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민정서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정서법은 대한민국의 법률이 아닌 불문율로, 법 위에 국민 정서가 우선시되는 경향을 풍자하는 말이다. 이는 법치주의를 약화시키고, 여론에 따라 판결이 좌우되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특히 반일 감정과 관련된 사건에서 자주 나타난다. 국민정서법은 과거사 문제, 정치적 사건, 사회적 이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며, 법의 일반 원칙을 무시하고 포퓰리즘에 기반한 판결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법치주의 확립과 성숙한 시민 의식 함양을 통해 국민정서법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법부 - 대한민국 군사법원
    대한민국 군사법원은 헌법과 군사법원법에 따라 설치된 특별법원으로, 군인, 군무원, 간첩죄를 저지른 민간인에 대한 재판 관할권을 가지며, 평시에는 지역군사법원에서 1심, 서울고등법원에서 항소심을 관할하고, 2021년 법 개정으로 평시 군사법원의 독립성과 공정성이 강화되었다.
  • 대한민국의 사법부 - 전관예우
    전관예우는 대한민국 법조계에서 판사, 검사 출신 변호사가 퇴직 후 받는 특혜를 의미하며, 공정성을 해치고 사법 시스템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여 관련 법률 제정 및 개정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이다.
  • 대한민국의 입법 - 헌법재판
    헌법재판은 법률 등의 헌법합치 여부를 심사하는 작용으로, 사법권 행사에 속하며, 국가별 헌법에 따라 헌법재판소나 일반 법원이 위헌심사제, 헌법소원심판 등 다양한 형태로 담당한다.
  • 대한민국의 입법 - 대한민국 법제처
    대한민국 법제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서 법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며, 정부 입법 활동 감독 및 지원, 법령 정비, 국민 중심 법제화 추진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한국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1979년 편찬 사업이 시작되어 1988년부터 1991년까지 총 27권으로 발간된 대한민국 민족 문화 백과사전이며, 2001년 디지털판으로 출시되어 한국학 연구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학 - 명심보감
    《명심보감》은 선현들의 금언과 명구를 모아 1393년 명나라에서 처음 간행된 책으로, 조선 초기 국내 유입 후 널리 유통되었으며, 1592년에는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서양에 소개, 베트남에서도 활용되었고, 판본에 따라 구성에 차이가 있으며, 조선시대 서당 교재로 사용, 관련 문화재로 청주본과 인흥재사본이 있다.
국민정서법
국민 정서법
한글국민정서법
한자國民情緖法
히라가나こくみんじょうちょ(じょうしょ)ほう
가타카나クンミンジョンソボプ
로마자 표기gungminjeongseobeop

2. 역사적 배경

국민정서법은 대한민국에서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조차 초월하는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로, 불문율의 일종이다.[9]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와 같은 근대 법의 원칙조차 때로는 무시되며, 국민 정서라는 흔들리기 쉬운 여론에 영합하여 어떠한 재정도 내릴 수 있다고 여겨진다.

2. 1. 국민정서법의 등장 배경

국민정서법은 대한민국에서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조차 초월하는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로, 불문율의 일종이다.[9]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와 같은 근대 법의 원칙조차 때로는 무시되며, 국민 정서라는 흔들리기 쉬운 여론에 영합하여 어떠한 재정도 내릴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풍조의 대표적인 예시가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이다.[10] 이 법률은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통해 얻은 재산을, 당시에는 합법이었더라도 자손에게서 몰수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법령의 효력을 과거에 소급 적용하지 않는다는 법의 일반 원칙을 부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0]

국민 정서에 대한 편중은 하급 지방 법원, 고등 법원의 판결에서 많이 나타나며, 대법원에서 이러한 판결이 뒤집히는 경우도 있었다. 중앙일보는 "수십 년 전의 위장 전입, 반세기를 넘은 아버지의 친일 등의 문제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어떤) 공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는 '치욕형'을 받았다"라고 보도했다.[9] IMF에 의한 한국 구제 직후, 국민의 분노에 밀려 '정책도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었지만, 결국 대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되는 경우도 있었다.[9]

이는 권력자의 자의성이 반드시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죄형 전단주의와는 차이가 있지만, 포퓰리즘에 지배되어 국가의 법적 안정성이나 통제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2. 2. 국민정서법 관련 주요 사건


