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속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속사는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로, 하나님의 메시아 약속과 그 성취를 통해 인류 구원을 설명한다. 성경은 창조, 타락, 구속, 재림의 틀 안에서 역사를 이해하며, 구약에서는 이스라엘 역사를 통해,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 부활, 승천, 교회 탄생을 중심으로 구속사를 전개한다. 구속사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언약과 그 성취를 통해 시대별로 연결되며, 하나님의 경륜과 섭리를 통해 구체화된다. 구속사적 성경 해석은 다양한 신학적 전통을 포괄하며, 18세기 호프만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으며, 20세기 쿨만, 바르트 등 많은 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구원론 - 회개
    회개는 여러 종교에서 죄를 뉘우치고 잘못된 길에서 돌아서는 중요한 개념으로, 윤리적 자기 변화, 죄의 속죄, 신과의 관계 회복 등 다양한 목적을 강조한다.
  • 기독교 구원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구속사
개요
정의신학에서 구원의 역사적 전개
관련 개념성서의 역사, 구원사, 계시사
기원
어원독일어 'Heilsgeschichte' (heil: 구원, Geschichte: 역사)
영어 번역History of Redemption (구속사)
신학적 의미
핵심 내용신의 계시와 인간의 구원을 시간과 역사를 통해 이해
특징역사 속에서 나타나는 신의 행위 강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완성
주요 사건
창조신의 창조 행위를 통한 세계의 시작
타락아담과 이브의 원죄로 인한 인간의 타락
계약노아, 아브라함, 모세와의 계약을 통한 신과 인간의 관계 설정
이스라엘이스라엘 민족의 선택과 구원
예수 그리스도예수 그리스도의 탄생, 삶, 죽음, 부활을 통한 구원의 완성
교회교회의 설립과 확장을 통한 구원의 전파
종말최후의 심판과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역사적 접근
성서 비평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탐구
고고학고고학적 발굴을 통한 성서 시대의 이해
신학적 관점
구원론구원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연구
그리스도론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에 대한 연구
교회론교회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연구
관련 학문
구약성서학구약성서의 역사, 문화, 신학적 의미 연구
신약성서학신약성서의 역사, 문화, 신학적 의미 연구
역사신학기독교 역사를 통해 신학적 주제 연구

2. 성경적 근거

구속사는 성경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창세기 3장과 이사야 53장 등에서 성부 하나님은 메시야를 약속했고, 그를 통해 인류 구원을 완성하리라 약속했으며, 이 약속은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되었다. 이러한 성경 계시의 역사적 활동을 구속사적 관점이라고 한다. 바울은 그의 서신서들에서 구속사를 언급하는데,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이미 실현되었지만 인간 역사의 마지막으로서 그리스도의 재림은 아직 임하지 않았다고 가르친다. 구속사의 전체적인 틀은 창조와 타락, 그리고 구속과 재림이라는 관점에서 성경의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2. 1. 구약성경

아브라함을 시조로 하는 이스라엘의 역사로 들어가, 모세에 의한 출애굽을 중심적인 사건으로 다루고 있다. 이스라엘의 역사에서는 출애굽의 역사가 구원의 모형이 되어 반복되고 있다. 창세기 3장과 이사야 53장과 같은 곳에서는 성부 하나님은 메시아를 약속하셨고 그를 통하여 인류의 구원을 완성하시려고 하셨으며, 이 약속은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취되었다.

2. 2. 신약성경

신약성서는 그리스도의 성육신, 십자가형, 부활, 승천, 초대 교회 탄생이라는 새로운 이스라엘의 역사 틀 안에서 다루어지며, 종말에 있을 심판과 구원의 완성을 목표로 전개된다.[1] 바울은 그의 서신서들에서 구속사를 말하는데,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이미 실현되었지만 인간 역사의 마지막으로서 그리스도의 재림은 아직 임하지 않았다고 가르친다.[1]

3. 구속사와 언약

창세기 3장과 이사야 53장에서는 성부 하나님이 메시야를 약속하고, 그리스도를 통해 인류 구원을 완성할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성경 계시의 역사적 활동을 구속사적 관점이라고 한다.

바울은 서신서에서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은 이미 실현되었지만, 재림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가르친다. 구속사는 창조, 타락, 구속, 재림이라는 틀로 성경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하나님의 구원 역사는 "언약"과 그 "언약의 성취"라는 사슬로 연결된다. 따라서 "구원 역사의 주제"인 창조, 타락, 구원에서 언약이 실제 역사 속에서 어떻게 성취되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6]

3. 1. 언약의 개념

언약(言約, Covenant)은 히브리어로 "베리트"이며, 언약 당사자 간의 동의를 의미한다. 그러나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 간의 언약은 하나님의 일방적이고 주권적인 은혜에 기초한 언약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창조주이고 사람은 그의 피조물로서 본질적으로 하나님과 사람은 상호 동등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창세기 6장 18절의 "내가 너와 언약을 세우리라..."는 말씀처럼, 언약을 세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시고 언약의 소유자도 하나님이다.[6]

