 고갈일부 어종의 과도한 어획으로 인한 자원 감소
불법 어업규정 위반 어업 활동 지속
정책 집행의 어려움회원국 간 이해 충돌, 감시 및 단속의 한계
환경 문제어업 활동으로 인한 해양 생태계 파괴
최근 동향
2013년 개혁지속 가능한 어업 목표 강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자원 관리
어업 의사 결정 과정의 투명성 확대
유럽 해양, 어업 및 양식업 기금 (EMFAF)어업 부문의 지속 가능한 발전 지원
추가 정보
관련 웹사이트유럽 연합 해양 및 어업 총국 웹사이트

2. 유럽 어업의 중요성

유럽 연합(EU)에서 어업은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스코틀랜드의 프레이저버러나 피터헤드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는 고용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산업이다. EU 전체적으로 어업 및 양식업에 종사하는 전업 인구는 약 17만 명이며, 약 83,000척의 어선을 보유하고 있다. 2009년 EU는 약 637만 톤의 어류를 어획하여 세계 5위를 기록했다.[44] 이처럼 어업 외 다른 일자리가 부족한 지역을 발전시키기 위해 EU는 어업에 자금을 지원하기도 한다.

EU의 어업 지출 현황 (2004년)


최근 어류 및 수산 가공품 시장은 변화하고 있다. 슈퍼마켓이 어류의 주요 구매자로 등장하면서 안정적인 공급이 중요해졌다. 생선 판매액은 감소하는 추세지만, 수산 가공품 및 조리 식품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EU 내 수산 가공업 고용은 감소하고 있으며, EU에서 소비되는 어류의 60%는 외부에서 수입된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생선 운반 기술이 발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EU 수산업은 과잉 설비와 어획량 부족으로 경쟁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44]

2. 1. 어획

EU 어업은 연간 약 600만 톤의 어획량을 기록하며,[6] 이 중 약 70만 톤은 영국 수역에서 어획된다.[7] 2014년 EU 전체 어획량에서 영국의 비중은 75만 2천 톤으로, EU 회원국 중 두 번째로 큰 어획량을 기록했다.[8] 이러한 비율은 1964년 런던 어업 협약과 EU의 공동 어업 정책에 의해 결정된다.

스코틀랜드의 프레이저버그와 피터헤드는 EU 최대 어항이며, 원양 선단의 본거지이다. 이 지역들은 어업이 고용의 4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며, 다른 고용 기회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지역 개발을 위해 어업에 대한 지역 사회 기금이 지원되고 있다.

2. 2. 양식

어류 양식은 세계 식량 생산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1995년에 어류 양식은 세계 어류 및 조개류 생산액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유럽 연합(EU)의 주요 양식 어종은 송어, 연어, 홍합, 굴 등이며, 농어, 도미, 넙치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45] 유럽 공동체(EC)는 1971년부터 내수면 어류 양식을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후반에는 지원 범위를 다른 지역으로 확대했다. EU의 지원은 다른 육상 시설과 유사한 분야를 포괄하지만, 양식장이 건설된 곳에 대규모 어류를 집중적으로 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기술적 및 환경적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우려가 있다. 어류 양식 산업은 양식 어류 수요의 변동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3. 공동어업정책(CFP)의 메커니즘

공동어업정책(CFP)은 유럽 연합의 어업 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 어족 자원 보존, 어업 구조 조정, 시장 관리, 대외 관계라는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갖추고 있다.

공동어업정책(CFP)의 주요 구성 요소
구성 요소설명
어족 자원 보존어획량 제한, 어구 규제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어업을 추구한다.
어업 구조 조정어선 감축, 어업 기술 현대화 등을 지원하여 어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시장 관리생산자 단체(PO) 지원, 최저 어가 보장 등을 통해 어업인 소득 안정과 시장 안정을 도모한다.
대외 관계EU 외부 국가와의 무역 규칙 설정을 통해 EU 어업 시장을 보호하고, 국제 어업 협력에 참여한다.


시장 관리 정책


  • 생산, 품질, 등급, 포장, 라벨링 규정: 어획물의 품질을 관리하고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 생산자 단체(PO) 장려: 어부들이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어획량 조절 및 가격 안정을 통해 소득을 증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5]
  • 최저 어가 설정 및 판매되지 않은 어류 구매 자금 조달: 어획량 과잉 시 어가 하락을 방지하고 어부들의 소득을 보장한다.
  • EU 외부 국가와의 무역 규칙 설정: EU 어업 시장을 보호하고, 국제 어업 질서 확립에 기여한다.


