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모티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모티니는 그리스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도페 산맥 기슭의 트라키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다. 2세기부터 정착지로 존재했으며, 비잔틴 시대에는 로마 간선 도로인 비아 에그나티아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1361년에서 1362/3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귈뷜지네(Gümülcine)로 불리며 제국의 중요한 거점으로 발전했다.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불가리아와 그리스의 지배를 받았고, 1919년 뇌이 조약에 따라 그리스에 귀속되었다. 오늘날 코모티니는 상업 및 행정 중심지로서, 다양한 민족 구성과 더불어 데모크리토스 트라키 대학교가 위치한 교육 도시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도피현 - 로도피산맥
로도피산맥은 발칸 반도 남동부, 불가리아와 그리스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붉은 강"이라는 뜻의 이름과 여왕 로도페에 얽힌 그리스 신화를 지니며, 지리적, 수문학적 특징에 따라 세 지역으로 나뉘고, 풍부한 수자원과 온화한 기후,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바탕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그리스의 주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주도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 그리스의 현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현도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코모티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기초 자치 단체 |
국가 | 그리스 |
지방 | 동마케도니아 트라키아 |
현 | 로도피 현 |
면적 (기초 자치 단체) | 644.93 km² |
면적 (행정 구역) | 385.4 km² |
고도 | 45 m |
우편 번호 | 691 00, 691 31, 691 32, 691 33 |
지역 번호 | 2531X |
차량 번호판 | ΚΟ |
공식 웹사이트 | komotini.gr |
인구 | |
인구 (기초 자치 단체, 2021년) | 65243 명 |
인구 (행정 구역, 2021년) | 60160 명 |
인구 (지역 사회, 2021년) | 54165 명 |
정치 | |
시장 | Ioannis Gkaranis |
소속 정당 | (정보 없음) |
임기 시작 | 2019년 |
2. 역사
코모티니의 역사는 로마 시대에 건설된 에그나티아 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도로는 두라스와 콘스탄티노플을 연결하는 중요한 길목이었으며,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이 도로와 북쪽 로도피 산맥을 넘어 필리포폴리스로 이어지는 길이 만나는 지점에 작은 요새를 건설했다.
초기에는 인근의 큰 도시인 모시노폴리스 때문에 이 요새 주변은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1207년 불가리아의 황제 칼로얀이 모시노폴리스를 파괴하자, 그곳에서 피난 온 사람들이 이 요새 터에 정착하면서 현재의 코모티니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도시의 이름은 14세기 초 동로마 제국 내전 시기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가 '쿠무치나스'(Κουμουτζηνά|쿠무치나grc)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하면서 기록에 등장한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코모티니는 '귈뷜지네'(Gümülcine|귀뮐지네ota)로 불렸으며,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과 유럽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 시기 코모티니에는 그리스인, 튀르크인, 유대인, 아르메니아인, 불가리아인, 포마크인 등 다양한 민족이 함께 거주하며 다문화적인 도시를 이루었다. 현재 코모티니에 남아 있는 많은 역사적 건축물들이 오스만 시대에 세워졌다.
근대에 들어 코모티니는 여러 차례 소속 국가가 바뀌는 혼란을 겪었다. 제1차 발칸 전쟁 중에는 불가리아에 점령되었고, 제2차 발칸 전쟁 중인 1913년에는 잠시 그리스에 속했다가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다시 불가리아 영토가 되었다. 같은 해 잠시 동안 서트라키 임시 정부(귈륌지나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불가리아의 지배하에 있었다. 1919년 뇌이 조약에 따라 코모티니는 서트라키아 지방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최종적으로 그리스 영토로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1. 고대
코모티니 지역에는 서기 2세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이는 4세기까지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확인된다. 도시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4세기 비잔틴 성벽 유적에는 "테오도시우 크티스마"(테오도시우스의 건물)라는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코모티니 출신 스티폰 키리아키디스 교수와 당시 시장 소포클리스 코므니노스가 발견했다. 이 정착지는 5세기에 기원하며, 마로니아 출신 화가 파라시오스의 딸과 관련이 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로마 그리스 시대에 코모티니는 로마가 건설한 두라스와 콘스탄티노플을 잇는 주요 도로인 에그나티아 가도(Via Egnatia)를 따라 트라키아 지역에 있던 여러 요새 중 하나였다. 당시 이곳은 로마의 역참이었던 '브레이에로파라'(Βρηερόπαρα|브레이에로파라grc)로 추정되는데, 이는 '요새'를 뜻하는 'bre', '성스러운'을 뜻하는 'iero', '고개'를 뜻하는 'phara' 또는 'para'가 합쳐진 트라키아인 지명이다.[3] 이 시기 가장 중요한 도시는 인근의 막시미아노폴리스(과거 트라키아의 포르술리스 또는 파에술래)였으며, 이 도시는 9세기에 모시노폴리스로 이름이 바뀌었다. 