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한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한증'은 한국 축구팀이 중국 축구팀을 상대로 심리적 우위를 점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1978년 이후 대한민국은 중국을 상대로 압도적인 전적을 기록하며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생겨났다. 중국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017년 월드컵 예선에서 승리하며 공한증을 극복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양국은 A매치, U-23 대표팀 경기에서 다양한 결과를 기록했으며, 선수 및 감독의 중국 리그 진출, AFC 챔피언스리그에서의 경쟁 등 축구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축구 역사 - 을용타
    을용타는 2003년 동아시아컵 축구 경기에서 이을용이 중국 선수의 뒤통수를 가격한 사건과 이를 소재로 한 인터넷 패러디를 일컫는 사건이다.
  •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
    대한민국-이란 축구 라이벌전은 대한민국과 이란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역사적인 라이벌 관계를 의미하며, 2022년 3월 24일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10승, 이란이 13승, 그리고 10번의 무승부를 기록했다.
  • 축구 국가대표팀 라이벌전 - 남북전 (축구)
    남북전 (축구)은 분단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국가대표팀 간 경기로, 복잡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 속에서 여러 국제대회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다.
공한증
축구 라이벌전 정보
2005년 동아시안컵 대한민국 vs 중국 남자 경기
다른 이름공한증
konghanjeung (로마자 표기)
도시 또는 지역아시아 (AFC)
동아시아 (EAFF)
첫 경기1978년 12월 17일, 1978년 아시안 게임, 대한민국 1-0 중국
관련 팀
최다 득점자이태호 (4골)
최다 출전 선수해당 정보 없음
최근 경기2024년 6월 11일, 2026 FIFA 월드컵 예선, 대한민국 1-0 중국
다음 경기2025년 7월, 2025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대한민국 vs 중국
총 경기 수38
리그해당 정보 없음
시리즈중국 2승, 대한민국 23승, 무승부 13회
최대 점수차 승리해당 정보 없음
정규 시즌해당 정보 없음
포스트 시즌해당 정보 없음
방송사해당 정보 없음
좌표 (중국)39° N 116° E
좌표 (대한민국)37° N 126° E
공한증
정의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계속해서 패배하는 현상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는 신조어
유래중국 언론에서 유래
한국어 표현공한증 (gonghanjeung)
중국어 (간체)恐韩症 (kǒng hán zhèng)
중국어 (번체)恐韓症 (kǒnghánzhèng)

2. 역대 전적

wikitext

2024년 6월 11일 기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역대 국가대표팀 간 축구 경기 전적은 38전 23승 13무 2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9][10]

개최 장소대한민국 승무승부대한민국 득점
중국 홈192620
대한민국 홈055714
중립 구장1961322
합계[9][10]223132656



No.날짜대회결과경기장
11978년 12월 17일1978년 아시안 게임차범근방콕, 태국
21978년 12월 29일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허정무마닐라, 필리핀
31982년 3월 1일1982년 네루컵이태호1–1선상푸콜카타, 인도
41983년 11월 3일1984년 하계 올림픽 예선김종건
김종부
3–3자슈콴
류하이광
방콕, 태국
51983년 11월 8일0–0방콕, 태국
61986년 9월 28일1986년 아시안 게임박창선
김주성
이태호
조민국
1988년 AFC 아시안컵이태호도하, 카타르
81989년 10월 20일1990년 FIFA 월드컵 예선김주성싱가포르
91990년 7월 31일1990년 다이너스티컵이상윤홍명보1–1
마이 차오베이징, 중국
111990년 9월 27일1990년 아시안 게임서정원1992년 다이너스티컵박현용
정재권
1995년 다이너스티컵0–0홍콩
141996년 9월 25일친선 경기서정원
이기형
하석주
하오하이둥서울, 대한민국
151996년 11월 26일노상래
이영진
신홍기
하오하이둥
리 빙
광저우, 중국
161997년 4월 23일박건하1998년 다이너스티컵최성용
이상윤
친선 경기이상윤1–1마밍위서울, 대한민국
201998년 11월 22일0–0상하이, 중국
212000년 7월 28일이영표2000년 AFC 아시안컵이영표
노정윤
2–2쑤마오전
판즈이
트리폴리, 레바논
232000년 10월 29일이동국베이루트, 레바논
242002년 4월 27일친선 경기0–0인천, 대한민국
252003년 12월 7일2003년 EAFF 선수권 대회유상철2005년 EAFF 선수권 대회김진규1–1쑨샹대전, 대한민국
272008년 2월 17일2008년 EAFF 선수권 대회박주영
곽태휘
저우하이빈
류 젠
충칭, 중국
282010년 2월 10일2010년 EAFF 선수권 대회위하이
가오린
덩줘샹
도쿄, 일본
292013년 7월 24일2013년 EAFF 선수권 대회0–0화성, 대한민국
302015년 8월 2일2015년 EAFF 선수권 대회김승대
이종호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정즈
이청용
구자철
위하이
하오준민
서울, 대한민국
322017년 3월 23일위다바오창사, 중국
332017년 12월 9일2017년 EAFF 선수권 대회김신욱
이재성
2–2웨이스하오
위다바오
도쿄, 일본
342019년 1월 16일2019년 AFC 아시안컵황의조
김민재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352019년 12월 15일2019년 EAFF 선수권 대회김민재2022년 EAFF 선수권 대회주천제
권창훈
조규성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손흥민
정승현
선전, 중국
382024년 6월 11일이강인2. 1. 한중 국가대표팀 간 역대 전적 2024년 6월 11일 기준, 대한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역대 국가대표팀 간 축구 경기 전적은 38전 23승 13무 2패로 대한민국이 우세하다.