이러한 정책들을 통해 공동어업정책은 어족 자원을 보존하면서도 어업인들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고, EU 어업 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1. 어획 할당량 및 규정

유럽 연합 이사회는 매년 12월, 유럽 위원회의 제안과 과학 자문 위원회(STECF)의 자문을 받아 어종별 총 허용 어획량(TAC)을 결정한다.[6] 공동어업정책(CFP)은 이렇게 정해진 총 허용 어획량을 회원국 간에 할당한다.[6] 각 회원국은 할당량 준수 여부를 감시하고, 어부들에게 할당량을 분배해야 한다. 이때 면허, 제한적 진입, 개별 어획 할당량 등 다양한 관리 방식을 활용할 수 있다.[6]

어획물에는 최소 어획 크기 및 최소 그물코 크기 규정이 적용되어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고 자원 회복을 돕는다.[6] 다만, 어종별 성어 크기가 달라 그물코 크기 선택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6]

더불어민주당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어족 자원 관리와 어획 할당량 및 규정 준수를 강조한다.

3. 1. 1. EU 수준의 규칙 채택

공동어업정책(CFP)은 각 어종별로 특정 ICES 통계 구역 또는 구역 그룹에서 1년 또는 2년 단위로 잡을 수 있는 어획량 할당량, 즉 총 허용 어획량(TAC)을 설정한다.[6] 각 국가는 총 허용 어획량(TAC)과 전통적인 몫(할당 비율)을 기준으로 할당량을 받는다.[6] 총 허용 어획량(TAC)은 각료 이사회에서 매년 고정하며,[6] 유럽 위원회는 자체 과학 자문 위원회(어업 과학 기술 경제 위원회, STECF)와 협의하여 작성한 제안을 검토한다.[6] STECF는 일반적으로 국제해양탐사위원회(ICES) 및 기타 지역 어업 자문 정부간 기구에서 수행한 작업을 고려하여 유럽 위원회에 자문을 제공한다.[6]

3. 1. 2. 회원국 수준의 시행

기본 규정은 EU 관리의 일반 원칙을 설정하며, 각 회원국은 면허, 제한적 진입 또는 개별 어획 할당량과 같은 다양한 관리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6] 어획량과 양륙량은 기록되어야 한다.[6] 규정은 사용할 수 있는 어구의 종류를 다룬다.[6] 자원 회복을 위해 어업 금지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6]

어획물에 대한 최소 어획 크기 기준 때문에 어부들이 법적으로 양륙하기에는 너무 작은 죽은 물고기를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작은 물고기가 도망가 자원을 보충할 수 있도록 최소 그물코 크기가 도입되었다.[6] 하지만 그물코 선택은 복잡한데, 서로 다른 종의 성어는 자연적으로 크기가 다르며 서로 다른 그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6]

3. 2. 생산자 단체

현재 유럽 연합에는 160개 이상의 생산자 단체(PO)가 있다.[5] 이들은 어부 또는 양식업자들이 제품 판매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자발적인 단체이다.[5] 회원 자격은 해당 분야 선박의 최소 비율을 포함해야 하며, 유럽 연합 내 회원들의 국적 또는 위치에 따라 차별해서는 안 되고, 기타 유럽 연합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5] 생산자 단체는 시장 수요에 맞춰 어획량을 조정하기 위한 계획을 개발해야 하며, 같은 지역에서 어업을 하는 비회원에게도 회원과 동일한 제한 사항을 따르도록 요구할 수 있다.[5]

생산자 단체는 생산물 가격이 유럽 연합 이사회에서 정한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시장에서 철수할 수 있으며, 유럽 연합으로부터 보상을 받는다.[5] 보상 수준은 관련 어획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격이 하락하도록 설정된다.[5] 어획량은 보관 후 나중에 시장에 반환되거나 가축의 사료로 판매될 수 있다.[5] 어획량 매입은 가끔 발생하는 잉여분을 처리하기 위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5]

참치 어부들은 잉여 어획량을 매입하는 대신, 소득이 감소하면 직접 보상을 받는 제도를 가지고 있다.[5]

3. 3. 어선 및 육상 어업 산업 구조 정책

1977년에는 유럽 해양 수산 및 양식 기금으로 운영되는 어류 가공 산업 개선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이 프로그램에는 어류 필렛, 염장, 건조, 훈제, 조리, 냉동 및 통조림 등이 포함되며,[9] 어획 산업을 간접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 새로운 기술 도입과 위생 상태 개선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어류 가공 공장을 다른 용도로 전환하는 데에도 자금이 지원되었다.

