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스의 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의 주는 그리스의 최상위 행정 구역으로, 1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주는 주지사와 주의회를 통해 운영되며, 5년마다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그리스의 주는 페리페리아,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 디모스, 키노티타 등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1997년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과 2010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을 통해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칼리크라티스 개혁으로 노모스(현)가 폐지되고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가 도입되었다. 아토스 산은 그리스 내에서 자치권을 가진 지역으로, 중앙 마케도니아 주에 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주 - 테살리아주
    테살리아주는 핀두스 산맥 동쪽의 그리스 지역으로, 테살로이 부족에서 유래, 신화와 역사의 중요 배경지이며, 비옥한 평야를 기반으로 그리스 주요 농업 지역이고 라리사, 볼로스, 트리카라 등의 도시와 5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
  • 그리스의 주 - 펠로폰네소스주
    펠로폰네소스주는 1987년 설립되어 2011년 권한이 확대된 그리스의 행정 구역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트리폴리를 주도로 아르카디아, 아르골리스, 코린티아, 라코니아, 메시니아 5개 현으로 구성되고 미케네 문명의 중심지이자 스파르타, 코린토스 등 도시 국가들이 번성했던 지역이다.
그리스의 주
개요
유형그리스의 2단계 행정 구역
위치그리스
시작일알 수 없음
현재 개수13개 지역, 1개 자치 지역
인구 범위197,810명 (북에게 해) – 3,812,330명 (아티키 주)
면적 범위2,307km² (이오니아 제도) – 18,810km² (중앙마케도니아)
정부 형태중앙 정부, 지역 정부, 수도원 정부 (아토스)
하위 구역
행정 구역
1단계332개 자치체
708개 자치 단위
4,783개 공동체
2단계13개 행정 구역
74개 현
자치 구역아토스 산 수도원 공동체
폐지된 용어51개 현 행정청 (현 부서, 2개 광역 현)
148개 주
자치체/공동체/지역 부서
그리스의 하위 구역 지도
그리스의 하위 구역 지도
그리스
그리스

2. 행정 구역 계층

그리스의 행정 구역은 크게 3단계로 구성된다. 최상위 행정 구역은 '''페리페리아'''(περιφέρειαel)로, 한국의 광역지방자치단체에 해당하는 '주'(州)로 번역된다. 페리페리아 아래에는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el)가 있으며, 이는 '현'(縣)으로 번역되곤 한다.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는 과거 '노모스'라 불리던 행정 구역을 계승한 것이다. 가장 기초적인 지방자치단체 단위는 '''디모스'''(δήμοςel)이며, '시'(市)에 해당한다. 이러한 행정 구역 체계는 2011년 시행된 칼리크라티스 개혁을 통해 정비되었다.

2. 1. 페리페리아 (주)

13개의 페리페리아


'''페리페리아'''(περιφέρεια|페리페리아el / ''periféria'', 복수형: περιφέρειες|페리페리에스el / ''periféries'')는 그리스의 최상위 행정 구역으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해당한다. 한국어로는 주로 '''주'''(州)로 번역되지만[14][4], "지방", "광역 행정 지역", "지역"[5], "도" 등으로도 불린다.

주지사(περιφερειάρχης|페리페리아르히스el / ''periferiarchis'')와 주의회(περιφερειακό συμβούλιο|페리페리아코 심불리오el / ''periferiako symvoulio'')는 일반적으로 5년 임기로 선출된다.

현재 그리스에는 13개의 페리페리아(본토 9개, 섬 4개)가 있으며, 이는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과 동일하다. 아래 표의 번호는 오른쪽 지도의 번호(영어 표기 알파벳순)와 일치한다. 인구 및 경제 지표는 명시된 연도를 기준으로 한다.