횟수날짜장소대회경기 결과
11978년 12월 17일 방콕 1978년 아시안 게임1 – 0 승
21978년 12월 29일 마닐라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1 – 0 승
31982년 3월 1일 캘커타 네루 골드컵1 – 1 무
41983년 11월 3일 방콕 1984년 하계 올림픽 예선 1차전3 – 3 무
51983년 11월 8일 방콕 1984년 하계 올림픽 예선 2차전0 – 0 무
61986년 9월 28일 서울 1986년 아시안 게임4 – 2 승
71988년 12월 14일 도하 1988년 AFC 아시안컵2 – 1 승
81989년 10월 20일 싱가포르 1990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1 – 0 승
91990년 7월 31일 베이징 1990년 다이너스티컵1 – 0 승
101990년 8월 3일 베이징 1990년 다이너스티컵 결승1 – 1 무
(PSO 5 – 4)
111990년 9월 27일 베이징 1990년 아시안 게임2 – 0 승
121992년 8월 26일 베이징 1992년 다이너스티컵2 – 0 승
131995년 2월 19일 홍콩 1995년 다이너스티컵0 – 0 무
141996년 9월 25일 서울 제1회 한중 정기전 1차전3 – 1 승
151996년 11월 26일 광저우 제1회 한중 정기전 2차전3 – 2 승
161997년 4월 23일 베이징 제2회 한중 정기전 1차전2 – 0 승
171997년 8월 30일 서울 제2회 한중 정기전 2차전0 – 0 무
181998년 3월 4일 요코하마 1998년 다이너스티컵2 – 1 승
191998년 6월 4일 서울 제3회 한중 정기전 1차전1 – 1 무
201998년 11월 22일 상하이 제3회 한중 정기전 2차전0 – 0 무
212000년 7월 28일 베이징 제4회 한중 정기전1 – 0 승
222000년 10월 13일 트리폴리 2000년 AFC 아시안컵 조별리그2 – 2 무
232000년 10월 29일 베이루트 2000년 AFC 아시안컵 3·4위전1 – 0 승
242002년 4월 27일 인천 친선 경기0 – 0 무
252003년 12월 7일 사이타마 2003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1 – 0 승
262005년 7월 31일 대전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1 – 1 무
272008년 2월 17일 충칭 2008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3 – 2 승
282010년 2월 10일 도쿄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0 – 3 패
292013년 7월 24일 화성 2013년 EAFF 동아시안컵0 – 0 무
302015년 8월 2일 우한 2015년 EAFF 동아시안컵2 – 0 승
312016년 9월 1일 서울 2018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3 – 2 승
322017년 3월 23일 창사 2018년 FIFA 월드컵 3차 예선0 – 1 패
332017년 12월 9일 도쿄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2 – 2 무
342019년 1월 16일 아부다비 2019년 AFC 아시안컵 C조 조별리그 3차전 제 5경기2 – 0 승
352019년 12월 15일 부산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1 – 0 승
362022년 7월 20일 도요타 2022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3 – 0 승
372023년 11월 21일 선전 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3 – 0 승
382024년 6월 11일 서울 2026년 FIFA 월드컵 2차 예선1 – 0 승



개최 장소대한민국 승무승부대한민국 득점
중국 홈192620
대한민국 홈055714
중립 구장1961322
합계223132656


2. 2. 한중 U-23 대표팀 간 역대 전적

2023년 10월 1일 기준, 대한민국과 중국의 U-23 축구 대표팀 간 역대 전적은 11전 10승 1무로 대한민국이 크게 우세하다.