코모티니는 에그나티아 가도에서 북쪽으로 갈라져 님파이아 고개를 지나 아르다스 계곡, 필리포폴리스(현대 플로브디프) 및 비잔틴 베로에(현대 스타라 자고라)로 이어지는 경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에그나티아 가도와 북쪽 로도피 산맥을 넘어 필리포폴리스로 향하는 길이 만나는 지점에 작은 직선형 요새를 건설했다. 이 요새 때문에 당시에는 인근의 큰 도시인 모시노폴리스 서쪽에 별도의 정착지가 필요 없다고 여겨져, 12세기 말까지 요새 주변 지역은 거의 버려진 상태였다. 그러나 1207년 불가리아의 황제 칼로얀이 모시노폴리스를 파괴하자, 도시를 떠난 난민들이 이 버려진 요새 터에 정착하여 현재의 코모티니 시를 세우게 되었다. 코모티니라는 이름은 14세기 초 동로마 제국 내전 시기에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가 '쿠무치나스'(Κουμουτζηνά|쿠무치나grc)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하면서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2. 2. 비잔틴 시대

코모티니 지역에는 서기 2세기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이는 4세기까지의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확인된다. 특히 4세기에 건설된 비잔틴 제국 성벽 유적에서 "''테오도시우 크티스마''"(Θεοδοσίου κτίσμα, 테오도시우스의 건물)라는 비문이 발견되어,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이곳에 요새를 건설했음을 알 수 있다.[3] 이 요새는 디라키움과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연결하는 로마의 주요 도로인 비아 에그나티아와, 북쪽으로 로도피 산맥을 넘어 필리포폴리스(현재 플로브디프)로 이어지는 길이 만나는 중요한 지점에 위치했다.
초기 로마 제국 시대에 코모티니는 비아 에그나티아를 따라 트라키아 지역에 있던 여러 요새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로마의 역참 '브레이에로파라'(Breierophara)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 하지만 당시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는 서쪽에 위치한 막시미아노폴리스(9세기에 모시노폴리스로 개칭)였고, 코모티니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작은 정착지였다. 비잔틴 제국 시대에 코모티니는 처음에는 마케도니아 테마에 속했다가, 11세기부터는 새로 생긴 볼레론 테마의 일부가 되었다.
12세기 말, 모시노폴리스가 쇠퇴하면서 버려졌던 코모티니 요새 지역에 변화가 찾아왔다. 1207년, 불가리아의 차르 칼로얀이 모시노폴리스를 파괴하자, 그곳에서 살아남은 주민들이 코모티니 요새의 성벽 안으로 피난 와 정착하기 시작했다. 이후 코모티니의 인구는 점차 증가하며 이 지역의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14세기에 들어 코모티니는 역사 기록에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1331년,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는 자신의 기록에서 이 도시를 '쿠무치나'(Κουμουτζηνά)라는 이름으로 처음 언급했다.[4] 1332년에는 황제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가 스미르나의 우무르 베이에 맞서기 위해 코모티니에 군대를 주둔시켰으나, 실제 전투는 벌어지지 않았다. 1341-1347년 비잔틴 내전 시기에는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와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 사이의 권력 다툼이 벌어졌는데, 코모티니는 인근의 다른 요새들과 함께 칸타쿠지노스를 지지했다. 요안니스 6세 칸타쿠지노스는 모시노폴리스 근처에서 불가리아인 몸칠의 군대에게 패배한 후 코모티니로 피신하기도 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코모티니는 1361년에서 1362년 또는 1363년 사이에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으며, 가지 에브레노스 베이에 의해 정복된 것으로 보인다. 이 정복은 필리포폴리스와 스타라 자고라가 함락된 이후, 오스만이 페가에를 점령하기 전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오스만 정복 이전부터 이 도시는 터키어로 '''귀뮤르지네'''(Gümülcine)라고 불렸는데, 이는 도시 이름의 그리스어 형태인 '쿠무치나스'가 변형된 것이다. 이 이름은 오스만 시대(약 1361년 ~ 1912년) 내내 사용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터키어 명칭으로 남아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코모티니는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노플과 유럽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거점으로 발전하며 성장했다. 오늘날 도시의 많은 기념물들이 이 시기에 세워졌다. 당시 많은 지역 그리스인 가족들은 오스만 통치를 피해 에피루스로 도망쳐 쿠무차데스 마을(현대 아르타주의 암모토포스)을 세웠다. 그곳에서도 일부는 오스만인들에게 박해를 받았고, 고르티니아의 트로파이아에서 피난처를 찾기도 했다. 코모티니, 암모토포스, 트로파이아 주민들 간의 유대감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정복 후 초기 20년 동안(1383년까지) 코모티니는 세르비아의 마케도니아 영토에 대항하는 에브레노스 휘하의 국경 지역(''우츠'', uçota) 중심지였다.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에는 기존 주민들이 계속 거주했으며, 가지 에브레노스는 반란을 막기 위해 도시 주변 시골 지역에 터키인 정착민들을 이주시켰다. 이로 인해 오스만 인구 조사에 따르면 무슬림 터키인들이 도시 주변 농촌 지역에서 빠르게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다. 에브레노스는 또한 도시 성벽 밖에 ''카미예''(작은 모스크), 이마렛(무료 급식소), 하맘(목욕탕), 상점 등을 건설하여 와크프(종교 기부 재산)를 설립했는데, 이는 "서부 트라키아 이슬람 생활의 핵"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16세기 지리학자 메흐메드-이 아쉬크도 에브레노스가 지은 이마렛을 언급했다.
