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긍정 심리학은 1998년 마틴 셀리그먼이 미국 심리학 협회 회장으로 임명되면서 시작된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정신 질환에 초점을 맞춘 기존 심리학에 대한 반성으로, 행복, 웰빙, 긍정적 특성, 긍정적 관계, 긍정적 제도 등을 연구한다. 주요 개념으로는 PERMA 모델, 성격 강점과 덕목, 몰입(flow) 등이 있으며, 2세대 및 3세대 긍정 심리학으로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교육, 직장,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회적 변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가 행복 지수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방법론적 한계, 문화적 편향성, 현실 왜곡, 유해한 긍정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의 학파 - 게슈탈트 심리학
게슈탈트 심리학은 막스 베르트하이머,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에 의해 창시되어 부분보다는 전체적인 구조와 조직을 강조하며 지각 현상 설명, 문제 해결, 통찰 학습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고 여러 심리학 분야와 디자인 분야에 영향을 미친 심리학 이론이다. - 심리학의 학파 - 생태심리학
생태심리학은 인간의 행동과 경험이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로저 바커의 행동 설정 연구와 제임스 J. 깁슨의 어포던스 이론을 기반으로 하며, 도시 환경 설계 및 교육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긍정심리학 - 웰빙
웰빙은 삶의 질을 포괄하는 척도로서, 긍정적 요소와 부정적 요소의 균형 또는 긍정적인 정도를 나타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목표로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웰빙 증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긍정심리학 - 감정 지능
감정 지능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사고와 행동을 이끌어내는 능력으로, 대니얼 골먼의 저서를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능력, 혼합, 특성 모델로 나뉘고 사회적 현상과 상호작용한다. - 심리학의 분과 - 진화심리학
진화심리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기반하여 인간의 심리적 적응이 자연선택과 성선택을 통해 진화해왔다고 보고, 인류의 진화적 적응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관련된 문제 해결에 특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을 강조하며, 다양한 심리학 분야에 적용되어 인간 행동을 설명하지만 유전자 결정론, 검증 어려움, 윤리적 문제 등 비판도 존재하는 학문이다. - 심리학의 분과 -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사고, 감정, 행동이 사회적 상황 및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받는 방식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로, 사회적 촉진 효과 실험을 시작으로 순응, 복종, 인지 부조화, 방관자 효과 등 다양한 이론과 개념이 발전해 왔으며, 설득, 귀인, 집단 역동, 대인 매력 등의 연구 분야를 통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긍정심리학 | |
---|---|
개요 | |
분야 | 심리학 |
유형 | 심리학적 접근 |
역사 | |
창시자 | 마틴 셀리그만 |
특징 | |
초점 | 강점, 긍정적인 감정, 웰빙, 행복, 삶의 질 |
목표 | 개인과 공동체의 번영과 긍정적인 기능 향상 |
주요 개념 | |
주관적 웰빙 | 긍정적인 정서 삶의 만족도 |
행복 | 쾌락적 행복 (hedonic well-being) 자기실현적 행복 (eudaimonic well-being) |
강점 | 성격 강점 미덕 |
긍정적인 심리 자본 | 자기 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
연구 분야 | |
긍정적인 정서 | 기쁨 감사 사랑 연민 |
긍정적인 성격 특성 | 용기 지혜 인내 |
긍정적인 사회 제도 | 가족 학교 직장 |
응용 | |
심리 치료 | 긍정 심리 치료 강점 기반 개입 |
교육 | 긍정 교육 사회정서 학습 |
조직 | 긍정 조직 리더십 개발 |
건강 | 웰빙 증진 스트레스 관리 |
비판 | |
지나친 낙관주의 | 현실 부정 및 문제 간과 |
문화적 편향 | 서구 문화 중심적 관점 |
과학적 엄밀성 부족 | 연구 방법론의 한계 |
2. 역사
긍정심리학은 1998년 마틴 셀리그먼이 미국 심리학 협회 회장으로 임명되면서 심리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시작되었다.[159]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와 크리스토퍼 피터슨은 이 흐름을 함께 연 공동 개척자로 여겨진다. 긍정심리학은 정신 질환에 초점을 맞춘 정신 분석과 행동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부정적 사고와 행동 대신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을 통해 균형 잡힌 삶을 추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셀리그먼은 긍정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최초의 긍정심리학 연구자는 아니었다.[159] 1954년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그의 저서 『인간성의 심리학』에서 '긍정 심리학'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60] 긍정심리학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칼 로저스, 에리히 프롬 등의 생각을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증명하는 측면이 있다.
셀리그먼은 학습된 무기력 연구를 통해 1975년 우울증의 무기력 모델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만들었고, 1990년대에는 낙관주의에 관한 저술을 많이 남겼다. 그는 학습된 무기력과 낙관주의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개념이며, 새로운 개념은 아니라고 말했다.[161] 1990년,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의미 있는 활동과 행복감의 관계를 다룬 『몰입 체험』을 출판했다.[160]
셀리그먼은 이전의 심리학이 질병 치료에는 노력했지만, "어떻게 하면 더 행복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충분히 연구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1998년 그는 "심리학은 인간의 약점뿐만 아니라 강점과 덕을 연구하는 학문이기도 하며, 이미 주요한 심리학적 이론은 그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미국 심리학회지(American Psychologist)는 2000년과 2001년에 긍정 심리학 특집을 실었고, 2002년에는 관련 서적도 출판되어 심리학 연구에서 주목받는 주제가 되었다.