횟수날짜장소대회결과
11992년 1월 30일 쿠알라룸푸르 1992년 하계 올림픽 예선3 – 1 승
21996년 3월 31일 쿠알라룸푸르 1996년 하계 올림픽 예선3 – 0 승
31999년 1월 30일 호찌민 던힐컵 조별리그2 – 1 승
41999년 2월 7일 호찌민 던힐컵 결승1 – 0 승
51999년 10월 3일 서울 2000년 하계 올림픽 예선 1차전1 – 0 승
61999년 10월 29일 상하이 2000년 하계 올림픽 예선 2차전1 – 1 무
72004년 3월 3일 서울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 1차전1 – 0 승
82004년 5월 1일 창사 2004년 하계 올림픽 예선 2차전2 – 0 승
92010년 11월 15일 광저우 2010년 아시안 게임3 – 0 승
102020년 1월 9일 송클라 2020년 하계 올림픽 예선 1차전1 – 0 승
112023년 10월 1일 항저우 2023년 아시안 게임2 – 0 승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아시아 예선에서 3-1 (곽경근, 서정원, 김귀화 득점),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아시아 예선에서 3-0 (이기형, 이우용 2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아시아 예선에서 각각 1-0 (조재진 득점), 2-0 (조재진, 김동진 득점)으로 승리하였다.

3. 공한증

'공한증(恐韓症)'은 문자 그대로 '한국을 두려워하는 증상'을 의미한다.[2] 이 용어는 원래 중국 언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한국 언론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2]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1-0으로 승리한 이후,[15] 대한민국은 2008년까지 중국을 상대로 16번의 승리와 11번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다. 반면 중국은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면서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하였다.[15]

중국 언론은 한국 팀의 우위를 인정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왔으며[3], 한국에서는 이 용어가 한국의 승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 야구 팬들은 일본에게 공포감을 조성하고 싶다는 표현을 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4]

중국 축구 협회 린샤오화 부회장은 2010년 2월 10일 경기 전에 "공한증은 능력 차이에서 비롯되며, 현재 그 차이는 훨씬 줄어들었다. 따라서 정신력만 강화하면 우리 팀은 공한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선수들의 심리적 압박감과 패배주의에 대처하기 위해 심리 치료사를 초청할 것이라고 밝혔다.[6][7] 그의 발표 직후, 중국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을 3-0으로 꺾고 32년 만에 공한증을 깨뜨렸다.[8]

2017년 3월 23일, 중국은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공식 FIFA 경쟁 경기에서 처음으로 승리하였다.

3. 1. 공한증의 기원과 의미

'공한증(恐韓症)'은 문자 그대로 '한국을 두려워하는 증상'을 의미한다.[2] 이 용어는 원래 중국 언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한국 언론에서도 이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2]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1-0으로 승리한 이후,[15] 대한민국은 2008년까지 중국을 상대로 16번의 승리와 11번의 무승부를 기록하며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았다. 반면 중국은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면서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하였다.[15]

중국 언론은 한국 팀의 우위를 인정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왔으며[3], 한국에서는 이 용어가 한국의 승리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한국 야구 팬들은 일본에게 공포감을 조성하고 싶다는 표현을 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4]

중국 축구 협회 린샤오화 부회장은 2010년 2월 10일 경기 전에 "공한증은 능력 차이에서 비롯되며, 현재 그 차이는 훨씬 줄어들었다. 따라서 정신력만 강화하면 우리 팀은 공한증을 극복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선수들의 심리적 압박감과 패배주의에 대처하기 위해 심리 치료사를 초청할 것이라고 밝혔다.[6][7] 그의 발표 직후, 중국은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을 3-0으로 꺾고 32년 만에 공한증을 깨뜨렸다.[8]

2017년 3월 23일, 중국은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공식 FIFA 경쟁 경기에서 처음으로 승리하였다.