15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모티니에는 무슬림 393가구와 독신 197명, 기독교인 42가구와 독신 14명, 유대인 19가구와 독신 5명이 거주하여 총 인구는 약 2,500명이었다. 1530년 인구 조사에서는 17개의 터키식 이름으로 된 구역(''마할레'')과 함께 금요 모스크 1개, ''마스지드''(작은 모스크) 16개, ''자위야''(수피 수행 장소) 4개, 학교 4개, 그리고 성벽 안의 교회 1개가 기록되었다. 그럼에도 1548년 이 도시를 방문한 프랑스 여행가 피에르 벨론 뒤 망은 "이 도시는 소수의 그리스인과 다수의 터키인이 거주하고 있다"고 기록했다.
1600년대에는 트라키아 전역에서 많은 사업을 후원한 재무관(''데프테르다르'') 에크메크지자데 아흐메드 파샤에 의해 새로운 건물들—작은 금요 모스크, 이중 목욕탕, ''메크테브''(초등 교육기관), ''마드라사''(고등 교육기관), 그리고 ''이마렛''—이 세워져 도시의 위상이 높아졌다. 아흐메드 파샤가 지은 예니 모스크는 1580년대 이즈니크 타일 예술의 절정기에 제작된 타일 장식으로 유명하며, 그리스에서 이러한 특징을 가진 유일한 건축물로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여행가 에브리야 첼레비가 1667년 또는 1668년에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그는 16개의 ''마할레''에 "4,000채의 번창하고 석조로 지어진 집"이 있다고 기록했다(다소 과장된 수치일 수 있음). 또한 주요 모스크 5개, ''마스지드'' 11개, ''이마렛'' 2개, 목욕탕 2개, ''마드라사'' 5개(오늘날 하나만 남아 있음), ''메크테브'' 7개, 카라반세라이(대상 숙소) 17개, 그리고 상점 400개가 있었다고 전했다.
코모티니는 반복되는 역병 유행으로 큰 피해를 입어 마을 전체가 버려지기도 했지만, 19세기에 다시 회복되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동안 요안니키오스(후에 주교가 됨), 아겔리스 키르잘리스, 필리키 에테리아 회원이었던 스타브로스 코베노스 대위 등 코모티니 주민들은 독립 운동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코모티니는 담배 가공 및 무역으로 재정적으로 발전했다.
19세기에는 도시가 확장되면서 상당한 건축 활동이 이루어졌다. 오래된 건물이 개축되고 새로운 건물이 건설되었다. 예니 모스크와 에브레노스의 원래 ''마스지드''였던 에스키 모스크는 넓은 기도실이 추가되어 확장되었고, 술탄 압둘하미드 2세는 시계탑과 ''마드라사''를 세웠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코모티니는 콘스탄티노플과 테살로니키를 연결하는 철도역이 들어섰다. 1880년대에 코모티니는 에디르네 빌라예트 내 동명의 산자크(행정 구역)의 수도였으며, 인구는 13,560명에 달했다. 당시 도시에는 금요 모스크 10개, ''마스지드'' 15개, 그리스 정교회 2개, 아르메니아 교회 1개, 유대교 회당(시나고그), ''마드라사'' 4개, 고등 학교 2개, ''메크테브'' 10개, 그리고 다양한 기타 기독교 및 유대교 학교들이 있었다.
