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리울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울리어는 프리울라노 또는 풀란이라고도 불리며, 이탈리아 북동부의 프리울리 지역에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이다. 라틴어에서 기원했으며, 레티어, 베네토어, 켈트어, 롬바르드어, 독일어, 슬로베니아어의 영향을 받았다. 프리울리어는 다양한 방언으로 나뉘며, 중앙 프리울리어를 기반으로 하는 표준어가 존재한다. 이탈리아 법률에 의해 언어 소수자로 인정받아 학교 교육 및 공공 사용이 지원되고 있다. 프리울리어 문학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에르메스 디 콜로레, 피에트로 조루티,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등이 주요 작가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망스어군 - 라딘어
    라딘어는 이탈리아 북부 라디니아 지역에서 쓰이는 레토로망스어군 언어로, 라틴어에서 유래하여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일부 지역에서는 공식 언어로 인정받지만, 소수 언어로서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 로망스어군 - 모사라베어
    모사라베어는 8세기 이베리아 반도에서 아랍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14세기경 사멸한 로망스어 변종이며, 스페인어와 안달루시아 방언에 어휘적 영향을 미쳤다.
  • 이탈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이탈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프리울리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프리울리어
다른 이름

사용 국가이탈리아
사용 지역프리울리
사용자프리울리인
정규 사용자420,000명 (2014년)
총 사용자600,000명 (2014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이탈리아어파
로망스어군
레토로망스어
갈로로망스어
베네치아어
프리울리어
북부 이탈리아어 또는 베네토어
방언포르네스 방언
문자로마자 (프리울리어 알파벳)
언어 기관http://www.arlef.it/
ISO 639-2fur
ISO 639-3fur
글롯로그friu1240
링구아스피어51-AAA-m
음성 정보
언어 활력도
언어 활력도위기
로마자 표기법

2. 언어 명칭

프리울리어는 프리울라노(furlan) 또는 풀란(furlan)으로도 불린다. 프리울리안(furlan)이라고도 한다.

3. 역사

프리울리와 프리울리인의 역사적 깃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질문 중 하나는 아퀼레이아와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된 라틴어의 영향이다. 일부는 나중에 프리울리어로 넘어간 특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그 시대의 비문과 명문은 표준 라틴어와 비교했을 때 일부 변형을 보여주지만, 대부분은 로마 제국의 다른 지역에도 공통적인 것이다. 흔히, 서기 342년에서 357년경 아퀼레이아의 주교였던 포르투나티아누스가 ''sermo rusticus''(일반적인/ 언어)로 복음서에 대한 주석을 썼다는 점이 언급된다. 따라서 이는 행정의 표준 라틴어와 상당히 달랐을 것이다.[2] 텍스트 자체는 전해지지 않아 언어를 검토할 수 없지만, 그 존재가 증명된 사실은 언어 변화를 증명한다. 예를 들어, 북부 이탈리아의 다른 중요한 공동체는 여전히 라틴어를 사용하고 있었던 반면에 말이다. 기원전 181년 로마인이 도착하기 전에 사용되었던 언어는 레티어어, 베네토어 그리고 켈트어였다.[3][4][5][6] 주민들은 아마도 인도유럽어 이전 언어를 사용했던 레티인, 이탈리아어파인 베네티, 그리고 켈트족인 카르니에 속했다.[7][8] 현대 프리울리어에서 레티어어, 베네토어 또는 켈트어 기원의 단어는 산, 숲, 식물 또는 동물을 가리키는 용어뿐만 아니라 지역 지명과 인명학(예: 접미사 ''-acco'', ''-icco''가 붙은 마을 이름)을 포함한다.[5][9][10] 롬바르드어의 영향도 있는데, 프리울리는 롬바르드 왕국의 거점 중 하나였다. 마찬가지로, 근처의 현대 롬바르드어와 독특한 연관성이 있다.

프리울리어에는 독일어, 슬로베니아어 그리고 베네토어 기원의 많은 단어가 있다. 이러한 증거를 바탕으로 오늘날 학자들은 새로운 프리울리어의 형성이 다른 라틴어에서 파생된 방언과 마찬가지로 서기 500년경에 시작되었다고 동의한다(볼가어 참조). 새로운 프리울리어의 최초 기록은 13세기 행정 문서에서 발견되었지만, 문학 작품이 등장한 다음 세기부터 문서가 더 자주 나타났다(예: ''Frammenti letterari''). 그 당시 주요 중심지는 치비달레였다. 프리울리어는 공식 언어의 지위를 얻은 적이 없다. 법규는 처음에는 라틴어로, 그다음 베네토어로, 마지막으로 이탈리아어로 작성되었다.

3. 1. 라딘 문제

역사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이사이아 아스콜리(Graziadio Isaia Ascoli)는 라딘어, 로만슈어, 프리울리어가 같은 어족에 속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라딘어, 로만슈어, 프리울리어의 통합성에 대한 개념은 고리치아 출신의 이탈리아 역사언어학자 그라치아디오 이사이아 아스콜리(Graziadio Isaia Ascoli)에서 비롯된다. 그는 1871년에 이 세 언어가 과거 스위스에서 무지아(Muggia) 그리고 아마 이스트리아까지 뻗어 있던 하나의 어족에 속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이 세 언어는 이 어족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언어들이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했다. 프리울리어는 독일어의 영향을 훨씬 덜 받았다. 학자 프란체스카토(Francescato)는 그 이후로 14세기까지 베네토어가 프리울리어와 라딘어와 많은 음운적 특징을 공유했기 때문에 프리울리어가 훨씬 더 보존적인 언어라고 주장했다. 아스콜리가 레토로만스어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생각했던 많은 특징들은 사실 이탈리아 북부의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4. 사용 지역

4. 1. 이탈리아

현재 프리울어는 우디네현, 카르니아 알프스 지역을 포함하여 포르데노네현 전역, 고리치아현의 절반, 그리고 베네치아현의 동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과거에는 트리에스테와 무지아에서도 프리울어의 지역 방언이 사용되었기에, 언어 사용 범위가 더 넓었다. 트리에스테 방언, 즉 테르게스티노(tergestino)에 관한 주요 자료는 G. Mainati가 1828년에 출판한 "Dialoghi piacevoli in dialetto vernacolo triestino"이다.