번호행정구역명그리스어 표기주도면적
(km2)
인구
(2023년)[2]
인구 밀도
(명/km2)
GDP
(백만 )[3]
1인당 GDP
()
주지사 (2024년 1월 1일 – 2028년 12월 31일)
1아티키Αττική|아티키el
Attikí
아테네3808km23,790,842995.4997,03025,600Nikos Hardalias
(신민주주의당)
2중앙그리스Στερεά Ελλάδα|스테레아 엘라다el
Stereá Elláda
라미아15549km2504,16732.4211,47522,760Fanis Spanos
(신민주주의당)
3중앙마케도니아Κεντρική Μακεδονία|켄트리키 마케도니아el
Kentrikí Makedonía
테살로니키18811km21,782,63094.7628,41815,940Apostolos Tzitzikostas
(신민주주의당)
4크레타Κρήτη|크리티el
Kríti
이라클리오8336km2622,90974.7210,33116,590Stavros Arnaoutakis
(PASOK–KINAL)
5동마케도니아 트라키Ανατολική Μακεδονία και Θράκη|아나톨리키 마케도니아 케 트라키el
Anatolikí Makedonía kai Thráki
코모티니14157km2559,73039.548,11714,500Christodoulos Topsidis
(무소속)
6이피로스Ήπειρος|이피로스el
Ípiros
이오아니나9203km2318,89034.654,43213,900Alexandros Kahrimanis
(신민주주의당)
7이오니아 제도Ιόνια νησιά|이오니아 니시아el
Iónia nisiá
케르키라2307km2202,18587.643,34316,530Giannis Trepeklis
(무소속)
8북에게Βόρειο Αιγαίο|보리오 에게오el
Vório Egéo
미틸리니3836km2195,50950.972,70413,830Kostas Moutzouris
(무소속)
9펠로폰네소스Πελοπόννησος|펠로포니소스el
Pelopónnisos
트리폴리15490km2534,34534.509,72918,210Dimitris Ptochos
(신민주주의당)
10남에게Νότιο Αιγαίο|노티오 에게오el
Nótio Egéo
에르무폴리5286km2326,94561.856,73720,610George Hatzimarkos
(신민주주의당)
11테살리아Θεσσαλία|테살리아el
Thessalía
라리사14037km2682,18948.6010,66115,630Dimitris Kouretas
(PASOK–KINAL)
12서그리스Δυτική Ελλάδα|디티키 엘라다el
Ditikí Elláda
파트라11350km2643,18856.679,09314,140Nektarios Farmakis
(신민주주의당)
13서마케도니아Δυτική Μακεδονία|디티키 마케도니아el
Ditikí Makedonía
코자니9451km2250,45326.494,55218,170Giorgos Amanatidis
(신민주주의당)
(14)아토스 산
(자치 지역)
Άγιον Όρος|아기온 오로스el
Ágion Óros
카리에스336km21,7465.20Anastasios Mitsialis
(민간 행정관)



중앙마케도니아 페리페리아와 접경한 할키디키반도 동쪽 끝에는 그리스 주권 하의 자치 지역인 아토스 산(Ágion Óros, '성스러운 산')이 위치한다. 이 지역은 페리페리아와는 별도의 행정 체계를 가진다.

2. 2.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 (현)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ell, 복수형: περιφερειακές ενότητες|페리페리아케스 에노티테스ell)는 페리페리아를 구성하는 하위 행정구역으로, 영어로는 regional uniteng에 해당한다. 이는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의 구 제도상 '''노모스'''(현)의 후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종종 ''''현''''이라는 명칭으로 번역되기도 한다.[15][6]

과거의 노모스는 광역자치단체로서의 지위를 가졌으나, 2011년 시행된 칼리크라티스 개혁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로서의 법적 지위는 폐지되었다. 대신 페리페리아를 구성하는 하위 행정구역으로서의 역할만 갖는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로 개편되었다. 각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는 해당 페리페리아의 주지사와 같은 선거 과정에서 함께 선출된 부지사(αντιπεριφερειάρχης|안티페리페리아르히스ell)가 행정을 책임진다.

대부분의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는 과거 노모스의 행정 구역 범위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에게 해의 여러 섬을 포함하는 지역 등 일부에서는 기존 노모스가 여러 개의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로 분할되어, 모든 지역의 경계가 과거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그리스 전역에는 51개의 노모스가 있었으나, 개혁 이후 현재는 총 74개의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가 존재한다.