2. 4. 발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발칸 전쟁 동안 불가리아군은 코모티니를 점령했다. 제2차 발칸 전쟁 중인 1913년 7월 14일, 그리스군이 도시를 점령하였으나, 전쟁 이후 체결된 부쿠레슈티 조약(1913)에 따라 도시는 다시 불가리아에 할양되었다. 이 잠시 동안 코모티니는 단명한 서트라키 임시 정부(귈륌지나 공화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불가리아의 통치 아래에서 도시의 그리스인 주민들은 불가리아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했지만, 코모티니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불가리아의 일부로 남았다. 이 시기 도시의 불가리아어 명칭은 Гюмюрджина|규뮤르지나bg였다.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체결된 뇌이 조약에 따라, 코모티니는 서트라키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그리스에 최종적으로 편입되었다.
2. 5. 현대



코모티니는 오늘날 번성하는 상업 및 행정 중심지이다. 도시 구조는 매우 집중되어 있어 대부분의 상업 시설과 서비스가 역사적 중심부에 모여 있으며, 이로 인해 도보 이동이 편리하다. 그러나 매일의 통근으로 인한 교통 체증 문제도 겪고 있다. 과거에는 트렐로히마로스 강이 도시를 관통하며 두 지역으로 나누었으나, 1970년대 반복적인 홍수 이후 강은 도시 동쪽으로 우회되었고, 이전 강바닥은 오르페오스 거리와 같은 주요 도로로 대체되었다.
도심 중심부에는 상록수로 가득한 시립 중앙 공원과 높이 15m의 제2차 세계 대전 영웅 기념비(일명 '검')가 있다. 새롭게 단장된 중앙 광장, 즉 ''이리니 광장''(평화 광장)은 도시에 거주하는 많은 학생 덕분에 활기찬 밤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다. 구 상업 중심지는 다른 그리스 도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전통 상점과 작업장들이 남아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또한, 도시 북서쪽 외곽(네아 모시노폴리)에는 현대적인 쇼핑 플라자인 코스모폴리스 공원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는 대형 백화점, 상점, 슈퍼마켓, 영화관, 카페, 레스토랑 등이 있어 현지인과 관광객 모두 즐겨 찾는다. 코스모폴리스에서 이파이토스까지 이어지는 지역은 점차 새로운 소매업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코모티니는 서기 4세기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건설한 비잔틴 요새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사각형 구조물의 유적은 중앙 광장 북서쪽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도시에는 고고학 박물관, 비잔틴 박물관, 민속 박물관 등 여러 박물관이 있다. 중앙 광장 남서쪽에는 야외 시립 극장이 있어 여름 문화 축제(πολιτιστικό καλοκαίρι|폴리티스티코 칼로카이리el)와 같은 다양한 문화 공연 및 행사가 열린다. 지역 극장(DIPETHE)도 있어 연중 여러 연극을 상연한다. 코모티니에서 북동쪽으로 약 6km 떨어진 곳에는 님파이아 숲이 있다. 이 숲에는 산책로, 코트, 놀이터, 환경 연구 공간 등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숲을 가로지르는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또 다른 비잔틴 요새 유적과 역사적인 님파이아 (제2차 세계 대전) 요새에 닿을 수 있다.
코모티니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다. 선주 그리스인을 비롯하여 소아시아와 동트라키아에서 온 그리스인 난민, 이슬람을 믿는 그리스인, 터키인, 포마크인, 로마인, 아르메니아인 피난민의 후손들이 함께 살고 있다. 최근에는 구 소비에트 연방 국가(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 러시아, 카자흐스탄) 출신의 피난민들도 정착하고 있다.
2. 5. 1. 유대인 공동체

고대 마로니아 지역의 기록을 통해 이 지역에 유대인이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6세기 코모티니의 유대인 공동체는 주로 섬유 및 양모 상인이었던 세파르딤 유대인으로 구성되었다. 많은 유대인들이 에디르네와 테살로니키에서 이주해 왔다. 유대인 공동체는 도시의 고대 성벽 안에 주로 거주했으며, 1896년 이후 서쪽으로 확장되어 유대인 학교와 클럽이 위치한 마카바이온 거리(이후 카라올리로 개명)를 따라 자리 잡았다.
