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학교는 재일 조선인들이 민족 교육을 위해 설립한 학교로, 국어 강습소에서 시작되어 조선총련 계열 학교로 발전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국어 강습소로 시작하여, 1946년 재일본조선인련맹(조총련 전신)의 학교로 발전했으나, 연합군 최고사령부와 일본 정부의 폐쇄령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50년대 중반 이후 재건되었으며, 북한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었다. 1960년대부터 각종학교로 인가받아 학생 수가 증가했으나, 일본 정부의 수업료 지원 제외, 혐오 발언,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선학교는 북한과의 밀접한 관계, 교육 내용, 재정 지원 문제 등으로 논란이 있으며, 일본 정부의 지원 중단, 혐오 발언, 차별 등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학교 - 고등전문학교
고등전문학교는 일본의 5년제 기술 교육 기관으로, 중학교 졸업 후 입학하여 준학사 학위를 취득하며, 이론과 실습 중심의 교육을 통해 산업 인력 수요에 대응하고 직업에 필요한 능력 육성을 목표로 한다. - 일본의 학교 - 중화학교
중화학교는 일본 내 중국계 학교들을 가리키며,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 계열의 학교들이 재일 중국인 및 한국인 사회에서 중국 문화 보존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신보
조선신보는 조총련 중앙의 기관지로, 재일 조선인 사회 소식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를 다루며 김정남 암살 사건 등 국제 이슈에 대해 북한 시각을 반영하고 대한민국과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논조를 보인다. -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 후지모토 겐지
후지모토 겐지는 김정일의 전속 요리사로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탈북 후 김정일의 사생활을 폭로하고 김정은과 재회하기도 했다.
조선학교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선학교 |
한자 표기 | 朝鮮學校 |
일본어 표기 | ちょうせんがっこう |
한국어 표기 | 조선학교 |
로마자 표기 | Joseon hakgyo |
개요 | |
설명 | 일본에 있는 북한 관련 학교 |
특징 |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가 교실에 걸려 있음 북한의 주체사상을 교육 |
관련 정보 | |
관련 단체 | 조선총련 |
학교 형태 | 각종학교 (일본 학교 교육법에 따른 정규 학교가 아님) |
지원 문제 | 수업료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 |
추가 정보 | |
운영 주체 |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선총련) |
한국어 표기 | 조총련 학교 |
기타 | 스마트폰 사용 제한 등 논란 윤미향 등 일부 한국 인사의 지원 활동 |
2. 역사
조선학교는 재일 조선인들이 민족교육을 위해 자발적으로 세운 국어강습소에서 유래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재일조선인들은 한국어를 이용해 학습하는 장소인 '국어강습소'를 마련하였다. 1946년 국어강습소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의 전신인 재일본조선인련맹의 학교로 발전했다.
1948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정책에 의해 오사카부 등에서 조선학교폐쇄령이 내려져 총련계 학교가 일시적으로 폐쇄되었다. 1949년부터 1951년까지 일본 정부는 백두학원을 제외한 현재의 총련계 학교를 일시 폐쇄하고, 일본 학교에서의 민족교육을 금지했다. 일부는 공립 조선인학교, 민족학급 등으로 이관되거나 개인 주택에서 개별 교육을 실시했다.
1950년대 중반 이후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조선총련이 각 계열의 학교를 재건했다. 백두학원은 중립 노선을 유지하며 정규 학교인 1조교가 되었다. 195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교육 원조비를 지원하여 자금난에 시달리던 조선학교에 큰 도움을 주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지원하지 않았다.[141]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각 도도부현이 조선학교를 각종학교로 인가했으며, 1975년에는 모든 조선학교가 각종학교가 되었다. 이 시기는 학교 수와 학생 수가 정점에 달했다.
1994년 치마저고리 절단 사건이 발생했다. 2010년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취학 지원금 지급 제도가 시작되었으나, 조선학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2012년에는 조선학교 문제와 관련된 재일 스파이 피의자 사건이 있었다.
2013년 문부과학성은 조선학교를 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는 처분을 결정했다. 이후 전국 5곳의 지방법원에서 조선학교 무상화 소송이 제기되었으나,[144] 2019년 대법원 판결에서 원고 패소가 확정되었다. 이후 오사카[146], 나고야[147], 후쿠오카현[148], 히로시마시[149] 소송에서도 같은 판결이 내려져 조선학교 측 주장은 사법부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19년 유아교육·보육 무상화 사업이 시작되었지만, 조선학교 유치반은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150] 2023년 통일부는 조선학교 차별을 다룬 다큐멘터리 제작진을 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
2. 1. 배경
조선학교는 일제강점기 재일 조선인들이 민족교육을 위해 자발적으로 세운 국어강습소에서 유래하였다.[21] 1905년부터 1945년까지 이어진 일제강점기 동안, 많은 한국인들이 강제 또는 자발적으로 일본으로 이주하였다. 일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하려고 시도하며 한국어 교육 및 사용을 제한하였다.[6]
1945년 광복 이후, 약 200만 명의 한국인이 고국으로 돌아갔지만, 약 60만 명은 일본에 남았다.[21] 일본 점령기 동안 재일 한국인들은 한국 문화를 가르치고 기념할 수 있는 자체 학교를 설립하였으나,[7] 곧 제약에 직면하게 되었다.[8]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후, 재일조선인들은 한국어를 이용해 학습하는 장소인 '국어강습소'를 마련하였다. 1946년 국어강습소는 재일본조선인련맹(현 조선총련의 전신)의 학교로 발전하였다.
1948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정책에 의해 오사카부 등은 조선학교폐쇄령을 내렸고, 이는 총련계 학교가 일시적으로 폐쇄되는 결과를 낳았다. 미군정은 일본 문부성에 재일 한국인 학교 폐쇄를 지시하였고, 이에 대한 항의가 터져 나왔다. 일본 정부와 재일 한국인 주민 간의 충돌은 1948년 4월 24일 한신교육사건을 정점으로 치달았는데, 이 사건으로 1,732명이 체포되었다. 같은 날 일본 경찰은 조선학교에 들이닥쳐 학생들을 강제로 내쫓고 문을 못으로 막았다.[9]
1949년,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 폐쇄령을 내려 백두학원을 제외한 현재의 총련계 학교를 일시 폐쇄시키고, 일본 학교에서 민족교육을 금지하였다.[10] 일부는 공립의 조선인학교, 조선인에게만 교육을 실시하는 민족학급 등에 이관되거나 개인 주택에서 개별 교육을 실시하였다.
2. 2. 북한과의 관계
조선학교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계열의 학교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설립 및 운영: 조선학교는 재일 조선인들이 민족교육을 위해 자발적으로 세운 국어강습소에서 유래했다. 1950년대를 거치며 조선총련 계열의 학교로 확립되었고, 현재까지 북한과 지원, 교류 등을 주고받고 있다.[11] 1946년 재일본조선인련맹(현 조총련의 전신)의 학교로 발전했다.[11]
- 북한의 재정 지원: 1957년부터 북한은 조선학교에 교육 원조비를 지원하기 시작했다.[17] 이 지원금은 초기 자금난에 시달리던 조선학교에 큰 도움이 되었다. 2021년 북한의 발표에 따르면, 조선학교 설립 이후 북한은 5000억원 이상의 재정 지원을 보냈다고 한다.[18]
- '잡학교' 지위 획득: 일본 정부는 1965년 한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후, 북한과 연계된 조선학교에 대한 '잡학교(miscellaneous school)' 지위 부여를 지방 당국에 거부하도록 압력을 가했다.[10] 하지만, 1975년까지 모든 조선학교가 '잡학교' 지위를 획득했다.[10]
- 조총련과의 관계: 조총련은 일본 내 북한의 사실상 대사관으로 여겨진다.[12][13][14][15] 조선학교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은 조총련 중앙본부 및 북한 조선노동당이 사실상 결정하고 있다.[56][57][58]
- 비판: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은 조선학교가 김일성 일가 숭배와 독재, 조선총련을 위한 인재 육성, 왜곡된 역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비판한다.[70]
2. 3. 반한 감정 증가
일본인들이 북한 정부에 의해 납치되었다는 보도[19]와 북한의 핵실험은 반한 감정을 고조시켰다. 조선학교 학생들은 침을 뱉기거나 욕설을 듣고, 특유의 교복이 찢어지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20]이러한 공격들은 조선총련 사회에 공포를 불러일으켰다. 등굣길에는 서구식 교복을 입고 학교에 도착해서 조선학교 교복으로 갈아입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 되었다. 교복 한 벌당 4만엔의 비용이 들었기 때문에 이러한 보호 조치는 상당한 비용을 의미했다.[20]
2. 4. 일본의 수업료 지원 철회
2010년 일본 문부과학성은 고등학교 무상 교육 정책을 시행했지만, 조선학교는 이 정책에서 제외되었다.[21][22] 도쿄한국중고등학교의 연간 수업료는 400k으로,[23] 저소득층 학부모들에게는 큰 부담이었기 때문에, 수업료 면제는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었다.2013년 2월, 일본 정부는 북한 핵 개발과 일본인 납치 문제 협조 부족을 이유로 조선학교를 수업료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식 발표했다.[24][25]
이에 대해 2013년 5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는 이러한 결정이 차별에 해당한다는 우려를 표명했다.[26] 조선총련은 200회 이상의 시위를 조직하며 일본 정부의 결정에 반대했다.[27]
일본 법원에서는 조선학교를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한 것에 대한 소송이 여러 차례 있었다. 2017년 7월 오사카지방법원은 오사카조선고등학교를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 불법이라고 판결했지만,[29][30] 몇 달 후 도쿄지방법원은 일본 정부의 결정을 지지했다.[31] 2019년 8월, 일본 최고재판소는 도쿄조선중고등학교를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 합법이라고 판결하며, 북한과의 긴장 관계와 학교와 조총련과의 관계를 이유로 들었다.[22][23]