4. 2. 세계

프리울리는 1960년대까지 극심한 빈곤 지역이었기 때문에 많은 프리울리어 사용자가 이주하였다. 대부분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또는 유럽 밖인 캐나다,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브라질, 베네수엘라, 미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주하였다. 이들 국가에는 프리울리 이민자 협회(Fogolâr furlan이라고 함)가 있으며, 이들은 전통과 언어를 보호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5. 음운

프리울리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강음mnɲŋ
파열음안울림소리ptck
울림소리bdɟɡ
파찰음안울림소리ts
울림소리dz
마찰음안울림소리fsʃ
울림소리vzʒ
전동음r
접근음wlj



중앙 프리울어의 자음 음소[11]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연구개음연구개음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ck
유성음bdɟɡ
마찰음무성음ts
유성음dz
마찰음무성음fsʃ
유성음vzʒ
떨림음r
유사음wlj



/m, p, b/는 순순음이고, /f, v/는 순치음이며, /w/는 순후설음이다.[11] 표준어에서는 진짜 경구개 파열음 [c ɟ]와 연구개 치경 마찰음 [tʃ dʒ] 사이에 음소적 차이가 있다.[11] 전자(cj gj로 표기)는 라틴어 c g에서 a 앞에 있는 것에서 유래하며, 후자(c/ç z로 표기, 여기서 c는 e와 i 앞에, ç는 다른 곳에 나타남)는 주로 라틴어 c g에서 e와 i 앞에 있는 것에서 유래한다.[11] a 앞의 라틴어 c와 g의 연구개화는 레토로만스어의 특징이며, 프랑스어와 일부 오크어 방언에서도 발견된다.[11] 일부 프리울어 방언(예: 서부 방언)에서는 중앙 [c ɟ tʃ dʒ]에 해당하는 [tʃ dʒ s z]가 발견된다.[11] 또한 다양한 음운 변화로 인해 이러한 소리들은 모두 음소가 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11]

프리울리어 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

|

|

|-align=center

! 중고모음

|

|

|

|-align=center

! 중저모음

|

|

|

|-align=center

! 저모음

|

|

|

|}

프리울리어 모음 도표
[12]

모음 음소[14]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

|

|-align=center

! 고중모음

|

|

|

|-align=center

! 저중모음

|

|

|

|-align=center

! 저모음

|

|

|

|}

장모음은 프리울리어의 특징이며, 이탈리아어의 프리울리어식 발음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프릴리아어는 단모음과 장모음을 구분한다. 다음은 장모음(공식 표기법에서 곡선 악센트로 표시)을 구별하는 최소 대립쌍의 예시이다.

  • ''lat'' (우유)
  • ''lât'' (떠난)
  • ''fis'' (고정된, 밀집된)
  • ''fîs'' (아들들)
  • ''lus'' (사치)
  • ''lûs'' (빛)


프릴리아어 방언들은 장모음 처리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정 방언에서는 일부 장모음이 실제로 이중모음으로 나타난다. 다음 표는 여섯 단어(''sêt'' 갈증, ''pît'' 발, ''fîl'' 철사, ''pôc'' 약간, ''fûc'' 불, ''mûr'' 벽)가 네 개의 방언에서 어떻게 발음되는지 보여준다.

}

|

|

|

|

|-

| ''pît'' "발"

||

|

|

|

|

|-

| ''fîl'' "철사"

||

|

|

|

|

|-

| ''pôc'' "약간"

||

|

|

|

|

|-

|''fûc'' "불"

||

|

|

|

|

|-

|''mûr'' "벽"

||

|

|

|

|

|-

|}

표준어(중부 방언 기반)의 모음 ''î''와 ''û''는 서부 방언(코드로이포 포함)에서 두 가지 다른 소리에 해당하는데, 이는 무작위로 분포되지 않고 다른 어원을 가진다. 열린 음절의 라틴어 단모음 는 서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지만 중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는 반면, 라틴어 장모음 는 두 방언 모두에서 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열린 음절의 라틴어 단모음 는 서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지만 중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는 반면, 라틴어 장모음 는 두 방언 모두에서 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mûr''이라는 단어는 "벽"(라틴어 )과 "(그/그녀/그것이) 죽다"(라틴어 에서 유래한 저속 라틴어 *)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중부 방언에서는 두 단어 모두 로 발음되지만 서부 방언에서는 각각 와 로 발음된다.

프릴리아어 장모음은 주로 다음 모음이 사라졌을 때 강세를 받는 열린 음절에서 모음의 장화로 인해 발생한다.[14] 프릴리아어 모음의 길이는 고전 라틴어의 모음 길이와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라틴어 은 장모음이 있는 ''vâl''("가치가 있다")을 생성하지만, 라틴어 은 단모음이 있는 ''val''("계곡")을 생성한다. 다음 모음이 보존될 때는 장모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

  • 라틴어 에서 유래한 최종 -e 앞, 짧은 ''gnove'' "새로운 (여성 단수)" < 라틴어 대 장모음 ''gnûf'' "새로운 (남성 단수)" < 라틴어 ;
  • 최종이 아닌 보존된 모음 앞, ''tivit'' "미지근한" < 라틴어 , ''zinar'' "사위" < 라틴어 , ''ridi'' "웃다" < 저속 라틴어 (고전 ).


모든 강세를 받는 열린 음절에서 원래 모음의 장화가 발생했고, 나중에 최종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 사라졌을 가능성이 크다.[15]

모음 길이의 추가적인 원인은 특정 상황에서 소실된 자음 앞의 보상적 장화이다. 예: ''pâri'' "아버지" < 라틴어 , ''vôli'' "눈" < 라틴어 , ''lîre'' "파운드" < 라틴어 . 이것은 최종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 장모음을 생성하며, 열린 음절에서의 주요 장화보다 나중에 별도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복잡성:

  • 중부 프릴리아어는 원래 폐쇄 음절에서도 앞에서 장화가 발생한다. 예: ''cjâr'' "수레" < 라틴어 (''cjâr'' "친애하는 [남성 단수]" < 라틴어 와 동음이의어).
  • 원래 열린 음절에서도 비음 자음 앞에서는 장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 ''pan'' "빵" < 라틴어 , ''prin'' "첫째" < 라틴어 .
  • 특별한 발달로 절대적인 단어 끝 장모음과 길이 구분이 생성되었다. 예: ''fi'' "무화과" < 라틴어 대 ''fî'' "아들" < 라틴어 , ''no'' "아니오" < 라틴어 대 ''nô'' "우리" < 라틴어 .