각 국가에는 자국 어선 규모에 대한 목표가 부여된다. 선박 및 시설 현대화를 지원하고, 어선 규모를 줄이기 위해 어부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여 어업을 그만두게 하는 데 자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어획되지 않거나 대중에게 익숙하지 않은 어종의 소비를 장려하기 위한 광고 캠페인에도 자금이 사용될 수 있다. 산업체에서 제품 품질을 개선하고 어획 할당량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보조금도 제공된다.[10]

3. 4. CFP 지역화 및 분권화 시도

분산형 공동 어업 정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회원국들의 두 지역 그룹이 설립되었다. 하나는 발트해 연안을 둔 모든 EU 회원국을 포함하는 BALTFISH이고, 다른 하나는 북해를 담당하는 Scheveningen Group이다. 이들은 할당량 및 규정 초안을 준비하여 EU 기관에 제출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이들 그룹은 지역 어업 관리 기구에 필수적인 의사 결정 권한이나 집행 권한이 없으므로, 둘 다 그러한 기구로 취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권한은 전적으로 유럽 연합 기관에 남아 있다.[6]

3. 5. 자금 지원 기구

어업은 초기에 유럽 농업 지도 및 보증 기금(EAGGF)에서 자금을 지원받았다. 1977년에는 EU가 EAGGF의 일부로 어류 가공 산업을 개선하기 위한 지원 프로그램을 설립했다. 그 후, 어업 지도(또는 구조) 자금 지원은 1993년에 EAGGF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어업 지도 기금(FIFG)을 형성했으며, 어류 시장 개입은 EAGGF와 그 후계자인 유럽 농업 보증 기금(EAGF)의 과제로 남아 있었다. 1994년부터 1999년까지 FIFG의 예산은 총 였다. FIFG로부터의 모든 보조금에는 국가 정부의 최소한의 기여가 수반되어야 했고, 기업에 대한 보조금에는 기업 자체의 비례적 기여가 포함되어야 했다. 다른 지역에는 다른 지원 요율이 적용되었다. 그 후 FIFG는 2007년에 유럽 어업 기금(EFF)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13년에는 유럽 해양 수산 기금(EMFF)으로, 2021년에는 현재의 유럽 해양 수산 및 양식 기금(EMFAF)으로 최종적으로 전환되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이 기금은 유럽 어업 부문에 약 43억유로를 할당했다.[1] EMFAF의 채택은 특히 환경 단체에 의해 논쟁의 여지가 있었는데, 이는 이미 과잉 어획된 어종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선박 현대화 및 기타 조치를 지원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1]

3. 6. 집행 및 준수

공동어업정책(CFP) 집행은 회원국의 책임이지만, EU 수준의 검사 서비스를 통해 회원국이 규정을 잘 지키도록 보장한다.[6] 회원국은 자국 선박이 EU 외부에서 조업할 때도 EU 협정을 준수해야 한다.[7] [8]

집행은 어획 할당량 관리와 어족 자원 보존을 위한 기술적 조치 시행을 포함한다. 검사관은 어구, 어획 등록부를 검사하고, 어획된 어종을 확인하여 선박별 총 허용 어획량 할당량과 비교한다. 검사는 항구, 해상, 항공 사진을 통해 이루어지며, 어류 가공 공장도 검사하여 모든 어류가 문서화되고 출처 추적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EU 검사관은 EU로 수출하는 모든 국가의 위생 및 가공 규정이 EU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규정 미준수는 여전히 심각한 문제로, 많은 EU 어업에서 불법 어업이 전체 어획량의 3분의 1에서 절반을 차지하기도 한다.

4. 제3국 및 정부 간 기구와의 관계

EU는 유엔 해양법 협약 및 유엔 어류 자원 협정의 당사자이며, 지역 어업 관리 기구(RFMO)에서 회원국을 대표한다. 단, 국제 포경 위원회는 EU 외부 회원국의 종속 영토는 회원국이 직접 대표한다. 대외 무역은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에 따라 세계 무역 기구(WTO)에서 규제한다.