2. 3. 디모스 (시)

'''디모스'''(δήμοςel / , 복수형: δήμοιel / )는 그리스기초지방자치단체이다. 디모스는 시장(δήμαρχοςel)과 시의회(δημοτικό συμβούλιοel)에 의해 운영되며, 보통 5년마다 선거를 치른다.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후 그리스 전국은 325개의 디모스로 구성되어 있다.

2. 3. 1. 디모스의 하위 구분

디모스의 하위 행정구역 단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디모스 (δήμοςell)
  • * 디모티키 에노티타 (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ell)
  • ** 디모티키 키노티타 (δημοτική κοινότηταell)
  • ** 토피키 키노티타 (τοπική κοινότηταell)


'''디모티키 에노티타'''(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ell)는 디모스를 구성하는 하위 행정구역으로, "디모스의 구성체"를 의미한다. 이는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의 구 기초자치단체(디모스와 키노티타)의 구획을 기반으로 한다.

디모티키 에노티타는 다시 두 종류의 '''키노티타'''(κοινότηταell)로 나뉜다. "키노티타"(κοινότηταell) 또는 "키노티스"(Κοινότηςell)는 공동체를 의미하는 단어로, 도시 공동체를 나타내는 '''디모티키 키노티타'''와 촌락 공동체를 나타내는 '''토피키 키노티타'''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이 둘을 구분하는 기준은 일반적으로 인구 2,000명이다.

이 키노티타는 원래 전통적으로 이어져 온 마을 공동체를 근대 행정 구역 체계에 편입시킨 것으로[7], 이탈리아코무네스페인무니시피오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까지 키노티타는 디모스와 함께 상위 행정 구역인 노모스에 속하는 기초자치단체로서의 지위를 가졌으나, 개혁을 통해 자치권을 상실하고 디모스 산하의 행정 구역 단위로만 남게 되었다. 현행 제도 하에서 키노티타는 의회를 구성할 수 있지만, 그 역할은 해당 디모스 행정 당국에 대한 조언 기능에 한정된다.

3. 연혁

1855년 그리스와 이오니아 제도의 지도


근대 그리스 최초의 행정 구역은 그리스 독립 전쟁 중이던 1828년, 그리스 제1공화국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에 의해 제정되었다 (1828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임시정부가 통치하던 펠로폰네소스 반도와 에게 해의 섬들은 13개의 지방(τμήματαel)으로 나뉘었고, 이 지방들은 다시 에파르히아(군)로 세분화되었다.

그리스 왕국이 건국된 후, 1833년 초대 국왕 오톤 1세는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다 (1833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그리스 영토였던 펠로폰네소스 반도, 그리스 본토, 키클라데스 제도는 10개의 '''노모스'''(νομούς|노무스el; 현)와 43개의 '''에파르히아'''(επαρχία|에파르히아el; 군)로 나뉘었으며, 말단 행정 단위로 디모스(도시)를 두었다. 디모스의 장은 국왕이 임명하도록 하여, 이전까지 존재했던 도시 공동체(디모스)나 촌락 공동체(키노티스)의 자치권은 인정되지 않았다.

1836년에는 노모스와 에파르치아를 폐지하고 전국을 30개의 지방행정구역(Διοίκηση|디이키시el)으로 나누는 개편(1836년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으나, 1843년 쿠데타로 입헌군주제가 도입되면서 1845년에 다시 노모스와 에파르치아 체제로 복귀했다 (1845년 행정구역 개편). 이때 전국은 10개의 노모스와 49개의 에파르치아로 재편되었다.

그리스 왕국의 확대


오톤 1세가 물러나고 즉위한 요르요스 1세 시기 그리스 왕국은 영토를 확장해 나갔다. 1864년에는 이오니아 제도, 1881년에는 테살리아를 합병했으며, 1899년 행정 구역 개편(189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노모스의 수는 26개로 늘어났다. 이후 1909년 개편(190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노모스 수가 16개로 조정되었고, 1912년 이피로스, 1913년 크레타를 합병하면서 여러 차례의 조정을 거쳐 1920년대에는 35개의 노모스가 존재했다. 서트라키아는 1923년에 그리스 영토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47년, 이탈리아 영토였던 도데카니사 제도가 그리스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그리스 국경이 확정되었다.