프릴리아어 모음 길이의 동시적 분석에서는 종종 기저 유성 파열음 앞의 최종 음절에서 예측 가능하게 발생하며, 그 후 무성화된다고 주장한다.[16]

5. 1. 자음

라틴어 어원서부 방언코드로이포 방언카르니아 방언중부 방언
sêt "갈증"{{llang|la|sitim|}
프리울리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강음mnɲŋ
파열음안울림소리ptck
울림소리bdɟɡ
파찰음안울림소리ts
울림소리dz
마찰음안울림소리fsʃ
울림소리vzʒ
전동음r
접근음wlj



중앙 프리울어의 자음 음소[11]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연구개음연구개음
비음mnɲŋ
파열음무성음ptck
유성음bdɟɡ
마찰음무성음ts
유성음dz
마찰음무성음fsʃ
유성음vzʒ
떨림음r
유사음wlj



/m, p, b/는 순순음이고, /f, v/는 순치음이며, /w/는 순후설음이다.[11] 표준어에서는 진짜 경구개 파열음 [c ɟ]와 연구개 치경 마찰음 [tʃ dʒ] 사이에 음소적 차이가 있다.[11] 전자(cj gj로 표기)는 라틴어 c g에서 a 앞에 있는 것에서 유래하며, 후자(c/ç z로 표기, 여기서 c는 e와 i 앞에, ç는 다른 곳에 나타남)는 주로 라틴어 c g에서 e와 i 앞에 있는 것에서 유래한다.[11] a 앞의 라틴어 c와 g의 연구개화는 레토로만스어의 특징이며, 프랑스어와 일부 오크어 방언에서도 발견된다.[11] 일부 프리울어 방언(예: 서부 방언)에서는 중앙 [c ɟ tʃ dʒ]에 해당하는 [tʃ dʒ s z]가 발견된다.[11] 또한 다양한 음운 변화로 인해 이러한 소리들은 모두 음소가 되었음을 유의해야 한다.[11]

5. 2. 모음

프리울리어 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

|

|

|-align=center

! 중고모음

|

|

|

|-align=center

! 중저모음

|

|

|

|-align=center

! 저모음

|

|

|

|}[12]

모음 음소[14]
전설중설후설
고모음

|

|

|-align=center

! 고중모음

|

|

|

|-align=center

! 저중모음

|

|

|

|-align=center

! 저모음

|

|

|

|}

5. 2. 1. 장모음의 기원

장모음은 프리울리어의 특징이며, 이탈리아어의 프리울리어식 발음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프릴리아어는 단모음과 장모음을 구분한다. 다음은 장모음(공식 표기법에서 곡선 악센트로 표시)을 구별하는 최소 대립쌍의 예시이다.

  • ''lat'' (우유)
  • ''lât'' (떠난)
  • ''fis'' (고정된, 밀집된)
  • ''fîs'' (아들들)
  • ''lus'' (사치)
  • ''lûs'' (빛)


프릴리아어 방언들은 장모음 처리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정 방언에서는 일부 장모음이 실제로 이중모음으로 나타난다. 다음 표는 여섯 단어(''sêt'' 갈증, ''pît'' 발, ''fîl'' 철사, ''pôc'' 약간, ''fûc'' 불, ''mûr'' 벽)가 네 개의 방언에서 어떻게 발음되는지 보여준다.

}

|

|

|

|

|-

| ''pît'' "발"

||

|

|

|

|

|-

| ''fîl'' "철사"

||

|

|

|

|

|-

| ''pôc'' "약간"

||

|

|

|

|

|-

|''fûc'' "불"

||

|

|

|

|

|-

|''mûr'' "벽"

||

|

|

|

|

|-

|}

표준어(중부 방언 기반)의 모음 ''î''와 ''û''는 서부 방언(코드로이포 포함)에서 두 가지 다른 소리에 해당하는데, 이는 무작위로 분포되지 않고 다른 어원을 가진다. 열린 음절의 라틴어 단모음 는 서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지만 중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는 반면, 라틴어 장모음 는 두 방언 모두에서 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열린 음절의 라틴어 단모음 는 서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지만 중부 방언에서는 를 생성하는 반면, 라틴어 장모음 는 두 방언 모두에서 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mûr''이라는 단어는 "벽"(라틴어 )과 "(그/그녀/그것이) 죽다"(라틴어 에서 유래한 저속 라틴어 *)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중부 방언에서는 두 단어 모두 로 발음되지만 서부 방언에서는 각각 와 로 발음된다.

프릴리아어 장모음은 주로 다음 모음이 사라졌을 때 강세를 받는 열린 음절에서 모음의 장화로 인해 발생한다.[14] 프릴리아어 모음의 길이는 고전 라틴어의 모음 길이와 관련이 없다. 예를 들어, 라틴어 은 장모음이 있는 ''vâl''("가치가 있다")을 생성하지만, 라틴어 은 단모음이 있는 ''val''("계곡")을 생성한다. 다음 모음이 보존될 때는 장모음이 나타나지 않는다. 예:

  • 라틴어 에서 유래한 최종 -e 앞, 짧은 ''gnove'' "새로운 (여성 단수)" < 라틴어 대 장모음 ''gnûf'' "새로운 (남성 단수)" < 라틴어 ;
  • 최종이 아닌 보존된 모음 앞, ''tivit'' "미지근한" < 라틴어 , ''zinar'' "사위" < 라틴어 , ''ridi'' "웃다" < 저속 라틴어 (고전 ).


모든 강세를 받는 열린 음절에서 원래 모음의 장화가 발생했고, 나중에 최종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 사라졌을 가능성이 크다.[15]

모음 길이의 추가적인 원인은 특정 상황에서 소실된 자음 앞의 보상적 장화이다. 예: ''pâri'' "아버지" < 라틴어 , ''vôli'' "눈" < 라틴어 , ''lîre'' "파운드" < 라틴어 . 이것은 최종 음절이 아닌 음절에서 장모음을 생성하며, 열린 음절에서의 주요 장화보다 나중에 별도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추가적인 복잡성:

  • 중부 프릴리아어는 원래 폐쇄 음절에서도 앞에서 장화가 발생한다. 예: ''cjâr'' "수레" < 라틴어 (''cjâr'' "친애하는 [남성 단수]" < 라틴어 와 동음이의어).
  • 원래 열린 음절에서도 비음 자음 앞에서는 장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예: ''pan'' "빵" < 라틴어 , ''prin'' "첫째" < 라틴어 .
  • 특별한 발달로 절대적인 단어 끝 장모음과 길이 구분이 생성되었다. 예: ''fi'' "무화과" < 라틴어 대 ''fî'' "아들" < 라틴어 , ''no'' "아니오" < 라틴어 대 ''nô'' "우리" < 라틴어 .


