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코어는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주와 풀리아주에서 사용되는 그리스어 방언이다.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에 남부 이탈리아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의 언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비잔틴 제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사용한 중세 그리스어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다. 현재는 이탈리아 의회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 그리코어는 풍부한 구전 전통과 음악, 시를 포함한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현대 그리스어와 유사한 문법 체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이탈리아 관계 - 그리스-이탈리아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 왕국이 그리스를 침공하여 시작된 그리스-이탈리아 전쟁은 이탈리아군의 준비 부족과 그리스군의 저항 등으로 이탈리아군의 공세가 좌절되었으나, 독일군의 개입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그리스가 항복하게 되었다. - 그리스-이탈리아 관계 - 코르푸섬 사건
1923년 이탈리아 왕국은 이탈리아 장군 암살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물어 그리스에 배상을 요구했으나 거부당하자 그리스령 코르푸섬을 폭격, 점령하였으며 국제연맹의 중재로 해결된 이 사건은 무솔리니의 강경 외교와 국제연맹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마그나그라이키아 - 마그나 그라이키아
마그나 그라이키아는 기원전 8세기부터 고대 그리스인들이 이탈리아 남부와 시칠리아에 건설한 식민 도시들을 일컫는 명칭으로, 인구 증가, 경제적 필요, 정치적 불안 등의 요인으로 건설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를 꽃피웠으나 로마의 팽창으로 로마 문화와 융합되었고, 현재는 칼라브리아와 풀리아 지역에 그리코어를 사용하는 소수 민족 공동체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적 지역이다. - 마그나그라이키아 - 리아체 청동상
리아체 청동상은 1972년 이탈리아 리아체 해안에서 발견된 기원전 5세기경의 고대 그리스 조각 두 구로, 초기 양식에서 초기 고전 양식으로의 과도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발견 경위와 제작 시기 등에 대한 논쟁이 있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복원되었다. - 그리스어 - 에토스
에토스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개인, 집단 등의 고유한 성향이나 가치를 의미하며, 수사학에서는 화자의 신뢰성을, 사회학에서는 사회 인식의 기준을, 예술에서는 등장인물의 성격과 도덕적 선택을 나타내는 요소로 사용된다. - 그리스어 - 중세 그리스어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에서 사용된 그리스어로, 고전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 사이의 과도기적 단계이며, 문어와 구어 간의 이중 언어 사용이 특징적이고, 주변 언어 및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그리코어 | |
---|---|
개요 | |
이름 | 그리코어 |
다른 이름 | (이탈리아어) (카토이탈리오티카, 남부 이탈리아어) (그레카니카) |
언어 분류 | 인도유럽어족 그리스어파 그리스어 아티카 그리스어- 이오니아 그리스어 (논쟁 중) 도리스 그리스어 (논쟁 중) 이탈리아-그리스어 |
사용 지역 | 이탈리아 살렌토 |
사용자 | 약 20,000명 (1981년) |
제2언어 화자 | 40,000 ~ 50,000명 |
문자 | 그리스 문자, 라틴 문자 |
소수 언어 인정 국가 | 이탈리아 풀리아주 |
Linguist 목록 | sale1242 |
Glottolog | apul1237 |
Glottolog 이름 | Apulian Greek (아풀리아 그리스어) |
![]() | |
IETF 언어 태그 | el-u-sd-it75 |
2. 분류
그리코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가설이 있다. 게르하르트 롤프스와 게오르기오스 하치다키스는 그리코어가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의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그리코어가 한때 마그나 그라에키아를 형성했던 그리스어의 마지막 흔적이라고 보았다.[8]
주세페 모로시는 그리코어가 비잔틴 제국에서 오스만 제국의 튀르크인을 피해 이탈리아로 이주한 사람들이 사용한 중세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했다.[10] 이 가설에 따르면 그리코어는 코이네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도리아 방언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9]
2. 1. 고대 그리스 식민지 기원설
게르하르트 롤프스와 게오르기오스 하치다키스는 그리코어가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에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정착한 그리스인들의 언어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8] 이 가설에 따르면 그리코어는 한때 마그나 그라에키아를 형성했던 그리스어의 마지막 흔적이다.2. 2. 중세 그리스어 기원설
게르하르트 롤프스와 게오르기오스 하치다키스가 제시한, 그리코어가 기원전 8세기 고대 그리스 식민지 시대의 남부 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8] 그러나 그리코어가 일부 도리아 방언 요소를 보존했을 수 있지만, 그 구조는 대부분 코이네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한다는 반론도 있다.[9] 주세페 모로시는 19세기에 그리코어가 비잔틴 제국에서 오스만 제국의 튀르크인을 피해 이탈리아로 이주한 사람들이 사용한 중세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다고 처음 제안했다.[10] 이 가설에 따르면 그리코어는 코이네 그리스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일부 도리스 방언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3. 지리적 분포
오늘날 그리코어는 이탈리아 남부 칼라브리아주(레조칼라브리아 광역시)와 풀리아주(레체현) 두 지역에 남아있다. 이탈리아 그리스어 사용 공동체는 그레치아 살렌티나와 보베시아에 있다.