4. 1. 발트해 및 덴마크 해협

2007년 이전까지 발트해덴마크 해협의 일반적인 지역 어업 관리 기구는 국제 발트해 어업 위원회(IBFC)였다.[48] 그러나 이후 EU 공동 어업 정책(CFP)이 직접 관리하게 되었다.[11] 현재 발트해는 EU와 러시아 간의 양자 협정에 따라 관리되며,[11] 참치는 ICCAT, 연어는 NASCO, 고래는 IWC 등 특화된 RFMO가 추가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4. 2. 북해, 아일랜드해, 노르딕해, 바렌츠해, 백해 및 북동 대서양

EU는 북동 대서양 어업 위원회에 참여하여 북해, 아일랜드해, 노르딕해, 바렌츠해, 백해 및 북동 대서양의 어업을 관리한다.[6] 1997년 북해 국가 및 EU 대표는 해양 환경에 대한 위험을 식별하기 위한 공동 접근 방식에 동의했다.[7] 예방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환경 피해가 발생하기 전에 오염을 방지하고자 노력했다.[8]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종뿐만 아니라 모든 어류의 개체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브렉시트 이후, 건지 섬과 저지 섬에서 어업 문제가 제기되었다.[12] 프랑스는 2021년 저지 분쟁의 일환으로, 브렉시트 이후 어업권을 둘러싼 분쟁 과정에서 저지 섬에 대한 전력 공급 중단을 위협하기도 했다.[13]

4. 3. 지중해 및 흑해

지중해흑해에서의 대부분의 어업은 영해로 간주되는 약 19.31km (22km) 구역 내에서 이루어져 왔다.[48] 유럽 연합은 흑해를 포함하는 일반 지역 어업 관리 기구인 지중해 어업 위원회(GFCM)에 속해 있다.

4. 4. 기타 원격 지역 어업 관리 기구

유럽 연합은 북서 대서양 수산 기구, 남극 해양 생물 자원 보존 위원회, 동남 대서양 수산 기구, 남인도양 수산 협정, 남태평양 지역 수산 관리 기구, 서부 및 중부 태평양 수산 위원회의 회원이다.

4. 5. 참치 및 기타 특수 지역 어업 관리 기구

유럽 연합은 여러 지역 어업 관리 기구(RFMO)의 회원이다.[48]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대서양참치보존국제위원회(ICCAT): 지중해 참치에 대한 결정을 내리며, 1994년 특정 어업 방식을 금지하는 보존 규정을 도입하고 1997년 참치 어획량 목표를 설정했다.
  • 미주열대참치위원회(IATTC)
  • 인도양참치위원회(IOTC)
  • 북대서양연어보존기구(NASCO): 북해 및 발트해 연어 개체군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 국제포경위원회(IWC)


또한, 남방참다랑어보존위원회(CCSBT)의 확대 위원회(≈ 준회원) 회원이다.

4. 6. 지역 어업 자문 기구

유럽 연합(EU)은 국제해양탐사위원회(ICES)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으며, ICES는 공동 어업 정책(CFP) 결정을 안내하는 주요 과학적 조언의 원천이다. ICES의 권고는 구속력이 없지만, 어업 정책(CFP)과 관련된 거의 모든 EU 결정의 기반이 되어왔다.

유럽 연합은 다음 3개의 지역 어업 자문 정부간 기구의 회원이다.

  • 유럽 내수면 어업 및 양식 자문 위원회
  • 동중부 대서양 어업 위원회
  • 서중부 대서양 어업 위원회

5. 비판

공동 어업 정책(CFP)은 일부에서 환경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4][15] 그러나 어족 자원 고갈은 CFP 시행 이전부터 발생한 문제라는 반론도 있다.[16][17] CFP는 유럽 해역의 비효율적인 어업 관리 추세를 이어가며, 어족 자원 감소를 되돌리는 데 큰 기여를 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8]

EU의 어종별 할당량 제도는 어획 후 물고기를 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어부들은 잡는 어종을 완전히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할당량이 소진된 어종은 버려진다. 그러나 이는 이미 죽은 물고기를 버리는 것이므로, 어족 자원 보호라는 원래 의도를 달성하지 못한다.[19]

CFP는 상당한 어족 자원을 보유한 노르웨이,[20] 아이슬란드,[21][22][23] 그린란드페로 제도[24] 등이 EU에 가입하지 않는 주요 이유이기도 하다. 이들 국가는 자국 시장 규모가 작아, EU 공동 시장에 편입될 경우 자국 어업 자원이 다른 회원국에 의해 남획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5. 1. CFP 거버넌스와 보충성의 원칙