프릴리아어 모음 길이의 동시적 분석에서는 종종 기저 유성 파열음 앞의 최종 음절에서 예측 가능하게 발생하며, 그 후 무성화된다고 주장한다.[16]

6. 문자

표준 방언(중앙 방언)의 철자법은 다음과 같다.[13]


  • 장모음은 억양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한다: â ê î ô û.
  • e는 /ɛ/(강세 받는 음절에서만 나타남)와 /e/ 모두에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o는 /ɔ/와 /o/ 모두에 사용된다.
  • /j/는 단어 앞에서는 j로, 다른 위치에서는 i로 표기된다.
  • /w/는 주로 이중모음에서 나타나며 u로 표기된다.
  • /s/는 일반적으로 s로 표기되지만, 모음 사이에서는 ss로 표기된다(이러한 맥락에서 단일 s는 /z/로 발음됨).
  • /ɲ/는 gn으로 표기되며, 단어 끝에 올 수도 있다.
  • [ŋ]는 단어 끝, 단어 끝 '-s' 앞, 그리고 종종 접두사 'in-'에서 발견되는 /n/의 동위음이다. 두 소리 모두 n으로 표기된다.
  • /k/는 일반적으로 c로 표기되지만, 이탈리아어와 같이 e와 i 앞에서는 ch로 표기된다.
  • /ɡ/는 일반적으로 g로 표기되지만, 이탈리아어와 같이 e와 i 앞에서는 gh로 표기된다.
  • 구개음 경음 /c ɟ/는 cj gj로 표기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러한 소리가 [tʃ dʒ]로 발음된다.
  • /tʃ/는 e와 i 앞에서는 c로, 다른 위치에서는 ç로 표기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s]로 발음된다.
  • /dʒ/는 z로 표기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이 소리가 [z]로 발음된다.
  • z는 특정 단어(예: ''nazion'' "nation", ''lezion'' "lesson")에서 /ts/ 또는 /dz/를 나타낼 수도 있다.
  • h는 무음이다.
  • q는 특정 고유 명사의 전통적인 철자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e와 i 앞의 g도 마찬가지이다.


우디네에 있는 프리울리 대학교(Universitât dâl Friûl) 표지판


2017년 폐지된 우디네 현(Province of Udine)이 승인하고 공식 문서에 사용하는 공식 문자 체계에서 프리울어는 C 세디유(ç)를 사용하는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Q는 고유 명사와 역사적 지명에만 사용되며, 그 외에는 C로 대체된다. 그 외에 k, x, w, y는 외래어에만 나타나므로 알파벳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는다.

:Aa Bb Cc Çç Dd Ee Ff Gg Hh Ii Jj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Zz

또한, 모음 위에 붙는 그래브 악센트(à, è, ì, ò, ù)와 서컴플렉스 악센트(â, ê, î, ô, û)가 있으며, 이는 동음이의어를 구분하거나(전자) 또는 장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후자).

7. 문법

프리울리어는 형태론적으로 이탈리아어와 상당히 다르며, 여러 면에서 프랑스어에 더 가깝다.

==== 명사 ====

프리울리어는 다른 로망스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명사가 문법적 성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il mûr''"("벽", 남성), "''la cjadree''"("의자", 여성)와 같이 구분된다.

대부분의 여성 명사는 '-e'로 끝난다.


  • ''cjase'' = 집 (카사/casa, -aela 오두막에서 유래)
  • ''lune'' = 달 (루나/luna, -aela에서 유래)
  • ''scuele'' = 학교 (스콜라/schola, -aela에서 유래)


하지만, '-zion'으로 끝나는 명사를 포함하여 일부 여성 명사는 자음으로 끝난다.

  • ''man'' = 손 (마누스/manŭs, -ūsla f에서 유래)
  • ''lezion'' = 수업 (렉티오/lectio, -nisla f에서 유래)


일부 프리울리 방언에서는 여성 명사 어미 '-e'가 '-a' 또는 '-o'로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남성 명사는 자음이나 '-i'로 끝난다.

  • ''cjan'' = 개
  • ''gjat'' = 고양이
  • ''fradi'' = 형제
  • ''libri'' = 책


''sisteme''(시스템)과 ''probleme''(문제)와 같이 '-e'로 끝나는 남성 명사도 있으며, 이 단어들은 대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sistem''과 ''problem'' 형태도 자주 사용된다.

이탈리아어에서 차용된 ''treno''(기차)와 같은 일부 남성 명사는 '-o'로 끝난다.

==== 관사 ====

프리울어의 정관사(영어의 "the"에 해당)는 라틴어 ''ille''에서 유래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17]

라틴어 어원서부 방언코드로이포 방언카르니아 방언중부 방언
sêt "갈증"{{llang|la|sitim|}
정관사
남성여성
단수illa
복수ilis



모음 앞에서는 ''il''과 ''la'' 모두 표준 형태에서 l'로 축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l + arbul''(나무)은 ''l'arbul''이 된다. 그러나 ''la''에 관해서는, 현대 문법에서는 축약되지 않은 형태를 축약된 형태보다 선호하는 것을 권장한다: ''la acuile''(독수리) 그러나 구어에서는 두 개의 'a' 음이 하나로 발음된다. 구어에서는 다른 여러 관사들이 사용된다.[17]

프리울어의 부정관사(영어의 ''a''와 ''an''에 해당)는 라틴어 ''unus''에서 유래하며 성에 따라 다르다.[17]

부정관사
남성un
여성une



또한 부분 관사도 존재한다: 여성은 '''des''', 남성은 '''dai''': des vacjis/des vacjisfur – ''몇몇 소들'' 과 ''dai libris'' - ''몇몇 책들''[17]

==== 형용사 ====

프리울리어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해야 한다. 대부분의 형용사는 단수(남성, 여성)와 복수(남성, 여성)에 대해 네 가지 형태를 갖는다.

어미 변화
남성여성
단수brutbrute
복수brutsbrutis



명사와 마찬가지로, a/o로 끝나는 방언의 경우 복수는 단순히 's'를 추가하여 얻는다. 예를 들어 'brute'는 'bruta/bruto'에 해당하며, 그 복수형 'brutis'는 'brutas/brutos'이다.