이러한 상황 속에서 재정난을 이유로 조선학교들이 문을 닫는 사례도 발생했다. 2018년 3월 히가시오사카조선중학교가 폐교했고,[32] 2023년에는 오사카부에 있는 세 학교가 문을 닫았다.[33]
2010년 4월부터 시행된 법률에 따르면 외국인 학교도 취학 지원금 지급 대상이 될 수 있지만,[116] 조선학교는 민주당 정권 하에서 심사 결론이 나지 않았다. 2012년 자민당의 제2차 아베 내각이 출범한 후, 문부과학성은 조선학교에 대해 '''"북한 및 조총련과의 밀접한 관계가 의심되어 취학지원금이 수업료에 충당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며 10개 조선학교 고등부를 비지정했다.[118]
2. 5. 혐오 발언
재특회 고위 간부 출신 인물이 조선학교를 "스파이 훈련소"라고 발언한 것에 대해, 2019년 11월 법원은 500000JPY의 벌금형을 선고했다.[34]2. 6. 코로나19 범유행
코로나19 초기에 일본 정부가 유치원에 마스크를 배포할 때 조선학교에는 배포하지 않았다.[35][36] 이에 대해 한국에서 여론의 비판이 일었고, 10개 시민단체의 공동 노력으로 마스크 1,500개와 2400만원이 넘는 성금이 모였다.[37]2. 7. 2023년 서울 당국의 조사
2023년 12월, 통일부는 조선학교 차별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배우 권해효, 조은성 프로듀서, 김지운 감독을 북한 주민과의 무단 접촉 혐의로 조사하기 시작했다.[38]남북 교류협력에 관한 법률 제9조는 한국 국민이 해외에 있더라도 북한 주민과 접촉하려면 통일부에 사전 신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법은 특히 북한과 연계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과 관련된 조선학교 관계자와 접촉하려는 사람들에게 적용된다.[39] 하지만 접촉 대상이 한국 국민인 경우에는 사전 신고가 필요 없다.[40]
조은성 프로듀서는 "지난 10년 동안 재일 한국인 관련 다큐멘터리를 여러 편 제작했지만 이런 일은 처음"이라고 밝혔다.[41]
서울 당국의 조사 소식은 일본에서 공분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북한 사람과 이야기했다는 이유로 스파이 혐의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재일 한국인 3세인 한 식당 주인은 "일본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살아온 한국인들이 북한 사람들과 친분을 맺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당국에 신고할 일이 절대 아니다"라고 말했다.[42]
3. 조선학교의 특징
일제강점기 동안 많은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이주하였는데, 그중 일부는 강제로, 일부는 자발적으로 이주하였다.[21] 일제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말살하려고 시도하며, 한국어 교육 및 사용을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제한하였다.[6]
1945년 한국에서 식민 지배가 무너진 후 약 200만 명의 한국인이 고국으로 돌아갔지만, 약 60만 명은 일본에 남았다.[21]
일본 점령기 동안 재일 한국인들은 한국 문화를 가르치고 기념할 수 있는 자체 학교를 설립할 수 있었다.[7] 하지만 이러한 학교들은 곧 제약에 직면하게 되었다.[8] 미군정은 일본 문부성에 재일 한국인 학교 폐쇄를 지시하였고, 이에 항의가 터져 나왔다. 일본 정부와 재일 한국인 주민 간의 충돌은 1948년 4월 24일 한신교육사건을 정점으로 치달았는데, 이 사건으로 1,732명이 체포되었다. 같은 날 일본 경찰은 조선학교에 들이닥쳐 학생들을 강제로 내쫓고 문을 못으로 막았다.[9] 1949년 모든 조선학교가 폐쇄되었다.[10][43]
조선학교는 유치반, 초급학교(초등학교), 중급학교(중학교), 고급학교(고등학교), 대학교로 구분되지만, 이는 일반 학교의 명칭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조선학교가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이다.
- '''대학교''': 대학 수준의 교육을 실시하는 조선학교의 "최고 학부"는 조선대학교(도쿄도) 한 곳뿐이다. 연구원(대학원에 해당), 단기학부(단기대학교에 해당)도 있다. 한국 광주에는 같은 이름의 조선대학교가 있지만, 관련성은 전혀 없다.
- '''고급학교''': 15세부터 18세까지의 학생이 재학하며 3년 교육과정이다. 각 학교에서는 고급부라고 부른다. 전국에 열 곳이 있지만, 대부분은 중급부와 함께 설립되어 있다.
- '''중급학교''': 12세부터 15세까지의 학생이 재학하며 3년 교육과정이다. 중급부라고 부른다.
- '''초급학교''': 6세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이 재학하며 6년 교육과정이다. 초급부라고 부른다.
- '''유치반''': 미취학 아동이 다니는 시설이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곳은 고쿠라 조선유치원(후쿠오카현) 뿐이며, 다른 곳은 모두 초급학교에 부설되어 있다.
조선학교의 지역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지역 | 학교명 |
---|---|
아이치현 | 아이치현 조선중고급학교, 愛知朝鮮第七初級学校|아이치 조선 제7 초급학교일본어, 名古屋朝鮮初級学校|나고야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東春朝鮮初級学校|도슌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
지바현 | 지바현 조선초중급학교 |
에히메현 | 四国朝鮮初中級学校|시코쿠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후쿠오카현 | 규슈 조선중고급학교, 北九州朝鮮初級学校|기타큐슈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福岡朝鮮初級学校|후쿠오카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
기후현 | 岐阜朝鮮初中級学校|기후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군마현 | 群馬朝鮮初中級学校|군마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히로시마현 | 히로시마 조선학교 |
홋카이도 | 홋카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 |
효고현 | 고베 조선고급학교, 神戸朝鮮初中級学校|고베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西神戸朝鮮初級学校|니시고베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尼崎朝鮮初中級学校|아마가사키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伊丹朝鮮初級学校|이타미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西播朝鮮初中級学校|세이반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현 조선초중고급학교 |
가나가와현[45] | 가나가와현 조선중고급학교, 横浜朝鮮初級学校|요코하마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川崎朝鮮初級学校|가와사키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난부 조선초급학교 |
교토부 | 교토 조선중고급학교, 京都朝鮮初級学校|교토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京都朝鮮第二初級学校|교토 조선 제2 초급학교일본어 |
미에현 | 四日市朝鮮初中級学校|욧카이치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미야기현 | 도호쿠 조선초중급학교 |
나가노현 | 長野朝鮮初中級学校|나가노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오카야마현 | 岡山朝鮮初中級学校|오카야마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오카야마 조선유치원 |
오사카부 | 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 北大阪朝鮮初級学校|기타오사카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大阪朝鮮初級学校|오사카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南大阪朝鮮初級学校|미나미오사카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東大阪朝鮮初級学校|히가시오사카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
사이타마현 | 埼玉朝鮮初中級学校|사이타마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시가현 | 滋賀朝鮮初級学校|시가 조선 초급학교일본어 |
시즈오카현 | 静岡朝鮮初中級学校|시즈오카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토치기현 | 栃木朝鮮初中級学校|도치기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도쿄도 |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東京朝鮮第一初中級学校|도쿄 조선 제1 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二初級学校|도쿄 조선 제2 초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三初級学校|도쿄 조선 제3 초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四初中級学校|도쿄 조선 제4 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五初中級学校|도쿄 조선 제5 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六初級学校|도쿄 조선 제6 초급학교일본어, 도쿄 조선 제9초급학교, 西東京朝鮮第一初中級学校|니시도쿄 조선 제1 초중급학교일본어, 西東京朝鮮第二初中級学校|니시도쿄 조선 제2 초중급학교일본어 |
와카야마현 | 和歌山朝鮮初中級学校|와카야마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야마구치현 | 山口朝鮮初中級学校|야마구치 조선 초중급학교일본어 |
3. 1. 위상
조선학교는 일본 법률상 '각종학교'로 분류되어, 문부과학성이 정하는 교육과정을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일본 학교교육법 제1조에 근거한 '일조교'나 '전수학교'로 인정되지 않는다.[152]조선고급학교(고등학교) 과정을 수료해도 일본 대학 입학 자격은 자동적으로 주어지지 않으며, 고등학교 졸업 학력으로 공식 인정받지 못한다. 그러나 각 대학의 개별적 판단에 따라 조선고급학교 졸업생에게 지원 자격을 부여하기도 한다. 사립대학이나 공립대학은 인정하는 경우가 많지만, 국립대학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조선학교 학생들은 일본 정규 고등학교와 병행하거나, 고등학교 졸업정도 인정시험 합격을 통해 대학에 진학해 왔다.
하지만 2003년 8월 11일, '문부과학성 방침 ‘대학 입학 자격의 탄력화에 대해’에 대한 견해'에 따라 외국인 학교 졸업자도 검정시험 없이 국립대학 수험 자격을 인정하는 방침이 세워졌다.[152]
또한, 중급학교 졸업 후 사립·공립 고등학교 진학은 도도부현 및 각 사립학교의 판단에 따라 인정 여부가 결정된다.