2. 1. 고대 철학
긍정 심리학의 철학적 기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찾을 수 있다.[14]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번영, 즉 에우다이모니아(일반적으로 ''행복'' 또는 ''웰빙''으로 번역됨)를 행복과 웰빙을 얻는 수단으로서 덕 윤리 함양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고 보았다.[15]
2. 2. 주요 인물
- '''마틴 셀리그먼''': 긍정 심리학의 창시자로, 학습된 무기력과 낙관주의 연구를 통해 긍정 심리학의 토대를 마련했다.[161] 1998년 미국 심리학회 회장으로 임명되면서 긍정 심리학을 심리학의 새로운 영역으로 제시했다.[59]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몰입(flow) 이론을 통해 긍정 심리학 발전에 기여했다.[160] 1990년,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활동과 행복감의 연결에 대한 저서 『몰입 체험』을 출판했다.
- '''크리스토퍼 피터슨(Christopher Peterson (psychologist))''': 셀리그먼과 함께 '성격 강점과 덕목' 분류 체계를 개발했다.
- '''도널드 O. 클리프턴(Donald O. Clifton)''': 강점 기반 심리학을 구축하여 "긍정 심리학의 할아버지"로 불린다.
- '''앨버트 반두라''': 자기 효능 이론을 주창했다.
- '''에드워드 L. 데시 & 리처드 M. 라이언(Richard M. Ryan)''': 내재적 동기 부여 연구를 수행했다.
- '''에드 디너(Ed Diener)''': 주관적 안녕감의 삼자 모델을 발표했는데,[17] 이는 "안녕감의 세 가지 뚜렷하지만 종종 관련된 구성 요소, 즉 긍정적 정서의 빈번함, 부정적 정서의 드문 발생,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같은 인지적 평가"를 전제로 했다.[18]
- '''캐롤 드웩(Carol Dweck)''': 성장과 고정 관념에 대해 연구했다.
- '''캐롤 리프''': 심리적 안녕감의 6요인 모델을 1989년에 처음 발표했다. 이는 자기 수용,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환경 숙달, 자율성,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안녕감에 필수적이라고 가정한다.[21]
- '''바바라 프레데릭슨(Barbara Fredrickson)''': 긍정적 감정 연구를 수행했다.
-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속적 행복을 연구했다.
3. 핵심 개념 및 이론
긍정심리학은 "생명을 가장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의 과학적 연구" 또는 "생물학적, 개인적, 관계적, 제도적, 문화적, 전지구적 차원을 포함하는 여러 수준에서의 긍정적인 인간 기능과 번영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균형 있는 삶을 의미한다.[50] 긍정 심리학은 삶과 삶에 가장 기여하는 요소인 "좋은 삶"(유데모니아)에 대한 기존 가치관을 재해석하고 반성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긍정 심리학에는 인정된 "표준 이론"은 없지만, 마틴 셀리그만의 연구가 정기적으로 인용되며,[50]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연구, 류프의 심리적 웰빙의 6요인 모델, 디너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삼자 모델과 같은 더 오래된 웰빙 모델도 인용된다.
이후, 폴 웡은 제2의 긍정 심리학의 개념을 도입했다.
- 회복 탄력성: 역경에 직면해도 굳건하게 성장할 수 있는 자질[171]
- 플로우: 어떤 일에 몰두하는 상태. 현재의 일에 진심으로 열중하고 있는 상태.[169]
- 행복 적응: 행복한 상태가 되어도, 그 상태에 익숙해져서 점차 행복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
- 피크 엔드의 법칙: 어떤 일의 인상은, 최고점과 종료 시점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 다니엘 카너먼에 의한 것.
- Hardwiring Happiness: 긍정적인 것을 받아들이는 단계 "HEAL"
3. 1. PERMA 모델
마틴 셀리그만은 2011년 저서 '플로리시'(Flourish)에서 행복한 삶의 다섯 가지 요소를 PERMA 모델로 제시했다. PERMA는 긍정적 감정('''P'''ositive Emotions), 몰입('''E'''ngagement), 관계('''R'''elationships), 의미와 목적('''M'''eaning and purpose), 성취('''A'''ccomplishments)의 약자이다.[183][184]
- '''긍정적 감정''': 행복, 기쁨 외에도 고양감, 만족감, 자부심, 경외감 등 다양한 감정을 포함한다.[185] 이러한 감정은 장수, 건강한 사회적 관계 등 긍정적 결과와 연관된다.[186]
- '''몰입''': 개인의 관심사를 활용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진정한 몰입을 "플로우(flow)" 상태로 정의했는데, 이는 깊고 자연스러운 참여, 강렬한 느낌, 황홀감, 명확성이 특징이다.[183][187] 과제에 대한 열정과 집중을 통해 완전한 몰두와 자기 의식 상실을 경험한다.
- '''관계''': 긍정적 감정의 주요 원천이다.[188] 직장, 가족, 연인, 우정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긍정적 감정을 주고받으며 긍정성을 확산시킨다. 관계는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중요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강화된다.[189]
- '''의미와 목적''': "왜?"라는 질문에 답하며 삶의 모든 부분에 맥락을 제공한다. 자신보다 더 큰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 의미를 찾는 것이다.[188] 의미 있는 목표를 향한 노력은 동기 부여를 제공한다.