여성형은 남성형으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 대부분의 경우, -e를 추가하기만 하면 된다 (짧은: ''curt'', ''curte'').
  • 마지막 글자가 -c인 경우, 여성형은 -cje, -gje, -che, -ghe로 끝날 수 있다 (작은: pôc, pôcje).
  • 마지막 글자가 -f인 경우, 여성형은 -ve로 끝날 수 있다 (새로운: ''gnûf, gnove'').
  • 마지막 글자가 -p인 경우, 여성형은 -be로 끝날 수 있다 (신: ''garp, garbe'').
  • 마지막 글자가 -t인 경우, 여성형은 -de로 끝날 수 있다 (녹색: ''vert, verde'').


==== 복수형 ====

프리울리어의 복수형은 명사의 성별과 어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e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의 복수형은 -e를 -is로 바꾼다. 예를 들어, ''taulefur''(테이블)의 복수형은 ''taulisfur''(테이블들)이고, ''cjasefur''(집)의 복수형은 ''cjasisfur''(집들)이다. a/o로 끝나는 방언에서는 단순히 s를 추가한다.


거의 모든 다른 명사의 복수형은 단순히 -s를 추가한다. 이 때 -s는 항상 무성음 [s]로 발음되며, 영어의 ''cats''와 같고, ''dogs''와 같은 유성음 [z]로는 발음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anfur''(손)의 복수형은 ''mansfur''(손들)이다.

일부 프리울리 방언에서는 -s가 추가될 때 마지막 자음이 묵음이 되는 단어가 많다. 예를 들어 ''gjatfur''(고양이)의 복수형은 ''gjatsfur''로 쓰여지지만, 프리울리 대부분 지역에서는 gjasfur처럼 발음된다.

  • l 또는 -li로 끝나는 남성 명사는 어미 -l 또는 -li를 구개음화하여 -i로 복수형을 만든다. 예를 들어, ''cjavalfur''(말)의 복수형은 ''cjavaifur''(말들)이다. 이러한 형태는 프랑스어 명사의 불규칙 복수형(-x)과 유사하다. 반면, -l로 끝나는 여성 명사는 규칙적인 복수형을 가진다.

  • st로 끝나는 남성 명사는 어미 -t를 구개음화하여 -cj로 복수형을 만든다. -t로 끝나는 일부 남성 명사도 같은 방식으로 복수형을 만든다.


''s''로 끝나는 명사는 복수형에서 철자가 바뀌지 않지만, 일부 화자는 단수 -s와 복수 -s의 발음을 다르게 할 수 있다.

''anfur''(년)의 복수형은 방언에 따라 ''ainfur'', ''ainsfur'', ''agnfur'', ''agnsfur'' 등 여러 형태가 있지만, 쓰는 형태는 ''agnsfur''이다. 형용사 ''bonfur''(좋은)의 복수형도 마찬가지로 ''bognsfur''이다.

==== 주어 대명사 ====

프리울리어의 특징 중 하나는 clitic 주어 대명사이다. 프리울리어에서는 ''pleonastics''로 알려져 있으며, 절대 강세를 받지 않는다. 이는 주어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서술문에서는 동사 앞에, 의문문이나 청유문에서는 바로 뒤에 위치한다.

약한 대명사
서술문의문문청유문
o-(i)o-(i)o
너(단수)tu-tu-tu
그(남성)al-(i)al-(i)al
그녀(여성)e-(i)e-(i)e
우리o-o-o
너희들(복수)o-o-o
그들-a-o-o



예를 들어, ''jo o lavori''는 "나는 일한다"를 의미하고, ''lavorio?''는 "나는 일하는가?"를 의미하며, ''lavorassio''는 "내가 일했으면 좋겠다"를 의미한다.

==== 동사 ====

프리울리어 동사의 원형은 -â, -ê, -i, -î 네 가지 어미 중 하나로 끝난다. 어미를 제거하면 어근이 되는데, 이 어근을 사용하여 다른 형태를 만든다(''fevelâ'', 말하다; 어근 ''fevel-''). 그러나 불규칙 동사의 경우 어근이 바뀐다. 흔히 사용되는 동사에는 (''jessi'', 있다; ''vê'', 가지다; ''podê'', 할 수 있다)가 있다. 동사는 의미를 제한하기 위해 부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사, 현재, 직설법 형태
인칭fevelâ (말하다) (가다)jessi (있다) (가지다)
나(남성) Jo ofevelivoisoiai
너(단수) Tu tufevelisvâssêsâs
그(남성) Lui alfevelevaèà
그녀(여성) Jê efevelevajeà
우리(남성) Nô ofevelìnlinsinvin
너희들(남성) Vô ofevelaislais, vaissêsvês
그들(남성) Lôr afevelinvansonàn



==== 부사 ====

프리울리어에서 형용사는 여성 단수형 어미에 '-mentri'를 붙여 부사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lente''는 ''lentementri''가 되어 '천천히'라는 뜻이 된다.[18] 어떤 경우에는 형용사의 '-e'를 생략하기도 하는데, ''facile''은 ''facilmentri''가 되어 '쉽게'라는 뜻이 된다.[18] 이는 문어체에서 더 흔하며, 구어체에서는 ''a planc''(천천히)처럼 다른 형태나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18]

7. 1. 명사

프리울리어는 다른 로망스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명사가 문법적 성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il mûr''"("벽", 남성), "''la cjadree''"("의자", 여성)와 같이 구분된다.

대부분의 여성 명사는 '-e'로 끝난다.

  • ''cjase'' = 집 (카사/casa, -aela 오두막에서 유래)
  • ''lune'' = 달 (루나/luna, -aela에서 유래)
  • ''scuele'' = 학교 (스콜라/schola, -aela에서 유래)


하지만, '-zion'으로 끝나는 명사를 포함하여 일부 여성 명사는 자음으로 끝난다.

  • ''man'' = 손 (마누스/manŭs, -ūsla f에서 유래)
  • ''lezion'' = 수업 (렉티오/lectio, -nisla f에서 유래)


일부 프리울리 방언에서는 여성 명사 어미 '-e'가 '-a' 또는 '-o'로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남성 명사는 자음이나 '-i'로 끝난다.

  • ''cjan'' = 개
  • ''gjat'' = 고양이
  • ''fradi'' = 형제
  • ''libri'' = 책


''sisteme''(시스템)과 ''probleme''(문제)와 같이 '-e'로 끝나는 남성 명사도 있으며, 이 단어들은 대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sistem''과 ''problem'' 형태도 자주 사용된다.

이탈리아어에서 차용된 ''treno''(기차)와 같은 일부 남성 명사는 '-o'로 끝난다.