1965년 일본 정부가 한국과 국교를 정상화한 후, 북한과 연계된 조선학교에 대한 잡학교 지위 부여를 지방 당국에 거부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5년까지 기존의 모든 조선학교가 잡학교 지위를 획득했다.[10]
2010년 일본 문부과학성은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 정책을 시행했지만, 조선학교는 이 정책에서 제외되었다.[21][22] 2013년 2월, 일본 중앙정부는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 진전과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협조 부족을 이유로 조선학교가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24][25]
이에 대해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는 2013년 5월 17일,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국가의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서 한국 학교가 제외된 것에 우려하며, 이는 차별에 해당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6]
일본 전역에서는 조선학교 학생들에 대한 불공정한 처우가 민족 차별이라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다.[28] 2017년 7월, 오사카 지방법원은 오사카 조선고등학교를 고등학교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서 제외한 것이 불법이라고 판결했다.[29][30] 그러나 대법원은 2019년 8월, 도쿄 조선중고급학교를 해당 제도에서 제외한 것이 합법적이라고 판결했다.[22]
3. 2. 교육 과정
조선학교는 총련 산하 학우서방에서 발행하는 교과서를 사용하며, 일본 정부의 문부과학성 지침을 따르지 않는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다. 수업과 일상 대화는 모두 한국어로 이루어지며, 일본어는 외국어 교과로 가르친다.조선학교의 교육 과정은 일본의 학교 제도(6·3·3·4제)를 따르고 있으며, 유치반, 초급학교, 중급학교, 고급학교, 대학교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법률상 이러한 교육 시설은 사립학교법에 따른 각종학교로, 교육기본법과 학교교육법에서 정하는 "법률에 정하는 학교"(일조학교)에는 해당되지 않는다.[56][57][58]
조선학교는 일본 전국 각지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학교의 운영은 도도부현별 학교법인이 관리한다. 교장 인사, 교육 내용 결정 등 전반적인 운영은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중앙본부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조선노동당이 사실상 결정하고 있다.[56][57][58]
3. 3. 운영 자금
조선학교는 주로 다음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운영 자금을 확보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지원: 1950년대 후반부터 2017년까지 북한은 총 163회에 걸쳐 48005990390JPY의 자금을 지원했다.[153] 2017년에는 김정은 명의로 218800000JPY의 교육 원조 자금과 장학금을 송금했다.[153] 2021년 평양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조선학교 설립 이후 북한은 5000억원 이상의 재정 지원을 보냈다고 한다.[18]
# 재일 조선인들의 각출: 학교 운영 자금의 대부분은 재일 조선인들이 직접 마련한다.[153]
# 일본 지방 정부의 보조금: 일부 일본 지방 정부는 조선학교에 보조금을 지원한다.[153] 그러나 일본국 헌법 제89조와의 해석 문제로 인해 직접 지원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154]
출처 | 내용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 1950년대 후반~2017년, 총 163회, 48005990390JPY 지원.[153] 2017년, 김정은 명의로 218800000JPY 송금.[153] |
재일 조선인 | 학교 운영 자금의 대부분을 직접 각출.[153] |
일본 지방 정부 | 일부 지방 정부에서 보조금 지원. 일본국 헌법 제89조와의 해석 문제로 직접 지원은 많지 않음.[154] |
하지만 이러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조선학교는 만성적인 재정난을 겪고 있다. 북한의 경제난으로 지원이 정체되고,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에 대한 기부금에 세제 혜택을 주지 않아 모금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153] 또한, 일본 정부의 차별 정책과 외국인 차별 정서로 인해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재정난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153]
유엔 사회권규약위원회는 재일 조선인 민족 학교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보조금 등 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다.[155]
최근에는 재정난과 학생 수 감소로 인해 학교 간 통폐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재일 조선인 사회는 민족 교육의 단절과 정체성 상실을 우려하고 있다.[153]
3. 4. 교복
남학생 교복은 중고생용으로 블레이저가 채택되어 있다.여학생 교복의 경우 예전에는 치마저고리 교복이 일반적이었지만, 1994년 5월부터 6월에 걸쳐 일어난 일본 우익들에 의한 치마저고리 훼손 사건 등으로 인해 1999년 4월부터 많은 조선학교에서 통학 시 치마저고리 교복 착용이 임의사항이 되었다.
일반적으로 교칙에 치마저고리 풍의 제1교복과 일반적인 형태의 제2교복이 정해져 있어서, 보통 교내에서 전자, 통학 시에는 후자가 사용된다. 그러나 본인이나 가족의 희망이 있을 경우에는 제1교복을 착용하고 통학하는 것도 가능하다.
3. 5. 학생 수
1970년대 초반 일본 전국에서 4만 6000명에 달하던 조선학교의 학생 수는 2004년에 1만 1500명까지 줄어들었다.[156] 조선인, 한국인 자제가 조선학교에 다니는 비율도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해마다 줄고 있으며, 학생 수 감소에 따라 조선학교 신규 입학을 기피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 한반도 출신 자제라면 국적을 불문하고 학생으로 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출신 조선족 자제도 입학하는 경우가 있다.2008년 2월에는 학생 수가 1만 1000명이었다. 2016년 5월 현재 유치원생과 학생 수는 6185명이며, 이 중 고급학교(고등학교) 학생 수는 1389명이었다.[96] 2019년 5월 현재 유치부부터 고급부까지 합산한 유치원생과 학생 수는 5223명이었다.[97] 조선적 자녀가 조선학교에 다니는 비율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30% 정도로 알려져 있다.[95]
3. 6. 진로
조선대학교 진학, 일반 대학 진학, 취업으로 나뉜다. 취업의 경우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 관련 사업체나 재일조선인, 재일한국인이 경영하는 기업으로 취직하는 경우가 많다.[157] 진학의 경우 학교마다 차이가 있지만, 규슈조선중고급학교 고급부 졸업생의 경우 조선대학교 진학은 25%, 그 외의 학교는 50%이다.[157] 조선대학교 졸업자는 조선학교 교사가 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나 해외로 유학을 가는 경우도 있다.조선학교 고급부 과정을 수료해도 일본 대학 입학 자격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며, 학력상 고등학교 졸업으로 공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법령에 따라 각 대학이 개별적으로 조선학교 고급부 과정을 수료한 자에게 지원 자격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사립대학이나 공립대학은 인정하는 학교가 많지만, 국립대학은 최근까지 인정하지 않았다. 2003년 8월 11일 문과성 방침에 따라 외국인 학교 졸업자가 고등학교 졸업정도 인정시험을 거치지 않고 국립대학에 응시할 자격을 인정하는 방침이 제시되었다.[80]
중급학교 졸업 후 사립·공립 고등학교 진학은 도도부현 교육위원회 및 각 사립학교의 판단에 따라 인정하는 곳이 많다. 다만, 조선학교는 고급학교까지 진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과거에는 고급학교에서도 조선대학교 진학을 전제로 한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일본의 대학입시를 목표로 하는 학생들을 위한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히로시마 조선초중고급학교는 1990년부터 일본 공립 통신제 고등학교와의 동시 입학 제도를 독자적으로 마련하여, 고급부에 다니면서 히로시마현립 서고등학교(통신제) 수업도 받아 졸업 시 일본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취득하고 있다.[81] 아이치 조선중고급학교 고급부는 2014년 3월 클락기념국제고등학교의 통신제 과정을 도입하여 졸업식에서 클락기념국제고등학교 졸업증서 수여식을 동시에 진행했다.[82]
조선학교 중급부에서 고급부로 진학하지 않고 일본 고등학교 시험을 보는 학생도 있지만, 조선학교가 일조교(일반학교)로 인정받지 못해 내신서가 인정되지 않아 진학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본 고등학교는 이러한 실정을 알고 독자적인 판단으로 조선학교 중급부 출신자를 받아들이기도 한다.
히로시마 조선초중고등학교 고급부나 아이치 조선중고급학교 고급부 이외의 조선학교 고급부 학생들은 일본 고등학교 졸업 자격이 필요한 경우, 개인적으로 조선학교 고급부 재학 중 일본 통신제 고등학교에 이중등록을 하거나, 졸업 후 3학년으로 편입하여 고등학교 졸업 자격을 취득하거나,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를 응시한다.
3. 7. 교원
기본적으로 유치반, 초급학교의 교원은 조선대학교 교육학부를 졸업한 사람이 하고, 중급학교, 고급학교의 교원은 조선대학교의 각 학부를 졸업한 사람이 하지만, 정규 교원면허는 소지하고 있지 않다.[56] 이 밖에 각 학교에서 개별적으로 일본인, 외국인 교사를 채용하는 경우도 있다.조선학교 교원의 대다수는 조선대학교 졸업생이며, 일본의 대학을 졸업하고 교직 과정을 이수한 교육직원 면허장 소지자도 있다. 조선대학교는 각종학교이며 일본의 교직 과정을 인정받지 못하기 때문에, 조선대학교 졸업생은 일본 법령에 따른 정규 교원면허를 소지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조선학교가 일조교(一條校)로 인정받기 전에 교원면허를 소지한 교원 확보 문제가 장래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조선학교의 학제
조선학교의 학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분 | 해당 교육기관 | 교육 기간 | 비고 |
---|---|---|---|
대학교 | 조선대학교 | - | 일본 도쿄에 위치. 일본 정부는 대학으로 인정하지 않음. |
고급학교 | 고등학교 | 3년 | 15~18세 학생 대상. 고급부로 불림. |
중급학교 | 중학교 | 3년 | 12~15세 학생 대상. 중급부로 불림. |
초급학교 | 초등학교 | 6년 | 6~12세 아동 대상. 초급부로 불림. |
유치반 | 유치원 | - | 초급학교에 부설된 경우가 많음. |
조선학교는 일본 법률상 사립학교법에 따른 각종학교로 분류되며, 교육기본법 및 학교교육법에서 규정하는 "학교"(일조학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조선학교의 교육과정은 일본의 학교 제도(6·3·3·4제)를 따르고 있다.
;대학교
: 조선대학교(도쿄도) 한 곳뿐이다. 연구원(대학원에 해당), 단기학부(단기대학교에 해당)도 있다.
: 참고로 한국 광주에는 사립 4년제 대학교로 같은 이름의 "조선대학교"가 있지만, 관련성은 전혀 없다.