히브리어 "베리트"는 "찢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옛날 근동 지방에서 파기되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언약을 맺을 때, 짐승을 죽인 후 찢어 양쪽에 나누어 놓은 관습에서 유래된 말이다(창세기 15:10, 예레미야 34:18). 이는 만약 언약 당사자들이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찢어진 짐승과 같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6]

3. 2. 언약의 전개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시대별로 연결하는 사슬은 "언약"과 그 "언약의 성취"이다. 따라서 창조와 타락, 구원이라는 "구원 역사의 주제"에서 이 언약이 실제 역사 속에서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언약(言約, Covenant)은 히브리어로 "베리트"이며, 언약 당사자들이 서로 동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 간의 언약은 하나님의 일방적이고 주권적인 언약이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창조주이시고 사람은 그의 피조물로서 본질적으로 하나님과 사람은 상호 동등한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너와 언약을 세우리라..."는 창세기 6장 18절의 말씀에도, 언약을 세우시는 분은 하나님이시고 언약의 소유자도 하나님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히브리어 "베리트"는 "찢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옛날, 근동 지방에서 파기되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언약을 맺을 때, 짐승을 죽인 후 찢어 양쪽에 나누어 놓은 데서 유래된 말이다(창세기 15장 10절, 예레미야 34장 18절). 이는 만약 언약자들이 약속을 지키지 않을 경우 찢어진 짐승과 같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6]

4. 구속사와 경륜

경륜(οἰκονομία|오이코노미아el)은 하나님이 자신의 백성을 구원하기 위해 우주 만물의 운행과 질서, 시간을 조절하고, 분배하며, 계획하고 지배하면서 관리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관리자가 집을 관리하듯, 하나님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지상의 교회와 그리스도를 통해 세상을 다스리는 경영을 뜻한다.[1]

4. 1. 경륜의 의미

경륜(經綸, Administration)은 '일을 조직하여 경영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헬라어에서 경륜은 "오이코노미아"이다. 그 의미는 관리자(누가복음 16:2-4, 사도행전 4:2), 직분(고린도후서 9:17), 경륜(골로새서 1:25), 오묘(에베소서 1:9)로 번역할 수 있다.[1]

이러한 의미를 종합해 볼 때, 경륜이란 관리자가 집을 관리하고 다스리듯이, 전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인류의 구원을 위해 지상의 교회와 그리스도를 통해 천하를 다스리는 경영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경륜이란,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의 구원을 위해 우주 만물의 운행과 질서, 시간을 가장 적절하게 조절하고, 분배하며, 계획하고 지배하면서 관리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골로새서 1:25).[1]

4. 2. 경륜과 섭리

경륜(經綸, Administration)은 '일을 조직하여 경영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헬라어로는 '오이코노미아'인데, 관리자, 직분, 경륜, 오묘 등으로 번역할 수 있다.[8]

이는 마치 관리자가 집을 관리하듯, 온 우주의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인류 구원을 위해 지상의 교회와 그리스도를 통해 세상을 다스리는 경영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경륜은 자신의 백성의 구원을 위해 우주 만물의 운행, 질서, 시간을 가장 적절하게 조절, 분배, 계획하고 지배하며 관리하는 모든 과정을 말한다.[8]

하나님은 계약을 영원히 성취하기 위해 구원사 안에서 구체적인 활동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섭리(Providence)이다. 섭리는 '자연계를 지배하는 원리' 또는 '세상의 모든 것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뜻, 혹은 은혜'이다.[8]

섭리는 하나님께서 결심하신 목적을 이루기 위해 모든 것을 다스리시는 지속적인 활동, 즉 모든 일을 그 뜻대로 행하게 하시는 하나님의 계획 실천이다. 다시 말해, 구원 계획을 실현해 나가시는 하나님 자신의 구체적인 활동이다. 죄를 범한 인간을 구원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이 실현될 때까지,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주권적으로 개입하여 적극적으로 일한다는 의미이다.[8]

5. 구속사 해석의 역사

구속사적 성경 해석은 성경의 통일성과 역사성을 강조하는 다양한 신학적 전통을 포괄한다. 창세기 3장과 이사야 53장과 같은 곳에서는 성부 하나님은 메시야를 약속하셨고 그를 통하여 인류의 구원을 완성하시려고 약속이 그리스도를 통하여 성취되었다. 그의 백성으로 구원을 이루게 하였다. 이런 성경계시의 역사적 활동을 구속사적 관점이라고 한다. 바울은 그의 서신서들에서 구속사를 말한다.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이미 실현되었지만 인간역사의 마지막으로서 그리스도의 재림은 아직 임하지 않았다고 가르친다. 구속사의 전체적인 틀은 창조와 타락 그리고 구속과 재림이라는 관점에서 성경의 역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10]