베스 엘 회당은 19세기에 성채 안에 건설되었고, 1914년까지 단계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회당은 마구간으로 사용되었고, 전쟁 후 오랫동안 방치되었다. 결국 1993년 지붕이 무너진 후, 1994년에 철거되었다.[7]
1900년에는 약 1,200명의 유대인이 코모티니에 거주했다. 1910년에는 알리앙스 이스라엘리트 위니베르셀 학교가 운영을 시작하여 그리스어, 프랑스어, 히브리어 과목을 가르쳤다. 1912년부터 1913년 사이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테살로니키나 이스탄불과 같은 더 큰 도시로 이주했다. 코모티니가 그리스에 편입된(1920년 5월) 이후, 유대인 공동체는 문화 클럽과 자선 단체를 운영하며 활동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불가리아 행정부 시기, 나치 독일의 동맹이었던 불가리아는 코모티니의 유대인 863명을[8] 체포하여 트레블링카 강제 수용소로 보냈고, 그곳에서 대부분 학살당했다. 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은 28명에 불과했다. 전쟁 후 공동체는 크게 위축되었고, 1958년에는 구성원 부족으로 인해 유대인 공동체가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2004년 코모티니 시는 홀로코스트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중앙 공원 남쪽 입구에 기념비를 세웠다.[9][10][11][12]
3. 지리
도시는 로도페산맥 기슭 근처, 트라키아 평원의 해발 32m~38m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 서쪽으로는 보클루차스 강이, 동쪽으로는 트렐로히마로스 강이 흐른다. 도시의 오래된 구역은 도시 계획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모습을 보이지만, 최근에 개발된 지역은 이와 대조적이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자치구의 인구는 66,919명으로 집계되었으나, 이 수치에는 약 12,000명에 달하는 거주 학생, 훈련생 및 군인은 포함되지 않았다.
코모티니는 교통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65km 떨어진 알렉산드로폴리에 있으며, 80km 거리의 카발라에도 공항이 있다. 그리스 본토의 주요 도시들과 이스탄불을 연결하는 철도 및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잘 갖춰진 지방 도로망은 새로 건설된 A2 고속도로(에그나티아 오도스)와 연결되어 도시 교통의 편리성을 더한다.
도시 중심부에는 아기아 파라스케비 중앙 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공원 안에는 높이 15m의 제2차 세계 대전 영웅 기념비가 세워져 있는데, 현지에서는 이 기념비를 '검'이라고 부른다. 새롭게 단장된 중앙 광장, 즉 '평화 광장'(el)은 이 도시에 많이 거주하는 학생들의 밤 시간대 주요 활동 무대가 되고 있다. 한편, 구 상업 중심지는 다른 그리스 도시에서는 보기 드물게 전통적인 상점과 공방들이 남아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다. 도시 북서쪽 교외의 네아 모시누폴리 지역에는 코스모폴리스 파크라는 쇼핑몰이 들어서 있다. 이곳에는 백화점을 비롯해 다양한 상점, 슈퍼마켓, 영화관, 카페, 레스토랑 등이 입점해 있어 현지 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인기가 높다. 중앙 광장의 남서쪽에는 야외 시립 극장이 있어 전통적인 공연과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코모티니에서 북동쪽으로 약 6km 떨어진 곳에는 님파이아 숲이 있다. 이 숲에는 산책로, 운동 시설, 환경 학습 공간 등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숲을 가로지르는 포장도로 끝에는 비잔틴 제국 시대의 요새와 역사적인 님파이아 요새 유적이 남아 있다.
코모티니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다. 토착 그리스인을 비롯하여 소아시아와 동트라키아 지역에서 온 그리스인 난민의 후손, 이슬람을 믿는 그리스인, 터키인, 포마크인, 로마인, 아르메니아인 피난민의 후손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구 소비에트 연방 국가(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 러시아, 카자흐스탄) 출신의 이주민들도 이곳에 정착하고 있다.
3. 1.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평균 |
---|---|---|---|---|---|---|---|---|---|---|---|---|---|
평균 최고 기온 (°C) | 약 8.9°C | 약 10.0°C | 약 12.8°C | 약 17.8°C | 약 22.8°C | 약 27.8°C | 약 31.1°C | 약 31.1°C | 약 26.1°C | 약 20.6°C | 약 14.4°C | 약 10.0°C | 약 19.4°C |
평균 최저 기온 (°C) | 약 0.6°C | 약 1.1°C | 약 3.3°C | 약 7.2°C | 약 11.7°C | 약 16.1°C | 약 18.3°C | 약 18.3°C | 약 14.4°C | 약 10.6°C | 약 5.6°C | 약 2.2°C | 약 9.1°C |
4. 인구
코모티니의 인구는 도시 규모에 비해 다언어 구사 능력이 뛰어나며, 다양한 배경을 가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지역 그리스인, 소아시아와 동트라키아에서 온 그리스 난민, 터키인, 포마크인, 로마인 출신의 이슬람교도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아르메니아인 난민의 후손들과, 북동부 아나톨리아 및 구 소비에트 연방(주로 조지아, 아르메니아, 러시아, 카자흐스탄) 출신의 폰토스 그리스인도 거주하고 있다.