  •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 제정''': 소급 입법 금지 원칙을 무시하고, 일제강점기친일 행위로 얻은 재산을 자손에게서라도 몰수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법률이다.[10] 이는 법의 일반 원칙을 부정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0]
  • '''일본 기업 강제 징용 배상 판결''': 2013년 서울고등법원은 징용공은 한일기본조약 및 한일 청구권 협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단을 내려 신일본제철(현 일본제철)에 배상을 명령했다.[13][11] 이는 2005년 노무현 대통령이 징용공이 협정에 포함된다는 견해를 보인 것과 상반된 판결이었다.
  • '''세월호 침몰 사고 재판''': 세월호 침몰 사고 재판에서 검찰은 박근혜 대통령의 의향과 사형을 요구하는 여론에 따라 선장 등에게 이례적으로 살인죄를 적용했다.[15] 그러나 법원은 업무상 과실 치사상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여 살인죄를 일부 번복했다.[16]
  •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에서 재벌 2세인 조현아 부사장에 대한 형량에도 국민 정서가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있다.[18][19]
  • '''정의용 외교부 장관의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발언 논란''': 2021년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IAEA) 기준에 따른 오염수 방류에 대해 조건부 찬성 발언을 한 것이 국민 정서에 반한다는 비판을 받았다.[24]

3. 국민정서법의 특징

국민정서법은 대한민국에서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보다 우선시되는 불문율이며,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이다.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와 같은 근대 법의 기본 원칙이 때때로 무시되기도 한다.[9]

국민정서법은 일부 시민 단체(압력 단체)나 학자의 의견에 의해 구체화되고, 대중 여론에 의해 성패가 판단되며, 한국 미디어가 이를 부추기는 방식으로 "제정"되는 경향을 보인다.[9] 이러한 풍조는 여론에 영합하여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있다고 여겨지게 만들며, 포퓰리즘에 지배되어 국가의 법적 안정성과 통제가 불가능해질 우려를 낳는다.
국민정서법의 주요 특징:


  • 법치주의와의 충돌: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보다 국민 정서가 우선시되는 경향.
  • 근대 법 원칙의 무시: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 등 근대 법의 기본 원칙이 때때로 무시됨.
  • 포퓰리즘의 영향: 여론에 영합하여 법 집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위험성.
  • 법적 안정성 저해: 법 집행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떨어뜨려 법적 안정성을 저해.


국민 정서에 대한 편중은 하급 지방 법원, 고등 법원의 판결에서 많이 나타나며, 대법원에서는 이러한 판결이 뒤집히는 경우도 있었다.[9]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은 국민정서법의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이다.[10] 이 법률은 "일제강점기 시대의 조선에서 재산을 얻은 당시에는 합법이었더라도, 친일 행위를 통해 얻은 재산을 자손에게서라도 몰수할 수 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는 "법령의 효력은 과거의 행위에 소급하여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법의 일반 원칙을 부정하는 것이었다.[10]

4. 국민정서법에 대한 비판

국민정서법은 법률이 아닌 불문율로, 대한민국 헌법을 포함한 법률, 조례, 조약 등을 초월하는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이다.[9] 이는 시민 단체나 학자들에 의해 구체화되고, 대중 여론과 미디어에 의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9]

국민정서법은 법치주의의 기본 원칙인 시효, 소급 입법 금지 등을 무시하고, 여론에 따라 판결이 내려지는 경향을 보인다.[10] 그 예시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은 일제강점기 당시 합법적으로 취득한 재산이라도 친일 행위를 통해 얻은 재산이라면 몰수할 수 있도록 하여, 법의 일반 원칙을 부정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0]

국민 정서에 편중된 판결은 하급 법원과 고등 법원에서 자주 나타나며, 대법원에서 파기되는 경우도 있다.[9] 중앙일보에 따르면, 과거의 위장 전입이나 아버지의 친일 행위 등으로 인해 국민 정서에 반하는 공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는 경우가 있었다.[9] IMF 구제 금융 직후에는 정책도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었지만, 대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되기도 했다.[9] 그러나 무죄 확정까지 오랜 시간이 걸려 당사자가 고통을 받는 경우도 있다.

국민정서법은 죄형 법정주의와 달리 권력자의 자의성이 반드시 작용하지는 않지만, 포퓰리즘에 의해 국가의 법적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5. 국민정서법 관련 사례

노무현 대통령은 한일기본조약과 관련하여 위안부 등은 협정에 포함되지 않지만 징용공은 포함된다는 견해를 보였으나, 2013년 서울고등법원은 이와 반대되는 판결을 내렸다.[13][11] 일본경제신문은 한국의 행정·사법이 여론에 휩쓸리기 쉽다고 평가했다.[12]

서울특별시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앞 "위안부상" 방치는 한국 국내법 위반이며, 비엔나 협약에도 저촉된다.[10] 이는 국민 정서를 법률보다 우선한 사례이다.[13]