1971년 그리스 군사 정권 시기에는 전국을 7개의 '''페리페리아'''로 나누는 행정 구역 개편(1971년 행정구역 개편)이 시도되었으나, 1973년 쿠데타 이후 폐지되었다. 당시 그리스에는 수도권과 아토스 산을 제외하고 52개의 노모스, 256개의 디모스, 5,805개의 키노티타가 있었다.[8]

1986년 법률(1622/1986)에 따라, 1987년부터 페리페리아가 공식적인 2단계 행정 구역으로 도입되어 기존의 역사-지리적 지역 구분을 보완하거나 대체하게 되었다.[1] 이 개편으로 전국은 13개의 페리페리아로 나뉘었다.

이후 1997년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1997년 행정구역 개편)과 2010년 칼리크라티스 개혁을 통해 지방 자치 구조에 큰 변화가 있었다.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으로 행정 구역으로서의 에파르치아는 폐지되었고 기초자치단체 통폐합이 진행되었다. 칼리크라티스 개혁은 페리페리아 중심의 지방 자치 체제를 강화했으며, 노모스(현)와 키노티타(촌)는 자치단체로서의 지위를 상실했다.

3. 1. 주요 개혁

1997년, 그리스 건국의 아버지인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의 이름을 딴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이라는 지방 제도 개혁이 실시되어, 1999년 1월 1일에 시행되었다. 남유럽에서는 이탈리아의 코무네나 스페인의 무니시피오처럼 전통적인 공동체에서 유래한 작은 기초 자치 단체가 많다. 그리스에서는 키노티타(촌락)나 디모스(도시 공동체)가 이에 해당하는데,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 이전에는 약 6000개[9]나 있었다. 이 개혁을 통해 기초 자치 단체의 수는 1034개(디모스가 910개, 키노티타가 124개)로 크게 줄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2010년에는 "칼리크라티스 개혁"( Πρόγραμμα Καλλικράτηςel )이라는 대규모 지방 제도 개혁이 추진되었다. 이 개혁은 파르테논 신전 건축가 중 한 명인 칼리크라테스의 이름을 땄다. 이전까지 내무부 장관이 임명하던 페리페리아(주) 지사를 주민이 직접 선출하도록 바꾸고, 광역 자치 단체였던 노모스(현)의 행정 기능을 페리페리아로 통합하는 등 지방 분권과 지방 자치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이 개혁은 당시 그리스의 경제 위기 상황에서 지방 공무원 수를 줄이려는 목적도 있었다[9].

2011년 1월 1일부터 행정 구역이 크게 바뀌었다. 이 개혁으로 1034개였던 기초 자치 단체는 325개로 대폭 정리되었고, 노모스(현)나 키노티타(촌)는 자치 단체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또한, "칼리크라티스 개혁"에서는 1개에서 3개의 페리페리아를 관할하는 apokentroménes dioikíseisel 라는 새로운 행정 단위가 설치되었다. 이는 기존에 페리페리아가 담당하던 중앙 정부의 지방 행정 감독 역할을 넘겨받았다.

4. 기타 행정 구역

(내용 없음)

4. 1. 아포켄트로메네스 디오이키시스

아포켄트로메네스 디오이키시스

아포켄트로메네스 디오이키시스(αποκεντρωμένες διοικήσεις|아포켄트로메네스 디오이키시스el, 영어: decentralized administrations)는 칼리크라티스 개혁으로 신설된 행정 구역이다. 1개에서 3개의 페리페리아를 묶어 편성하며, 중앙 정부에서 임명한 사무총장(general secretary)이 자문 위원회(advisory council)의 보좌를 받아 운영한다. 자문 위원회는 디모스에서 선출된 대의원과 페리페리아 주지사로 구성된다. 이 행정 구역은 중앙 정부의 지방 행정 감독 기능을 페리페리아로부터 이관받은 역할을 수행한다.