;고급학교
: 15세부터 18세까지의 학생이 재학한다. 3년 교육과정이다. 각 학교에서는 고급부라고 부른다. 전국에 열 곳이 있지만, 대부분은 중급부와 함께 설립되어 있다.
;중급학교
: 12세부터 15세까지의 학생이 재학한다. 3년 교육과정이다. 중급부라고 부른다.
;초급학교
: 6세부터 12세까지의 아동이 재학한다. 6년 교육과정이다. 초급부라고 부른다.
;유치반
: 미취학 아동이 다니는 시설이다.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곳은 고쿠라 조선유치원(후쿠오카현) 뿐이며, 다른 곳은 모두 초급학교에 부설되어 있다.
5. 지역별 각급 학교 목록
지역 | 학교명 |
---|---|
아이치현 | 아이치현 조선중고급학교 愛知朝鮮第七初級学校|아이치 조선제7초급학교일본어 名古屋朝鮮初級学校|나고야 조선초급학교일본어 東春朝鮮初級学校|도슌 조선초급학교일본어 (과거에는 중학교 과정도 있었음)[44] |
지바현 | 지바현 조선초중급학교 |
에히메현 | 四国朝鮮初中級学校|시코쿠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후쿠오카현 | 규슈 조선중고급학교 北九州朝鮮初級学校|기타큐슈 조선초급학교일본어 福岡朝鮮初級学校|후쿠오카 조선초급학교일본어 |
기후현 | 岐阜朝鮮初中級学校|기후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군마현 | 群馬朝鮮初中級学校|군마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히로시마현 | 히로시마 조선학교 |
홋카이도 | 홋카이도 조선초중고급학교 |
효고현 | 고베 조선고급학교 神戸朝鮮初中級学校|고베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西神戸朝鮮初級学校|니시고베 조선초급학교일본어 尼崎朝鮮初中級学校|아마가사키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伊丹朝鮮初級学校|이타미 조선초급학교일본어 西播朝鮮初中級学校|세이반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이바라키현 | 이바라키현 조선초중고급학교 |
가나가와현[45] | 가나가와현 조선중고급학교 横浜朝鮮初級学校|요코하마 조선초급학교일본어 川崎朝鮮初級学校|가와사키 조선초급학교일본어 (과거에는 중학교 과정도 있었음)[44] 난부 조선초급학교 |
교토부 | 교토 조선중고급학교 京都朝鮮初級学校|교토 조선초급학교일본어 京都朝鮮第二初級学校|교토 조선제2초급학교일본어 (과거에는 중학교 과정도 있었음)[44] |
미에현 | 四日市朝鮮初中級学校|욧카이치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미야기현 | 도호쿠 조선초중급학교 (과거에는 고등학생도 있었음)[44] |
나가노현 | 長野朝鮮初中級学校|나가노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오카야마현 | 岡山朝鮮初中級学校|오카야마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오카야마 조선유치원 |
오사카부 | 大阪朝鮮中高級学校|오사카 조선중고급학교일본어 北大阪朝鮮初級学校|기타오사카 조선초급학교일본어 大阪朝鮮初級学校|오사카 조선초급학교일본어 南大阪朝鮮初級学校|미나미오사카 조선초급학교일본어 東大阪朝鮮初級学校|히가시오사카 조선초급학교일본어 |
사이타마현 | 埼玉朝鮮初中級学校|사이타마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시가현 | 滋賀朝鮮初級学校|시가 조선초급학교일본어 |
시즈오카현 | 静岡朝鮮初中級学校|시즈오카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토치기현 | 栃木朝鮮初中級学校|도치기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도쿄도 |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東京朝鮮第一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1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二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2초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三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3초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四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4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五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5초중급학교일본어 東京朝鮮第六初中級学校|도쿄 조선제6초급학교일본어 도쿄 조선 제9초급학교 西東京朝鮮第一初中級学校|니시도쿄 조선제1초중급학교일본어 西東京朝鮮第二初中級学校|니시도쿄 조선제2초중급학교일본어 |
와카야마현 | 和歌山朝鮮初中級学校|와카야마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야마구치현 | 山口朝鮮初中級学校|야마구치 조선초중급학교일본어 |
6. 논란
일본 정부는 조선총련 계열 조선학교에 대한 회계 투명성을 요구하였다.[158] 2010년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조선학교는 제외되었다.[21][22] 일본조선학술교육교류협회는 무상화 적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160] 일부 조선학교 측은 일본인과 마찬가지로 세금을 납부하는 학부모의 권리로서 무상화를 주장한다.[161]
2010년 11월 23일, 민단은 일본 정부에 조선학교 지원 재고를 요청하였고,[163] 다음 날 일본 정부는 연평도 포격 사건을 이유로 조선학교 무상화 적용을 유보했다.[164]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교 중인 2개 학교를 제외한 10개 학교가 지원을 신청했다.[165]
이시하라 신타로는 조선학교 내 반일 교육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본인 납치 사건에 총련이 간여했다는 정황을 들어 조선학교 보조금 지급 재검토를 촉구하였다.[166] 북한의 핵실험과 납치 사건은 반북 감정을 고조시켰고, 조선학교 학생들은 차별과 폭력 피해를 입었다.[20]
2013년 2월, 일본 중앙정부는 북한의 핵 개발과 일본인 납치 문제 협조 부족을 이유로 조선학교를 수업료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공식 발표했다.[24][25] 2013년 5월 17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는 이러한 일본 정부의 조치가 차별에 해당한다고 우려를 표명했다.[26]
조선학교는 일본국헌법 제89조 해석 문제 등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지급이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판례상으로는 위법이 아니라고 판단된다.[88] 그러나 보조금 지급 중단 결정 역시 행정 재량 범위 내로 인정되고 있다.[89]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조선학교에 공유지를 무상 또는 저렴하게 임대하기도 했다. 오사카부 오사카시는 학교법인 오사카 조선학원에 약 50년간 시유지를 무상 임대했고,[92] 효고현 아마가사키시는 학교법인 효고 조선학원에 시유지를 시세의 약 100분의 1 가격으로 임대했다.[94] 이타미시 역시 학교법인 효고 조선학원에 시유지를 시세의 약 20분의 1 가격으로 임대하고, 학교 설립 당시 비품을 무상 양도했다.[94]
7. 비판
조선학교는 교육 내용, 운영 방식,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와의 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일본인 납치와 북한 핵실험으로 인해 반북 감정이 고조되면서, 조선학교 학생들은 여러 피해를 입었다.[19][20] 이로 인해 학생들은 등교 시 서구식 교복을 착용하고 학교에서 조선학교 교복으로 갈아입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0] 2019년에는 극우단체 재특회 간부 출신 인물이 조선학교를 "스파이 훈련소"라고 칭한 것에 대해 벌금형을 선고받았다.[34]
조선학교 교육과정은 일본 학교 제도를 따르지만, 일본 법률상 사립학교법에 따른 각종학교로 분류되어 교육기본법 등에 따른 "법률에 정하는 학교"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조선학교 운영은 도도부현별 학교법인이 관리하나, 교장 인사 및 교육 내용은 조총련 및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조선노동당이 사실상 결정한다.[56][57][58] 북한은 조선학교에 교육 지원금과 장학금을 지원한다.[56]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등은 일본인 지원자를 통해 일본 공직자 및 민간과 교류하며 보조금 등 자금을 확보한다.[59][60][61]
조선학교 교과서는 일본 문부과학성 검정 교과서가 아니며, 김일성, 김정일 찬양, 일본인 납치 문제 인식 부족 등이 비판받는다.[99][100] 조선학교는 조선어와 “민족 교육”을 강조하며, 수업과 일상 대화에서 조선어를 사용하고 일본어는 외국어 과목으로 가르친다. 민족 교육 비율은 35%로, 대부분 과목에서 김일성·김정일 부자 충성 교육이 실시된다.[103]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가 조총련과 밀접하며, 주체사상, 선군사상 세뇌 교육을 한다고 주장한다.[105][106] 공안조사청은 조선총련이 조선학교 교육 내용, 인사, 재정, 교과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107] 조선학교 교육은 김일성·김정일 부자 숭배, 북한 입장 옹호, 반일적 경향 등이 비판받는다.[108][109]
관서대학 이영화 교수는 조선학교 출신들이 오히려 북한 비판 정신을 가진다고 주장한다.[110] 조선학교는 매년 신년 학생들을 평양에 보내 김일성 일가 숭배 공연을 하며, 이는 탈북자 등에게 비판받는다.[111][112] 교토 조선 제일 초급학교는 인접 공원 무단 점유로 도시공원법 위반 벌금형을 받았다.
