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아가피토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가피토 1세는 535년부터 536년까지 재위한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그는 로마에서 부제로 서품받고 교황 심마코를 지지했으며, 카시오도루스의 도움을 받아 로마에 교회 도서관을 세우고 그리스어 철학서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데 기여했다. 교황으로 선출된 후, 그는 북아프리카의 카르타고 교회회의 결의를 승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를 만나 전쟁 중단을 설득하려 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단성설을 추종하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안티무스 1세를 폐위시키고 메나스를 새 총대주교로 임명했으며, 아리우스주의자들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536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병으로 사망했으며,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6년 사망 - 안칸 천황
안칸 천황은 게이타이 천황의 장남으로, 531년부터 535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제27대 천황이며, 재위 기간 동안 둔전 설치와 곡물 창고 건설로 국가 경제 기반을 강화하려 했으나 짧은 재위 기간으로 인해 재위에 대한 여러 설이 존재한다. - 536년 사망 - 도홍경
도홍경은 남북조 시대 양나라의 유교, 불교, 도교 융합 사상가이자, 도교 상청파를 계승 발전시켜 모산파를 창시한 인물로, 의약학, 연금술, 서예 등 다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 6세기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6세기 후반 로마 교황으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교황권의 봉사 강조, 교회 개혁, 앵글로색슨족 기독교 전파, 전례 개정 및 그레고리오 성가 발전, 그리고 중세 영성에 큰 영향을 미친 저술 활동을 했다. - 6세기 교황 - 교황 요한 3세
교황 요한 3세는 561년부터 574년까지 재임한 61대 교황으로, 동로마 제국의 무관심과 롬바르드족의 침공으로 혼란스러운 시기에 교회를 이끌며 나폴리 방문과 카타콤 은신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 6세기 기독교 성인 - 유스티니아누스 1세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27년부터 38년간 동로마 제국을 통치하며 로마법 대전 편찬, 하기아 소피아 대성당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고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통한 정복 전쟁, 교회 정책 추진 등으로 제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결코 잠들지 않는 황제"였다. - 6세기 기독교 성인 - 길다스 사피엔스
길다스 사피엔스는 5~6세기 브리튼의 역사 기록인 《브리타니아 멸망에 관하여》를 저술한 인물이며, 앵글로색슨족 침입과 브리튼족 쇠퇴를 기록하고 아서 왕 전설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 교황 아가피토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존칭 | 교황, 성인 |
| 이름 | 아가피토 1세 |
| 직함 | 로마의 주교 |
| 교회 | 가톨릭교회, 정교회 |
| 임기 시작 | 535년 5월 13일 |
| 임기 종료 | 536년 4월 22일 |
| 이전 교황 | 요한 2세 |
| 다음 교황 | 실베리오 |
| 출생일 | 기원후 489년 ~ 490년경 |
| 출생지 | 동고트 왕국 로마 |
| 사망일 | 536년 4월 22일 (46세) |
| 사망지 | 동로마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 |
| 축일 | 서방 교회: 4월 22일 또는 9월 20일, 동방 교회: 4월 17일 |
| 숭배 | 가톨릭교회, 정교회 |
2. 가계 및 약력
동고트 왕국의 테오다하드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게 동로마 제국의 이탈리아반도 정복 계획을 취소해 달라고 요청하기 위해 아가피토 1세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냈다.[15] 아가피토 1세는 536년 2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하여, 단성설을 추종한다는 의혹을 받던 안티무스를 파면하고 메나스를 새 총대주교로 임명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가피토 1세를 추방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아가피토 1세는 이에 굴하지 않았다.[11]
2. 1. 가계
아가피토 1세는 로마에서 태어났지만, 정확한 출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부친은 로마 교구의 사제 고르디아누스였는데, 교황 심마코(재위 498년~514년) 시대의 폭동 중에 살해되었다.[2] 부친의 이름으로 보건대, 교황 펠릭스 3세(재위 483년~492년) 및 교황 그레고리오 1세(재위 590년~604년)와 친족 관계였을 가능성이 있다.[3][12] 그레고리오 1세는 펠릭스 3세의 후손이다.[13]2. 2. 초기 활동
아가피토 1세는 로마에 그리스어와 라틴어 교회 도서관을 세웠는데, 이때 카시오도루스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카시오도루스는 그리스어 철학서들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작업에도 참여하였다.아가피토 1세는 라우렌시오 이교 기간인 502년에 부제로 서품받았으며, 교황 심마코를 지지했던 이들 가운데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인물이었다. 535년 수석부제였던 그는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4] 교황이 된 후 그가 한 첫 번째 일은 교황 보니파시오 2세가 성직매매를 했다고 모함한 내용을 담은 디오스코로의 서신들을 수집하여 사제들이 보는 앞에서 불태워 없애고 이를 문서로 기록해 보관할 것을 지시한 것이었다.