공동 어업 정책(CFP)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집중화된 하향식 관리 방식이라는 점이다. 유럽 연합 회원국은 정책 시행과 집행에 대한 책임을 지지만, 제안 생성과 결정에 대한 독점적인 권한은 유럽 위원회에 부여되었다.[25] 비평가들은 이 기구가 어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고, 정확한 총 허용 어획량(TAC) 및 쿼터를 설정하기에는 업계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25] CFP의 특징인 명령 및 통제 방식은 더 이상 효과적인 어업 관리 형태로 간주되지 않으며, 참여형 3차 거버넌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6]

CFP에 보충성 원칙을 적용하여 의사 결정 과정을 분권화하고, 이해 관계자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27] 보충성 원칙은 1992년 마스트리흐트 조약의 일환으로 EU 정책에 도입되었지만, 유럽 경제 공동체가 독점적인 권한을 유지하는 CFP와 같은 영역에는 적용되지 않는다.[28] 부분적인 분권화는 업계의 우려를 CFP에 포함시키고 정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관리 결정에 참여시켜 준수와 협력을 장려할 수 있다.[29]

CFP에 보충성 원칙을 적용하라는 요구는 CFP의 분권화를 주장하는 데 있으며, 이는 2002년 CFP 개혁 관련 논의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개혁 자체는 실제로 CFP 내에서 중앙 집권화를 강화하여 회원국이 쿼터 제안을 막을 수 있는 권리를 제거하고 EU의 집행 역할을 강화했다. 이러한 중앙 집권화 증가와 어업계의 바람에 대한 무시는 이해 관계자의 소외를 초래하고 준수 감소로 이어졌다.[30] 이러한 중앙 집권화된 개혁의 실패는 분권화 지지자들에게 어업 거버넌스의 미래 성공에 이해 관계자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했다.[31]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CFP에 보충성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정책의 효과를 개선하지 못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de Vivero 등은 이를 "참여의 역설"이라고 칭하는데, 이는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의 수가 많을수록 각 행위자가 하는 기여는 줄어들고 정책 과정에서 수행하는 참여 역할은 작아진다는 이론이다.[32] 따라서 보충성 원칙은 CFP 개혁과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이 옹호하는 정부에서 거버넌스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효과적이고 공정한 공동 어업 정책의 개발을 보장하기 위해 정책의 영향을 받는 주요 이해 관계자의 참여 역할을 극대화해야 한다.

6. 역사

1970년 공동 시장 초기 6개 회원국은 어류 및 어류 제품의 자유 무역 지역을 만들기 위한 공통 규칙 적용을 목표로 공동어업정책(CFP)을 도입하였다. 1976년 유럽 공동체(EC)는 어업 수역을 해안에서 200해리까지 확장했고, 1983년 공동어업정책이 창설되어 어족 자원 보존, 어선 및 시설 관리, 시장 통제, 대외 협정의 4가지 분야를 다루게 되었다.

1992년 검토에서 규정 준수 개선 필요성이 확인되어 규제 강화 및 개별 어선 모니터링이 개선되었다. 2009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 연합 어업 관리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을 시작해 컨설팅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3년 유럽 의회는 멸종 위기 어종 보호 및 어획 거부 중단을 포함한 공동어업정책 개혁에 투표했다. 2020년 영국유럽 연합 탈퇴는 공동어업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 사항은 유럽 연합영국의 무역 협상을 통해 결정되었다.

6. 1. 1970년대와 80년대

1970년 공동 시장의 최초 6개 회원국들은 유럽 연합 이사회 규정 2141/70을 마련했다. 이는 로마 조약이 어업을 농업 부문에 명시적으로 포함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회원국에게 모든 어장에 동등하게 접근할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이었다.[33] 이 규정은 1972년 가입 조약 가입 신청이 공식적으로 접수되기 몇 시간 전인 1970년 6월 30일 오전에 채택되었다. 이로 인해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노르웨이의 가입 이전에 규정이 공동체법의 일부가 되어, 이들이 규정을 수용하도록 의무화했다. 영국은 가입 협상에서 처음에는 규정 수용을 거부했지만, 1971년 말 양보하여 1972년 1월 22일 조약에 서명했고, 서유럽 연안 어획량의 약 5분의 4를 공동 어업 정책(CFP) 공동 관리 체제로 편입시켰다.[34] 노르웨이는 가입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그린란드는 1979년 덴마크로부터 부분적인 독립을 얻은 후, 1985년에 유럽 공동체를 탈퇴했다.