7. 2. 관사

프리울어의 정관사(영어의 "the"에 해당)는 라틴어 ''ille''에서 유래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취한다.[17]

정관사
남성여성
단수illa
복수ilis



모음 앞에서는 ''il''과 ''la'' 모두 표준 형태에서 l'로 축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l + arbul''(나무)은 ''l'arbul''이 된다. 그러나 ''la''에 관해서는, 현대 문법에서는 축약되지 않은 형태를 축약된 형태보다 선호하는 것을 권장한다: ''la acuile''(독수리) 그러나 구어에서는 두 개의 'a' 음이 하나로 발음된다. 구어에서는 다른 여러 관사들이 사용된다.[17]

프리울어의 부정관사(영어의 ''a''와 ''an''에 해당)는 라틴어 ''unus''에서 유래하며 성에 따라 다르다.[17]

부정관사
남성un
여성une



또한 부분 관사도 존재한다: 여성은 '''des''', 남성은 '''dai''': des vacjis/des vacjisfur – ''몇몇 소들'' 과 ''dai libris'' - ''몇몇 책들''[17]

7. 3. 형용사

프리울리어 형용사는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수에 일치해야 한다. 대부분의 형용사는 단수(남성, 여성)와 복수(남성, 여성)에 대해 네 가지 형태를 갖는다.

어미 변화
남성여성
단수brutbrute
복수brutsbrutis



명사와 마찬가지로, a/o로 끝나는 방언의 경우 복수는 단순히 's'를 추가하여 얻는다. 예를 들어 'brute'는 'bruta/bruto'에 해당하며, 그 복수형 'brutis'는 'brutas/brutos'이다.

여성형은 남성형으로부터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 대부분의 경우, -e를 추가하기만 하면 된다 (짧은: ''curt'', ''curte'').
  • 마지막 글자가 -c인 경우, 여성형은 -cje, -gje, -che, -ghe로 끝날 수 있다 (작은: pôc, pôcje).
  • 마지막 글자가 -f인 경우, 여성형은 -ve로 끝날 수 있다 (새로운: ''gnûf, gnove'').
  • 마지막 글자가 -p인 경우, 여성형은 -be로 끝날 수 있다 (신: ''garp, garbe'').
  • 마지막 글자가 -t인 경우, 여성형은 -de로 끝날 수 있다 (녹색: ''vert, verde'').

7. 4. 복수형

프리울리어의 복수형은 명사의 성별과 어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e로 끝나는 남성 명사와 여성 명사의 복수형은 -e를 -is로 바꾼다. 예를 들어, ''taulefur''(테이블)의 복수형은 ''taulisfur''(테이블들)이고, ''cjasefur''(집)의 복수형은 ''cjasisfur''(집들)이다. a/o로 끝나는 방언에서는 단순히 s를 추가한다.


거의 모든 다른 명사의 복수형은 단순히 -s를 추가한다. 이 때 -s는 항상 무성음 [s]로 발음되며, 영어의 ''cats''와 같고, ''dogs''와 같은 유성음 [z]로는 발음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anfur''(손)의 복수형은 ''mansfur''(손들)이다.

일부 프리울리 방언에서는 -s가 추가될 때 마지막 자음이 묵음이 되는 단어가 많다. 예를 들어 ''gjatfur''(고양이)의 복수형은 ''gjatsfur''로 쓰여지지만, 프리울리 대부분 지역에서는 gjasfur처럼 발음된다.

  • l 또는 -li로 끝나는 남성 명사는 어미 -l 또는 -li를 구개음화하여 -i로 복수형을 만든다. 예를 들어, ''cjavalfur''(말)의 복수형은 ''cjavaifur''(말들)이다. 이러한 형태는 프랑스어 명사의 불규칙 복수형(-x)과 유사하다. 반면, -l로 끝나는 여성 명사는 규칙적인 복수형을 가진다.

  • st로 끝나는 남성 명사는 어미 -t를 구개음화하여 -cj로 복수형을 만든다. -t로 끝나는 일부 남성 명사도 같은 방식으로 복수형을 만든다.


''s''로 끝나는 명사는 복수형에서 철자가 바뀌지 않지만, 일부 화자는 단수 -s와 복수 -s의 발음을 다르게 할 수 있다.

''anfur''(년)의 복수형은 방언에 따라 ''ainfur'', ''ainsfur'', ''agnfur'', ''agnsfur'' 등 여러 형태가 있지만, 쓰는 형태는 ''agnsfur''이다. 형용사 ''bonfur''(좋은)의 복수형도 마찬가지로 ''bognsfur''이다.

7. 5. 주어 대명사

프리울리어의 특징 중 하나는 clitic 주어 대명사이다. 프리울리어에서는 ''pleonastics''로 알려져 있으며, 절대 강세를 받지 않는다. 이는 주어를 나타내기 위해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서술문에서는 동사 앞에, 의문문이나 청유문에서는 바로 뒤에 위치한다.

약한 대명사
서술문의문문청유문
o-(i)o-(i)o
너(단수)tu-tu-tu
그(남성)al-(i)al-(i)al
그녀(여성)e-(i)e-(i)e
우리o-o-o
너희들(복수)o-o-o
그들-a-o-o



예를 들어, ''jo o lavori''는 "나는 일한다"를 의미하고, ''lavorio?''는 "나는 일하는가?"를 의미하며, ''lavorassio''는 "내가 일했으면 좋겠다"를 의미한다.

7. 6. 동사

프리울리어 동사의 원형은 -â, -ê, -i, -î 네 가지 어미 중 하나로 끝난다. 어미를 제거하면 어근이 되는데, 이 어근을 사용하여 다른 형태를 만든다(''fevelâ'', 말하다; 어근 ''fevel-''). 그러나 불규칙 동사의 경우 어근이 바뀐다. 흔히 사용되는 동사에는 (''jessi'', 있다; ''vê'', 가지다; ''podê'', 할 수 있다)가 있다. 동사는 의미를 제한하기 위해 부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동사, 현재, 직설법 형태
인칭fevelâ (말하다) (가다)jessi (있다) (가지다)
나(남성) Jo ofevelivoisoiai
너(단수) Tu tufevelisvâssêsâs
그(남성) Lui alfevelevaèà
그녀(여성) Jê efevelevajeà
우리(남성) Nô ofevelìnlinsinvin
너희들(남성) Vô ofevelaislais, vaissêsvês
그들(남성) Lôr afevelinvansonàn


7. 7. 부사

프리울리어에서 형용사는 여성 단수형 어미에 '-mentri'를 붙여 부사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lente''는 ''lentementri''가 되어 '천천히'라는 뜻이 된다.[18] 어떤 경우에는 형용사의 '-e'를 생략하기도 하는데, ''facile''은 ''facilmentri''가 되어 '쉽게'라는 뜻이 된다.[18] 이는 문어체에서 더 흔하며, 구어체에서는 ''a planc''(천천히)처럼 다른 형태나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18]

