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글루코키네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루코키네이스는 사람의 헥소키나아제 IV, 헥소키나아제 D, ATP:D-헥소스 6-인산전이효소, EC 2.7.1.1로도 불리는 효소이다. 포도당에 대한 특이성 때문에 글루코키나아제라고 명명되었으며, 포도당을 포도당-6-인산으로 인산화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간, 췌장, 소장, 뇌의 특정 세포에서 발견되며, 혈당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글루코키나아제 유전자(GCK) 돌연변이는 고혈당증 또는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현재 1형 및 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C 2.7.1 - 키네이스
    키네이스는 ATP의 인산기를 기질에 전달하는 효소로, 세포 신호 전달과 질병에 관여하며 키나아제 억제제 연구의 대상이다.
  • EC 2.7.1 - 포스포프럭토키네이스-1
    포스포프럭토키네이스-1은 해당과정에서 과당 6-인산을 과당 1,6-이중인산으로 인산화하는 알로스테릭 효소로, ATP, AMP, pH, 과당 2,6-이중인산 등에 의해 조절되며, 조직에 따라 다른 동질효소 조성을 가지고, PFKM 유전자 돌연변이는 타루이병을 유발한다.
  • 패밀리 단백질 - 단백질 도메인
    단백질 도메인은 폴리펩타이드 사슬 내에서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이루는 기본 단위로서 기능, 진화, 단백질 접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통적인 구조적 요소이다.
  • 패밀리 단백질 - 전사인자
    전사 인자는 DNA 특정 서열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서, RNA 중합효소와 함께 전사를 조절하여 유전 정보 전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발생, 신호 전달, 환경 반응, 세포 주기 조절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한다.
글루코키네이스
기본 정보
EC 번호2.7.1.2
CAS 번호9001-36-9
GO 코드0004340
상세 정보
이름글루코키네이스
기타
IUBMB EC 번호2/7/1/2

2. 명명법

이 효소의 대체 명칭은 사람의 헥소키나아제 IV, 헥소키나아제 D, ATP:D-헥소스 6-인산전이효소, EC 2.7.1.1(이전에는 2.7.1.2)이다. 일반적인 이름인 글루코키나아제는 생리학적 조건에서 포도당에 대한 상대적인 특이성에서 파생되었다.[2]

일부 생화학자들은 이 효소가 적절한 조건에서 다른 헥소스를 인산화할 수 있고, 포도당에 대해 더 절대적인 특이성을 갖는 세균의 관련 없는 효소가 있으며, 이 효소가 그 이름과 EC [http://ca.expasy.org/cgi-bin/nicezyme.pl?2.7.1.2 2.7.1.2]를 더 잘 받을 자격이 있기 때문에, 글루코키나아제라는 이름을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폐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루코키나아제는 의학과 포유류 생리학의 맥락에서 선호되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2004년에는 포유류에서 새로운 포도당에 대한 키나아제(ADP-specific glucokinase|ADP 의존성 글루코키나아제영어)가 발견되었다.[4] 이 유전자는 원시 생물의 유전자와 구별되며 유사하다. 이 효소는 ATP가 아닌 ADP에 의존하며, 저산소증 동안 더 효과적인 기능의 가능성을 시사하지만, 대사 역할과 중요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3. 촉매

글루코키네이스 및 다른 헥소키네이스에 의해 촉매되는 화학 반응


글루코키네이스의 주된 기질은 포도당이며, 주된 생성물은 포도당-6-인산(G6P)이다. 인산기를 제공하는 또 다른 기질은 아데노신 삼인산(ATP)이며, 인산기가 떨어져 나가면서 아데노신 이인산(ADP)으로 전환된다. 글루코키네이스가 촉매하는 반응은 그림에 나타나 있다.

ATP는 마그네슘(Mg)과 결합한 복합체 형태로 반응에 참여한다. 특정 조건에서 글루코키네이스는 다른 헥소스(6탄당) 및 유사 분자의 인산화를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글루코키네이스 반응은 다음과 같이 더 정확하게 나타낼 수 있다.[3]

:: 헥소스 + MgATP2- → 헥소스-PO32- + MgADP- + H+

만노스, 과당, 글루코사민 등이 헥소스 기질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대한 글루코키네이스의 친화력은 낮아서 세포 내 농도에서는 활성화되기 어렵다.[5]

3. 1. 속도론적 특징

글루코키나아제는 다른 헥소키나아제와 구별되는 세 가지 중요한 속도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어, 포도당 감지기로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1. 글루코키나아제는 다른 헥소키나아제보다 포도당에 대한 친화력이 낮다. 글루코키나아제는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범위인 4~10 M (72~180 mg/dL)에서 포도당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형태 및/또는 기능이 변화한다. 약 8 mM (144 mg/dL)의 포도당 농도에서 절반 포화된다.[7][8]

2. 글루코키나아제는 생성물인 포도당-6-인산의 생리학적 농도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다.[7] 이는 생성물이 상당량 존재하더라도 지속적인 신호 출력(예: 인슐린 분비 유발)을 가능하게 한다.[8]

3. 글루코키나아제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포도당과의 중간 정도의 협동성으로, 힐 계수 (''h'')가 약 1.7이다.[9][10]

이러한 특징들은 "공급 주도형" 대사 경로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즉, 반응 속도는 최종 생성물에 대한 요구가 아니라 포도당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11]

협동성 때문에, 글루코키나아제와 포도당의 역학적 상호 작용은 고전적인 미카엘리스-멘텐 역학을 따르지 않는다. 포도당에 대한 ''K''m 대신에, 효소가 50% 포화되고 활성화되는 농도인 반포화 수준 ''S''0.5를 설명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S''0.5와 ''h''는 약 4 mM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효소 활성 곡선의 변곡점을 발생시킨다.[12] 다시 말해, 정상 범위의 낮은 쪽 끝에 가까운 약 72 mg/dL의 포도당 농도에서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은 포도당 농도의 작은 변화에 가장 민감하다.