어업 정책의 초기 의도는 공통 규칙을 적용하는 어류 및 어류 제품의 자유 무역 지역을 만드는 것이었다. 모든 국가의 어부들은 모든 수역에 접근할 수 있었으나, 아일랜드 어부들은 서경 4° 이동 수역에서의 접근이 거부되어 북해가 아일랜드 어부에게는 폐쇄되었다. 전통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어업을 해 온 지역 어부들을 위해 연안 지역에 대한 예외가 설정되었다. 어선 및 육상 시설의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도 마련되었다.

1976년 유럽 공동체(EC)는 국제적인 변화에 따라 어업 수역을 해안으로부터 12해리에서 200해리로 확장했다. 이로 인해 1983년에 공동 어업 정책(CFP)이 창설되었다. 공동 어업 정책은 수산 자원 보호, 선박과 설비, 시장 통제, 타국과의 협정, 이렇게 4개 분야를 다루게 되었다.

6. 2. 1992년

이 무렵에는 어선에 대한 과잉 투자, 남획, 어획량 감소가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 때문에 정책 집행에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내려져 규제와 개별 어선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었다.[1] 또한 2002년을 목표로 두 번째 정책 검토가 계획되었다.[1]

6. 3. 1995년

어선 과잉 투자와 과도한 어획으로 어획량이 감소하자, 규정 준수 필요성이 제기되어 규제가 강화되고 개별 어선 감시가 개선되었다.[1]

어선단 규모 감소에도 어획량은 매년 크게 변동하였다. 이에 어업 허가 장소와 시기를 규정하는 허가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과학 조사를 통해 어획 어종과 허용량을 결정한다.[1]

6. 4. 2009년

2009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유럽 연합 어업 관리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을 시작했다. 유럽 연합 시민, 단체, 유럽 연합 회원국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컨설팅 보고서를 발표했다. 아이슬란드유럽 연합 가입을 신청했다. (그러나 정부 교체 후 철회)

6. 5. 2013년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는 2009년에 유럽 연합의 어업 관리 방식에 대한 광범위한 논쟁을 시작했다.[35] 유럽 연합 시민, 단체, 그리고 회원국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컨설팅 보고서를 발표했다.

같은 해, 아이슬란드는 유럽 연합 가입을 신청했다. 아이슬란드는 공동 어업 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었지만, 더 나은 조건을 협상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정부 교체 후 아이슬란드는 가입 신청을 철회했다.

6. 6. 2020년

2013년 2월, 유럽 의회는 멸종 위기 어종 보호 및 어획 거부 중단을 포함한 공동 어업 정책 개혁에 대해 투표했다. 새로운 Common Fisheries Policy영어는 2014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지만, EU 정부와의 추가 협의가 진행되었다. 개혁 패키지를 발표하면서 독일 사회 민주당 소속 유럽 의회 의원 울리케 로두스트(Ulrike Rodust)는 "2015년부터 최대 지속 가능 어획량 원칙이 적용될 것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2020년까지 고갈된 어족 자원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이는 자연뿐만 아니라 어부들에게도 이익이 될 것입니다. 더 큰 어족 자원은 더 높은 어획량을 생산합니다."라고 말했다.[36]