3. 1. 그레치아 살렌티나 (풀리아주)
이탈리아 풀리아주 레체현에 위치한 그레치아 살렌티나 지역은 칼리메라, 마르타노, 카스트리냐노 데이 그레치, 코리리아노 도트란토, 멜피냐노, 솔레토, 스테르나티아, 촐리노, 마르티냐노의 9개 소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3. 2. 보베시아 (칼라브리아주)
칼라브리아주 레조칼라브리아 광역시에 있는 보베시아는 9개 마을(보바 수페리오레, 로구디, 갈리치아노, 코리오 디 로구디, 보바 마리나 포함)과 레조칼라브리아 시의 4개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 칼라브리아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2,000명으로 적다.4. 공식 지위
1999년 법률 482호에 따라, 이탈리아 의회는 레지오 칼라브리아와 살렌토의 그리코 공동체를 그리스 민족 집단이자 언어 소수 언어로 인정했다. 이 법은 공화국이 알바니아, 카탈루냐, 게르만, 그리스, 슬로베니아 및 크로아티아 인구와 프랑스어, 프랑코-프로방스어, 프리울리어, 라딘어, 오크어 및 사르데냐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언어와 문화를 보호한다고 명시하고 있다.[11] 유네스코의 2011년 자료에 따르면, 그리코어의 두 방언은 심각한 멸종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12]
5. 문화
그리코어는 풍부한 구전 전통과 민속을 가지고 있다. 그리코 노래, 음악, 시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서 특히 인기가 있다.[13][14]
5. 1. 음악
그리코어는 풍부한 구전 전통과 민속을 가지고 있다. 그리코어 노래, 음악, 시는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살렌토 출신의 유명한 음악 그룹으로는 게토니아, 아라미레, 칸초니에레 그레카니코 살렌티노 등이 있다. 또한 디오니시스 사보풀로스와 마리아 파란투리와 같은 영향력 있는 그리스 예술가들도 그리코어로 공연을 했다. 그리스 음악 앙상블 엔카르디아는 그리코어 노래와 더불어 남부 이탈리아의 광범위한 음악 전통에 집중한다.[13][14]6. 음운론
그리코어의 음운 체계는 현대 그리스어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그리코어의 자음과 모음은 아래와 같다.
6. 1. 자음
- 비음+파열음 클러스터 [ᵐb, ⁿd, ᵑɡ]는 무성 대응 [ᵐp, ⁿt, ᵑk]와 함께 들린다.
- 설단음 /ɖ/는 파찰음 [ɖːʐ]로 실현될 수도 있으며, 화자들 사이에서는 자음 시퀀스 /tr/ 및 /tːr/이 [ʈʂ] 및 [ʈːʂ]로 발음될 수 있다.
- [z]는 유성 자음 앞에서 /s/의 실현으로 들린다.
- 몇몇 경우에 경구개 측면음 [ʎ]가 들릴 수 있는데, 이는 표준 이탈리아어의 영향으로 보인다.
6. 2. 모음
7. 문법
많은 면에서 그리코어의 문법은 현대 그리스어와 유사하다. 이 언어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가지고 있으며, 명사와 형용사는 수와 격에 따라 활용된다. 현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주격, 소유격, 대격, 호격의 네 가지 격이 있다.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 상에 따라 활용된다.[1]
7. 1. 명사
현대 그리스어와 유사하게 그리코어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gender)을 가지고 있다. 모든 명사와 형용사는 수와 격에 따라 활용된다. 현대 그리스어와 마찬가지로 주격, 소유격, 대격, 호격의 네 가지 격이 있다.[1]그리코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인칭 대명사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evò | emì | esù | esì | (e)cino, (e)cini, (e)cino | (e)cini, (e)cine, (e)cina |
소유격 | mu | ma, mas | su | esà(s), sa | (e)cinù, (e)cinì, (e)cinù | (e)cinò |
대격 | me, emena | ma, mas | esea, sea | esà(s), sa | (e)cino, (e)cini, (e)cino | (e)cinu, (e)cine, (e)cina |
7. 2. 동사
그리코어의 동사는 인칭, 수, 시제, 법, 상에 따라 활용된다.[1]7. 3. 대명사
현대 그리스어와 유사하게 그리코어의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rowspan="2" |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evò | emì | esù | esì | (e)cino, (e)cini, (e)cino | (e)cini, (e)cine, (e)cina |
소유격 | mu | ma, mas | su | esà(s), sa | (e)cinù, (e)cinì, (e)cinù | (e)cinò |
대격 | me, emena | ma, mas | esea, sea | esà(s), sa | (e)cino, (e)cini, (e)cino | (e)cinu, (e)cine, (e)cina |
8. 예시
γιατί σένα φσυχή μου 'γαπώ,
τσαι που πάω, που σύρνω, που στέω
στην καρδία,[15] μου πάντα σένα βαστῶ.}}
γιατί εσένα ψυχή μου αγαπώ,
και όπου πάω, όπου σέρνομαι, όπου στέκομαι,[16]
στην καρδιά μου πάντα εσένα βαστώ.el
왜냐하면 나는 당신을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나의 영혼.
그리고 내가 어디를 가든, 어디로든 끌려가든, 어디에 서든,
내 마음속에서 나는 항상 당신을 간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