야스쿠니 신사 방화 사건에서는 중국인 방화범이 한국에서 정치범으로 인정되어 일본으로의 송환이 거부되었고[13][11],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에서는 쓰시마섬 관음사에서 도난당한 불상이 한국에서 발견되었으나, 부석사의 요구로 한국 법원이 일본으로의 반환을 거부하는 판결을 내렸다.[13][11]

세월호 침몰 사고 재판에서는 업무상 과실 치사상이 타당하다는 현직 판사의 의견에도 불구하고,[15] 박근혜 대통령의 의향과 사형을 요구하는 여론에 휩쓸려 검찰이 세월호 선장 등 4명을 이례적으로 살인죄로 기소한 것은 국민 정서에 따른 결과라고 한다.[14] 이후 법원의 판결도 국민 정서에 따라 변경되었다.[17]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에서 조현아 부사장에 대한 형량에도 국민 정서가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18][19]

2019년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관련 의혹에 대해, 한겨레는 "국민 감정법"을 우려했다.[20]

일본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에 대해, 정의용 외교부 장관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맞는 적합한 절차에 따른다면 굳이 반대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것에 대해 여야에서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24]

2020년에는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이 윤미향 관련 논란에 대해 설명 책임과 국민 정서를 언급했다.[23]

5. 1. 반일 감정과 관련된 사례

노무현 대통령은 한일기본조약의 한일 청구권 협정에 위안부, 피폭자, 사할린 잔류 한국인은 포함되지 않지만, 징용공은 포함된다는 견해를 보였다. 그러나 2013년 서울고등법원은 징용공이 청구권 협정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반대 판단을 내려 신일본제철(현 일본제철)에 배상을 명령했다.[13][11] 이는 2011년 8월 헌법재판소가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 판단을 뒤집고, 한국 정부가 위안부 배상 청구권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단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일본경제신문은 동북아역사재단 도지환 연구원의 논평을 통해 한국의 행정·사법이 여론에 휩쓸리기 쉬우며 "헌법 위에 '국민 정서법'이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이러한 판결들이 국제 사회에서 인권 중시로 변화하는 흐름을 한국 재판관들이 느낀 결과라고 분석했다.[12]

서울특별시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앞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세운 "위안부상"이 방치되어 있는 것은 한국 국내법 위반이며, 비엔나 협약에도 저촉된다.[10] 이는 국민 정서를 법률의 엄격한 시행보다 우선한 사례로 볼 수 있다.[13]

이 외에도 야스쿠니 신사 방화 사건에서 중국인 방화범이 한국에서 정치범으로 인정되어 일본으로의 송환이 거부되었고[13][11],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에서 쓰시마섬 관음사에서 도난당한 불상이 한국에서 발견되었으나, 충청남도 부석사가 일본에 반환하지 않도록 요구하며 한국 법원이 반환을 거부하는 판결을 내린 것[13][11] 등이 국민 정서법과 관련된 사례로 언급된다.

5. 1. 1. 일본군 위안부 문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국민적 반발과 합의 무효화 주장이 있었다.[13] 서울특별시 주대한민국일본국대사관 앞에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가 세운 "위안부상"이 방치되어 있는 것은 한국 국내법 위반 상태이며 비엔나 협약에도 저촉된다.[10] 이는 국민 정서를 법률의 엄격한 시행보다 우선한 것이라고 한다.[13]

5. 1. 2. 강제 징용 문제

노무현 대통령이 한일기본조약의 한일 청구권 협정에 징용공이 포함된다는 견해를 밝혔지만, 2013년 서울고등법원은 징용공이 청구권 협정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려 신일본제철(현 일본제철)에 배상을 명령했다.[13][11] 이는 2011년 헌법재판소가 1965년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 판단을 뒤집고, 한국 정부가 위안부 배상 청구권 해결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은 위헌이라고 판단한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일본경제신문은 동북아역사재단 도지환 연구원의 논평을 인용, 한국의 행정·사법이 여론에 휩쓸리기 쉽고 "헌법 위에 '국민 정서법'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러한 판결이 국제 사회의 인권 중시 흐름을 반영한 결과라고 분석했다.[12]

2018년 아사히 신문은 징용공 재판을 계기로 국민 정서법에 의해 국교 정상화의 전제가 무너지고 일본 정부나 기업에게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비판했다.[22]