- '''성취''': 성공과 숙달을 추구하는 것이다. 다른 PERMA 요소와 달리, 때로는 긍정적 감정, 의미, 관계 없이도 추구된다. 그러나 성취는 자부심 등 긍정적 감정을 유발하며,[190] 개인/공동체, 즐거움/업무에 기반할 수 있다.
셀리그만의 PERMA[197][198]와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이론은 긍정 심리학의 주요 이론이며, 셀리그먼과 피터슨의 "성격 강점과 덕목 분류"는 긍정 심리학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199]
3. 2. 성격 강점과 덕목
마틴 셀리그만과 피터슨은 긍정 심리학의 방법론적 연구를 위해 "성격 강점과 덕목의 분류"(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를 제시했다.[199]'''Values in Action 강점 설문'''
『인격 강점과 미덕』(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CSV) 핸드북(2004)은 셀리그만과 피터슨이 인간의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분류하려는 최초의 시도였다. 일반 심리학의 『정신 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과 마찬가지로, CSV는 강점과 미덕을 이해하고 긍정 심리학을 위한 실용적인 적용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틀을 제공했다. 이 책은 24개의 측정 가능한 인격 강점의 기반이 되는 6가지 미덕(즉, "핵심 미덕")을 확인했다.[61]
CSV는 이 6가지 미덕이 대다수의 문화에서 역사적 기반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구축할 때 행복이 증가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6가지 미덕과 24가지 강점은 다음과 같다.
덕목 | 강점 |
---|---|
지혜와 지식 | 창의성, 호기심, 개방성, 학습에 대한 사랑, 통찰력, 혁신, 신중함 |
용기 | 용감성, 끈기, 활력, 열정 |
인간성 | 사랑, 친절, 사회적 지능 |
정의 | 시민 의식, 공정함, 리더십, 청렴, 탁월함 |
절제 | 용서와 자비, 겸손, 자기 통제 |
초월성 | 아름다움의 감상, 감사, 희망, 유머, 영성 |
이후 연구에서는 6가지 미덕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대신, 연구자들은 24가지 강점이 지적 강점, 대인 관계 강점, 절제 강점,[62] 또는 대인 관계 강점, 불굴의 의지, 활력, 신중함의 세 가지 또는 네 가지 범주로 더 정확하게 분류된다고 제안했다.[63]
3. 3. 몰입 (Flow)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1970년대에 자신의 능력이 당면한 요구에 잘 부합하는 몰입 상태인 ''플로우''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는 종종 이를 "최적의 경험"이라고 언급한다.[65] 플로우는 강렬한 집중, 자기 인식 상실, 완벽하게 도전받는다는 느낌(지루하지도 압도되지도 않음), 그리고 "시간이 날아가는" 듯한 감각으로 특징지어진다. 플로우는 본질적으로 보람이 있으며, 목표 달성(예: 게임에서 승리)이나 기술 향상(예: 더 나은 체스 선수 되기)을 도울 수도 있다.[66] 누구나 플로우를 경험할 수 있으며, 놀이, 창의성, 일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서 느낄 수 있다.플로우는 상황의 도전이 개인의 능력과 일치할 때 달성된다. 기술이 낮은 사람에게는 도전이 부적절하면 불안 상태와 압도당하는 느낌이 들고, 기술이 뛰어난 사람에게는 도전이 불충분하면 지루함이 발생한다.[66] 칙센트미하이는 도전과 기술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하여 심리적 상태를 예측했다.[74]
낮은 도전 | 높은 도전 | |
---|---|---|
낮은 기술 | 무관심 | 불안 |
높은 기술 | 이완 | 플로우 |
어린이가 읽는 책을 읽는 성인은 이완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도전은 사람이 플로우 상태에 들어가 강렬한 집중을 하는 방법에 대한 타당한 설명이다. 그러나 다른 요인도 기여한다. 예를 들어, 사람은 활동이나 도전에 참여하도록 내재적으로 동기 부여되어야 한다. 만약 그 사람이 작업에 관심이 없다면, 플로우 상태에 몰입될 가능성은 없다.[67]
플로우는 자녀 양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지향된 양육 방식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고 웰빙이 향상된 자녀를 낳는다.[68]
플로우는 학교 환경에서도 이점을 가진다. 학생들이 플로우 상태에 있을 때 완전히 몰입하여 정보 유지력이 향상된다.[69] 플로우를 경험한 학생들은 더욱 즐겁고 보람 있는 경험을 한다.[70] 이 상태는 스트레스를 줄여 학생들의 정신 건강과 웰빙에 도움이 된다.[71] 이는 회복력을 높이고 학생들에게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르침으로써 어려움이나 좌절을 극복하도록 돕는다.[72]
대부분의 교사와 부모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더 몰입하고 관심을 갖기를 원한다. 기존 교육 시스템의 설계는 그러한 요구를 충족할 수 없었다.[73] 한 학교는 PASS라는 프로그램을 시행했는데, 학생들에게 더 많은 도전과 개인적인 발전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 프로그램은 스포츠 문화를 참고하여 학생들이 몰입할 수 있는 선택 과목을 통합했다. 이러한 활동에는 자기 주도 학습, 숙련도 기반 학습, 성과 학습 등이 포함되었다.[74]
플로우는 일반적인 웰빙에 도움이 된다. 그것은 긍정적이고 내재적으로 동기를 부여하는 경험이며, "강렬한 즐거움의 감정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칙센트미하이는 개인의 성장과 발달이 행복을 생성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플로우는 개인적인 발달의 기회를 장려하기 때문에 긍정적인 경험이다.[75]
3. 4. 제2세대 긍정심리학
폴 웡(Paul Wong)은 행복과 삶의 의미를 구분짓고, 인생에서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대비하여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에 초점을 둔 제2세대 긍정심리학의 개념을 제시했다.[191] 이브찬(Ivtzan), 로마스(Lomas), 헤퍼론(Hefferon), 그리고 워스(Worth)는 긍정심리학을 긍정적 결과 또는 긍정적인 정신 건강에 대한 것이라고 재해석하며, 부정적인 감정과 비관주의를 수용하는 것의 긍정적인 결과를 탐구했다.[192] 제2세대 긍정심리학은 고통을 피하기보다는 고통의 의미를 수용하고 변형시키는 것이 더 낫다는 관점을 제시한다.[193]2016년 로마스(Lomas)와 이브찬(Itzvan)은 긍정심리학의 목표인 인간 번영이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적 상호작용을 포용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 현상은 맥락과 독립적으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것으로 결정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예시를 든다.