8. 어휘

대부분의 프리울어 어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역사 전반에 걸쳐 상당한 음운론적 및 형태론적 변화를 겪었습니다. 따라서 많은 단어들이 다른 로망스어군과 공유됩니다.[19]

어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레토어 및 켈트어(9%): 프리울리에서 사용된 통속 라틴어의 기층이 레토어와 카른-켈트어였기 때문에 많은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bâr", 나무; "clap/crap", 돌; "cjâr", 쟁기)
  • 현대 독일어(10%): 특히 중세 시대, 프리울리의 조국 시대에 이 문화의 영향이 매우 강했을 때 도입되었습니다 (''bearç'', 뒷마당; "crot", 개구리/두꺼비).
  • 슬라브어(3%): 10세기 헝가리인의 침입으로 황폐화된 땅을 재건하기 위해 여러 차례 프리울리로 불려온 슬라브족(대부분 알프스 슬라브족) 이주민들에 의해 유입되었습니다 (cjastfur, 헛간; zigâfur, 소리지르다). 또한, 프리울리인과 슬로베니아인, 특히 프리울리 북동부(슬라비아 프리울라나)와 고리치아와 그라디스카 지역 사이의 수세기 동안 이어진 이웃 관계를 통해 많은 슬라브어 단어들이 프리울어로 유입되었습니다. ''colaç''(케이크), ''cudiç''(악마), ''cos''(바구니)와 같은 단어들은 모두 슬로베니아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슬라브어 어원을 가진 지명도 많습니다.
  • 게르만어 (8%, 아마도 롬바르드어 기원), 켈트어 및 레토어 어원을 가진 많은 단어들이 있습니다 (로마인들이 오기 전에 사용되던 언어의 잔재). 첫 번째 범주의 예로는 ''sbregâ''(찢다), ''sedon''(수저), ''taponâ''(덮다)가 있습니다. 후자 범주의 예로는 ''troi''(길), bragonsfur(바지)가 있습니다.
  • 라틴어 및 파생 언어 (68%):
  • *베네토어는 프리울어 어휘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canucjefur, 짚.
  • * 일부 프랑스어 단어들이 프리울어 어휘에 유입되었습니다: pardabonfur, 정말로 그리고 ''gustâ'', 점심 먹다.
  • * 이탈리아어는 특히 신조어와 관련하여 프리울어 어휘에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tren''은 기차를 의미함). 이러한 신조어는 공식 사전에 수록되어 있지 않더라도 현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림질하다"는 동사는 ''sopressâ''이지만 이탈리아어에서 온 ''stirâ''라는 동사가 대신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
  • 과학 용어는 종종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프리울어에는 일부 아랍어 용어도 있습니다 (1% 미만, ''lambic'', 아직도).
  • 많은 영어 단어들(예: 컴퓨터, 모니터, 마우스 등)이 이탈리아어를 통해 프리울어 어휘에 유입되었습니다 (1% 이상).

9. 방언

프리울리어는 최소 네 가지 방언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주로 명사, 형용사, 부사 등 여러 품사의 어미 모음에 따라 구분된다.


  • 중앙 프리울리어: 우디네 주변에서 사용되며, 어미가 '-e'로 끝나는 단어가 특징이다. 공문서에 사용되며 표준어로 간주된다. 베네치아어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은 가장 원형적인 방언은 아니지만 가장 최근에 생겨난 변종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16세기부터 표준 프리울리어에서 '-e' 어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 북부 프리울리어: 카르니아에서 사용되며, 여러 변종이 있다. 계곡에 따라 언어가 다르며, 단어는 '-o', '-e', 또는 '-a'로 끝날 수 있다. 가장 고대적인 변종이다.
  • 남동부 프리울리어: 바사 프리울라나와 이손초 강 유역의 동부 프리울리, 옛 고리치아와 그라디스카 백작령 지역에서 사용되며, 어미가 '-a'로 끝나는 단어가 특징이다. 이 변종은 언어의 기원 이래로 알려져 왔으며, 오스트리아 제국의 프리울리인들이 공식 문어로 사용했다. 독일어와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다.
  • 서부 프리울리어: 포르데노네 지방에서 사용되며, 콘코르디아 사기타리아에서 유래한 콘코르디에세(concordiese)라고도 불린다. 단어는 '-a' 또는 '-e'로 끝나지만, 베네치아어의 강한 영향으로 가장 변형된 변종 중 하나로 간주된다.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는 어머니에게서 프리울리어를 배워 서부 프리울리어로 작품을 썼다.[20]


'집'이라는 단어는 중앙 프리울리어에서는 cjasefur이고, 다른 지역에서는 cjasafur 또는 cjasofur이다. 13세기 초기에 프리울리어로 쓰인 문학 작품들은 당시 프리울리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였던 치비달레 델 프리울리에서 사용된 언어를 기반으로 했다. 현재는 카르니아의 일부 마을에만 국한되어 있는 '-o' 어미가 사용되었다. 나중에 프리울리의 주요 도시가 우디네가 되면서 가장 일반적인 어미는 '-a'가 되었다.

10. 문학

프리울리어로 쓰인 최초의 문헌들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주로 상업적 또는 법률적 문서들이다. 이러한 예시들은 프리울리어가 당시 행정 언어였던 라틴어와 함께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현존하는 문학 작품들 중 주요한 예시들(이 시기의 많은 작품들은 분실되었다)은 14세기의 시들로, 주로 사랑을 주제로 하며 아마도 이탈리아 시적 운동인 달체 스틸 노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은 "Piruç myò doç inculurit" (내 배, 온통 색깔로 물든)이며, 프리울리 치비달레 출신의 익명의 작가가 1380년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원문현대 프리울리어
Piruç myò doç inculuritPiruç gno dolç incolorît



처음 두 줄에는 차이가 거의 없는데, 이는 몇몇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단어들(예: dum(n) lofur, "아이"를 뜻하는 단어)을 제외하고는 언어에 큰 변화가 없었음을 보여준다. 현대 프리울리어 화자는 이러한 텍스트를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다.

프리울리 문학의 두 번째 중요한 시기는 16세기이다. 이 시대의 주요 작가는 200편이 넘는 시를 지은 에르메스 디 콜로레이다.