행정 구역명그리스어 표기수도소속 페리페리아
아티키Αττικήςel아테네아티키
마케도니아-트라키Μακεδονίας-Θράκηςel테살로니키동마케도니아-트라키, 중앙마케도니아
에피루스-서마케도니아Ηπείρου - Δυτικής Μακεδονίαςel요안니나이피로스, 서마케도니아
테살리아-중앙 그리스Θεσσαλίας - Στερεάς Ελλάδαςel라리사테살리아, 중앙그리스
펠로폰네소스-서 그리스-이오니아Πελοποννήσου, Δυτικής Ελλάδας και Ιονίουel파트라펠로폰네소스, 서그리스, 이오니아 제도
에게Αιγαίουel피레아스북에게, 남에게
크레타Κρήτηςel이라클리온크레타


4. 2. 아토스 자치 수도원 공화국

아토스 산( Άγιον Όρος|아기온 오로스el, Agion Oros)은 그리스 정교회의 중요한 성지이며, '성산'(Holy Mountain)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그리스 내에서 유일하게 그리스의 주권을 인정하면서도 폭넓은 자치권을 가진 지역이다. 지리적으로는 중앙 마케도니아 주와 접해 있으며, 할키디키 반도에서 에게 해로 뻗어 있는 세 개의 큰 반도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다.

행정 중심지는 카리에스이며, 면적은 약 336km2이다. 2023년 기준 인구는 1,746명이며[2], 인구 밀도는 약 5.2명/km²이다.[2] 현재(2024년 기준) 시민 행정관(Civil Governor)은 아나스타시오스 미치알리스(Anastasios Mitsialis)이다.

5. 과거 행정 구역

그리스는 19세기 독립 이후부터 2010년 칼리크라티스 계획 시행 이전까지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 지방 행정 체계를 유지해왔다. 전통적으로 지리적 지방을 최상위 단위로 삼고, 그 아래에 노모스(현), 에파르히아(군)를 두었으며, 가장 작은 단위로는 키노티타(촌)나 디모스(시)가 있었다. 2010년 개혁 직전에는 13개의 페리페리아(지방), 51개의 노모스, 1034개의 기초 자치 단체(디모스 910개, 키노티타 124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5. 1. 지리적 지방

그리스의 9개 지리적 지방


현재의 (페리페리아)가 공식적으로 설립된 1987년 이전까지[1], 그리스는 전통적인 지리적 구분에 따른 지방(διαμερίσματα|디아메리스마타el)으로 나뉘어 있었다. 이는 광범위한 역사-지리적 지역 구분을 따른 것이었으나, 때로는 임의적인 구분이라는 평가도 받았다. 일본어 등에서는 이 '지방'을 '주(州)'로 번역하기도 한다.[10]

19세기 그리스 독립 이후 영토가 확장되면서 지리적 지방의 수도 늘어나, 1920년대에는 다음과 같은 9개의 지방으로 구분되었다. (과거 행정 구획상으로는 중앙 그리스에서 아티카가 분리되어 10개였던 시기도 있었다.[11])

1987년 현대적인 행정 구역인 '주'(페리페리아)가 설치되면서, 이러한 전통적인 지리적 지방 구분은 행정 구획으로서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지리적 지방의 명칭은 해당 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5. 2. 노모스 (현)

1997년-2010년 노모스(현)


'''노모스'''(νομός|노모스el, 복수형: νομοί|노미el; 영어: prefecture, 현)는 1833년부터 2010년까지 그리스의 주요 지방 행정 구역이었다. 그리스는 19세기 전반 독립 이후 오랜 기간 동안 지리적인 '''지방'''을 최상위 행정 구역으로 삼았으며, 이 지방을 '''노모스'''(현)로, 노모스를 '''에파르히아'''(군)로 나누는 계층 구조를 가졌다. 말단 행정 구역은 전통적인 주민 공동체에 기원을 둔 '''키노티타스'''(촌)나 '''디모스'''(시)였다.

1997년 알레코스 파파도풀로스 내무부 장관 주도의 카포디스트리아스 개혁을 통해 노모스는 더 많은 권한을 부여받으며 분권화가 진전되었다.

