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기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기옥은 김경오, 박경원, 이정희 등과 함께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중 한 명으로, 1925년 중국 윈난 육군 강무 학교 항공군사학부를 졸업하고 항공 비행사 자격을 취득했다. 3·1 운동 참여, 임시정부 군자금 모금 활동 등을 하였으며, 중국으로 망명하여 중국 공군에서 활약했다.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의 어머니'로 불렸다. 1988년 사망 후 국립묘지에 안장되었고, 2003년 국가보훈처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공군 장교 - 김신 (군인)
독립운동가 김구의 아들인 김신은 대한민국 공군 창설 멤버로 공군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공군력 강화에 기여했고, 주 중화민국 대사, 교통부 장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구의 사상과 업적을 기리는 데 힘썼다. - 공군 장교 - 린리궈
중국 공산당 간부 린뱌오의 아들 린리궈는 문화대혁명 중 공군에서 급속히 승진했으나 마오쩌둥 암살 계획에 연루되어 린뱌오 일가와 함께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는 중국 정부 발표와는 달리, 그의 역할과 사건 진상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공군 장교 - 노금석
노금석은 한국 전쟁 당시 조선인민군 공군 상위로, MiG-15 전투기를 몰고 대한민국으로 귀순하여 미국으로 이주 후 케네스 H. 로우로 개명하고 항공 기술자 및 항공우주공학 교수로 활동하며 냉전 시대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권기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권기옥 |
로마자 표기 | Gwon Gi-ok |
아명 | 권갈례 |
다른 이름 | 임국영 |
출생일 | 1901년 1월 11일 |
출생지 | 대한제국 평안남도 평양부 상수구리 152번지 |
사망일 | 1988년 4월 19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안동 |
종교 | 개신교(장로회) |
배우자 | 이상정 |
자녀 | 없음 |
형제 | 언니 1명, 남동생 1명, 여동생 1명 |
친인척 | 이상화(시제) 이상백(시제) 이상오(시제) |
직업 | |
직업 | 비행사 |
군사 경력 | |
소속 | 중화민국 국민군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
복무 기간 | 1925년 ~ 1945년 |
최종 계급 | 대령 (한국광복군) |
참전 전투 | 상해 사변 중일 전쟁 |
정치 활동 및 경력 | |
소속 정당 | 무소속 |
주요 활동 | 대한애국부인회 사교부 부장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겸 당무위원 국방부 국방위원회 대표최고위원(1950 ~ 1955) 한국 연감 발행인(1957 ~ 1972) 한중문화협회 부회장(1966 ~ 1975) 재향군인회 명예회원 대한애국부인회 고문 |
관련 정부 기관 | 중화민국 국민정부군 군정본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 |
학력 | |
학력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
수상 내역 | |
훈장 | 건국훈장 독립장 |
기타 수상 | 1968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수훈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권기옥 (두산백과) |
2. 생애
권기옥은 1901년 평양부 상수구리에서 아버지 권돈각과 어머니 장문명 사이에서 태어났다. 1913년 숭현보통학교에 입학했고, 1917년 미국 곡예 비행사 아트 스미스(Art Smith)의 비행 시범을 본 후 비행사의 꿈을 키웠다.[5][6]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3주간 수감되었고, 출소 후 한국애국부인회 활동으로 다시 6개월간 투옥되었다.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항저우의 홍도여자중학교에서 영어와 중국어를 배웠다.
1923년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추천으로 윈난 육군항공학교에 입학, 1925년 졸업하여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가 되었다. 펑위샹(馮玉祥)의 국민군 항공대에 합류하여 1926년 부비행원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국민혁명군에서 비행원으로 활동했다.[11] 1928년 독립운동가 이상정과 결혼했다.