글루코키나아제는 포도당에 대한 단일 결합 부위만 있는 단량체 효소이므로[13] 협동성은 고전적인 평형 협동성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느린 전이 모델[14] 또는 효소 기억을 이용하는 "기억적" 모델과 같은 역학적 설명이 필요하다.[15]

다른 기질인 MgATP와의 역학적 관계는 고전적인 미카엘리스-멘텐 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약 0.3~0.4 mM의 친화력을 가지며, 이는 전형적인 세포 내 농도인 2.5 mM보다 훨씬 낮다. ATP가 거의 항상 과잉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ATP 농도가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기질로 포화되었을 때 글루코키나아제의 최대 비활성(''k''cat)은 62/s이다.[7]

인간 글루코키나아제의 pH 최적치는 비교적 최근에 확인되었으며, 놀랍게도 pH 8.5~8.7로 높다.[16]

4. 구조

글루코키네이스는 465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단량체 단백질로, 분자량은 약 50 kDa이다. 활성 부위와 관련된 두 개의 틈이 있는데, 하나는 포도당과 MgATP를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추정 알로스테릭 효소 활성제가 있는 부위이다.[18][19]

이것은 이량체 구조를 어느 정도 유지하는 다른 포유류 헥소키나아제 크기의 약 절반이다. 몇몇 서열과 핵심 활성 부위의 3차원 구조는 포유류에서 효모에 이르기까지 종 내 동족체와 종 전체에서 매우 잘 보존되어 있다.[20] 예를 들어, ATP 결합 도메인은 헥소키나아제, 세균 글루코키나아제 및 기타 단백질과 공유되며, 공통 구조는 ''액틴 폴드''라고 불린다.[21]

5. 유전학

사람의 글루코키네이스는 7번 염색체의 ''GCK''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다. 이 단일 상염색체 유전자는 10개의 엑손을 가지고 있다.[22][23] 다른 동물들의 글루코키네이스 유전자도 인간의 ''GCK''와 상동성을 갖는다.[7][24]

이 유전자의 특징은 두 개의 프로모터 영역으로 시작한다는 것이다.[25] 5' 말단의 첫 번째 엑손에는 조직 특이적 프로모터 영역이 두 개 있다. 전사는 (조직에 따라) 두 프로모터 중 하나에서 시작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유전자가 과 다른 조직에서 약간 다른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글루코키네이스의 두 이소형은 분자의 N-말단에서 13~15개의 아미노산만 다르며, 이는 구조에 최소한의 차이만 발생시킨다. 두 이소형은 동일한 운동 및 기능적 특성을 갖는다.[2]

5' 말단의 첫 번째 프로모터는 "상류" 또는 신경 내분비 프로모터라고 하며, 췌장 섬세포, 신경 조직 및 소장 세포에서 활성화되어 글루코키네이스의 "신경 내분비 이소형"을 생성한다.[25] 두 번째 프로모터, "하류" 또는 간 프로모터는 간세포에서 활성화되어 "간 이소형"의 생성을 지시한다.[26] 두 프로모터는 서열 상동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30 kbp 서열로 분리되어 있고, 이소형 간에 기능적 차이가 있다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 두 프로모터는 기능적으로 배타적이며, 별개의 조절 인자에 의해 관리되므로 글루코키네이스 발현은 서로 다른 조직 유형에서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2] 두 프로모터는 글루코키네이스 기능의 두 가지 광범위한 범주에 해당한다. 간에서 글루코키네이스는 사용 가능한 포도당의 "대량 처리"의 관문 역할을 하는 반면, 신경 내분비 세포에서는 센서 역할을 하여 신체 전체의 탄수화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 반응을 유발한다.

6. 조직 분포

글루코키네이스는 간, 췌장, 소장, 뇌의 특정 세포를 포함한 4가지 포유류 조직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모두 혈당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7]