주목할 만한 시인 및 작가활동 년도
에르메스 디 콜로레 (Ermes di Colorêt)1622–1692
피에트로 조루티 (Pietro Zorutti)1792–1867
카테리나 페르코토 (Caterina Percoto)1812–1887
Novella Cantaruttiit1920–2009
피에르 파올로 파졸리니 (Pier Paolo Pasolini)1922–1975
리나 델 닌 크랄리 (캐나다) (Rina Del Nin Cralli)1929–2021
Carlo Sgorlonit1930–2009


10. 1. 주요 작가 및 작품

11. 현대 현황

현재 프리울어는 이탈리아에서 법률 482/1999호에 따라 언어 소수자를 보호하는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많은 초등학교에서 프리울어 선택 과목이 도입되었다. 온라인 신문이 활동 중이며, 프리울어로 노래하는 여러 음악 그룹과 몇몇 연극 단체도 있다. 최근에는 프리울어로 제작된 두 편의 영화 (''Tierç lion'', 리드리스 쿠아드라데 디 트레/Lidrîs cuadrade di trêfur)가 이탈리아 신문에서 호평을 받았다. 우디네주의 약 40% 지역 사회에서는 도로 표지판에 프리울어와 이탈리아어가 함께 표기되어 있다. 성경의 공식 번역본도 있다. 2005년에는 유명 맥주 브랜드가 광고에 프리울어를 사용했다.

프리울어의 사용과 발전을 촉진하는 주요 단체는 1919년 고리치아에서 설립된 ''Societât filologjiche furlane''이다.

12. 표준화

프리울리어가 다른 소수 언어와 공유하는 과제는 표준 변종과 적절한 문자 체계를 제정하는 것이다. 1996년 제15호 지역 법률은 표준 철자법을 승인했는데, 이는 공통 변종의 기초를 이루며 지명, 공식 문서, 서면 문서에 사용되어야 한다. 이 표준은 중앙 프리울리어를 기반으로 하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1700년대 이후 문학에서 사용되던 언어였다(가장 큰 예는 아마도 피에리 초루트의 작품일 것이다). 하지만 몇 가지 변화가 있다.


  • 이중 모음 ''ie''가 ''ia''를 대체한다: ''fier (철)''은 ''fiar'' 대신, ''tiere (토양, 땅)''은 ''tiare'' 대신 사용된다.
  • 단어 앞에서 ''vu''를 ''u'' 대신 사용한다: ''vueli (기름)''은 ''ueli'' 대신, ''vueit (빈)''은 ''ueit'' 대신 사용된다.
  • 모음 사이에 ''i''를 사용한다: ''ploie (비)''는 ''ploe'' 대신 사용된다.


표준 프리울리어는 프리울리어로 ''furlan standard'', ''furlan normalizât'' 또는 그리스어에서 온 ''코이네''라고 불린다.
표준어에 대한 비판프리울리어 표준어화에 대해서는 주로 제안된 표준어와 상당히 다른 지역 방언 화자들로부터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들은 또한 표준어가 결국 지역 방언을 사멸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표준어화 지지자들은 독특한 형태가 언어에 가져다줄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을 언급한다. 무엇보다도, 프리울리어의 미래 발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신조어에서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발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역 변이형을 따를 수 있는 문어 표준어라고 지적한다.

반면, 표준어화 반대자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표준어는 특히 각 변이형에서 단어의 음운론적 발음 차이로 인해 지역 변이형을 나타내기에 전혀 부적절하며, 어떤 경우에는 단일 변이형을 쓰기 위해 특수하고 다른 구분 기호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12. 1. 표준어에 대한 비판

프리울리어 표준어화에 대해서는 주로 제안된 표준어와 상당히 다른 지역 방언 화자들로부터 여러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들은 또한 표준어가 결국 지역 방언을 사멸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표준어화 지지자들은 독특한 형태가 언어에 가져다줄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을 언급한다. 무엇보다도, 프리울리어의 미래 발전에 심각한 위협이 되는 신조어에서 이탈리아어의 영향을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발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역 변이형을 따를 수 있는 문어 표준어라고 지적한다.

반면, 표준어화 반대자들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표준어는 특히 각 변이형에서 단어의 음운론적 발음 차이로 인해 지역 변이형을 나타내기에 전혀 부적절하며, 어떤 경우에는 단일 변이형을 쓰기 위해 특수하고 다른 구분 기호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13. 프리울리어 진흥 노력

14. 대한민국에서의 프리울리어

참조

[1] 웹사이트 Friulia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05-24
[2] 웹사이트 Aquileia Cristiana http://www.regionefv[...]
[3] 논문 L'onomastica nella ricostruzione del lessico: il caso di Retico ed Etrusco http://journals.open[...] École française de Rome 2020-01-31
[4] 간행물 Thesaurus Inscriptionum Raeticarum Department of Linguistics. of the University of Vienna
[5] 웹사이트 Script https://tir.univie.a[...] Thesaurus Inscriptionum Raeticarum 2024-06-04
[6] 웹사이트 Raetic http://mnamon.sns.it[...] Scuola Normale Superiore 2018-07-26
[7] 논문 I rapporti etrusco/retico-italici nella prima Italia alla luce dei dati linguistici: il caso della "mozione" etrusca Pàtron editore
[8]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Romance Languag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9] 논문 L'onomastica nella ricostruzione del lessico: il caso di Retico ed Etrusco http://journals.open[...] École française de Rome 2020-01-31
[10] 서적 Our Italian Surnames https://books.google[...] Genealogical Publishing Com 1949
[11] 발표자료 Final devoicing and vowel lengthening in the north of Italy: A representational approach http://www.slideshar[...] Universiteit Leiden, Academia Lugduno Batava 2010-12-10
[12] 논문 Friulian 2002
[13] 웹사이트 The Furlan / Friulian Alphabet http://www.geocities[...] 2018-03-17
[14] 논문 Compensatory Lengthening by Vowel and Consonant Loss in Early Friulian http://www.raco.cat/[...]
[15] 논문 GLOW Phonology Workshop http://www.vanoosten[...]
[16] 논문 Length and voicing in Friulian and Milanese http://roa.rutgers.e[...]
[17] 기타
[18] 기타
[19] 웹사이트 Language similarity table http://borel.slu.edu[...] 2018-03-17
[20] 웹사이트 casarsa_casa Pasolini (Colussi) a Casarsa http://www.pasolini.[...] 2018-03-17
[21] 웹사이트 パゾリーニのフリウリ語 https://doi.org/10.2[...] イタリア学会 1988
[22] 웹인용 Sociolinguistic Condition http://www.arlef.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