7. 1. 대한민국 정부 및 언론의 비판
대한민국 정부 및 언론은 조선학교를 조선총련의 교육시설로 간주하며, '조선총련학교' 또는 '북한학교'라고 부르기도 한다.[67][69][68][55] 이는 조선학교가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를 걸어놓고 북한식 사상을 교육하는 곳이라는 인식에 기반한다.[55]1986년 한국 외교문서에 따르면, 일부 재일 한국인 자녀들이 민족 교육을 위해 조선학교에 입학하기도 했지만, 한국 외교부는 재일 동포들에게 한국학교 또는 일본 학교에 다닐 것을 권장하고 있다.[69]
조선학교 무상화 요구에는 친북 세력이 개입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55] 2016년 조선대학교는 창립 60주년 기념행사에서 김정은에게 "일본과 미국의 멸망을 목표로 한다"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으며, 같은 해 도쿄도 조사 결과 조선학교 교과서에 김일성·김정일 찬양 내용이 400곳 이상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55]
2023년에는 대한민국 국회에서 일본 조선학교 무상화 요구 운동에 참여하는 국회의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55] 한국 정부는 조선학교를 조선총련 계열 단체로 인정하며, 남북교류협력법에 따라 조선학교 관계자와 접촉 시 사전 신고를 의무화하고 있다.[55]
조선일보는 2023년 정의기억연대가 조선총련과 빈번하게 접촉하고, 조선학교를 지원해 왔으며, 탈북민 북송 요구, 제주해군기지 및 THAAD(사드) 설치 반대 등 특정 활동 단체에 기부해 온 사실을 문제로 보도했다.[67] 또한, 조선총련 주최 행사 추진위원회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민족문제연구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등 다양한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한일 군사 동맹에 반대하고 주변국과의 적대를 강요한다고 주장한 점도 지적했다.[67]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은 기관지 「민단신문」을 통해 조선학교가 김일성 일가 숭배와 독재, 조선총련에 공헌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김일성 민족교육'을 실시하며, 날조된 역사를 가르치고 있다고 비판한다.[70] 한국 전쟁이 미국의 침략으로 시작되었다거나 대한항공 폭파 사건이 한국의 날조라는 등의 허위 사실을 가르치고, 북한의 미얀마 아웅산 한국 요인 암살 사건과 일본인 납치 문제를 가르치지 않는 점을 문제 삼으며, 조선학교에 대한 세금 지원 중단과 고등학교 무상화 적용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71]
7. 2. 민단 및 졸업생의 비판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및 주체사상파는 김일성 민족교육을 비판하며, 조선학교의 교육 내용이 "민족교육에 해당하지 않는 이념교육"이라고 지적한다.[72] 또한, 조선학교가 학생들에게 북한을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고 비판한다.[72]2003년 이후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이 조선학교 운영 구성원의 40%를 차지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들은 한국 국적 취득 후에도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실제로는 조총련 관계자가 100%라는 비판이 있다.[72]
조선학교에 다녔던 재일 조선인 2세 가와사키 에이코[74]는 교실에 김일성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고, 애국가와 김일성 노래를 가장 먼저 배우며, 수업마다 “북한은 지상낙원이다”라는 선전 교육을 받았다고 증언한다.[75] 이러한 교육 때문에 학생들은 “한국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면 김일성이 한반도를 통일하여 한반도 전체가 사회주의 체제가 된다”고 믿게 되었고, 북한 귀국 사업을 희망하게 되었다고 한다.[75]
일본 국내에서는 조선학교 관계자가 일본인 납치 등 범죄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64] 조선학교 무상화에 반대하는 여론이 있다. 2013년 2월, 문부과학성은 '''“북한과 조총련과의 밀접한 관계가 의심되어 취학지원금이 수업료에 충당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조선학교 고등부를 고등학교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했다.[118]
7. 3. 탈북자의 비판
재일 조선인 2세로 태어나 조선학교에 다녔고 북한으로 귀국했다가 2003년에 탈북한 가와사키 에이코[74]는 조선학교 교실에는 김일성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고, 애국가와 김일성 노래를 가장 먼저 배우며 처음부터 끝까지 수업마다 “북한은 지상낙원이다”라고 선전했다고 한다. 이러한 조선학교의 북한 선전 때문에 “한국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면 김일성이 한반도를 통일하여 한반도 전체가 사회주의 체제가 된다”고 믿게 되었고, 자신이 직접 북한의 사회주의 체제를 경험해야 한다고 믿어 북한 귀국 사업을 희망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북한은 세금이 없는 나라”라는 선전 때문에 북한으로 건너갔지만, 실상은 “인권이 없는 나라”였다고 폭로하고 있다.[74]2010년 NPO ‘구하라! 북한의 민중/긴급행동네트워크(RENK)’의 이영화 대표는 문부과학성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조선학교의 교육 내용에 대해 "민족교육에 해당하지 않는 이념교육"이라고 비판했다. 고등학교 3년간 조선학교에 다녔던 재일 2세이자 북동아시아 저널리스트인 고영기는 조선학교 교육에 대해 "북한을 위한 교육"이라고 말했다.[72]
7. 4. 조선학교 관계자의 비판
재일 조선인 2세로 조선학교를 졸업하고 북한으로 귀국했다가 2003년 탈북한 가와사키 에이코[74]는 조선학교 교실에 김일성의 초상화가 걸려 있었고, 애국가와 김일성 노래를 가장 먼저 배웠으며, 수업마다 “북한은 지상낙원이다”라고 선전했다고 증언했다. 그녀는 조선학교의 선전으로 인해 “한국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면 김일성이 한반도를 통일하여 한반도 전체가 사회주의 체제가 된다”고 믿게 되었고, 북한 귀국 사업을 희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가와사키는 북한이 “세금이 없는 나라”라고 선전했지만, 실제로는 “인권이 없는 나라”였다고 폭로했다.[74]7. 5. 북한 특파원의 비판
일부 탈북자와 재일동포들은 조선학교가 재일 가족에게 강제수용소 위협을 가하며 입학을 강요하고, 조선학교 폐지를 희망한다고 증언한다.[132][133]7. 6. 지도 방침
; 일본어 금지 및 생활 총화: 조선학교는 학생 및 교직원의 「일본어 과목」시간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일본어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70]
; 사상 교육
: 공안조사청에 따르면, 조선학교에서는 북한의 발전상과 주체사상, 선군정치를 칭찬하는 교과서 『현대조선역사』를 사용하며, 초급부 4학년 이상 중급부 3학년까지의 학생들을 재일조선소년단(피오네르)에, 고급부부터는 재일조선청년동맹(조청)에 의무적으로 소속시킨다.[70]
: 조선학교는 2013년에 발생한 장성택 숙청 사건 이후에도 학생 121명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북한에 파견하는 사업을 계속했으며, “우리의 조선학교와 조선총련을 지켜주시는 김정은 원수님만을 따라 지구 끝까지 갈 것이며”, “김정은 선생님만을 굳게 믿는다”고 선언하고, 앞으로도 민족교육을 위해 독재정권을 지지할 의사를 조선중앙텔레비전을 통해 방영했다.[79]
; 북한 팀 응원
: 일본에서 열리는 북한 스포츠팀 응원에는 인근 학교 단위로 참가한다.[70] 상대가 일본일 때도 북한 쪽 관중석에서 일어나 북한 국가를 부르고 북한 국기를 흔들면서 북한 팀을 응원한다.[70]
7. 7. 교육 내용 및 교육 과정에 대한 비판
조선학교의 교육 과정은 일본의 학교 제도를 따르고 있지만, 교육 내용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김일성·김정일 숭배 교육: 교과서에는 김일성과 김정일에 대한 찬양과 "경애하는", "위대한" 등의 수식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며,[99] 교실에는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초상화가 걸려 있는 등[108] 이들에 대한 개인 숭배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이 있다.
- 북한 체제 옹호 및 반일 교육: 북한의 핵 개발이나 광명성 발사를 옹호하고,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100] 또한, 반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09]
- 주체사상 및 선군사상 교육: 주체사상과 선군사상을 세뇌 교육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105]
- 프롤레타리아 문학 편중: 일본어 교육 과정에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비중이 높다는 지적이 있다.[103]
- 일반적인 교육 수준 및 상식 부족: 졸업생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교육 수준과 상식이 부족하다는 증언이 나오기도 한다.[103]
- 재일조선인 신상 정보의 북한 활용: 재일조선인의 귀환 사업과 관련하여, 재일조선인들의 신상 기록이 조선노동당의 공작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있다.[109]
이러한 비판에 대해 조선학교 측은 교육과정 갱신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104]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7. 8. 어린이 공원 불허 점유
(없음)7. 9. 세금 보조금
2010년 일본 문부과학성은 고등학교 수업료 면제 및 취학 지원금 제도를 시행하여 공립, 사립, 국제학교, 외국 학교의 고등학교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가계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자 했다. 그러나 조선학교는 이 제도에서 제외되었다.[21][22]도쿄한국중고등학교는 연간 400k의 수업료를 부과하는데, 이는 많은 저소득층 한국 이민자 가정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23] 2011 회계연도에는 오사카부가 10개의 조선학교를 운영하는 교육법인에 대한 보조금을 중단했다.[24]
2013년 2월, 일본 중앙정부는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 진전과 일본인 납치 문제에 대한 협조 부족을 이유로 조선학교가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 포함될 수 없다고 공식적으로 선언했다.[24][25]
2013년 5월 17일,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는 "고등학교 교육에 대한 국가의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서 한국 학교가 제외된 것은 차별에 해당한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6]
2020년까지 조선총련 공동체는 일본 정부의 결정에 반대하는 200회 이상의 시위를 조직했다.[27] 일본 전역에서는 조선학교 학생들에 대한 불공정한 처우가 민족 차별이라는 이유로 소송이 제기되었다.[28]
2017년 7월, 오사카지방법원은 오사카조선고등학교를 고등학교 수업료 면제 프로그램에서 제외한 것이 불법이라고 판결했다.[29][30] 그러나 몇 달 후, 도쿄지방법원은 조선학교에 대한 소송에서 일본 정부의 수업료 보조금 지급 중단 결정을 지지했다.[31]
2019년 8월, 일본 최고재판소는 도쿄조선중고등학교를 해당 제도에서 제외한 것이 합법적이라고 판결하며, 북한과의 긴장 속에서 학교와 조선총련과의 관계를 이유로 들었다.[22][23]
조선학교를 무상화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적법한지 여부가 쟁점이었던 소송에서, 2019년 8월 27일, 최고재판소는 문부과학성의 대응이 위법이라고 주장하는 졸업생들의 상고를 기각했다. 이에 따라 2018년 10월 도쿄고등재판소가 "조선학교에 대해서는 교육 내용과 인사에 조선총련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문부과학성이 행한 무상화 제외 조치는 재량권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적법하다"라고 판결한 것이 확정되었다.[134]
2020년 9월 3일, 최고재판소는 또 다른 졸업생들이 제기한 유사한 소송에서 졸업생들의 상고를 기각하고, "조선학교는 조선총련 및 그 산하 단체의 개입으로 학교 운영이 '부당한 지배'를 받고 있다는 합리적인 의심이 있으며, 문부과학성의 무상화 제외 조치는 적법하다"는 나고야고등재판소의 판결을 확정했다.[135]
2020년 10월 3일, 후쿠오카고등재판소는 또 다른 졸업생들이 제기한 유사한 소송에서 무상화 제외는 적법하다는 판결을 내렸고, 전국 5개 지역에서 진행된 소송의 고등재판소 판결 모두에서 원고 패소가 확정되었다.[136]
2021년 7월 27일, 최고재판소는 히로시마에서 제기되었던 유사한 소송에서 조선학교 운영 법인과 졸업생들로 구성된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여, 2013년 이후 일본 전국 5개 지역에서 진행되었던 소송 모두에서 원고 패소가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137]
8. 관련 연표
- 1945년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부터 재일 조선인들이 조선어 학습을 위한 '국어강습소'를 설치하였다.