  • 간의 주요 세포인 간세포에서만 글루코키네이스(GK)가 발견된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사를 소화하는 동안 혈당이 풍부하고 인슐린 수치가 높을 때, 간세포는 혈액에서 포도당을 제거하여 글리코겐으로 저장한다.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포도당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상승하므로, 섭취 상태와 단식 상태 사이에서 간 탄수화물 대사를 전환하는 중앙 대사 스위치 역할을 한다.
  • 췌장, 장, 뇌의 신경내분비 세포는 글루코키네이스 생산, 조절 및 기능과 관련하여 몇 가지 공통적인 측면을 공유한다. 이 맥락에서 이러한 조직을 통칭하여 "신경내분비" 세포라고 한다.
  • 췌장 베타 세포알파 세포
  • 베타 세포는 혈당 수치가 상승하면 인슐린을 분비한다. 베타 세포의 글루코키네이스는 포도당 센서 역할을 하며, 혈당이 상승함에 따라 인슐린 분비를 증폭시킨다.
  • 알파 세포는 혈당 수치가 상승하면 더 적은 글루카곤을 생성하고, 혈당이 낮으면 더 많은 글루카곤을 생성한다. 글루카곤은 간에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혈액으로 포도당을 방출하라는 신호로 작용한다.
  • 시상 하부의 포도당 감지 뉴런
  • 혈당 수치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 시상 하부의 세포가 분극되거나 탈분극된다. 저혈당증에 대한 중추 신경계의 신경내분비 반응 중 하나는 자율 신경계의 아드레날린성 반응 활성화이다. 글루코키네이스는 여기에서도 포도당 신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 소장의 장세포
  • 이것은 글루코키네이스 센서 시스템 중 가장 덜 이해되는 시스템이다. 소화 과정에서 유입되는 포도당에 대한 반응은 식사 중 인슐린 분비의 인크레틴 증폭, 또는 장에서 뇌로의 포만감 신호 생성에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

7. 기능 및 조절

포유류 글루코키네이스의 대부분은 간에 존재하며, 간세포에서 헥소키네이스 활성의 약 95%를 차지한다. 글루코키네이스에 의한 포도당의 포도당-6-인산(G6P) 인산화는 간에서 글리코겐 합성 및 해당과정의 첫 번째 단계이다.

충분한 포도당이 공급되면 글리코겐 합성은 간세포 주변부에서 세포가 글리코겐으로 가득 찰 때까지 진행된다. 과도한 포도당은 이후 트리글리세리드로 변환되어 지방 조직으로 수출되어 저장된다. 세포질 내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이용 가능한 포도당의 양에 따라 증가하고 감소한다.

글루코키네이스의 생성물인 G6P는 글리코겐 합성의 주요 기질이며, 글루코키네이스는 글리코겐 합성과의 밀접한 기능적 및 조절적 관련성을 갖는다. 최대 활성 상태에서 글루코키네이스(GK)와 글리코겐 합성효소는 글리코겐 합성이 일어나는 간세포 세포질의 동일한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G6P의 공급은 주요 기질로서뿐만 아니라 글리코겐 합성효소의 직접적인 자극과 글리코겐 인산화효소의 억제를 통해 글리코겐 합성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일반적으로 식사 및 금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포도당 공급 변화에 따라 빠르게 증폭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조절은 여러 수준과 속도로 일어나며, 주로 두 가지 일반적인 메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글루코키네이스 조절 단백질(GKRP)'''의 작용에 의해 몇 분 안에 증폭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 단백질의 작용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작은 분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글루코키네이스의 양은 새로운 단백질 합성을 통해 증가할 수 있다. 인슐린은 간에서 스테롤 조절 요소 결합 단백질-1c (SREBP1c)라는 전사 인자를 통해 주로 작용하여 전사 증가의 주요 신호이다. 이는 탄수화물 섭취 후 인슐린 수치가 상승한 후 한 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과당-2,6-이중인산 또한 글루코키네이스 전사를 자극하며, SREBP1c가 아닌 Akt2를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치는 간세포에서 해당 과정에 다른 증폭 역할을 한다.

간 세포 전사 조절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다른 전사 인자로는 다음이 있다.

# 간 핵 인자-4-알파(HNF4α)는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 효소에 대한 많은 유전자 전사에 중요한 고아 핵 수용체이다. 이는 ''GCK'' 전사를 활성화한다.

# 상류 자극 인자 1(USF1)은 또 다른 기본 헬릭스-루프-헬릭스 류신 지퍼 전사 인자(bHLHZ) 전사 활성자이다.

# 간 핵 인자 6(HNF6)은 "one-cut class"의 호메오도메인 전사 조절자이다. HNF6는 또한 포도당 신생 효소인 포도당-6-인산가수분해효소 및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르복시키나아제의 전사 조절에 관여한다.

인슐린은 간에서 글루코키네이스의 발현과 활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이다. 글루카곤과 그 세포 내 2차 전달자인 cAMP는 인슐린이 존재하더라도 글루코키네이스 전사 및 활성을 억제한다.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같은 다른 호르몬은 특정 상황에서 글루코키네이스에 대한 허용 또는 자극 효과를 제공한다. 바이오틴과 레티노산은 GCK mRNA 전사 및 GK 활성을 증가시킨다. 상당한 양의 지방산은 간에서 GK 활성을 증폭시키는 반면, 장쇄 아실 CoA는 이를 억제한다.

글루코키네이스는 글루코키네이스 조절 단백질(GKRP)에 의해 간세포에서 빠르게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단백질은 GK의 비활성 저장소를 유지하여 문맥 정맥의 포도당 수치가 상승하는 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29]

미량(마이크로몰 농도)의 과당은 케토헥소키나아제에 의해 과당-1-인산(F1P)으로 인산화된 후 GK를 GKRP로부터 방출하는 속도를 가속화한다. 그러나, 과당-6-인산(F6P)은 GKRP에 의한 GK의 결합을 촉진한다. F1P와 F6P는 모두 GKRP의 동일한 부위에 결합한다.