북아프리카가 반달족으로부터 재탈환되자 아가피토 1세는 카르타고 교회회의의 결의를 승인하였다. 카르타고 교회회의는 아리우스주의에서 정통 가톨릭 신앙으로 회심한 이들은 사제 서품을 받을 수 없다고 결정하면서, 이미 사제 서품을 받은 이들은 성체 분배권자로서만 활동할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그는 마르세유 교회회의에서 부도덕함으로 고발받아 정죄받은 리에의 콘투멜리오수스의 재심 요청을 받아들여 그가 교황 사절단 앞에서 새로 재판받을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아를의 주교 체사리오에게 지시하였다.
2. 3. 교황 선출 및 주요 활동
아가피토 1세는 502년에 부제로 서품받았으며 교황 심마코를 지지했던 이들 가운데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하였다. 535년 수석부제였던 그는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14] 교황이 된 후 그가 한 첫 번째 일은 교황 보니파시오 2세가 성직매매를 했다고 모함한 내용을 담은 디오스코로의 서신들을 수집하여 사제들이 보는 앞에서 불태워 없애고 이를 문서로 기록해 보관할 것을 지시한 것이었다.북아프리카가 반달족으로부터 재탈환되자 아가피토 1세는 카르타고 교회회의의 결의를 승인하였다. 카르타고 교회회의는 아리우스주의에서 정통 가톨릭 신앙으로 회심한 이들은 사제 서품을 받을 수 없다고 결정하면서, 이미 사제 서품을 받은 이들은 성체 분배권자로서만 활동할 것을 주문하였다. 또한 그는 마르세유 교회회의에서 부도덕함으로 고발받아 정죄받은 리에의 주교 콘투멜리오수스의 재심 요청을 받아들여 그가 교황 사절단 앞에서 새로 재판받을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아를의 주교 체사리오에게 지시하였다.[5]
한편, 동고트 왕국의 아말라순타가 사망하자 동로마 제국의 벨리사리우스 장군은 이탈리아반도 정복을 준비하고 있었다. 동고트 왕국의 테오다하드 왕은 아가피토 1세 교황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를 만나 그를 설득하여 전쟁 계획을 취소시키게 해달라고 요청하였다.[15] 아가피토 1세는 테오다하드의 요청을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여행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로마 교회에서 미사 때 사용하는 제구들을 담보로 맡긴 채 한겨울에 주교 다섯 명과 수많은 수행원을 거느리고 길을 떠났다. 536년 2월에 그는 동로마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하였다.
아가피토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머무는 동안 교회의 일들을 몇 가지 처리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인사 문제였다. 트레비존드의 주교였던 안티무스가 테오도라 황후의 권세를 등에 입고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새 총대주교로 인사 이동되었는데, 그가 정통 신앙에 반하는 단성설을 추종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아가피토 1세와 그를 따르는 사제들이 안티무스를 강력하게 규탄하며 반대하였다. 아가피토 1세는 안티무스에게 즉시 총대주교 자리에서 물러나고 정통 신앙을 고백하는 문서를 작성하라고 요구했으나, 안티무스가 이를 거절하자 그와의 모든 관계와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이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가피토 1세를 추방시키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자 아가피토 1세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나는 지극히 애틋한 심정으로 그리스도교 세계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를 봐왔다. 허나 지금 그의 모습에서 나는 디오클레티아누스를 발견하였다. 설령 그가 위협한다 하더라도 나는 두렵지 않다.”[11]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게 교회의 초창기 역사를 상기시킨 아가피토 1세는 그가 안티무스를 단념하게 만들었다. 결국 유스티아누스 1세는 안티무스를 총대주교직에서 파직시키고 정통 신앙을 따르는 메나스를 536년 3월 13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착좌시켰다. 아가피토 1세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로부터 신앙 고백문을 받고 정통 신앙을 고수한다는 그를 칭찬했으나, 설사 황제라 할 지라도 평신도가 교회 안에서 가르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박았다.[11]