3. 2. 공한증에 대한 인식 차이

'공한증(恐韓症)'은 문자 그대로 '한국을 두려워하는 증상'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원래 중국 언론에서 사용되었으며, 이후 한국 언론에서도 사용되었다.[2]

중국에서는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렸던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한 이후,[15] 2010년 2월 10일 도쿄에서 열린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중국이 3-0으로 승리할 때까지[8] 32년간 A매치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단 한 번도 승리하지 못하면서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중국 축구 협회는 '공한증'을 극복하기 위해 선수들의 심리 치료를 지원하기도 했다.[6][7]

하지만 한국에서는 '공한증'이 한국 축구의 우수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4] 중국 언론은 한국 팀의 우위를 인정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왔으나,[3] 한국에서는 이 용어가 한류와 연결되어 한국과 중국,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에 대한 담론에서 사용되기도 한다.[5]

2017년 3월 23일, 중국은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고, FIFA 공식 경기 첫 승을 기록했다.[13]

3. 3. 공한증 극복과 새로운 경쟁 구도

1978년 12월 17일 방콕에서 열린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차범근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1-0으로 승리한 이후,[15] 2008년까지 대한민국은 중국을 상대로 16승 11무를 기록하며 한 번도 패배하지 않아 '공한증'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5] 그러나 2010년 2월 10일, 도쿄에서 열린 2010년 동아시아컵에서 가오훙보 감독이 이끄는 중국이 위하이, 가오린, 덩줘샹의 연속 득점에 힘입어 허정무 감독의 대한민국을 3-0으로 꺾고 32년 만에 공한증을 깨뜨렸다.[12] 이는 직전 경기에서 일본과 득점 없이 비기며 얻은 자신감이 크게 작용한 결과였다.[12]

2017년 3월 23일에는 창사에서 열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에서 마르첼로 리피 감독이 이끄는 중국이 대한민국에 1-0으로 승리했다.[13] 같은 해 10월, FIFA 랭킹에서 중국(57위)이 대한민국(62위)보다 처음으로 순위가 높아졌다.[14] 중국 클럽 팀들의 재정적 성장으로 많은 한국 선수와 감독들이 중국 리그로 이적했고,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중국 팀들이 한국 팀을 상대로 승리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중국 선수들의 한국에 대한 苦手意識[기피 의식]은 옅어지고 있다.

4. 주요 경기 분석

1978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과 중국의 첫 A매치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차범근은 후반 47분 결승골을 기록하여 대한민국의 1-0 승리를 이끌었다.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은 박창선, 김주성, 이태호, 조민국의 연속골로 중국을 4-2로 이겼다.

1988년 AFC 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연장전 끝에 이태호의 두 골로 중국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199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김주성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1990년 다이너스티컵에서는 이상윤의 골로 대한민국이 1-0 승리, 이후 승부차기에서 5-4로 승리하였다.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서정원의 두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2-0으로 이겼다.

1992년 다이너스티컵에서 박현용, 정재권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1996년 9월 친선 경기에서 서정원, 이기형, 하석주의 골로 대한민국이 3-1 승리, 11월에는 노상래, 이영진, 신홍기의 골로 3-2 승리를 거두었다.

1997년 친선 경기에서 박건하의 두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2-0으로 이겼다.

1998년 다이너스티컵에서 최성용, 이상윤의 골로 대한민국이 2-1 승리를 거두었다.

2000년 7월 친선 경기에서 이영표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2000년 AFC 아시안컵에서 이영표, 노정윤의 골로 2-2 무승부, 3/4위전에서는 이동국의 골로 대한민국이 1-0 승리하였다.

2003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유상철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을 1-0으로 이겼다.

2005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는 김진규의 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8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박주영의 두 골과 곽태휘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3-2 승리를 거두었다.

2010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중국에 0-3으로 패했다.

2013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5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김승대, 이종호의 골로 대한민국이 2-0 승리하였다.

2018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정즈의 자책골, 이청용, 구자철의 골로 대한민국이 3-2 승리, 이후 중국 창사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위다바오에게 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했다.

2017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는 김신욱, 이재성의 골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황의조김민재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2019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김민재의 골로 대한민국이 1-0 승리하였다.