1929년 항공서 임시편집위원회 편집위원이 되었고, 1930년에는 소교(少校)로 진급했다.[15] 베이징, 난징 등에서 근무했다. 1940년에는 중좌로 승진했고, 중일전쟁 발발 당시 충칭에서 참모학교 교관으로 근무했다.[14] 1943년 한국임시정부 공군 설계위원이 되었다.[18]
1945년 광복 후 1949년 귀국하여 이영무(李永茂)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기여했고, 한국 전쟁 중에는 대한민국 국방부 대표 상무위원을 역임했다. 휴전 후 한국연감 간행에 참여하고 한중문화협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68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 1977년 건국훈장 국민장을 받았다. 1988년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1901~1919)

1901년 평양부 상수구리 152번지(현 평양직할시 상수구리)의 몰락 양반 집안에서 1남 4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권돈각(權敦珏), 어머니는 장문명(張文明)이며, 어린 시절 이름은 '어서 가라'는 뜻의 갈례(葛禮)였다.[2] 1912년, 11세에 은단 공장에 취직하여 일하다가 이듬해인 1913년, 12세에 장대현 교회에서 운영하던 숭현(崇賢)소학교에 입학하였다. 숭현 소학교를 졸업한 후 기독교 계통 학교인 숭의여학교 3학년에 편입한다.
1917년, 숭의여학교 교사 박현숙의 영향으로 비밀 결사 송죽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같은 해 5월, 미국인 비행사 아트 스미스(Art Smith)의 평양 곡예 비행을 구경한 후 비행사가 되는 꿈을 꾸기 시작한다.[28]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박현숙을 통해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었던 신홍식의 지휘를 받아 평양에서 만세 시위를 일으키는 데 동참했다가 잠시 구금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하여 군자금을 모금하는 일에 참가했다가 평양청년회의 김재덕과 연결된 것이 드러나 다시 체포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이때 임득삼, 김정직, 김순일 등을 통해 임시정부와 연락을 취했다.[28]
2. 2. 중국 망명과 비행사의 꿈 (1920~1925)
1917년 5월 미국인 아트 스미스의 평양 곡예 비행을 구경한 뒤로 비행사가 되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28] 1919년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3주간 투옥되었고, 석방 후에는 대한애국부인회의 모금 활동을 지원하다가 6개월 동안 투옥되었다.1920년 봄 감방에서 출소한 후 브라스밴드단을 만들어서 평안도와 경상도 지방을 순회하며 민중계몽운동과 독립운동의 연락 활동을 했다. 여름에는 평남도경 폭파를 위해 잠입한 임정 산하 청년단원 문일민, 장덕진을 숭현보통학교 석탄 창고에 숨겨두고, 당일 현장까지 폭탄을 운반하는 일을 돕는다.[28]
권기옥이 참여한 일련의 사건이 들통나면서 검거 선풍이 불었고, 권기옥은 체포 직전 겨우 빠져나와 조만식이 몰래 보내준 여비로 중국 멸치배를 얻어 타고 상하이로 밀항한다.[28] 임시정부에서는 그를 높이 평가하고 장덕수의 동생인 장덕진을 보내 그를 상하이로 망명시키려 했다는 의견도 있다.[25]
1920년 11월 임시정부 의정원 의장인 손정도 목사의 집에 머물면서 권기옥은 비행사가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3·1 만세운동 이후 권기옥의 낭만적인 날개의 꿈은 비행기에 폭탄을 싣고 날아가서 조선총독부와 천황궁을 폭파하리라는 비장한 각오로 변해 있었다. 권기옥의 뜻을 알고 김규식의 배우자 김순애(金淳愛 : 1889~1976년)가 중국어와 영어를 터득할 수 있도록 항주의 홍도여중을 소개해 주었으며, 권기옥은 미션스쿨인 홍도여학교를 졸업한다.