- '''낙관주의와 비관주의의 변증법적 관계:''' 낙관주의는 수명 연장과 연관되어 있지만, 전략적 비관주의는 더 효과적인 계획과 의사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자존감과 겸손의 변증법적 관계:''' 자존감은 웰빙과 관련이 있지만, 자존감을 추구하는 것이 우울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겸손은 낮은 자존감일 수도 있지만, 이타적인 행동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 '''용서와 분노의 변증법적 관계:''' 용서는 웰빙과 관련되어 있지만, 학대에 대해 더 관대한 사람은 장기간 학대를 받을 위험이 있다. 분노는 파괴적인 감정으로 여겨지지만, 또한 도덕적인 감정으로 부당함에 맞서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2019년 웡은 제2세대 긍정심리학의 네 가지 원칙을 제안했다.[193]
# 인생이 악과 고통으로 가득하다는 현실을 용기 있게 수용하고 대면하기
# 지속 가능한 웰빙은 고통과 삶의 어두운 면을 극복함으로써만 달성될 수 있다.
# 인생의 모든 것이 양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변증법을 통해 적응적인 균형을 이루는 것의 중요성 인식
# 원주민 심리학에서 배우기, 예를 들어 나쁜 상황에서도 깊은 기쁨을 찾는 고대의 지혜
제2세대 긍정심리학은 종종 "PP 2.0"으로 약칭된다.
3. 5. 제3세대 긍정심리학
제3세대 긍정심리학은 개인을 넘어 우리가 살아가는 그룹과 시스템을 더 깊이 탐구하는 것을 강조한다. 또한 더 많은 학제 간 연구와 다문화적 접근을 촉진하며, 다양한 방법론을 통합한다.[194]사람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경험을 보다 광범위하게 탐구하고 시스템적, 사회문화적 차원을 탐구하면서, 다음의 네 가지 요소에 초점을 둔다.[195]
4. 연구 및 적용 분야
긍정심리학은 핵심 이론과 방법론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었다. 현재 세계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 잡았으며, 여러 국가에서 시민들의 행복도를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여 추적하고 있다.
긍정심리학은 조직 행동, 긍정 교육, 정신 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110][113]
4. 1. 주관적 안녕감
1984년, 심리학자 에드 디너는 주관적 안녕감의 삼자 모델을 발표했는데,[17] 이는 "안녕감의 세 가지 뚜렷하지만 종종 관련된 구성 요소, 즉 긍정적 정서의 빈번함, 부정적 정서의 드문 발생,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같은 인지적 평가"를 전제로 했다.[18] 이 모델에서 인지, 정동, 그리고 맥락적 요인들이 주관적 안녕감에 기여한다.[19] 디너와 수에 따르면, 주관적 안녕감은 "각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가 중요하다는 생각에 기반한다."[20]4. 2. 심리적 안녕감
캐롤 리프는 1989년에 심리적 안녕감의 6요인 모델을 처음 발표했다. 이 모델은 자기 수용, 개인적 성장, 삶의 목적, 환경 숙달, 자율성,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안녕감에 필수적이라고 가정한다.[21]4. 3. 사회적 기여
긍정 심리학은 교육, 직장, 정신 건강, 사회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사회적 변화와 발전에 기여한다.1.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학교와 교육 기관에서 긍정 심리학 원리를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정서적 회복력, 사회적 기술, 자기 효능감 등을 가르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긍정적인 자기 개념과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배울 수 있다. 미국의 '긍정 심리학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정서적 회복력, 자기 효능감, 사회적 기술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캐롤라인 심슨의 ‘성공적 삶의 기술’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감정 관리와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교육한다.[199]
2. 직장 내 웰빙 증진: 기업과 조직에서 직원들의 웰빙을 증진하기 위해 긍정 심리학 기반의 웰빙 프로그램과 워크숍을 운영한다. 긍정적인 피드백, 강점 기반의 경영, 직무 만족도를 높이는 활동을 통해 직원들의 동기 부여와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과 같은 기업들은 직원들의 웰빙을 증진하기 위해 긍정 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들 기업은 직원들에게 감정적인 지지와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며,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심리적 강점 개발과 경력 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 정신 건강 지원: 정신 건강 치료와 상담에서 긍정 심리학 원리를 적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인다. 예를 들어, 감사 일기 쓰기, 긍정적 경험 강화, 강점 중심 접근법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한다. 긍정 심리치료는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를 치료하는 데 긍정 심리학 원리를 적용한다. 긍정 심리치료는 개인의 강점을 발휘하고, 감사와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증진시키는 방법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인다.[113]
4. 사회적 연대와 지원: 지역 사회와 공동체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조직한다. 예를 들어, 자원봉사,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구축, 공동체 행사 등을 통해 사회적 연결과 지원을 강화한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긍정 심리학의 원리를 실천에 옮기고,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긍정 심리학은 조직 행동, 긍정 교육, 정신 의학 등 다른 학문 분야와 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110][113]