전신의 대부분의 글루코키나아제는 간에 존재하지만, 췌장의 α 세포β 세포, 특정 시상하부 뉴런, 그리고 장의 특정 세포(장내 흡수 세포)에서도 소량의 글루코키나아제가 존재하며, 이들은 탄수화물 대사 조절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글루코키나아제 기능과 관련하여, 이러한 세포 유형들은 통칭하여 신경내분비 조직이라고 불리며, 특히 공통적인 신경내분비 프로모터를 공유하며 글루코키나아제 조절 및 기능의 일부 측면을 공유한다. 신경내분비 세포 중 췌도(pancreatic islets)의 베타 세포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장 잘 이해되고 있다.

베타 세포의 췌도에서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은 혈당 수치 상승에 대한 반응으로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주요 요소 역할을 한다. 포도당-6-인산(G6P)이 소모됨에 따라 ATP의 양이 증가하여 인슐린 방출을 유발하는 일련의 과정이 시작된다. 세포 호흡 증가의 즉각적인 결과 중 하나는 NADH 및 NADPH 농도 증가(통칭 NAD(P)H)이다. 베타 세포의 산화 환원 상태 변화는 세포 내 칼슘 수치 상승, KATP 채널 닫힘, 세포막 탈분극, 인슐린 분비 과립과 막 융합, 그리고 혈액으로의 인슐린 방출로 이어진다.

글루코키나아제는 인슐린 방출 신호로서 혈당 수치와 탄수화물 대사의 전반적인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포도당은 베타 세포에서 생성되는 글루코키나아제의 즉각적인 활성과 양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포도당은 협동 효과를 통해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을 즉시 증폭시킨다.

β 세포에서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의 두 번째로 중요한 급속 조절은 글루코키나아제와 "양기능 효소"(포스포프럭토키나아제 2/프럭토스-2,6-비스포스파타아제) 사이의 직접적인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해당과정 조절에도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리적 연관성은 촉매적으로 유리한 형태(GKRP 결합의 효과와 다소 반대)로 글루코키나아제를 안정화시켜 활성을 향상시킨다.

불과 15분 만에 포도당은 인슐린을 통해 ''GCK'' 전사 및 글루코키나아제 합성을 자극할 수 있다. 인슐린은 베타 세포에서 생성되지만, 일부는 β 세포 B형 인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자가분비 양성 피드백 증폭을 제공한다. 또한 인슐린 작용(A형 수용체를 통해)에 의해 자체 전사를 자극하여 증폭이 일어난다.

''GCK'' 유전자의 전사는 "상류" 또는 신경내분비 조절 인자를 통해 시작된다. 이 조절 인자는 간 조절 인자와 달리 다른 인슐린 유도 유전자 조절 인자와 상동성을 갖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가능한 전사 조절 인자로는 Pdx-1과 PPARγ가 있다. Pdx-1은 췌장의 분화에 관여하는 호메오도메인 폴드 전사 인자이다. PPARγ는 글리타존 약물에 반응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핵 수용체이다.

글루코키네이스는 췌장 α 세포의 포도당 감지에 관여한다고 제안되었지만, 증거가 일관되지 않아 일부 연구자들은 이러한 세포에서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 α 세포는 췌도에서 β 세포 및 기타 세포와 혼합되어 존재한다. β 세포는 혈당 수치가 상승하면 인슐린을 분비하여 반응하는 반면, α 세포는 글루카곤 분비를 감소시켜 반응한다. 혈중 포도당 농도가 저혈당 수준으로 떨어지면, α 세포는 글루카곤을 방출한다.

7. 1. 간에서의 기능 및 조절

인슐린은 간에서 글루코키나아제의 발현과 활성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호르몬이다. 인슐린은 여러 직접적 및 간접적 경로를 통해 글루코키나아제 전사 및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문맥 정맥의 혈당 수치가 상승하면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이 증가하며, 이와 동반하여 인슐린 수치가 상승하면 글루코키나아제 합성을 유도하여 이러한 효과를 증폭시킨다. 글루코키나아제 전사는 인슐린 수치가 상승한 지 한 시간 이내에 증가하기 시작한다. 글루코키나아제 전사는 장기간의 기아, 심각한 탄수화물 결핍 또는 치료받지 않은 인슐린 결핍성 당뇨병에서는 거의 감지되지 않는다.

인슐린이 글루코키나아제를 유도하는 기전에는 인슐린 작용의 주요 세포 내 경로인 세포 외 신호 조절 키나제(ERK 1/2) 연쇄 반응과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제(PI3-K) 연쇄 반응이 모두 관여할 수 있다. 후자는 FOXO1 전사 활성 인자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글리코겐 합성에 대한 길항 작용을 고려할 때 예상할 수 있듯이, 글루카곤과 그 세포 내 2차 전달자인 cAMP는 인슐린이 존재하더라도 글루코키나아제 전사 및 활성을 억제한다.

트리요오드티로닌 및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같은 다른 호르몬은 특정 상황에서 글루코키나아제에 대한 허용 또는 자극 효과를 제공한다. 바이오틴과 레티노산은 GCK mRNA 전사 및 GK 활성을 증가시킨다. 상당한 양의 지방산은 간에서 GK 활성을 증폭시키는 반면, 장쇄 아실 CoA는 이를 억제한다.