1923년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추천으로 1924년 초 윈난 육군강무학교 항공군사학부에 입학하였다. 중국의 군벌들이 세운 4개의 비행학교 중 보정항공학교와 남원항공학교에서는 권기옥이 여자라는 이유로 입학을 거절했고, 손문이 설립한 광저우 광둥 항공학교에는 아직 비행기가 한 대도 없었다. 1923년 12월 권기옥은 추천서를 들고 윈난 성 성장인 당계요와 직접적인 담판을 짓는다. 조선의 독립운동에 호의적인 군벌이었던 당계요는 비행사가 되겠다고 이역만리를 찾아온 조선인의 용기에 탄복하여 전격적으로 입학을 허가한다.
권기옥은 훈련비행 9시간 여만에 단독 비행도 허가될 만큼 우수한 학생이었다. 한때는 일본 영사관이 그녀를 암살하기 위하여 청부 살인업자를 보내기도 했다. 1925년 2월 28일 권기옥은 운남항공학교를 제1기생으로 졸업하여 여성으로서는 한국 최초의 비행사가 되었다. 그 뒤 유시천 교장의 부탁으로 후배들의 정신교육을 담당하며 견습비행을 한다.[8]
2. 3. 중국 공군에서의 활약 (1926~1945)
1925년 중화민국 윈난 육군 강무 학교(항공군사학부)를 졸업하고 항공 비행사 자격을 취득한 권기옥은, 1926년 봄 의열단의 배후 실력자인 손두환의 소개로 베이징에 있는 개혁성향 군벌 풍옥상군의 항공대에 들어갔다.[28] 1926년 4월, 권기옥은 동로군 항공대의 제2비행원으로 임명되었다.[28]1927년 봄, 국민혁명군이 공군을 창설하자 권기옥은 상하이로 가서 중국 공군 비행원으로 임명받았다.[28] 1928년 1월에는 난징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나, 중국인의 주선으로 상하이 일본 영사관에서 취조를 받은 후 풀려났다.[28] 1928년 2월 29일, 내몽골로 피난 중 이상정과 결혼하였으며, 같은 해 5월 31일 부군 이상정과 함께 톈진으로 건너갔다.[28]
중화민국 공군에서 소위를 거쳐 중위에까지 올랐다가 공군을 개편할 때 상위(대위)가 되었다.[29] 1931년 일본이 만주를 기습 점령하고 1932년 상하이 전투를 일으키자, 권기옥은 비행기를 몰고 나가 일본군에게 기총소사를 하는 활약을 펼쳐 무공훈장을 받았다.[29]
1935년, 쑹메이링은 비행기가 무서워 공군에 자원하지 않는 중국 청년들을 독려하기 위해 권기옥에게 선전비행을 부탁하였다. 권기옥은 이를 마치고 일본 폭격을 계획했으나, 선전비행 출발 당일 베이징의 대학생 시위로 정국이 불안해져 계획 자체가 취소되었다.[28]
1937년 중일 전쟁 발발 후에는 충칭으로 이동하여 육군참모학교 교관으로 근무하면서 영어와 일본어, 일본군 식별법과 성격 등을 강의했다.[28] 1939년 임시정부가 충칭으로 오자 권기옥은 대한애국부인회를 재건하고 사교부장으로 활동하였다.[28]
1943년 여름, 권기옥은 중국 공군에서 활동하던 최용덕, 손기종 비행사 등과 함께 한국 비행대 편성과 작전계획을 구상했다.[28] 1945년 3월, 임정 군무부가 임시의정원에 제출한 〈한국 광복군 건군 및 작전 계획〉 중 ‘한국광복군 비행대의 편성과 작전’이 그 결실이었으나, 일본이 예상보다 일찍 패망하여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다.[28]
2. 4. 대한민국 공군 창설과 만년 (1945~1988)
1945년 광복 후 1949년 귀국한 권기옥은 국회 국방위원회 전문위원이 되어 '공군의 어머니'로서 한국 공군 창설에 기여했다. 이영무(李永茂)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의 설립에 힘썼다.[9] 남편 이상정은 해방 직후 뇌일혈로 갑자기 사망했다.[28]1957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연감》을 발행했다. 1966년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유일한 여성 출판인으로 언론에 소개되기도 했다.[28] 한국 전쟁 중에는 대한민국 국방부의 대표 상무위원을 역임했다.[6]
1966년부터 1975년 한중문화협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1968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6] 1971년 10월 13일, 중화민국 공군 참모총장 賴名湯|라이밍탕중국어 상장으로부터 비행흉장을 수여받았다.[19] 1975년에는 대한민국의 모든 젊은이가 내 자식이고, 극일(克日)을 하는 젊은이들을 키워내고 싶다는 소망으로 전 재산을 장학 사업에 기탁했다.[28] 1977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국민장을 받았다.[6]