5. 1. 3. 기타 반일 감정 관련 사례

야스쿠니 신사 방화 사건에서, 중국인 방화범이 한국에서 정치범으로 인정되어 일본으로의 송환이 거부되었다.[13][11]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에서는 쓰시마섬 관음사에서 도난당한 불상이 한국에서 발견되었으나, 충청남도 부석사가 반환을 요구하며 한국 법원이 일본으로의 반환을 거부하는 판결을 내렸다.[13][11]

5. 2. 국내 정치/사회 관련 사례

세월호 침몰 사고 재판에서 업무상 과실 치사상이 타당하다는 현직 판사의 의견에도 불구하고,[15] 박근혜 대통령의 의향과 사형을 요구하는 여론에 휩쓸린 검찰이 세월호 선장 등 4명을 이례적으로 살인죄로 기소한 것은 국민 정서에 따른 결과라고 한다.[14] 2014년 광주지법은 선장 등 3명의 살인죄를 인정하지 않고 유기치사죄 등으로 유죄를 선고했으며, 부상당한 조리사를 내버려 둔 기관장에게만 살인죄가 적용되었다.[16] 그러나 이듬해 광주고등법원은 1심을 뒤집고 국민 정서에 따라 선장에게 살인죄를 적용하고 기관장에 대한 살인죄 적용을 취소했으며, 선장을 제외한 승무원의 형기를 대폭 감형했다.[17]

대한항공 땅콩 회항 사건에서 대중의 불만을 산 재벌 2세 조현아 부사장에 대한 형량에도 국민 정서가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18][19]

2019년, 법무부 장관 조국과 관련된 부정 의혹이 드러난 후 한겨레는 조국이 처한 상황을 "국민 감정법에 빠져 돌아오지 못했다"고 우려했다.[20]

5. 3. 기타 사례

일본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출에 대해,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 정의용이 "국제원자력기구(IAEA) 기준에 맞는 적합한 절차에 따른다면 굳이 반대하지 않는다"고 답변한 것에 대해 여야에서 "국민 정서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24]

6. 국민정서법과 한국 사회

국민정서법은 한국 사회에서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보다 우선시되는 불문율로 여겨지는 현상을 풍자하는 용어이다. 이는 법 경시 풍조를 반영하며, 때로는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와 같은 근대 법의 원칙조차 무시되기도 한다.

국민 정서에 영합하여 어떠한 결정도 내릴 수 있다는 인식은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10] 이 법은 일제강점기 시대에 친일파가 친일 행위를 통해 얻은 재산을 자손에게서 몰수할 수 있도록 하여, 법률 불소급 원칙을 무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10]

IMF에 의한 한국 구제 직후, 한 피고는 국민적 분노에 밀려 정책 문제로 사법 심사 대상이 되었으나, 대법원에서 무죄를 선고받기까지 6년간 부당한 고난을 겪어야 했다.[9]

이러한 국민정서법은 권력자의 자의성이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죄형 전단주의와는 다르지만, 포퓰리즘에 휩쓸려 국가의 법적 안정성과 통제 불능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6. 1. 국민정서법과 언론

미디어는 국민정서법이 (비유적으로 말해) "제정"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9]。대한민국에서 국민정서법은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을 초월하는 불문율이며,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이기도 하다. 국민정서법은 일부 시민 단체 (압력 단체)나 학자의 사견에 의해 구체화되고, 대중 여론에 의해 성패가 판단된다[9]

중앙일보는 "수십 년 전의 위장 전입, 반세기를 넘은 아버지의 친일 등의 문제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어떤) 공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는 '치욕형'을 받았다"라고 보도했다[9]

6. 2. 국민정서법과 정치

정치권은 국민 정서를 이용하여 특정 정책을 추진하거나 반대 세력을 공격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은 일제강점기친일파가 친일 행위를 통해 얻은 재산을 자손에게서라도 몰수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데, 이는 "법령의 효력은 과거의 행위에 소급하여 적용되지 않는다"라는 법의 일반 원칙을 부정하는 것이었다.[10]

대법원에서는 하급심에서 국민 정서에 편중된 판결이 뒤집히는 경우도 있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수십 년 전의 위장 전입, 반세기를 넘은 아버지의 친일 등의 문제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어떤) 공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는 '치욕형'을 받았다"라고 한다.[9]

국민정서법은 포퓰리즘으로 이어져 국가의 법적 안정성이나 통제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6. 3. 국민정서법과 사법부

대한민국에서의 법률 종류가 아닌, 불문율이며, 법률, 조례, 조약, 대한민국 헌법조차도 초월하는 '''법 경시''' 풍조를 풍자하는 말이다. 국민 정서는 법의 지배, 시효, 소급 입법 금지와 같은 근대 법의 원칙조차 때로는 무시하며, 흔들리기 쉬운 여론에 영합하여 어떠한 재정도 내릴 수 있다고 여겨진다.[9]