참조

[1] 서적 The Common Fisheries Policy: The Quest for Sustainabil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6-02-04
[2] 웹사이트 Consolidated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http://register.cons[...] 2008-05-27
[3] 문서 Article 4 (d) of the Consolidated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4] 웹사이트 EU Glossary http://europa.eu/sca[...] 2010-09-09
[5] 웹사이트 Employment in the fisheries sector (2007) http://ec.europa.eu/[...] 2010-10-08
[6] 웹사이트 Main world producers (2007) http://ec.europa.eu/[...] 2010-10-08
[7] 뉴스 UK fishermen may not win waters back after Brexit, EU memo reveals https://www.theguard[...] House of Lords, NAFC Marine Centre, University of the Highlands and Islands. 2017-07-03
[8] 웹사이트 Is the EU 'pinching our fish'? https://fullfact.org[...] Full Fact 2017-07-03
[9] 웹사이트 The Common Fisheries Policy (CFP) https://ec.europa.eu[...] 2016-09-16
[10] 웹사이트 About the Common Fisheries Policy http://ec.europa.eu/[...] 2007-12-25
[11]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Fisheries – The International Baltic Sea Fishery Commission (IBSFC) http://ec.europa.eu/[...] 2008-03-12
[12] 뉴스 Guernsey begins issuing permits to French fishermen https://www.bbc.com/[...] 2021-06-17
[13] 뉴스 UK Royal Navy ships patrolling Jersey amid fishing row with France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5-06
[14] 뉴스 Fishing quotas are an ecological catastrophe https://www.telegrap[...] 2007-11-25
[15] 뉴스 The human cost of the EU's fishing failure http://blogs.telegra[...] 2010-05-11
[16] 뉴스 'Profound' decline in fish stocks shown in British record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5-05
[17] 논문 The effects of 118 years of industrial fishing on UK bottom trawl fisheries 2010-05-04
[18] 논문 Designed for failure: a critique of the Common Fisheries Policy of the European Union 2010-11
[19] 뉴스 EU fisheries minister calls for an end to dumping millions of dead fish https://www.telegrap[...] 2019-06-30
[20] 뉴스 Why isn't Norway in the EU? http://www.euronews.[...] 2013-03-29
[21] 서적 The Nordic States and European Unity Cornell University Press
[22] 서적 Iceland and European Integration: On the Edge Routledge
[23] 서적 Nordic Nationalism and Right-Wing Populist Politics Palgrave Macmillan UK 2017-01-01
[24] 웹사이트 Fish keep Faroe Islands at a distance from EU http://euobserver.co[...] 2018-04-12
[25] 논문 Reflections on the Common Fisheries Policy
[26] 논문 Enhancing Regionalisation of the Common Fisheries Policy: An Opportunity and Challenge for Participatory Fisheries Governance in the EU http://www.allacadem[...] 2011-03-31
[27] 논문 EU Environmental policy: adapting 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2000-03
[28] 논문 Good Governance and the Common Fisheries Policy: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http://www.ieep.eu/a[...] 2011-10-05
[29] 논문 Whatever became of social objectives in fisheries policy? 2011-03
[30] 논문 The 2002 reform of the Common Fisheries Policy's system of governance—rhetoric or reality? 2003-11
[31] 서적 Participation in Fisheries Governance Springer 2006
[32] 논문 The paradox of public participation in fisheries governance. The rising number of actors and the devolution process https://idus.us.es/x[...] 2017-09-23
[33] 웹사이트 Regulation (EEC) No 2141/70 of the Council of 20 October 1970 laying down a common structural policy for the fishing industry https://publications[...]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2019-09-10
[34] 웹사이트 Accession Treaties https://eur-lex.euro[...] EU Publications Office 2019-09-10
[35] 웹사이트 Common Fisheries Policy Reform http://ec.europa.eu/[...] 2024-03-13
[36] 웹사이트 MEPs back major EU fishing reform https://www.bbc.com/[...] BBC 2013-02-06
[37] 웹사이트 EU Common Fisheries Policy and Fisheries Partnership Agreements – Challenges for ACP countries. ''Agritrade''. https://web.archive.[...] 2014-02-21
[38] 웹사이트 Grossary - Outermost regions http://europa.eu/sca[...] EUポータルサイト "EUROPA"
[39] 웹사이트 http://www.europarl.[...] 欧州議会サイト
[40] 웹사이트 http://www.consilium[...] 欧州連合理事会サイト
[41] 문서 欧州連合の機能に関する条約第3条第1項d号。
[42] 문서 欧州連合の機能に関する条約第4条第2項d号。
[43] 문서 1958年の発効当初の条文番号。その後の[[アムステルダム条約]]による修正で第32条となり、リスボン条約による修正で欧州連合の機能に関する条約第38条となった。
[44]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on the CFP http://ec.europa.eu/[...] 欧州委員会サイト
[45] 웹사이트 Fish to 2030 http://www.fao.org/d[...] 国際連合食糧農業機関サイト
[46] 웹사이트 Managing a common resource http://ec.europa.eu/[...] 欧州委員会海事・漁業総局
[47] 웹사이트 The fisheries sector in the European Union http://ec.europa.eu/[...] 欧州委員会海事・漁業総局
[48] 문서 2006年1月1日に活動を停止し、2007年1月1日に消滅した。
[49] 웹사이트 EU Glossary http://europa.eu/sca[...] europa.e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