글루코키나아제는 글루코키나아제 조절 단백질(GKRP)에 의해 간세포에서 빠르게 활성화 및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 단백질은 GK의 비활성 저장소를 유지하여 문맥 정맥의 포도당 수치가 상승하는 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29]

GKRP는 간세포의 세포 핵과 세포질 사이를 이동하며, 미세 섬유 세포 골격에 묶여 있을 수 있다. GK와 가역적인 1:1 복합체를 형성하며, 이를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포도당과 경쟁적 억제제로 작용하여 결합된 동안 효소 활성을 거의 0으로 감소시킨다. GK:GKRP 복합체는 포도당과 과당 수치가 낮을 때 핵에 격리된다. 핵 격리는 세포질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GK의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GK는 포도당 수치가 상승하면 GKRP로부터 빠르게 방출될 수 있다. 베타 세포의 GK와 달리, 간세포의 GK는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없다.

미량(마이크로몰 농도)의 과당은 케토헥소키나아제에 의해 과당-1-인산(F1P)으로 인산화된 후 GK를 GKRP로부터 방출하는 속도를 가속화한다. 과당의 미량 존재에 대한 이러한 민감도는 GKRP, GK 및 케토헥소키나제가 "과당 감지 시스템"으로 작용하여 혼합 탄수화물 식사가 소화되고 있음을 신호하고 포도당의 활용을 가속화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과당-6-인산(F6P)은 GKRP에 의한 GK의 결합을 촉진한다. F6P는 글리코겐 분해 또는 포도당 신생이 진행될 때 GK에 의한 포도당 인산화를 감소시킨다. F1P와 F6P는 모두 GKRP의 동일한 부위에 결합한다. 그들은 GK에 결합할 수 있고 결합할 수 없는 GKRP의 2가지 다른 형태를 생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인슐린은 스테롤 조절 요소 결합 단백질-1c(SREBP1c)를 통해 작용하여 간세포에서 글루코키나아제 유전자 전사의 가장 중요한 직접적 활성제로 여겨진다. SREBP1c는 기본 헬릭스-루프-헬릭스 류신 지퍼 전사 인자(bHLHZ) 전사 활성자이다. 이 종류의 전사 활성자는 여러 조절 효소에 대한 유전자의 "E box" 서열에 결합한다. 글루코키나아제 유전자의 첫 번째 엑손에 있는 간 프로모터에는 이러한 E box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간세포에서 유전자의 주요 인슐린 반응 요소인 것으로 보인다. 이전에는 SREBP1c가 간세포에서 글루코키나아제의 전사에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최근에는 SREBP1c 녹아웃 마우스에서 글루코키나아제 전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REBP1c는 고탄수화물 식단에 반응하여 증가하며, 이는 빈번한 인슐린 상승의 직접적인 효과로 추정된다. 간세포가 상승하는 인슐린 수치에 노출된 지 한 시간 이내에 전사 증가가 감지될 수 있다.

과당-2,6-이중인산 또한 글루코키나아제 전사를 자극하며, SREBP1c가 아닌 Akt2를 통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효과가 인슐린 수용체 활성화의 하위 효과 중 하나인지 아니면 인슐린 작용과 무관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간 세포 전사 조절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다른 전사 인자로는 다음이 있다.

  • 간 핵 인자-4-알파(HNF4α)는 탄수화물 및 지질 대사 효소에 대한 많은 유전자 전사에 중요한 고아 핵 수용체이다. 이는 ''GCK'' 전사를 활성화한다.
  • 상류 자극 인자 1(USF1)은 또 다른 기본 헬릭스-루프-헬릭스 류신 지퍼 전사 인자(bHLHZ) 전사 활성자이다.
  • 간 핵 인자 6(HNF6)은 "one-cut class"의 호메오도메인 전사 조절자이다. HNF6는 또한 포도당 신생 효소인 포도당-6-인산가수분해효소 및 포스포엔올피루브산 카르복시키나아제의 전사 조절에 관여한다.

7. 2. 췌장 베타 세포에서의 기능 및 조절

췌장의 췌도 베타 세포에서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혈당 수치 상승에 반응하여 인슐린 분비를 조절하는 주요 요소이다. 포도당-6-인산(G6P)이 소모됨에 따라 세포 호흡을 통해 ATP 양이 증가하고, 이는 인슐린 방출을 유발하는 일련의 과정을 시작시킨다. 세포 호흡 증가의 즉각적인 결과 중 하나는 NADH 및 NADPH 농도 증가(통칭 NAD(P)H)이다. 베타 세포의 산화 환원 상태 변화는 세포 내 칼슘 수치 상승, KATP 채널 닫힘, 세포막 탈분극, 인슐린 분비 과립과 막 융합, 그리고 혈액으로의 인슐린 방출로 이어진다. 이 기구는 포도당에 반응한 인슐린 방출의 제1파를 구성한다.[88]

글루코키네이스는 인슐린 방출 신호로서 혈당 수치와 탄수화물 대사의 전반적인 방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포도당은 베타 세포에서 생성되는 글루코키나아제의 즉각적인 활성과 양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포도당은 협동 효과를 통해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을 즉시 증폭시킨다.