4. 4. 국가 행복 지수
긍정 심리학의 발전과 함께, 여러 국가에서 국민의 행복도를 측정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 1월, 심리학자 에드 디너는 ''American Psychologist''에 게재된 논문에서 미국에 국가 행복 지수를 만들 것을 제안했다.[98] 그는 이 지수가 인구의 행복을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가 될 것이며, 현재 행복도를 파악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98]2012년에는 유엔 총회에서 세계 행복 보고서가 처음 발간되었다.[99] 이는 2011년 6월 부탄 결의안의 통과와 함께 시작되었는데, 이 결의안은 전 세계 국가들이 사회 경제 발전을 달성하고 측정하는 데 있어 행복과 웰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도록 촉구했다.[99] 세계 행복 보고서는 각 국가의 구성원들이 스스로 얼마나 행복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국가 순위를 매긴다. 데이터는 갤럽 세계 여론 조사의 삶의 평가 및 연례 행복 순위를 통해 수집된다.
2020년 세계 행복 보고서는 156개국의 순위 외에도 전 세계 도시의 행복 순위를 처음으로 포함했다. 헬싱키는 주관적 웰빙 순위가 가장 높은 도시로,[101] 핀란드는 주관적 웰빙 순위가 가장 높은 국가로 보고되었다.[102] 보고서는 환경 조건, 사회 조건, 도시-농촌 행복 격차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기반으로 행복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99] 또한 북유럽 국가가 세계 행복 보고서에서 지속적으로 상위 10위 안에 드는 이유로 고품질 정부 혜택, 시민에 대한 보호, 복지 혜택, 잘 운영되는 민주적 제도, 사회적 관계, 유대감 및 신뢰 등을 제시했다.[103]
이 외에도 갤럽 글로벌 감정 보고서,[104] 쉐어케어 커뮤니티 웰빙 지수,[105] 글로벌 행복 위원회의 글로벌 행복 및 웰빙 정책 보고서,[106] 해피 플래닛 지수,[107] OECD 더 나은 삶 지수,[108] 유엔 인간 개발 보고서[109] 등 다양한 국가 웰빙 지수 및 보고서가 존재한다.
국제 연합은 긍정 심리학자 일로나 보니웰 등에게 의뢰하여, 국민총행복(GNH)으로 알려진 부탄의 정책을 다른 선진국에 응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했다.[170]
5. 한계 및 비판
긍정심리학은 여러 측면에서 비판을 받아왔다. 주요 비판은 다음과 같다.
- 이론 및 개념적 사고 부족: 긍정심리학이 적절한 이론화와 개념적 사고가 부족하고, 유사 과학으로 여겨진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43]
- 측정 및 방법론적 문제: 측정 및 방법론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증거가 부족하고 재현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있다.[143]
- 참신성 부족 및 고립: 참신성이 부족하고 주류 심리학으로부터 스스로 고립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43]
- 부정적 영향: 해악을 초래하는 탈맥락적 신자유주의 이념이자 자본주의적 사업이라는 비판이 있다.[143]
이러한 비판들은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현실 왜곡: 셸리 E. 테일러와 조나단 D. 브라운이 만든 긍정적 착각이라는 용어는 사람들이 자신, 자신의 위치 또는 환경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는 극도의 낙관주의 태도로 이어져 심리적 부적응, 자기애, 부정적 직장 결과, 관계 악화 등을 초래할 수 있다.[132]
- 방법론적 한계: 긍정심리학 연구는 상관관계 및 횡단적 연구 설계에 의존하여 인과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어렵다. 또한 감정의 복잡성을 간과하고, 개인차를 무시하며, 감정 측정의 타당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141] 리처드 라자루스는 감정이 주관적이며 사회적/관계적 의미가 풍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특성을 지니는데, 긍정심리학이 이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141]
- 문화적 편향성: 초기 연구는 주로 서구, 교육받은, 산업화된, 부유한, 민주적인(WEIRD)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어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또한, 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53]
- 적용의 한계: 긍정심리학은 우울하거나 불행한 사람들의 실제 문제를 외면하고, 과거 사고방식을 되풀이하며, 효능을 뒷받침할 과학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144] 잭 마틴은 긍정심리학이 자기 통제에 대한 초점 부족으로 인해 아이들이 사회에 완전히 기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35]
5. 1. 현실 왜곡
셸리 E. 테일러와 조나단 D. 브라운은 1988년 긍정적 착각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31] 긍정적 착각은 사람들이 자신, 자신의 위치 또는 환경에 대해 비현실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사실과 현실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극도의 낙관주의 태도이다.테일러와 브라운은 긍정적 착각이 부정적인 피드백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여 심리적 적응과 주관적 웰빙을 보존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긍정적 착각 및 관련 태도가 더 나쁜 사회적 관계, 자기애의 표현, 부정적인 직장 결과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상태로 이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여,[132] 긍정적 착각이 주관적 웰빙, 전반적인 행복,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감소시켰다.