2022년 EAFF 선수권 대회에서 주천제의 자책골, 권창훈, 조규성의 골로 대한민국이 3-0 대승을 거두었다.

202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 손흥민의 두 골과 정승현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3-0으로 이겼고, 이강인의 골로 대한민국이 중국에 1-0으로 승리했다.

4. 1. 1978년 아시안 게임: 첫 만남

1978년 12월 17일, 197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과 중국의 첫 A매치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차범근은 후반 47분 결승골을 기록하여 대한민국의 1-0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이 중국과의 축구 경기에서 거둔 첫 승리였으며, 이후 대한민국이 중국을 상대로 오랫동안 우세를 이어가는 '공한증'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경기였다.

4. 2. 2010년 동아시안컵: 중국의 첫 승리

2010년 2월 1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3-0으로 꺾었다. 이 경기는 대한민국이 32년 동안 중국을 상대로 무패 행진을 이어오던 중 당한 첫 패배였다.

이 경기에서 중국은 위하이, 가오린, 덩줘샹이 득점하며 승리했다. 당시 중국 대표팀 감독이었던 가오훙보는 2011년 대한민국과의 평가전에서 패배한 후 경질되었다.

4. 3. 2017년 월드컵 예선: 중국의 설욕

2017년 3월 23일, 창사시에서 열린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중국은 위다바오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을 1-0으로 꺾었다. 이 경기는 마르첼로 리피 감독 부임 이후 중국 대표팀의 첫 승리였으며, 월드컵 예선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거둔 첫 승리였다. 이전까지 중국은 대한민국과의 A매치에서 30경기 넘게 승리하지 못하며 '공한증'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약세를 보였다.

이 승리는 단순한 1승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당시 사드 배치 문제로 한중관계가 경색된 상황에서, 중국 내 반한 감정이 고조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경기의 승리로 중국 내에서는 축구 팬들을 중심으로 애국주의 정서가 고양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경기는 중국이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지는 못했다. 한편, 대한민국은 최종 예선에서 이란에 이어 A조 2위를 차지하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5. 양국 축구 교류 및 영향

5. 1. 한국 선수 및 감독의 중국 리그 진출

5. 2. AFC 챔피언스리그에서의 경쟁

6. 결론 및 전망

참조

[1] 뉴스 恐韩症延续!国足全场被动0射正 41年仅胜2次下次是何时? https://www.sohu.com[...] Shemen Zhongguo 2019-12-15
[2] 웹사이트 "공한증 끝!" 중국대륙 들썩 http://baduk.donga.c[...] The Dong-a Ilbo 2004-04-06
[3] 웹사이트 Expectation and Disappointment:the Interplay of Chinese Media Reaction and Korean Public During the World Cup http://iaps.cass.cn/[...]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03-02-26
[4] 웹사이트 네티즌들 "또 일본이야? 야구 공한증 만들어주자" http://www.chosun.co[...] The Chosun Ilbo
[5] 서적 전신(戰神) 조훈현 http://book.naver.co[...] 청년사
[6] 뉴스 林晓华笑谈"恐韩症" 只有成绩才能真解决压力 https://sports.sohu.[...] Oceannet 2010-02-09
[7] 뉴스 ‘중국 축구, 32년 공한증 깼다’…축구팬 열광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10-02-11
[8] 뉴스 国足3-0完胜韩国 32年"恐韩症"成为历史(图) https://www.chinanew[...] China News Service 2010-02-10
[9] 웹사이트 对阵韩国 https://www.thecfa.c[...] CFA 2024-03-19
[10] 웹사이트 국가별 역대 전적 https://www.kfa.or.k[...] KFA 2024-03-19
[11] 웹사이트 中国 韓国に3―0で完勝!歴史的な1勝だ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サッカー https://www.sponichi[...] 2024-05-20
[12] 웹사이트 サッカー日本代表 岡田ジャパン写真特集:時事ドットコム https://www.jiji.com[...] 2024-05-20
[13] 웹사이트 W杯アジア最終予選、中国が1-0で韓国に勝利--人民網日本語版--人民日報 http://j.people.com.[...] 2024-05-28
[14] 웹사이트 韓国に衝撃「歴史変わった」 FIFA順位アジア5番手後退 地元紙「中国に劣る初の屈辱」 https://www.football[...] 2017-10-17
[15] 뉴스 한국축구,連勝(연승)제동 http://newslibrary.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