β 세포에서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의 두 번째로 중요한 급속 조절은 글루코키나아제와 "양기능 효소"(포스포프럭토키나아제 2/프럭토스-2,6-비스포스파타아제) 사이의 직접적인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이는 해당 작용 조절에도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물리적 연관성은 촉매적으로 유리한 형태(GKRP 결합의 효과와 다소 반대)로 글루코키나아제를 안정화시켜 활성을 향상시킨다.[89]

불과 15분 만에 포도당은 인슐린을 통해 ''GCK'' 전사 및 글루코키나아제 합성을 자극할 수 있다. 인슐린은 베타 세포에서 생성되지만, 일부는 β 세포 B형 인슐린 수용체에 작용하여 글루코키나아제 활성에 대한 자가분비 양성 피드백 증폭을 제공한다. 또한 인슐린 작용(A형 아이소폼 수용체를 통해)에 의해 자체 전사를 자극하여 증폭이 일어난다.[90]

''GCK'' 유전자의 전사는 "상류" 또는 신경내분비 조절 인자를 통해 시작된다. 이 조절 인자는 간 조절 인자와 달리 다른 인슐린 유도 유전자 조절 인자와 상동성을 갖는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가능한 전사 조절 인자로는 Pdx-1과 PPARγ가 있다.[91][92] Pdx-1은 췌장의 분화에 관여하는 호메오도메인 폴드 전사 인자이다. PPARγ는 글리타존 약물에 반응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핵 수용체이다.

베타 세포의 세포질에서 발견되는 글루코키네이스의 상당 부분은 인슐린 분비 과립 및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결합된" 비율은 포도당이 증가하고 인슐린 분비가 증가함에 따라 빠르게 감소한다. 결합은 간 글루코키네이스 조절 단백질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즉, 포도당이 증가함에 따라 글루코키네이스를 분해로부터 보호하여 빠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효과는 전사가 그렇게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빠르게 글루코키네이스의 포도당 반응을 증폭시키는 것이다.[93]

8. 임상적 의의

인슐린은 글루코키네이스 합성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므로, 모든 유형의 당뇨병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글루코키네이스 합성 및 활성을 감소시킨다. 글루코키네이스 활성은 세포, 특히 베타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에 민감하다.[31]

최소 497개의 인간 글루코키네이스 유전자 ''GCK''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포도당 결합 및 인산화의 효율성을 변화시켜 포도당에 대한 베타 세포 인슐린 분비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혈당증 또는 저혈당증을 유발할 수 있다.[31] ''GCK'' 돌연변이는 글루코키네이스 분자의 기능적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효소 활성이 감소된 대립 유전자에서 이형접합성은 인슐린 분비에 대한 역치를 높이고 지속적이며 경미한 고혈당증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태를 2형(MODY2)이라고 한다.[32] 환자에서 관찰된 ''GCK'' 돌연변이에 대한 가장 최근의 개요에 따르면 791개의 돌연변이가 있으며, 이 중 489개가 MODY 당뇨병을 유발하여 글루코키네이스 분자의 기능적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95]

기능이 감소된 ''GCK'' 대립 유전자에 대한 동형접합성은 심각한 선천성 인슐린 결핍을 유발하여 지속적인 신생아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 어떤 돌연변이는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능 획득 돌연변이의 이형 접합성은 인슐린 분비를 유발하는 포도당 역치를 감소시킨다. 이는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인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또는 더 나이가 들어 나타나는 공복 또는 반응성 저혈당증을 포함하는 다양한 패턴의 저혈당증을 생성한다. 환자에게서 관찰된 ''GCK'' 돌연변이에 대한 가장 최근의 개요에서는 과인슐린성 저혈당증을 유발하는 17개의 ''GCK'' 돌연변이를 주장했다.[6]

기능 획득 돌연변이에 대한 동형 접합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9. 연구 동향

여러 제약 회사들이 글루코키나아제를 활성화하는 분자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1형 당뇨병[33] 및 2형 당뇨병[34][35][36]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몇몇 제약 회사에서 글루코키네이스를 활성화하는 분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자는 제2형 당뇨병 치료에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96][97][98]