서트라키아 지역의 이슬람교도는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거슬러 올라가며, 다른 그리스 지역의 이슬람교도와 달리 로잔 조약에 따라 1922년에서 1923년 사이에 이루어진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5]
코모티니는 유럽 연합 도시 중 이슬람교도 비율(대도시권 기준 54.77%)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5. 행정 구역
코모티니 시는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기존의 코모티니와 함께 아이게이로스, 네오 시디로호리 등 3개의 이전 시정촌이 합병되어 현재의 행정 구역이 형성되었다.[13]
이 시의 전체 면적은 644.934km2이며, 이 중 코모티니 시 구역의 면적은 385.386km2이다.[14]
5. 1. 하위 구역
방향 | 구역 이름 |
---|---|
중앙 | 역사적 상업 중심지, 플라카, 아르메니오 |
서 | 네아 모시노폴리, 레브비 |
남서 | 카바클리오티카, 스타스모스, 에르가티카 스타스모우, 에르가티카 DEI |
남 | 짐브라키 |
남동 | 아기오스 스틸리아노스 |
동 | 네옥티스타 |
북 | 아기아 바르바라/스트라토네스 |
5. 2. 교외 지역
코모티니 시 주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교외 지역 및 시설이 있다.지역명 | 위치 (시내 중심 기준) | 주요 특징 |
---|---|---|
남동쪽 9km | 수십 개의 공장과 친환경적인 천연 가스 발전소가 위치한다. | ||
북서쪽 3km | 데모크리토스 대학교의 본교 캠퍼스이다. | ||
북서쪽 (네아 모시노폴리 인접) | 대규모 로마인 공동체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 ||
남동쪽 5km | 고급 주택이 있는 주거 지역이다. | ||
북동쪽 4km | 고급 주택이 있는 주거 지역이다. | ||
남쪽 3km | 주거 지역이다. | ||
남동쪽 8km | 주거 지역이다. | ||
남동쪽 2km | 주거 지역이다. | ||
남동쪽 2km | 주거 및 상업 혼합 지역이다. | ||
서쪽 2km | 주거 및 상업 혼합 지역이다. | ||
북서쪽 | 코스모폴리스 파크라는 쇼핑몰이 있으며, 백화점, 상점, 슈퍼마켓, 영화관, 카페, 레스토랑 등이 입점해 있다. | ||
북동쪽 6km | 산책로, 코트, 운동장, 환경 학습 공간 등 레크리에이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비잔틴 제국 시대의 역사적인 님파이아 요새가 있다. |
6. 교육
코모티니에는 초등 및 중등 교육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약 20개의 초등학교, 7개의 김나시아(중학교), 4개의 리케이아(고등학교)가 있으며, 직업 훈련 연구소(IEK 코모티니)와 2개의 직업 기술 교육 기관(TEE)도 운영되고 있다.
코모티니는 그리스 북부의 주요 대학 도시 중 하나이다. 데모크리토스 트라키 대학교의 중앙 행정부와 여러 학과가 이곳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학과는 다음과 같다.
- 법학부
- 체육 및 스포츠 과학부
- 역사 및 민족학부
- 그리스 문학부
- 사회 행정학부
- 국제 금융 관계 및 개발학부
- 경영학부 (2009년 개설)
- 정치학부 (2009년 개설)
- 흑해 국가 언어, 문학 및 문명학부
데모크리토스 트라키 대학교 캠퍼스에는 약 5,000명에서 10,000명 사이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이들은 도시의 사회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1973년 대학 설립은 코모티니의 확장과 성장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도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코모티니에서 크산티 방향으로 약 7km 떨어진 곳에 현대적인 시설을 갖춘 경찰 학교가 위치해 있다.
7. 교통
코모티니는 내륙 도시이기 때문에 항구가 없다.
7. 1. 도로
유럽 고속도로 90호선이 도시를 관통하며, 코모티니를 다른 그리스 본토 도시들과 연결한다. Εγνατία Οδός|에그나티아 오도스gre로 알려진 A2 고속도로는 도시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새로 건설된 이 고속도로를 통해 편리한 교통망을 제공한다. 도시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코모티니 서' 분기점 또는 '코모티니 동' 분기점을 이용할 수 있다.7. 2. 대중교통
코모티니 시내에는 3개의 주요 노선을 운행하는 여러 시내버스가 있다. 코모티니 시외버스 회사는 코모티니와 많은 지역 마을, 해안 지역 및 주요 그리스 도시를 연결한다.교통은 편리한 편으로, 철도와 버스는 인근 이스탄불뿐만 아니라 그리스 내 대부분의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새로 건설된 에그나티아 고속도로가 도시를 통과한다. 도시 근처에는 두 개의 공항이 있는데, 하나는 65km 떨어진 알렉산드로폴리에 있고, 다른 하나는 110km 떨어진 카발라에 위치한다.