인본주의 심리학 저널의 편집자 커크 J. 슈나이더는 높은 긍정성이 현실을 왜곡하는 긍정적 착각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를 지적했다. 높은 긍정성은 사람을 심리적 성장을 할 수 없게 만들고, 자기 성찰을 할 수 없게 만들며, 인종적 편견을 갖기 쉽게 할 수 있다. 반대로, 가벼운 정도에서 중간 정도의 우울증에서 나타나는 부정성은 현실 왜곡이 적은 것과 관련이 있다. 슈나이더는 갈등에 참여하고, 죄책감과 같은 특정 부정적인 감정을 포함하여 적절한 부정성을 인정하는 것이 번영을 더 잘 증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133]
보든 칼리지 교수인 바바라 S. 헬드는 긍정 심리학에 결함이 있다고 주장한다. 부정적인 부작용, 긍정 심리학 운동 내부의 부정성, 그리고 긍정 심리학에 대한 심리학자들의 상반된 의견으로 인해 심리학 분야가 분열된 점 등을 지적한다.[134]
긍정 심리학에 대한 한 가지 비판적인 반응은 "유해한 긍정"과 관련이 있다.[137] 유해한 긍정이란 사람들이 분노와 슬픔을 포함한 인간 감정의 전체 스펙트럼을 완전히 인지하거나 처리하거나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138] 이러한 종류의 비판은 긍정 심리학이 "낙관적인 사고"에 지나치게 많은 중요성을 부여하고, 도전적이고 어려운 경험은 외면한다고 주장한다.[139]
5. 2. 방법론적 한계
리처드 라자루스는 긍정 심리학의 방법론과 철학적 구성 요소를 비판했다. 그는 긍정적인 측면에 더 많은 세부 사항과 통찰력을 부여하는 것은 좋지만, 부정적인 측면을 희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의 비판은 다음과 같다.[141]- 긍정 심리학이 인과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상관관계 및 횡단적 연구 설계는 긍정 심리학의 개념과 건강한 삶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줄 수는 있지만, 관찰된 차이를 설명하는 다른 요인과 시간 차이를 숨길 수 있다.
- 감정은 이분법적으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것으로 분류될 수 없다. 감정은 주관적이며 사회적/관계적 의미가 풍부하다. 감정은 유동적이어서, 감정이 나타나는 맥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 라자루스는 "모든 감정은 다른 경우, 심지어 동일한 경우에도 한쪽 또는 다른 쪽, 또는 둘 다가 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말한다.[141]
- 대부분의 사회 과학 연구에서 개인차가 간과된다. 많은 연구 설계는 사람들 간의 차이점을 간과하면서 그룹의 통계적 유의성에 초점을 맞춘다.
- 사회 과학 연구자들은 감정을 적절하게 정의하고 측정하는 데 소홀한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평가는 빠른 체크리스트이며 적절한 사후 보고를 제공하지 않는다. 많은 연구자들은 유동적인 감정 상태와 비교적 안정적인 성격 특성을 구분하지 않는다.
라자루스는 긍정 심리학이 새롭고 혁신적이라고 주장하지만, 스트레스와 대처 이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긍정 심리학과 많은 주장을 공유한다고 주장한다. 긍정 심리학은 삶의 긍정적인 측면을 고양하고 강화하려 하지만, 모든 사람은 삶에서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사건을 극복하는 것은 실패에 적응하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성공적으로 헤쳐나가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긍정 심리학은 그러한 관점을 유지하지 않는다.
긍정 심리학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그것이 유럽 중심적인 세계관에서 발전했다는 것이다. 교차성은 긍정 심리학 내 연구와 관련된 방법론적 문제로 대두되었다.[142]
2022년에 수행된 문헌 검토에서는 개념적 사고의 부족, 문제적 측정, 결과의 부실한 재현, 주류 심리학으로부터의 자기 고립, 탈맥락화, 자본주의에 이용되는 점 등 이 분야에 대한 몇 가지 비판을 언급했다.[143]
5. 3. 문화적 편향성
긍정심리학은 역사적으로 연구 대상과 이론적 틀 모두에서 인구 통계학적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긍정 심리학의 초기 연구는 주로 서구, 교육받은, 산업화된, 부유한, 민주적인(WEIRD) 집단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인구 통계학적 집단에 대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153] 최근 연구에서는 긍정 심리학적 중재가 다양한 집단에 적용 가능하고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더 광범위한 문화적, 사회 경제적 배경을 포괄하는 보다 포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문화적 민감성은 긍정 심리학에 매우 중요하지만, 문화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주관적 웰빙과 성격 강점과 같은 긍정 심리학의 원칙은 모든 문화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되거나 동일하게 가치를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개인보다 집단의 웰빙을 우선시하므로 PERMA 모델과 같은 프레임워크는 이러한 가치를 반영하도록 수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긍정 심리학적 중재의 적용 가능성을 전 세계적으로 검증하고 문화적으로 적절한 관행과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더 많은 상호 문화 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154]
5. 4. 적용의 한계
2003년, 이언 샘플은 "긍정 심리학자들은 우울하거나 불행한 사람들조차 해결해야 할 실제 문제가 있다는 것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기도 한다"라고 언급했다.[144] 그는 조지 워싱턴 대학교의 임상 정신과 의사인 스티븐 월린의 말을 인용하며, 긍정 심리학 연구는 과거의 사고방식을 되풀이하는 것에 불과하며, 이 방법의 효능을 뒷받침할 만한 과학적 연구가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심리학 연구원 셸리 게이블은 긍정 심리학이 심리학의 한 측면, 특히 연구가 부족했던 측면에 균형을 가져다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녀는 인지 심리학, 건강 심리학, 사회 심리학에서 부정적인 심리적 안녕에 대한 연구를 선호하는 불균형을 지적한다.