아가피토 1세가 쓴 서신은 현재 네 편이 전해지고 있다. 그 중에 두 편의 서신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게 아리우스주의자들을 결코 교회의 일원으로 용인할 수 없다는 답변을 담고 있으며, 세 번째 서신 역시 같은 내용으로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보낸 것이었다. 마지막 서신은 카르타고의 주교 레파라투스에게 보낸 답신으로서, 주교가 된 그의 숭고함을 칭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6][17]
2. 4. 콘스탄티노폴리스 방문과 안티무스 1세 파직
동고트 왕국의 테오다하드 왕은 아가피토 1세에게 콘스탄티노폴리스로 가서 동로마 제국의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를 설득하여 이탈리아반도 침공 계획을 취소시켜 달라고 요청하였다.[15] 아가피토 1세는 이 요청을 받아들여, 로마 교회의 성물을 담보로 맡기고 5명의 주교와 많은 수행원을 거느리고 한겨울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떠났다. 536년 2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도착한 아가피토 1세는 정치적 문제보다 종교 문제에 먼저 관심을 기울였다.[5]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안티무스 1세였는데, 그는 트레비존드 주교에서 테오도라 황후의 지원을 받아 총대주교가 되었으나, 단성설을 추종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었다. 아가피토 1세는 안티무스 1세에게 신앙 고백서를 작성하고 트레비존드로 돌아갈 것을 요구했으나, 안티무스 1세가 이를 거절하자 그를 파직시켰다.[2]
이에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가피토 1세를 추방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아가피토 1세는 "나는 지극히 애틋한 심정으로 그리스도교 세계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를 보러 왔다. 허나 지금 그의 모습에서 나는 디오클레티아누스를 발견하였다. 설령 그가 위협한다 하더라도 나는 두렵지 않다."라고 답하며 물러서지 않았다.[11] 결국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안티무스 1세를 파직시키고, 아가피토 1세는 직접 메나스를 새 총대주교로 축성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아가피토 1세에게 신앙 고백서를 제출했고, 아가피토 1세는 황제의 신앙이 정통 신앙과 일치함을 확인하고 이를 수용했다.[2]
2. 5. 사망과 유산
아가피토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짧은 재임 기간을 마치고 536년 4월 22일에 선종하였다. 그의 유해는 납 관에 담겨 로마로 옮겨져 성 베드로 대성전에 안치되었다.[5][8] 클리부스 스카우리에는 '교황 아가피토 1세의 도서관의 압시달 홀'로 알려진 고고학적 유물이 있으며, 이는 켈리언 언덕의 고대 성 안드레아 교회 근처에 있다.[9]제프리 리차즈는 아가피토 1세를 "심마쿠스 구 귀족의 마지막 생존자"라고 묘사하며, 그가 아마 502년경 로렌티우스 분열 동안에 부제 서품을 받았을 것이라고 한다.[4]
3. 평가 및 영향
아가피토 1세는 가톨릭과 정교회 전통 모두에서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로마 순교록》은 그의 사망일인 4월 22일에 그를 기념하며, 동방 교회도 마찬가지로 기념한다. 일부 가톨릭 자료에서는 그의 축일을 퇴위일인 9월 20일로 기록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Άγιος Αγαπητός πάπας Ρώμης Ορθόδοξος Συναξαριστής
http://www.saint.gr/[...]
[2]
간행물
Pope St. Agapetus I
[3]
서적
1992
[4]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Routledge and Kegan Paul
1979
[5]
서적
Popes Through the Ages
http://www.stsmartha[...]
Neff-Kane
1980
[6]
간행물
Breviarium S. Liberati
Mansi
[7]
간행물
Agapetus (2).
[8]
간행물
Concilia
Mansi
[9]
웹사이트
The Papal Basilica of Santa Maria Maggiore: Church of Saint Andrew on Caelian Hill
https://www.vatican.[...]
Vatican website
2017-12-20
[10]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11]
웹사이트
Pope Agapetus I
https://en.wikisourc[...]
Catholic Encyclopedia
1913
[12]
서적
1992
[13]
서적
1905
[14]
서적
The Popes and the Papacy in the Early Middle Ages
Routledge and Kegan Paul
1979
[15]
간행물
Breviarium S. Liberati
Mansi
[16]
인용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17]
간행물
Concilia
Man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