- 1946년 - '국어강습소'가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 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의 전신)의 학교(조선학교)로 발전하였다.
- 1947년 - 연합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 총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는 일본 정부에 재일 조선인이 일본의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을 따르도록 지시했다. 당시 재일 조선인 아이들은 일본식 교육으로 인해 조선어 읽기, 쓰기가 미흡했기에 일본 각지에서 국어강습회가 열렸고, 글을 아는 사람이 교사가 되어 재일 조선인 아이들에게 조선어를 가르쳤으며, 교재는 자체 제작하였다. 국어강습회는 조련 사무소, 공장 부지, 지역 초등학교 교실 등을 빌려 열렸다. 이후 국어강습회는 조선학교로 개편되어 전국 500여 개교, 학생 수 6만 명을 넘어섰다.
- 1948년
- 1월 24일, 문부성 학교국장은 각 도도부현 지사에게 "조선인 설립학교의 취급에 관하여"라는 통달을 내려 조선학교 폐쇄 및 학생들의 일본 학교 편입을 지시했다(조선학교 폐쇄령).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재일 조선인도 일본 공사립학교 취학 의무가 있다.
- 사립학교는 학교교육법에 따른 인가를 받아야 한다.
- 의무교육기관에서 각종학교는 인정하지 않는다.
- 조선어 교육은 과외로 가능하다.
- 1월 27일, 조련은 제13회 중앙위원회를 열고 조선학교 폐쇄령에 반대, "민족교육을 지키는 투쟁"을 전국적으로 전개할 것을 호소했다.
- 3월 1일, "삼일운동 29주년 기념 군중대회"가 전국적으로 개최되었고, 황궁 앞 광장에 8000명이 모인 도쿄 대회에서 조련은 "1. 조선인 교육에 간섭 금지, 2. 조선인 교육비 일본 정부 부담"을 요구했다.
- 3월 31일, GHQ가 야마구치현에서 조선학교 폐쇄 명령을 내렸고, 4월에는 효고현, 오사카부, 도쿄도 등에서도 같은 명령이 내려졌다.
- 4월 25일, 학교 폐쇄에 저항하는 재일 조선인과 일본공산당원 1600명이 오사카부청에 난입, 한신교육사건(한신교육투쟁)으로 번져 오사카시와 고베시에 전후 최초의 긴급사태가 선포되었다.
- 5월 5일, 문부성과 조련 대표 간 타협으로 사립학교로서 조선학교 인가 신청이 이루어졌다.
- 1949년
- 10월 12일,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 처치 방침"을 각의 결정하여 "1. 조선인 자녀 의무교육은 공립학교에서, 2. 조선학교는 일본 교육법령 준수, 3. 지방자치단체는 조선학교 지원 불필요"를 정했다.[138]
- 10월 19일, GHQ의 의향에 따라 문부성이 조선학교 폐쇄령을 발령, 교육기본법 및 학교교육법 위반 등을 이유로 건국소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백두학원 운영 학교)를 제외한 조선학교 93개교 폐쇄, 245개교 개편 명령, 건물 재산 몰수.[139]
- 10월 19일 이후, 일부 조선학교는 '공립 민족학교'로 존속하거나, 조선학교, 조선인 대상 공립학교 민족학급 등으로 이관되었다.[140]
- 1950년대 - 한국계, 북한계가 각각 조선학교를 재건했다. 폐쇄를 면한 한국계 학교 백두학원은 1951년 조선계 학교 중 최초의 일조교가 되었다.
- 1951년 - 오지 조선학교 사건, 가나가와 조선학교 사건 발생.
- 1955년 - 조총련 발족. 이후 북한계 조선학교는 '조선학교'로 정비되었다.
- 1957년 - 서일본 조총련계 재일 상공인들이 비밀리에 모은 자금이 북한에서 '제1차 교육원조비, 장학금' 명목으로 전달되었다. 이후 북한의 '원조'는 계속되어 조선학교 성장과 조총련 지지자 확대에 기여했다.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 지지자들은 한국 정부에도 지원을 요청했으나, 한국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 대신 북한에 교육비 원조 중단 항의에 그쳤다.[141]
- 1960년 - 각 도도부현이 조선학교를 각종학교로 인가하기 시작, 1975년까지 모든 조선학교가 각종학교가 되었다.
- 1965년 12월 28일 - 문부성은 재일 조선인 자녀 학교 교육에 대해 민족 교육을 목표로 하는 조선학교의 각종학교 불인가를 통달했다.[142]
- 1970년대 후반 - 학교 수(초, 중, 고, 대 과정별 161개교), 학생 수(4만 명 돌파) 최고조.[143]
- 1994년 - 치마저고리 절단 사건 발생.
- 2010년 - 고등학교 수업료 무상화, 취학 지원금 지급 제도 시행에 따라 고등학교를 지원금 지급 대상으로 지정하도록 문부과학성(문과성)에 신청.
- 2012년 - 조선학교 문제에 관한 재일 스파이 피의자 사건 발생.
- 2013년 - 문과성이 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조선학교 제외 처분 결정. 이후 처분 위법성을 두고 도쿄, 오사카 등 전국 5개 지방법원에서 학교 관계자들이 소송(조선학교 무상화 소송) 제기.[144]
- 2019년 - 조선학교 무상화 소송에서 첫 대법원 판결, 도쿄 소송 원고 패소 확정.[145] 이후 같은 해 오사카[146], 2020년 나고야[147], 2021년 후쿠오카현[148]과 히로시마시[149] 소송에서도 같은 판결, 조선학교 측 주장이 사법적으로 부정됨.
- 2019년 - 아동, 육아 지원법에 따른 '유아교육, 보육 무상화'(유보 무상화) 사업 시작, 조선학교 유치반은 제외.[150]
- 2021년 - 유보 무상화 관련 국가 신제도로 무상화 대상 외 일정 기준 만족 시설 유아 보호자에게 최대 월 2만 엔 지급 제도 2021년부터 시작. 조선학교 유치반도 대상 가능성[150]이 있지만, 같은 해 7월 말 기준 유치반을 제도 대상으로 한 자치체는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n schools in Japan build loyalty, even love, abroad - CBS News
https://www.cbsnews.[...]
2023-12-30
[2]
서적
Shitte imasuka, Chōsen Gakkō
Iwanami Shoten
2012
[3]
뉴스
Japan turns up pressure on pro-Pyongyang schools
http://bigstory.ap.o[...]
Associated Press
2013-08-24
[4]
서적
Diversity in Japanese Culture and Langua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5]
웹사이트
学校法人金剛学園 {{!}} 韓国語と英語が学べるインタナショナル系私立学校 ABOUT「OKIS」
https://www.kongogak[...]
2024-01-01
[6]
서적
Moon Living Abroad in South Korea
https://books.google[...]
Moon Publications
2020-05-04
[7]
서적
North Koreans in Japan: Language, Ideology, and Identity
Westview Press
1997
[8]
서적
Zainichi Gaikokujin
Iwanami Shoten
1995
[9]
웹사이트
The Cold War Explodes in Kobe—"The 1948 Korean Ethnic School "Riots" and US Occupation Authorities
https://apjjf.org/-M[...]
2024-01-23
[10]
논문
‘Exclusion/Assimilation’ in the Treatment of the Korean School in Postwar Japan: An Essay on the Korean School as a Symbol for the Outcome of the ‘Exclusive Society’
2015
[11]
논문
Reimagining the homeland: Zainichi Koreans' transnational longing for North Korea
https://eprints.whit[...]
2018
[12]
논문
Chongryon: North Korea's Outpost in Japan
https://journals.lib[...]
2020-12-02
[13]
웹사이트
North Korea appointed next leader of its de facto embassy in Japan, sources say
https://www.nknews.o[...]
2024-01-24
[14]
웹사이트
Pro-North Korean group waging last-ditch fight over de facto embassy in Japan
https://www.japantim[...]
2024-01-24
[15]
웹사이트
Suspicion over sale of de facto North Korean embassy in Tokyo
https://www.scmp.com[...]
2024-01-24
[16]
웹사이트
An Unpromising Recovery: South Korea's Post-Korean War Economic Development: 1953-1961
https://www.asianstu[...]
2024-01-24
[17]
서적
Koreans in Japan: Critical Voices from the Margin
Routledge
2000
[18]
웹사이트
N.K. touts national education of pro-Pyongyang group in Japan on 66th founding anniversary
https://en.yna.co.kr[...]
2024-01-24
[19]
웹사이트
The Sad but True Story of North Korea's Abduction Project
https://asiasociety.[...]
2024-01-24
[20]
논문
Visible and Vulnerable: The Predicament of Koreans in Japan
https://escholarship[...]