서울 장충동 2가 191의 4의 낡은 목조건물 2층 마룻방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1988년 4월 19일 88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묘에 안장되었다.[6] 2003년 8월 국가보훈처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3. 한국 최초 여성 비행사 논란
박경원과 권기옥을 두고 누가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인지 논란이 있었다.[26] 권기옥은 1925년 2월 28일 윈난항공학교를 졸업하고 1926년 4월 20일 중화민국 본부 ‘항공처 부비행사 임명장’을 받았으므로 박경원보다 몇 년 앞선다. 당시 신문 자료를 보면, 그 시절 사람들은 권기옥과 박경원을 똑같이 ‘여성 비행사’라고 불렀다. 1926년 5월 21일자 《동아일보》는 ‘中國 蒼空에 朝鮮의 鵬翼- 中에도 女流飛行家’라는 제목으로 권기옥을 소개했다. 1928년 5월 25일자 《중외일보》도 권기옥을 ‘女飛行士’로 불렀다. 박경원을 소개한 《동아일보》 1926년 9월 4일자 기사 역시 ‘朝鮮의 女流飛行士 박경원 양’이라고 표현하였다. 민간인 비행사와 전투기 조종사를 구분하는 것은 비행기가 무기로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는 때는 훨씬 후대라는 의견이 있다.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공군박물관(충북 청주 소재)의 자료실이나 국가보훈처 자료집에서는 권기옥을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서술하고 있다. 〈중국 하늘을 날은 애국소녀의 얼- 최초의 우리 여류 비행사 권기옥 여사와의 인터뷰〉, 〈한국 최초의 여자 파일럿 권기옥씨의 슬픈 8ㆍ15〉(《주간여성》 1969년 8월 27일자) 등 대한민국의 수많은 언론 보도에서도 권기옥을 최초의 여자 비행사로 밝히고 있다. 1978년 2월부터 24회에 걸쳐 《한국일보》에 연재된 회고록 〈나의 이력서〉에서는 권기옥을 한국 최초일 뿐만 아니라 ‘동양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표현하고 있다.
2003년 8월, 권기옥은 국가보훈처에서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005년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 푸른 제비 당시에는 박경원이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알려져 있었으나, 권기옥이 박경원보다 먼저 비행사가 되었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지면서 배급사는 마케팅 캠페인을 변경해야 했다.[10]
4.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권돈각(權敦珏) | |
어머니 | 장문명(張文明) | |
남편 | 이상정(李相定) | 1897년 6월 10일 출생 ~ 1947년 10월 27일 사망. 독립운동가. 아호는 청남(晴南), 산은(汕隱). 중화민국 국민혁명군 육군 소장. |
사돈 | 최남선(崔南善) | 1890년 4월 26일 ~ 1957년 10월 10일 |
사돈 | 박중양(朴重陽) |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 |
사돈 | 허억(許億) | 1889년 6월 1일 ~ 1957년, 대구시장 |
권기옥은 1900년 평양 상수구리(上水口里)에서 아버지 권돈각과 어머니 장문명 사이에서 태어났다.[2] 슬하에 딸 넷, 아들 하나를 두었고 권기옥은 그 중 둘째였다.[3] 안동 권씨이다.[4]
5. 학력
- 평양 숭현소학교 졸업
- 평양 숭의여자고등보통학교 수료 (1948년 2월 29일 서울 숭의여고 명예 졸업장 수여)
- 중화민국 항저우 훙다오 여자중학교 졸업
- 중화민국 윈난 육군항공학교 졸업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1기 행정학사 (1956년)
6. 평가 및 유산
2003년 8월, 국가보훈처는 권기옥을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10] 2005년 개봉한 대한민국 영화 푸른 제비는 박경원을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로 묘사하였으나, 권기옥이 박경원보다 먼저 비행사가 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배급사는 마케팅 캠페인을 변경해야 했다.[10]
참조
[1]
웹사이트
谁是"中国第一女飞行家"?秋瑾之女还是李霞卿
http://culture.china[...]