심리학자 잭 마틴은 긍정 심리학이 정서적 안녕에 대한 낙관적인 접근 방식에서 독창적인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며, 상담 및 교육 심리학과 같은 다른 형태의 심리학 역시 긍정적인 인간의 성취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145] 그는 긍정 심리학이 학교가 학생 중심적이고 아이들의 긍정적인 자아상을 키울 수 있도록 밀어붙이지만, 자기 통제에 대한 초점 부족은 아이들이 사회에 완전히 기여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긍정 심리학이 올바르게 구현되지 않으면, 좋음보다 더 많은 해를 끼칠 수 있는데, 학교에서의 개입이 강압적이고(어린이의 부정적인 이유를 고려하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강요하는 의미에서) 각 학생의 상황을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135]
참조
[1]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2024-06-29
[2]
논문
What (and why) is positive psychology?
[3]
웹사이트
Quality of Life
https://www.britanni[...]
2020-05-06
[4]
서적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McGraw-Hill
2007
[5]
웹사이트
The 5 Founding Fathers and A History of Positive Psychology
https://positivepsyc[...]
2015-02-12
[6]
Youtube
Jordan Peterson explains Rogers' concept of 'incongruence'
https://www.youtube.[...]
2019-04-29
[7]
논문
[8]
논문
The Meaning of Eudemonia in Aristotle's Ethics
https://web.archive.[...]
[9]
논문
Loving-kindness meditation slows biological aging in novices: Evidence from a 12-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019-10
[10]
논문
Religion, Spirituality, and Positive Psychology in Adulthood: A Developmental View
2010-12
[11]
논문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2005-07
[1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3]
서적
The Positive Psychology of Buddhism and Yoga
2000
[14]
서적
Nicomachean Ethics
[15]
논문
Practical Wisdom: Aristotle meets Positive Psychology
2006-09
[16]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Happiness
2024
[17]
논문
Subjective well-being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013
[19]
논문
Cognitive, affective and contextual predi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20]
서적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MIT Press
2000
[21]
뉴스
Carol Ryff's Mod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x Criteria of Well-Being
https://livingmeanin[...]
2014-12-04
[22]
논문
Keyes's model of mental health with personal growth initiative as a parsimonious predictor.
[23]
논문
The Mental Health Continuum: From Languishing to Flourishing in Life
[24]
논문
Revisiting the Empirical Distinction Between Hedonic and Eudaimonic Aspects of Well-Being Using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15-10-23
[25]
논문
[26]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7]
서적
Motivation and Personality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28]
간행물
[29]
서적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https://archive.org/[...]
Free Press
[30]
서적
Motivation and Psychology
[31]
서적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https://archive.org/[...]
Wadsworth Publishing
[32]
웹사이트
Master of Applied Positive Psychology {{!}} Penn LPS
https://www.lps.upen[...]
2024-01-31
[33]
웹사이트
Harvard Course on Positive Psychology: Watch 30 Lectures from the University's Extremely Popular Course
https://www.opencult[...]
2017-08-15
[34]
웹사이트
First World Congress on Positive Psychology Kicks Off Today With Talks by Two of the World's Most Renowned Psychologists
http://www.reuters.c[...]
2009-06-18
[35]
서적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Flourishing
Wadsworth Cengage Learning
[36]
논문
Living the good life: A meta-analysis of authenticity, well-being and engagement
2020-01
[37]
논문
Positive Psychology and Physical Health: Research and Applications
2016-05
[38]
논문
Which Character Strengths Are Most Predictive of Well-Being?
https://blogs.scient[...]
2015-08-02
[39]
웹사이트
Positive Psychology Center
https://ppc.sas.upen[...]
[40]
뉴스
Does the future hold the key to happiness?
https://www.theguard[...]
2017-06-09
[41]
논문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2000
[42]
논문
Positive psychology: Evolution,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present growth
2016-12
[43]
웹사이트
Happiness
https://plato.stanfo[...]
2011-07-06
[44]
논문
Quality of Life, Physical Diseases, and Psychological Impairment among Survivors 3 Years after Wenchuan Earthquake: A Population Based Survey
2012-08-21
[45]
웹사이트
Positive Emotions: A List of 26 Examples + Definition in Psychology
https://positivepsyc[...]
2021-07-01
[46]
웹사이트
Happiness and Positive Psychology
https://www.aipc.net[...]