2009
[21]
웹사이트
Endangering the Right to Ethnic Education: Japan's Exclusion of Chōsen Schools from the Tuition Waiver Program
https://apjjf.org/20[...]
2024-01-23
[22]
웹사이트
Film highlights discrimination against Chosun schools in Japan
https://www.koreatim[...]
2024-01-23
[23]
웹사이트
The existential crisis facing North Korean schools in Japan
https://www.aljazeer[...]
2024-01-24
[24]
뉴스
Grade school for Zainichi Koreans in Osaka struggling to survive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4-08-11
[25]
웹사이트
Don't exclude 'Chosen' schools
https://www.japantim[...]
2024-01-24
[26]
웹사이트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report E/C.12/JPN/CO/3
https://www2.ohchr.o[...]
2013-05-17
[27]
웹사이트
[Reportage] Chosen Gakko students have protested Japan's exclusionary education policies for 7 years
https://english.hani[...]
2024-01-23
[28]
웹사이트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in Japan: Japan's Violation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s://web.archive.[...]
2023-01-13
[29]
웹사이트
Osaka court rules Korean school entitled to tuition subsidies withheld by government
https://www.japantim[...]
2024-01-23
[30]
뉴스
Pro-Pyongyang school petition backed
http://the-japan-new[...]
2017-07-28
[31]
웹사이트
Tokyo court rules against pro-North Korean high school
https://english.hani[...]
2024-01-23
[32]
웹사이트
Major Korean junior high school, cut off from Japan's tuition aid, to close in March
https://www.japantim[...]
2024-01-24
[33]
뉴스
North Korean schools in Japan? Geopolitics may shutter them
https://www.washingt[...]
2024-01-24
[34]
웹사이트
The rise of anti-Korean sentiment and hate speech in Japan
https://english.hani[...]
2024-01-23
[35]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in Japan excludes Chosen Gakko from public mask distribution' Headlines, March 13, 2020
http://www.koreapost[...]
2024-01-23
[36]
웹사이트
Local government in Japan excludes Chosen Gakko from public mask distribution
https://english.hani[...]
2024-01-23
[37]
웹사이트
Civic groups donate masks to Chosen Gakko in Japan in response to discriminatory policy
https://english.hani[...]
2024-01-23
[38]
뉴스
정부, 조총련계 학교 '무단접촉' 영화인 조사‥권해효 씨 단체도
https://imnews.imbc.[...]
2024-01-23
[39]
웹사이트
The Strange Rise and Fall of North Korea's Business Empire in Japan
https://www.theatlan[...]
2024-01-23
[40]
웹사이트
통일부, 조선학교 접촉한 시민단체 영화감독 무더기 제동... 교류행사도 위법?
https://m.hankookilb[...]
2024-01-23
[41]
뉴스
정부, 조총련계 학교 '무단접촉' 영화인 조사‥권해효 씨 단체도
https://imnews.imbc.[...]
2024-01-23
[42]
웹사이트
Koreans in Japan voice fears of witch hunt as Seoul investigates contact with Chongryon
https://english.hani[...]
2024-01-23
[43]
웹사이트
ウリハッキョ一覧
http://www.chongryon[...]
2015-10-14
[44]
웹사이트
ウリハッキョ一覧
https://web.archive.[...]
2005-11-06
[45]
웹사이트
The Education System and Schools
https://web.archive.[...]
2015-10-13
[46]
판례
判例(大阪高等裁判所)
https://www.courts.g[...]
[47]
뉴스
教育無償化、「各種学校」対象外 幼児教育の基準満たさず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8-12-04
[48]
웹사이트
「朝鮮総連」の呪縛…「朝鮮学校」が授業料無償化を叫ぶ本当の理由(デイリー新潮)
https://www.dailyshi[...]
2020-09-06
[49]
뉴스
朝鮮学校の無償化除外、判決を支持する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7-27
[50]
웹사이트
iPhoneを使っていると没収されるのか?朝鮮学校にまつわる噂について聞いてみた
https://www.koreawor[...]
2020-05-12
[51]
판례
判例(裁判所)
https://www.courts.g[...]
[52]
판례
判例(裁判所)
https://www.courts.g[...]
[53]
문서
各朝鮮学校における書面確認事項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54]
웹사이트
민단신문
https://www.mindan.o[...]
2022-10-20
[55]
웹사이트
尹美香氏の日程表には…「朝鮮総連の朝鮮学校支援デモに行く」(中央日報日本語版)
https://news.yahoo.c[...]
2023-09-05
[56]
뉴스
北、朝鮮学校に460億円送金 昨年も2億…高校無償化に影響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2-11
[57]
뉴스
産経新聞
2010-03-12
[58]
뉴스
朝鮮総連、朝鮮学校が人事一体化 高校無償化推進 校長も金総書記が決める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3-11
[59]
웹사이트
「福岡地区朝鮮学校を支援する会」結成/創立55周年を迎えサポート体制強化
http://chosonsinbo.c[...]
朝鮮新報
2015-05-30
[60]
웹사이트
朝鮮学校に対する自治体補助金一覧(平成21年度実績)
http://www.sukuukai.[...]
北朝鮮に拉致された日本人を救出するための全国協議会
[61]
웹사이트
自治労・日教組よ、何故拉致問題から目を背けるのか
https://sukuukai.jug[...]
救う会・福岡
2019-09-21
[62]
웹사이트
山口県公開指名手配1 北朝鮮ルートによる覚醒剤密輸事件
https://www.police.p[...]
山口県警察
[63]
웹사이트
相次ぐ大量覚せい剤及びけん銃密輸入事犯の摘発(11年10月~12年4月)
https://www.kaiho.ml[...]
海上保安庁
[64]
웹사이트
国家基本問題研究所 今週の直言【第31回】朝鮮高校の無償化を許してはならない
https://jinf.jp/week[...]
国家基本問題研究所(2010)
[65]
뉴스
秘密組織「別働隊」が浮上
https://megalodon.jp[...]
統一日報
2007-05-02
[66]
뉴스
北朝鮮「武闘工作部隊」日本人妻と子供たちが辿った残酷すぎる運命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7-11-12
[67]
웹사이트
朝鮮総連主催の追悼会に「正義連」理事長も出席していた
https://www.chosunon[...]
2023-09-05
[68]
웹사이트
민단신문
https://www.mindan.o[...]
2023-03-17
[69]
웹사이트
[外交文書]北キム・イルソン、朝鮮総連に27年間の教育費3500億送金
https://www.yna.co.k[...]
2017-04-11
[70]
웹사이트
【寄稿】韓国「進歩・統一運動」団体の総連「朝鮮学校」賛美
http://www.mindan.or[...]
2018-10-23
[71]
웹사이트
조선학교의 무상화와 보조금 지원의 문제점
https://www.mindan.o[...]
2022-10-20
[72]
웹사이트
'조선학교 무상화는 교육내용 개선이 전제' RENK 회견
https://mindan.org/o[...]
2022-10-20
[73]
웹사이트
[신년 특별기획 - 조총련 대해부]3편 - 조선학교의 미래찾기 ‘딜레마’
https://www.rfa.org/[...]
2022-10-20
[74]
웹사이트
「税金のない国」…現実は「人権のない国」だった 帰還事業で北朝鮮に渡り脱北した女性らが韓国で訴え: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2-10-18
[75]
웹사이트
【裁判の報告3】子供が「心配」というレベルを超えています / 「もういちど、会いたい…」北朝鮮政府を訴える史上初の裁判へご支援を - クラウドファンディング READYFOR
https://readyfor.jp/[...]
2022-10-18
[76]
문서
朴庸坤(2017)pp.136-140
[77]
웹사이트
【訃報】北朝鮮専門家『萩原遼氏・80歳』 元赤旗平壌特派員・朝鮮学校への公費投入反対活動
https://globalnewsas[...]
2022-10-19
[78]
웹사이트
救う会:北朝鮮に拉致された日本人を救出するための全国協議会
http://www.sukuukai.[...]
2022-10-19
[79]
문서
拉致と真実
萩原遼
2014
[80]
웹사이트
資料1 大学入学資格の弾力化について【案】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1-10-10
[81]
웹사이트
唯一の「幼・小・中・高」併設校、通信制高校への同時入学制度も(イオWebマガジン | 広島朝鮮初中高級学校)
http://www.io-web.ne[...]
[82]
웹사이트
愛知朝鮮中高級学校高級部第60回卒業式、クラーク記念国際高等学校卒業証書授与式、寄宿舎送迎会 : 愛知朝鮮中高級学校公式Facebook
https://www.facebook[...]
2014-03-05
[83]
웹사이트
金正恩委員長、在日同胞子弟に教育援助費と奨学金163回目、2億1800万円
http://chosonsinbo.c[...]
2016-04-14
[84]
웹사이트
127自治体、平成28年度予算案計上は計3億円超 問われる妥当性
https://www.sankei.c[...]
2016-03-04
[85]
웹사이트
深谷市在住外国人学校・民族学校の児童生徒を保障
https://blog.goo.ne.[...]
2009-02-09
[86]
웹사이트
神奈川県知事「事実なら甚だ遺憾」 朝鮮学校補助金問題で
https://web.archive.[...]
2015-06-16
[87]
웹사이트
福岡県知事、朝鮮学校への補助金支出「内容精査し決める」
https://www.sankei.c[...]
2017-07-26
[88]
웹사이트
判決の要旨 -堀孝之先生のまとめられたもの-
https://sukuukai.jug[...]
[89]
웹사이트
補助金支給「要件満たさぬ」 大阪朝鮮学園の請求を全面棄却 大阪地裁判決
https://web.archive.[...]
2017-01-26
[90]
보도자료
学校法人に寄付をした方に対する税制上の特例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0-04-21
[91]
웹사이트
外務省:(60番目の項目を参照)
https://www.mofa.go.[...]