국민 정서에 대한 편중은 하급 지방 법원, 고등 법원의 판결에서 많이 나타나며, 대법원에서는 이러한 판결이 뒤집히는 경우도 있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수십 년 전의 위장 전입, 반세기를 넘은 아버지의 친일 등의 문제로, 국민 정서에 반하는 (어떤) 공직자는 현직에서 물러나는 '치욕형'을 받았다"라고 한다.[9]

IMF에 의한 한국 구제 직후, 국민의 우분(憂憤)에 밀려 '정책도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었지만, 결국 대법원에서 무죄가 선고된 사례도 있었다.[9] 무죄 확정까지 6년이 걸렸으며, 당사자는 오랫동안 부당한 고난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현상은 포퓰리즘에 지배되어 국가의 법적 안정성이나 통제가 불가능해질 우려를 낳는다.

참조

[1] 네이버 국민정서법 http://terms.naver.c[...]
[2] 뉴스 危ういチョ・グク法務部長官候補の選択は http://japan.hani.co[...] 2019-08-24
[3] 중앙일보 【社説】劉承俊への入国禁止措置は行き過ぎ https://japanese.joi[...] 2002-02-02
[4] 웹사이트 国と国の約束覆す判決 韓国「国民情緒法」が与える打撃: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02-23
[5] 웹사이트 韓国の司法機関とは…「国民情緒法」の影響免れず https://www.sankei.c[...] 2021-04-20
[6] 웹사이트 「反日」と「情緒」が支配する哀しき非民主国家 https://ironna.jp/ar[...] 2021-04-20
[7] 웹사이트 慰安婦団体の前理事長巡り 「世論の風向き良くない」=韓国与党議員 https://jp.yna.co.kr[...] 2021-04-20
[8] 웹사이트 <Wコラム>ゴネるが勝ち、あなたは本当に「韓国」を知っている?|wowKorea(ワウコリア) https://www.wowkorea[...] 2021-04-20
[9] 간행물 중앙일보日本語版 2005-08-12
[10] 간행물 Newsweek 日本版 2013-10-01
[11] 뉴스 韓国「国民情緒法」は憲法より上 https://web.archive.[...] 2015-08-13
[12] 뉴스 韓国、強まる反日姿勢は韓国経済危機の表れ?国際協定を無視する韓国司法に懸念の声も https://news.livedoo[...] 2015-08-13
[13] 뉴스 産経抄-国民情緒法 10月10日 https://www.sankei.c[...] 2015-08-13
[14] 뉴스 <韓国旅客船沈没>船長ら4人に「殺人罪」適用…船員15人全員を拘束・起訴 https://japanese.joi[...] 2014-05-15
[15] 뉴스 朴槿恵大統領「激怒」忖度の死刑求刑か 日本では理解し難き韓国“感情司法” https://web.archive.[...] 2015-08-13
[16] 뉴스 旅客船沈没:機関長ら、けがの調理師を見捨て脱出 http://www.chosunonl[...] 2014-05-13
[17] 聨合뉴스/naver イ・ジュンソク船長殺人有罪·無期懲役...乗組員14人は軽減(総合) http://news.naver.co[...] 2015-04-28
[18] 뉴스 大韓航空副社長、航空法違反・越権行為となるか、注意で終わるのか http://www.wowkorea.[...] 2015-08-13
[19] 뉴스 大韓航空“ナッツ姫”が拘束起訴、予想される量刑は? http://www.wowkorea.[...] 2015-08-13
[20] 웹사이트 危ういチョ・グク法務部長官候補の選択は http://japan.hani.co[...] 2019-08-24
[21] 웹사이트 韓国、複雑な「国民情緒」と対日観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24-10-09
[22] 뉴스 国と国の約束覆す判決 韓国「国民情緒法」が与える打撃 https://www.asahi.co[...] 2018-10-31
[23] 웹사이트 慰安婦団体の前理事長巡り「世論の風向き良くない」=韓国与党議員 https://jp.yna.co.kr[...] ソウル聯合ニュース 2024-10-09
[24] 웹사이트 海洋放出巡る発言で与党も外相叱責 「国民の情緒と違う」=韓国国会 https://jp.yna.co.kr[...] 2021-04-20
[25] 문서
[26] 뉴스 인용 【噴水台】 国民情緒法 https://japanese.joi[...] 2019-08-24
[27] 뉴스 인용 危ういチョ・グク法務部長官候補の選択は http://japan.hani.co[...] 2019-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