참조

[1] 논문 Hypothesis: structures, evolution, and ancestor of glucose kinases in the hexokinase family 2005-04
[2] 논문 Molecular physiology of mammalian glucokinase 2009-01
[3]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4] 논문 Cloning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use ADP-dependent glucokinase 2004-03
[5]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6] 논문 Fructose is a good substrate for rat liver "glucokinase" (hexokinase D)
[7] 서적 Encyclopedia of Molecular Medicine John Wiley & Sons
[8] 논문 Banting Lecture 1995. A lesson in metabolic regulation inspired by the glucokinase glucose sensor paradigm 1996-02
[9] 논문 Sigmoidal kinetics of glucokinase
[10] 논문 Kinetics of rat liver glucokinase. Co-operative interactions with glucose at physiologically significant concentrations
[11] 논문 Regulating the cellular economy of supply and demand
[12] 논문 Pancreatic beta-cell glucokinase: closing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oncepts and experimental realities 1998-03
[13] 논문 Maintenance of the monomeric structure of glucokinase under reacting conditions
[14] 논문 Transients and cooperativity. A slow transition model for relating transients and cooperative kinetics of enzymes
[15] 논문 Regulatory Behavior of Monomeric Enzymes: 1. The Mnemonical Enzyme Concept
[16] 논문 Identification of alkaline pH optimum of human glucokinase because of ATP-mediated bias correction in outcomes of enzyme assays 2019-08
[17] 논문 Crystal structures of Escherichia coli ATP-dependent glucokinase and its complex with glucose 2004-10
[18] 논문 Structural model of human glucokinase in complex with glucose and ATP: implications for the mutants that cause hypo- and hyperglycemia 1999-09
[19] 논문 Structural basis for allosteric regulation of the monomeric allosteric enzyme human glucokinase 2004-03
[20] 논문 The amino acid sequence of rat liver glucokinase deduced from cloned cDNA 1989-01
[21] 논문 The actin fold 1995-02
[22] 논문 A polymorphic (CA)n repeat element maps the human glucokinase gene (GCK) to chromosome 7p 1992-02
[23] 논문 Human glucokinase gene: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missense mutations linked to early-onset non-insulin-depen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1992-08
[24]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25] 논문 Differential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the glucokinase gene in liver and islets of Langerhans 1989-10
[26] 논문 Transcriptional induction of glucokinase gene by insulin in cultured liver cells and its repression by the glucagon-cAMP system 1989-12
[27] 논문 Analysis of upstream glucokinase promoter activity in transgenic mice and identification of glucokinase in rare neuroendocrine cells in the brain and gut 1994-02
[28] 논문 Glucokinase (GCK) mutations in hyper- and hypoglycemia: 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 permanent neonatal diabetes, and hyperinsulinemia of infancy 2003-11
[29] 서적 "Glucokinase": Its Regulation and Role in Liver Metabolism (Molecular Biology Intelligence Unit) R G Landes
[30] 논문 Glucokinase i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insulin granules in glucose-responsive insulin secretory cells and does not translocate during glucose stimulation 2004-09
[31] 논문 Refinement of evolutionary medicine predictions based on clinical evidence for the manifestations of Mendelian diseases 2019-12
[32] 논문 Evidence-based tailoring of bioinformatics approaches to optimize methods that predict the effects of nonsynonymous amino acid substitutions in glucokinase 2017-08
[33] 웹사이트 TTP399 - VTV Therapeutics https://vtvtherapeut[...] 2021-04-08
[34] 논문 Glucokinase activators in diabetes management 2008-02
[35] 논문 Assessing the potential of glucokinase activators in diabetes therapy 2009-05
[36] 논문 A patent review of glucokinase activators and disruptors of the glucokinase--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interaction: 2011-2014 2014-08
[37] 논문 Hypothesis: structures, evolution, and ancestor of glucose kinases in the hexokinase family 2005-04
[38] 논문 Molecular physiology of mammalian glucokinase 2009-01
[39]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40] 논문 Cloning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use ADP-dependent glucokinase 2004-03
[41]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42] 서적 Encyclopedia of Molecular Medicine John Wiley & Sons
[43] 논문 Banting Lecture 1995. A lesson in metabolic regulation inspired by the glucokinase glucose sensor paradigm 1996-02
[44] 논문 Glucose-induced conformational changes in glucokinase mediate allosteric regulation: transient kinetic analysis 2006-06
[45] 논문 Pancreatic beta-cell glucokinase: closing the gap between theoretical concepts and experimental realities 1998-03
[46] 논문 Identification of alkaline pH optimum of human glucokinase because of ATP-mediated bias correction in outcomes of enzyme assays 2019-08
[47] 논문 Importance of cysteine residues for the stability and catalytic activity of human pancreatic beta cell glucokinase https://www.ncbi.nlm[...] 2000-03-15
[48] 논문 Crystal structures of Escherichia coli ATP-dependent glucokinase and its complex with glucose 2004-10
[49] 논문 Structural model of human glucokinase in complex with glucose and ATP: implications for the mutants that cause hypo- and hyperglycemia 1999-09
[50] 논문 Structural basis for allosteric regulation of the monomeric allosteric enzyme human glucokinase 2004-03
[51] 논문 The actin fold https://www.ncbi.nlm[...] 1995-02
[52] 논문 A polymorphic (CA)n repeat element maps the human glucokinase gene (GCK) to chromosome 7p 1992-02
[53] 논문 Human glucokinase gene: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missense mutations linked to early-onset non-insulin-depen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1992-08
[54]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Frontiers in Diabetes) S. Karger AG (Switzerland)
[55] 논문 Differential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the glucokinase gene in liver and islets of Langerhans 1989-10
[56] 논문 Transcriptional induction of glucokinase gene by insulin in cultured liver cells and its repression by the glucagon-cAMP system 1989-12
[57] 논문 Analysis of upstream glucokinase promoter activity in transgenic mice and identification of glucokinase in rare neuroendocrine cells in the brain and gut 1994-02