주로 독일 남부를 중심으로 시작된 '구속사 학파(學派)'(heilsgeschichtliche schule영어, salvation history school영어)의 학자들은 성경 66권 전체를 구원의 역사로만 이해한다. 벵겔은 18세기에 활동했던 인물로서 이 시대에는 칼빈주의(개혁파, 개혁주의, 보수주의)가 거의 소멸한 시대였다. 벵겔의 영향을 받은 에르랑게(Erlangen) 대학교의 호프만이 처음으로 구원사적(구속사적)으로 성경 해석방법을 시도하였다. 그는 종교적인 체험을 중시하였으며, 성경에 대한 비평적인 연구와 더불어 루터파의 이론과 접목시켜 성경해석을 시도했다.[10]

호프만의 영향을 받은 쉘링은 성경의 역사를 역사적 사건으로 보지 않고, 성경에 나타난 역사적 사실을 상징적으로 보았다. 뿐만 아니라 계시를 관념으로 이해한다. 즉 계시를 부정하는 것이다. 20세기에 이르러 마르부르크(Marburg), 퀘멜(Kummel), 에드워드 슈바이처 등이 구원사학파(구속사학파)에 속한 학자들이다. 퀘멜은 불트만의 후계자이다.[10]

오스카 쿨만은 구원사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양식사학적인 방법은 역사적인 예수에게 가까이 가는 하는 일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성경은 초대교회의 산물에 지나지 않으며, 예수님의 생애에 교훈에 대한 말씀은 믿을 수 없는 기록이라고 하였다. 즉 성경은 초대교회가 꾸며 쓴 것이라고 주장했다. 칼 바르트도 구원사라는 개념을 채용하고 있다.[10]

5. 1. 초기 해석

초대 교부들은 구약성경을 그리스도 중심적으로 해석하며, 구약의 사건과 인물들을 신약의 예표로 이해했다. 루터와 칼뱅은 올바른 의미에서의 예형론적 해석을 주장했다.[1] 중세 시대에는 성경의 문자적, 영적, 도덕적, 신비적 의미를 찾는 4중 해석법이 발전했다.

요한 크리스찬 호프만은 구속사 개념을 처음으로 제창했다. 그는 성경의 기계적인 이해에 이의를 제기하며, 성경 해석에 있어서 문법적, 역사적 해석과 더불어 세 번째 해석 원리인 신학적 해석을 더했다. 이는 하나님이 성경의 저자라면, 거기에 일관성이 있으며, 명확한 목적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이다.[1]

1939년에 L. 고펠트는 『튀포스』를 저술했다. 이 책은 구약학자 게르하르트 폰 라트, 마르틴 노트, 신약학자 스토퍼, E. 슈타우퍼 등에 의해 적극적으로 평가받았다.[1] 고펠트는 구약성경의 인물, 사건, 제도는 신약에서 성취되어야 할 일들의 예언이었다고 주장했다.[1] 폰 라트는 계시가 진전적인 것이며, 처음부터 끝을 향해 나아가는 것임을 주장했다.[1]

5. 2. 종교개혁 시대

루터와 칼뱅은 성경의 문자적 의미와 역사적 배경을 중시하며, 예형론적 해석을 신중하게 사용했다.[1] 이들은 올바른 의미에서의 예형론적 해석을 주장했다.[1]

5. 3. 근현대 신학

요한 크리스티안 호프만은 요한 벵겔의 영향을 받아 구속사 개념을 처음으로 제창했다. 그는 성경 해석에 있어서 문법적, 역사적 해석 외에 신학적 해석을 추가했다. 이는 하나님이 성경의 저자라면, 거기에 일관성과 명확한 목적이 있을 것이라는 전제였다.[10]

20세기에 오스카 쿨만은 구속사 학파의 대표적인 학자였다. 그는 성경을 초대 교회의 신앙 고백으로 이해했으며, 예수의 생애와 교훈에 대한 역사적 확실성을 부정했다. 칼 바르트도 구속사 개념을 수용하여,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 활동을 강조했다.[10]

L. 고펠트는 1939년에 『튀포스』를 저술했다. 그는 구약의 인물, 사건, 제도가 신약에서 성취될 예언이라고 주장했다.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계시의 점진성을 강조하며, 구약성경이 처음부터 끝을 향해 나아간다고 보았다.

참조

[1] 간행물 Paul and Salvation History Baker
[2] 서적 Exile and Restoration: A Study of Hebrew Thought of the Sixth Century BC SCM Press
[3] 서적 Hosea and Salvation History: The Early Traditions of Israel in the Prophecy of Hosea W. de Gruyter
[4] 서적 Our Father's Plan: A Catholic Bible Study of Salvation History Ignatius Press
[5] 서적 神の摂理に在る約束された永遠の約束 睴宣出版
[6] 서적 忘れていた出会い 睴宣出版
[7] 서적 創世記の系図 睴宣出版
[8] 서적 永遠の契約に込められた神秘的な神の摂理 睴宣出版
[9] 간행물 Paul and Salvation History Baker
[10] 웹인용 구원사학파 https://m.cafe.daum.[...] 2022-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