7. 3. 철도
헬레닉 트레인에서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철도가 있으며, 하루에 최소 두 번 이상 서쪽으로는 테살로니키와 아테네로, 동쪽으로는 에브로스와 때때로 이스탄불로 운행한다. 기차역은 시내 중심가 밖에 위치해 있다.8. 스포츠
코모티니에는 다양한 스포츠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주요 시설로는 판트라키코스 FC의 홈 구장인 코모티니 시립 경기장, 훈련 시설인 판트라키코 경기장, 도시 북동부에 위치한 시립 스포츠 단지, 시립 수영장 및 농구 경기장 등이 있다. 또한 데모크리토스 대학교 스포츠 단지에는 아레나와 수영 센터가 포함되어 있으며, 도시 내 대부분의 학교에도 농구 코트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 북쪽의 산악 지역은 산악 자전거와 트레킹, 그리고 연중 열리는 4x4 레이싱을 즐기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코모티니를 연고지로 하는 스포츠 클럽 | |||
---|---|---|---|
클럽 | 설립 | 스포츠 | 업적 |
AE 코모티니스 | 1936 | 축구, 배구 | 과거 A1 에트니키 배구 리그 참가 |
판트라키코스 FC | 1963 | 축구 | 과거 알파 에트니키 리그 참가 |
GAS 코모티니스 | 1976 | 농구 | 과거 A2 에트니키 농구 리그 참가 |
9. 저명한 출신 인물
- 사디크 아흐메트(Sadik Achmettur, 코모티니 1947 - 코모티니 1995), 정치인, 터키 소수 민족 권리 옹호자
- 콘스탄티노스 바니오티스(Konstantinos Baniotisell, 1986년 출생), 높이뛰기 선수
- 아테네 대주교 크리산토스(Chrysanthus of Athensell, 그라티니 1881 - 아테네 1949)
- 파스칼리스 드라가니디스(Paschalis Draganidisell, 1992년 출생), 축구 선수
- 프랑굴리스 프랑고스(Frangoulis Frangosell, 코모티니 1951년 출생), 장군, 헬레닉 육군 참모총장, 전 국방부 장관
- 아포스톨로스 그로조스(Apostolos Grozosell, 코모티니 1892 - 부쿠레슈티 1981), 정치인, 그리스 공산당 지도자
- 아키스 다가지안(Akis Dagazianell, 코모티니 1975년 출생), 국제 관계 전문가, 경제학자, 사업가, 외교관, 그리스 헬레닉-아르메니아 상공회의소 회장 (2017-), 테살로니키 주 아르메니아 공화국 명예 영사 (2022-)
- 함자 함자올루(Hamza Hamzaoğlutur, 코모티니 1970년 출생), 터키 축구 선수
- 하산 하티포글루(Hasan Hatipoğlutur, 코모티니 1923 - 코모티니 2010), 터키 언론인 및 정치인
- 얀코 흐리스토프(Янко Христовbul, 코모티니 1919 - 불가리아 1994), 불가리아 팔치산 및 외교관
- 니콜라오스 칼차스(Nikolaos Kaltsasell, 로드피 현 이아스모스 근처 디알람비(Διαλαμπή Ροδόπηςell) 출생), 고고학자,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관장, 독일 고고학 연구소 회원
- 스틸폰 키리아키디스(Στίλπων Κυριακίδηςell, 코모티니 1887 - 테살로니키 1964), 역사 및 민속 문화 교수
- 페트로스 만탈로스(Petros Mantalosell, 1991년 출생), 그리스 축구 선수
- 마로니아의 요안니키오스(Ιωαννίκιος Μαρωνείαςell, 1838년 사망), 성직자, 그리스 독립 전쟁의 투사
- 나수흐 파샤(Nasuh Pashatur, 1614년 사망), 오스만 제국 대재상
- 조지 페탈로티스(George Petalotisell, 코모티니 1964년 출생), 그리스 정치인
- 폴 수리키아스(Paul Soulikiasell, 코모티니 1926년 출생 – 라리사 2023), 그리스계 캐나다 화가
- 에우리피디스 스틸리아니디스(Evripidis Stylianidisell, 마로니아 1966년 출생), 그리스 정치인, 2012-13년 내무부 장관
- 차비트 차글라르(Cavit Çağlartur, 코모티니 1944년 출생), 터키 사업가 및 정치인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Komotini,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웹사이트
Visit Greece - ΚΟΜΟΤΗΝΗ
http://www.visitgree[...]
[3]
서적
Historical Geography of Western Thrace during the Roman Antiquity
Thessaloniki
2005
[4]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History of Northern Greece during the Turkish Rule: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Description of the Turkish Monuments of Komotini and Serres, their place in the Development of Ottoman Turkish Architecture and their Present Condition
[5]
웹사이트
Reviving high-rise blocks for cohesive and green neighbourhoods
http://urbact.eu/fil[...]