[92]
뉴스
大阪市が朝鮮学校に用地無償貸与 50年にわたり
https://web.archive.[...]
全国新聞ネット
2011-12-20
[93]
웹사이트
大阪市と朝鮮学園が和解、半世紀無償使用の市有地明け渡し訴訟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10-10
[94]
뉴스
兵庫朝鮮学園に伊丹市も格安貸与 建物、備品は無償譲渡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1-12-21
[95]
웹사이트
堺市議会議員、水ノ上成彰氏の朝鮮学校問題に関する資料のページ
http://www.mizunoue.[...]
[96]
뉴스
朝鮮学校無償化「母校が認められた」全面勝訴に大歓声
https://mainichi.jp/[...]
2017-12-29
[97]
웹사이트
朝鮮学校児童・生徒数10年で3000人減 総連内に危機感
https://special.sank[...]
産経新聞
2020-01-03
[98]
웹사이트
北朝鮮の対日諸工作
https://www.npa.go.j[...]
2022-10-19
[99]
뉴스
「敬愛する金総書記」107回、日米に敵対…朝鮮学校「現代朝鮮史」 (2/2ページ)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3-11
[100]
뉴스
【主張】朝鮮学校 拉致事件「反省」は方便か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3-13
[101]
뉴스
金父子礼賛色濃く…朝鮮学校教科書、無償化に疑問符 (2/2ページ)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3-11
[102]
뉴스
滋賀のウリハッキョ 朝鮮学校で学ぶ 中
2017-09-01
[103]
뉴스
朝鮮学校が生き続けたのは何故か
http://www.onekorean[...]
統一日報社
2008-02-06
[104]
뉴스
朝鮮学校の新カリキュラム作り始まる/2003年度実施へ
http://www1.korea-np[...]
朝鮮新報社
[105]
뉴스
「朝鮮学校で放課後に洗脳教育」中井拉致担当相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4-25
[106]
뉴스
「朝鮮学校で放課後に洗脳教育」中井拉致担当相
http://www.iza.ne.jp[...]
産経デジタル
2010-04-25
[107]
웹사이트
参議院会議録情報 第176回国会 予算委員会 第5号
https://kokkai.ndl.g[...]
[108]
뉴스
【都知事選】朝鮮学校への補助金 3氏が「支給しない」
https://web.archive.[...]
2014-02-08
[109]
웹사이트
朝総連衰亡史(18) 労働党3号庁舎と一体となった朝総連組織
http://news.onekorea[...]
統一日報
2016-10-26
[110]
서적
落合信彦(1994)pp.190-191
[111]
뉴스
子供たちへの虐待? 朝鮮学校で行われている「洗脳教育」
https://news.livedoo[...]
[112]
뉴스
「朝鮮学校」無償化を命じたトンデモ裁判官 “教育”の実態は
https://www.dailyshi[...]
[113]
뉴스
滋賀のウリハッキョ 朝鮮学校で学ぶ 中
2017-09-01
[114]
웹사이트
日本の朝鮮学校、10年間で補助金75%減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115]
뉴스
日本全国の4校中3校は財政問題で「1条校」、存亡の危機に瀕する韓国学校
http://japanese.dong[...]
2013-01-30
[116]
웹사이트
高等学校等就学支援金制度の対象として指定した外国人学校等の一覧
https://www.mext.go.[...]
2022-09-06
[117]
웹사이트
下村博文文部科学大臣記者会見録(平成24年12月28日)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2-12-28
[118]
뉴스
高校無償化、朝鮮学校の除外「適法」…広島地裁
2017-07-19
[119]
뉴스
高校無償化:朝鮮学校も対象、政府に要請一致--社民・国民新方針
http://mainichi.jp/l[...]
毎日新聞社
2010-03-06
[120]
뉴스
【高校無償化】朝鮮学校の授業料無償化 公明・山口代表 「除外すべきではない」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3-03
[121]
뉴스
高校無償化は何のためか 新たな差別生む 「朝鮮学校除外」
https://www.jcp.or.j[...]
日本共産党
2010-03-09
[122]
뉴스
「高校無償化」 各地の朝高生代表たち、文科省へ要請
http://www1.korea-np[...]
朝鮮新報社
2010-08-02
[123]
뉴스
「高校無償化」 院内集会 外国人学校の指定基準受け
http://www1.korea-np[...]
朝鮮新報社
2010-10-02
[124]
뉴스
社説:朝鮮学校 無償化除外、筋が通らぬ
http://mainichi.jp/s[...]
毎日新聞社
2010-03-11
[125]
뉴스
卓上四季 和の国(3月21日)
http://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10-03-21
[126]
뉴스
朝鮮学校に兵庫県が独自助成 井戸知事会見
http://www.kobe-np.c[...]
神戸新聞社
2010-03-16
[127]
뉴스
平壌で「日本の反人倫犯罪の被害者たちによる証言集会」
http://www1.korea-np[...]
朝鮮新報社
2010-08-21
[128]
뉴스
産経新聞 2010年3月10日付記事
2013-06
[129]
뉴스
産経新聞 2010年3月11日付記事
2013-06
[130]
뉴스
【産経抄】2月27日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2-27
[131]
뉴스
橋下知事が朝鮮学校認可を再検討 「権力崇拝の学校、認可に値するのか」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8-11
[132]
뉴스
韓国の脱北者団体、朝鮮学校無償化しないよう要請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10-08-12
[133]
뉴스
朝鮮学校の「教育」とは 公費投入のあり方を問う
https://news.yahoo.c[...]
2017-04-28
[134]
뉴스
朝鮮学校を無償化除外は適法 最高裁
https://news.tv-asah[...]
テレビ朝日
2019-08-29
[135]
뉴스
朝鮮学校無償化、敗訴確定 愛知訴訟
https://www.nikkei.c[...]
2020-09-03
[136]
뉴스
朝鮮学校無償化訴訟、二審も卒業生敗訴 福岡高裁判決 弁護側は上告検討
https://web.archive.[...]
2020-10-30
[137]
뉴스
朝鮮学校無償化訴訟、敗訴が確定 最高裁
https://web.archive.[...]
2021-07-29
[138]
웹사이트
朝鮮人学校処置方針 昭和24年10月12日 閣議決定
https://ndlsearch.nd[...]
国立国会図書館
2012-12-20
[139]
뉴스
朝日新聞
[140]
논문
朝鮮学校処遇の変遷にみる「排除/同化」-戦後日本の「排除型社会」への帰結の象徴として-
https://doi.org/10.1[...]
2015
[141]
서적
金賛汀(2007)pp.222-223
2007
[142]
문서
文部行政資料19
[143]
뉴스
【朝鮮学校】在校生4万から6千人に激減 社会保険滞納10億円、核実験礼賛行事参加も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6-03-16
[144]
뉴스
朝鮮学校無償化訴訟、卒業生らの賠償請求認めず 東京地裁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7-09-13
[145]
뉴스
朝鮮学校の授業料無償化除外は「適法」 最高裁で確定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9-08-28
[146]
뉴스
朝鮮学校無償化訴訟、大阪朝鮮学園の除外「適法」確定 最高裁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9-08-29
[147]
뉴스
朝鮮学校無償化、敗訴確定 愛知訴訟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9-03
[148]
뉴스
朝鮮学校無償化、九州の卒業生も敗訴確定 最高裁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5-31
[149]
뉴스
朝鮮学校無償化訴訟、敗訴が確定 最高裁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07-29
[150]
뉴스
朝鮮学校の幼稚班、子ども減って存続に危機感 幼保無償化の対象外など影響
https://www.kyoto-np[...]
京都新聞
2021-03-31
[151]
뉴스인용
조총련계 학교 13곳 건물.토지 가압류 상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2-15
[152]
웹인용
文科省方針「大学入学資格の弾力化について」についての見解 (출처:国立大学独立行政法人化の諸問題)
http://www.ac-net.or[...]
2008-05-31
[153]
웹인용
金正恩委員長、在日同胞子弟に教育援助費と奨学金163回目、2億1800万円
http://chosonsinbo.c[...]
조선신보
2016-04-14
[154]
웹인용
参考:平成15年度の各都道府県の補助額(朝鮮学校以外も含んだ数字)
http://www.mizunoue.[...]
2008-05-31
[155]
웹사이트
外務省:(60番目の項目を参照)
http://www.mofa.go.j[...]
[156]
웹인용
堺市議会議員、水ノ上成彰氏の朝鮮学校問題に関する資料のページ
http://www.mizunoue.[...]
2008-05-31
[157]
웹인용
福岡朝鮮初級学校
http://academic3.pla[...]
2007-11-21
[158]
뉴스인용
日, 조총련계 고교에 회계 투명성 요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8-31
[159]
뉴스인용
일, 조선학교 ‘고교 무상화’ 하기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9-08
[160]
뉴스인용
“돈이 아니라 인권과 학습권의 문제죠”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0-19
[161]
뉴스인용
8개월째 공전하는 학비지원 …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르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0-19
[162]
뉴스인용
日 여당, 조선학교 수업료 지원 동의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0-20
[163]
뉴스인용
민단 "日정부 총련계 고교 지원 재고해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23
[164]
뉴스인용
일, 조선학교 무상화 유보 ‘대북강경’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11-24
[165]
뉴스인용
조총련계 고교, 100% 수업료 지원 신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30
[166]
뉴스
日, 대북여론 악화 틈타 ‘총련 옥죄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12-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한·일 시민사회 “한·일병합조약 등 원천 무효로 해석 통일해야”
“일본 정부는 조선학교 차별을 중단하라”
다나카 히로시 “조선학교 무상화 배제는 일 정부의 노골적 차별 행위”
“일 정부, 고교무상화 확대 정책에 또 조선학교 배제…차별없는 기회 보장해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