[58] 논문 Glucokinase (GCK) mutations in hyper- and hypoglycemia: maturity-onset diabetes of the young, permanent neonatal diabetes, and hyperinsulinemia of infancy 2003-11
[59] 논문 Insights into the role of neuronal glucokinase https://www.ncbi.nlm[...] 2016-01-07
[60] 논문 Immunohistochemical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glucokinase in the gonadotropes and thyrotropes of the anterior pituitary gland of rat and monkey https://www.ncbi.nlm[...] 2007-06
[61] 논문 Glucokinase, the pancreatic glucose sensor, is not the gut glucose sensor https://www.ncbi.nlm[...] 2009-01
[62] 서적 Glucokinase and glycemic disease : from basics to novel therapeutics https://www.worldcat[...] Karger 2004
[63] 논문 Evolution of hepatic glucose metabolism: liver-specific glucokinase deficiency explained by parallel loss of the gene for 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GCKR) https://www.ncbi.nlm[...] 2013
[64] 논문 Glucokinase and cytosolic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GTP) in the human liver.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in cultured hepatocytes https://www.ncbi.nlm[...] 1995-05
[65] 논문 Glucose induces the translocation of glycogen synthase to the cell cortex in rat hepatocytes https://www.ncbi.nlm[...] 1997-01-01
[66] 논문 Substrate-induced nuclear export and peripheral compartmentalization of hepatic glucokinase correlates with glycogen deposition https://www.ncbi.nlm[...] 2001
[67] 논문 Glucose 6-phosphate regulates hepatic glycogenolysis through inactivation of phosphorylase https://www.ncbi.nlm[...] 2003-06
[68] 논문 Short-term regulation of glucokinase https://www.ncbi.nlm[...] 1994-09
[69] 논문 SREBP-1c mediates the insulin-dependent hepatic glucokinase expression https://www.ncbi.nlm[...] 2004-07-16
[70] 논문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is a major mediator of insulin action on the hepatic expression of glucokinase and lipogenesis-related genes https://www.ncbi.nlm[...] 1999-10-26
[71] 논문 SREBP-1c mediates the insulin-dependent hepatic glucokinase expression https://www.ncbi.nlm[...] 2004-07-16
[72] 논문 Diminished hepatic response to fasting/refeeding and liver X receptor agonists in mice with selective deficiency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c https://www.ncbi.nlm[...] 2002-03-15
[73] 논문 A potential role for fructose-2,6-bisphosphate in the stimulation of hepatic glucokinase gene expression https://www.ncbi.nlm[...] 2004-02
[74] 논문 Roles for fructose-2,6-bisphosphate in the control of fuel metabolism: beyond its allosteric effects on glycolytic and gluconeogenic enzymes https://www.ncbi.nlm[...] 2006
[75] 논문 Transcriptional induction of glucokinase gene by insulin in cultured liver cells and its repression by the glucagon-cAMP system https://www.ncbi.nlm[...] 1989-12-25
[76] 논문 Stimulation by insulin of glucokinase gene transcription in liver of diabetic rats https://www.ncbi.nlm[...] 1988-01-15
[77] 논문 Direct recruitment of insulin receptor and ERK signaling cascade to insulin-inducible gene loci https://www.ncbi.nlm[...] 2011-01
[78] 논문 Selective Inhibition of FOXO1 Activator/Repressor Balance Modulates Hepatic Glucose Handling https://www.ncbi.nlm[...] 2017-11-02
[79] 논문 Effect of thyroid hormones on glucokinase gene transcription in rat liver https://www.ncbi.nlm[...] 1989-12-05
[80] 논문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glucokinase gene by biotin in starved rats https://www.ncbi.nlm[...] 1991-06-05
[81] 논문 Effect of retinoic acid on glucokinase activity and gene expression and on insulin secretion in primary cultures of pancreatic islets https://www.ncbi.nlm[...] 1999-07
[82] 논문 Specific inhibition of glucokinase by long chain acyl coenzymes A below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https://www.ncbi.nlm[...] 1982-11-10
[83] 서적 "Glucokinase": Its Regulation and Role in Liver Metabolism (Molecular Biology Intelligence Unit) R G Landes
[84] 논문 Structural basis for regulation of human glucokinase by 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https://www.ncbi.nlm[...] 2013-09-10
[85] 논문 Nuclear import of hepatic glucokinase depends upon 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whereas export is due to a nuclear export signal sequence in glucokinase https://www.ncbi.nlm[...] 1999-12-24
[86] 논문 Mice mutant for 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exhibit decreased liver glucokinase: a sequestration mechanism in metabolic regulation https://www.ncbi.nlm[...] 1999-12-07
[87] 논문 Isolated mouse liver mitochondria are devoid of glucokinase https://www.ncbi.nlm[...] 2005-09-02
[88] 논문 Glucose-stimulated insulin secretion: A newer perspective https://www.ncbi.nlm[...] 2013-11-27
[89] 논문 Endogenous activation of glucokinase by 6-phosphofructo-2-kinase/fructose-2,6-bisphosphatase is glucose dependent https://www.ncbi.nlm[...] 2010-10
[90] 논문 Selective insulin signaling through A and B insulin receptors regulates transcription of insulin and glucokinase genes in pancreatic beta cells https://www.ncbi.nlm[...] 2001-03
[91] 논문 The human glucokinase gene beta-cell-type promoter: an essential role of insulin promoter factor 1/PDX-1 in its activation in HIT-T15 cells https://www.ncbi.nlm[...] 1996-11
[92] 논문 Peroxisomal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upregulates glucokinase gene expression in beta-cells https://www.ncbi.nlm[...] 2002-03
[93] 논문 Glucokinase is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insulin granules in glucose-responsive insulin secretory cells and does not translocate during glucose stimulation 2004-09
[94] 논문 The Central Role of Glucokinase in Glucose Homeostasis: A Perspective 50 Years After Demonstrating the Presence of the Enzyme in Islets of Langerhans https://www.ncbi.nlm[...] 2019
[95] 논문 Evidence-based tailoring of bioinformatics approaches to optimize methods that predict the effects of nonsynonymous amino acid substitutions in glucokinase 2017-08
[96] 논문 Glucokinase activators in diabetes management 2008-02
[97] 논문 Assessing the potential of glucokinase activators in diabetes therapy 2009-05
[98] 논문 A patent review of glucokinase activators and disruptors of the glucokinase--glucokinase regulatory protein interaction: 2011-2014 201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