2010년 "칼리크라티스 계획"(법률 3852/2010)이 시행되기 직전, 그리스는 13개의 '''페리페리아'''(지방)와 51개의 '''노모스'''(현)로 구분되었으며, 그 아래에는 1034개의 기초 자치 단체(910개의 '''디모스'''(시), 124개의 '''키노티타'''(촌))가 있었다.

그러나 2011년 1월 1일에 발효된 칼리크라티스 계획에 따라 자치체로서의 노모스는 폐지되었고, 페리페리아를 구성하는 행정 구역인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지역 단위)로 대체되었다.

2010년 폐지 직전의 노모스는 다음과 같다.



아테네를 포함하는 아티키현은 다른 노모스와는 다른 특수한 지위를 가졌는데, 현을 4개의 '''노마르히아'''(Νομαρχία|노마르히아el, 복수형: νομαρχίες|노마르히에스el)로 나누어 실제 행정 기능을 담당하게 했다. 이 때문에 노마르히아를 현급 행정 구획으로 간주하여 그리스의 "현"(Prefecture) 수를 53개로 세기도 했다.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후 이들 노마르히아는 아티키 지방을 구성하는 페리페리아키 에노티타로 재편되었다.

5. 3. 에파르히아 (구)

1997년 이전의 에파르히아(구)


'''에파르히아'''(επαρχία|에파르히아ell, ''eparchia'', 영어: Province, '구')는 그리스에서 노모스의 하위 행정 구역이었다. 19세기 그리스 독립 이후부터 20세기 말까지 이어진 행정 체계에서 노모스 아래, 디모스(시)나 키노티타(촌) 위의 단계에 해당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그리스 전역에 139개의 에파르히아가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데카니소스 제도가 그리스 영토로 편입되면서 총 147개로 늘어났다.

에파르히아는 행정 기관으로서 실질적인 기능은 거의 없었으며, 주로 재정, 교육, 선거 등의 구획 단위로 활용되었다. 1998년 행정 구역 개혁으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폐지된 이후에도 선거구 획정 단위로는 한동안 유지되었으나, 2006년 지방 의회 선거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6. 각주

(내용 없음)

참조

[1] 간행물 "Ν.1622/86 \"Τοπική Αυτοδιοίκηση - Περιφερειακή Ανάπτυξη - Δημοκρατικός Προγραμματισμός\"" ΦΕΚ 1986-07-14
[2] 웹사이트 Στοιχεία Υπολογιζόμενου Πληθυσμού (1.1.2023) https://www.statisti[...]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2024-12-04
[3] 웹사이트 https://ec.europa.eu[...]
[4] 웹사이트 ギリシャ中央マケドニア地方におけるウエストナイルウイルス感染の発生(一般旅行者向け) https://www.forth.go[...] 厚生労働省検疫所 2010-08-19
[5] 웹사이트 ギリシャ地方選で与党勝利 政権の改革支持問う https://web.archive.[...] 共同通信 2010-11-15
[6] 웹사이트 運転免許証切替取扱事務所一覧 http://www.gr.emb-ja[...] 在ギリシャ日本国大使館
[7] 서적 '' 1978
[8] 서적 '' 1978
[9] 뉴스 ギリシャ、地方自治体に大鉈 http://jp.wsj.com/Wo[...] The Wall Street Journal 2010-10-22
[10] 웹사이트 巨匠デ・キリコ展 http://www.art.tokus[...] 徳島県立近代美術館 2006
[11] 웹사이트 http://www.minagric.[...]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 NSSG (Εθνική Στατιστική Υπηρεσία Ελλάδος / ΕΣΥΕ)
[12] 문서 ウラル山脈以東はアジア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
[13] 문서 アジア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
[14] 웹인용 그리스 중앙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 발생(일반 여행자용) https://www.forth.go[...] 후생노동성 검역소 2010-08-19
[15] 웹사이트 운전면허증 전환취급 사무소 일람 http://www.gr.emb-ja[...] 그리스 주재 일본 대사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