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2013-10-24
[6]
웹사이트
ΜΟΥΣΟΥΛΜΑΝΙΚΗ ΜΕΙΟΝΟΤΗΤΑ ΘΡΑΚΗΣ
http://www.hri.org/M[...]
2018-03-24
[7]
서적
The Synagogues of Greece: A Study of Synagogues in Macedonia and Thrace: With Architectural Drawings of all Synagogues of Greece
Seattle
2022
[8]
서적
The trains went out empty
Hed-Artzi, Or-Yhuda, Israel
1999
[9]
서적
Το Ολοκαύτωμα των Ελλήνων Εβραίων – Μνημεία και Μνήμες
Κεντρικό Ισραηλίτικο Συμβούλιο Ελλάδος
2007-01
[10]
뉴스
Το ζήτημα της ιστορίας των εβραίων της Κομοτηνής ξανά στην επικαιρότητα- Με το βιβλίο του Θρασύβουλου Ορ. Παπαστρατή «Από τη Γκιουμουλτζίνα στην Τρεμπλίνκα. Ιστορία των Εβραίων της Κομοτηνής»
http://www.paratirit[...]
Παρατηρητής της Θράκης
2010-03-15
[11]
뉴스
Οι Εβραίοι της Κομοτηνής: Σημειώματα Θρασύβουλου Ορ. Παπαστρατή
http://www.xronos.gr[...]
ο Χρόνος
2002-04-03
[12]
뉴스
Η ιστορία του Σαμπετάι και της Νταίζη από την Κομοτηνή" του Βασίλη Ριτζαλέου
http://www.paratirit[...]
Παρατηρητής της Θράκης
2010-04-09
[13]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Greece)
[14]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5]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16]
웹사이트
Komotini Online : Ειδήσεις και Νέα από τη Ροδόπη
http://www.kom.gr/ne[...]
[17]
웹사이트
"Ας μιλήσουμε ρεαλιστικά για το ΚΙΕΦ"
https://www.paratiri[...]
2021-03-22
[18]
웹사이트
Πέμπτος στον κόσμο ο Κώστας Μπανιώτ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19]
웹사이트
Δεύτερος στην Ευρώπη ο Κώστας Μπανιώτ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20]
웹사이트
Επίτιμος δημότης Ορεστιάδας θα ανακυρηχθεί ο Φράγκος Φραγκούλης
https://www.paratiri[...]
2021-03-23
[21]
웹사이트
Akis Dagazian appointed Honorary Consul of the Republic of Armenia to Thessaloniki
https://en.armradio.[...]
[22]
웹사이트
Κεφάλαιο για τη Θράκη και την Ελλάδα ο Στίλπων Κυριακίδ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23]
웹사이트
Αντιπελάργηση Στίλπων Κυριακίδης (1887-1964) - Ο ακάματος "διάκονος" στον "αμπελώνα" της επιστήμ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24]
웹사이트
Η παρακαταθήκη του σοφού Κομοτηναίου
https://www.paratiri[...]
2021-03-24
[25]
웹사이트
Ένα πρωτοποριακό βιβλίο για τον Καραγκιόζη πριν 100 χρόνια: Louis Roussel και Στίλπων Κυριακίδ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26]
웹사이트
Γιώργος Πεταλωτής, πρ. υφ. Δικαιοσύνης, Διαφάνειας και Ανθρωπίνων Δικαιωμάτων Όλες οι πολιτικές δυνάμεις θα έπρεπε να συζητούν την πρόταση για την επόμενη μέρα της κρίσης
https://www.paratiri[...]
2021-03-23
[27]
웹사이트
Ο Ευριπίδης Στυλιανίδης μιλά για το 12%, τις προτάσεις στη Διακομματική, τις τουρκικές προκλήσεις, τη δίκη της ΧΑ
https://www.paratiri[...]
2021-03-24
[28]
웹사이트
"Είναι σημαντικό πρώτα να ξέρουμε εμείς την ιστορία μας, και σε δεύτερο χρόνο να ζητήσουμε αυτή η ιστορία να αρχίσει να αναδεικνύεται"
https://www.paratiri[...]
2021-03-24
[29]
웹사이트
Τη δέσμευση του Χ.Θεοχάρη για το "άνοιγμα" της Νυμφαίας εξασφάλισε ο Ευριπίδης Στυλιανίδ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30]
웹사이트
Λιμενικούς Σταθμούς σε Φανάρι και Μαρώνεια διεκδίκησε ο Ευριπίδης Στυλιανίδης
https://www.paratiri[...]
2021-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