2010-08-09
[2]
웹사이트
권기옥 (權基玉)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3-09-16
[3]
간행물
8월의 독립운동가로 權基玉 여사 선정 (Kwon Ki-ok chosen as August independence activist)
http://andongkwon.or[...]
2003-09-01
[4]
웹사이트
청남 권영한 홈페이지입니다
http://www.andongkwo[...]
2023-09-16
[5]
간행물
우리나라 최초의 여류비행사, 권기옥을 말한다 (Discussing Kwon Ki-ok, our country's first female aviator)
http://www.airforce.[...]
Republic of Korea Air Force
2007-05-21
[6]
간행물
독립운동의 날개꽃 권기옥 (Kwon Ki-ok, blossoming flower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ttp://www.ohmynews.[...]
2007-05-22
[7]
간행물
한국 첫 여성 비행사 권기옥 (Korea's first female aviator, Kwon Ki-ok)
http://www.sisa-news[...]
2007-04-09
[8]
간행물
영화『青燕』、韓国初の女性飛行士めぐり論争 (Movie 'Blue Swallow' and the debate about Korea's first female aviator)
http://www.chosunonl[...]
2007-05-22
[9]
간행물
"韩国空军祖母"是我师姐 ("Korea's Grandmother of Aviation" was my senior)
http://www.newkm.cn/[...]
2007-05-21
[10]
간행물
'Blue Swallow' faces turbulence
http://www.koreapop.[...]
2006-02-22
[11]
서적
中國航空掌故
中國的空軍出版社
[12]
서적
1908-1949中国军事航空
航空工业出版社
[13]
서적
1908-1949中国军事航空
航空工业出版社
[14]
뉴스
일제강점기 첫 여류비행사 권기옥 지사 기록물 복원
http://www.yonhapnew[...]
2016-02-02
[15]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605号(民国19年10月24日)
http://twinfo.ncl.ed[...]
政府広報資訊網
2017-11-20
[16]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606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6-06-03
[17]
웹사이트
国民政府広報第1186号
http://gpost.lib.ncc[...]
中華民国政府官職資料庫
2016-06-03
[18]
웹사이트
한국臨時政府部署別職員名簿
http://db.history.go[...]
国史編纂委員会
2016-12-05
[19]
웹사이트
賴名湯總長接見韓國權基玉女士
http://catalog.digit[...]
典蔵台湾
2017-05-18
[20]
기타
[21]
기타
[22]
백과사전
권기옥
http://www.encyber.c[...]
2008-09-20
[23]
웹사이트
이 달의 독립 운동가 상세자료 - 권기옥
http://narasarang.mp[...]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2003
[24]
뉴스
창공에 조국 광복 염원 띄운 '공중 여왕'
http://www.seoul.co.[...]
2015-07-25
[25]
서적
이것이 한국 최초
삼문
1995-11-01
[26]
뉴스
우리나라 최초의 여자 비행사는 누구인가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12-23
[27]
뉴스
창공에 조국 광복 염원 띄운 '공중 여왕'
http://www.seoul.co.[...]
2015-07-25
[28]
뉴스
천황궁 폭파 위해 '날개의 꿈' 꾸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12-29
[29]
뉴스
일제강점기 첫 여류비행사 권기옥 지사 기록물 복원
https://news.naver.c[...]
2016-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