2021-07-01
[47]
웹사이트
Our Mission
https://ppc.sas.upen[...]
2022-04-07
[48]
논문
Positive Psychology
2009
[49]
서적
A primer in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0]
웹사이트
The Father of Positive Psychology and His Two Theories of Happiness
https://www.huffingt[...]
2018-02-19
[51]
간행물
Science of Happiness: New Research on Mood, Satisfaction
http://www.time.com/[...]
2011-02-07
[52]
논문
Be Happy in your Work: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y in Working with Change and Performance
2016-01-02
[53]
웹사이트
The World Question Center 2011
http://www.edge.org/[...]
Edge.org
2011-02-07
[54]
서적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Free Press
[55]
웹사이트
Martin Seligman & Positive Psychology
https://www.pursuit-[...]
2022-04-08
[56]
웹사이트
Flow, the secret to happiness
https://www.ted.com/[...]
2008-10-23
[57]
웹사이트
Other People Matter
https://www.psycholo[...]
2012-10-10
[58]
웹사이트
Using Positive Psychology in Your Relationships
https://health.usnew[...]
2009-06-24
[59]
서적
Positive Psychology
2022
[60]
웹사이트
The Science of a Happy Startup
http://awesomecultur[...]
2011-09-13
[61]
서적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2]
논문
The structure of virtue: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dimensionality of the virt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63]
논문
Character strengths and well-being in Croati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structure and correlates
[64]
서적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hink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5]
서적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Joosr Ltd
2016
[66]
서적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 Row
[67]
서적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논문
Flourishing families: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on parental flow, engagement, meaning and hope
2019-09-25
[69]
서적
Flow and the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2014
[70]
논문
How achievement goals affect students' well-being and the relationship model between achievement goals, academic self-efficacy and affect at school
2022-01-27
[71]
논문
Flow Experience and Autotelic Personality in Japanese College Students: How do they Experience Challenges in Daily Life?
2004
[72]
논문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2007
[73]
서적
Making Learning Flow: instruction and assessment strategies that empower students to love learning and reach new levels of achievement
Solution Tree Press
[74]
서적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in Schools
Routledge
[75]
서적
Flow and the Found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2014
[76]
논문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2011-08
[77]
논문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Positive–Negative Dialectics of Wellbeing
2016-08
[78]
논문
Positive psychology 2.0: Towards a balanced interactive model of the good life.
2011-05
[79]
서적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 Embracing the Dark Side of Life
Routledge & CRC Press
[80]
논문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s (PP 2.0) contribution to counselling psychology
2019-10-02
[81]
논문
Third wave positive psychology: broadening towards complexity
2021-09-03
[82]
논문
Systems informed positive psychology
2020-11
[83]
웹사이트
What is Positive Education, and How Can We Apply It? (+PDF)
https://positivepsyc[...]
2020-02-24
[84]
논문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85]
논문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86]
논문
How WEIRD are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bibliometric 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n the science of well-being
https://research.utw[...]
[87]
논문
Positive orientation and interpersonal styles
2016-08
[88]
논문
The Effects of a Character Strength Focused Positive Psychology Course on Undergraduate Happiness and Well-Being
2021-01
[89]
논문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in breast cancer. A systematic review: Positive interventions in breast cancer
2014-01
[90]
논문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on well-being and distress in clinical samples with psychiatric or somatic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2
[91]
서적
Oxford handbook of methods in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92]
논문
The promise of qualitative inquiry for positive psychology: Diversifying methods
2017-05-04
[93]
논문
Pursuing Happines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le Change
2005-06
[94]
논문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95]
논문
An Upward Spiral Between Gratitude and Humility
https://escholarship[...]
2014-09
[96]
논문
Awe Expands People's Perception of Time, Alters Decision Making, and Enhances Well-Being
2012-10
[97]
논문
Self-Reported Mindfulness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editat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2011
[98]
논문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a national index.
2000
[99]
웹사이트
World Happiness Report 2023
https://worldhappine[...]
[100]
서적
World Happiness Report
Earth Institute, Columbia University
2012
[101]
웹사이트
Cities and Happiness: A Global Ranking and Analysis
https://worldhappine[...]
2020-03-20
[102]
웹사이트
Finland crowned world's happiest country for third year running
https://www.independ[...]
2020-03-20
[103]
웹사이트
The Nordic Exceptionalism: What Explains Why the Nordic Countries Are Constantly Among the Happiest in the World
https://worldhappine[...]
2020-03-20
[104]
웹사이트
Gallup Global Emotions Report
https://www.gallup.c[...]
[105]
웹사이트
Community Well-Being Index
https://wellbeingind[...]
[106]
웹사이트
Global Happiness Policy Report
https://www.happines[...]
2020-11-29
[107]
웹사이트
Happy Planet Index
https://happyplaneti[...]
2020-11-29
[108]
웹사이트
OECD Better Life Index
https://www.oecdbett[...]
2020-11-29
[10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s
https://hdr.undp.org[...]
2020-11-29
[110]
서적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https://books.google[...]
Berrett-Koehler Publishers
[11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1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13]
서적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John Wiley & Sons
[114]
논문
Positive psychotherapy.
2006-11
[115]
논문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2009-05
[116]
논문
Feasibility and utility of positive psychology exercises for suicidal inpatients
2014-01
[117]
서적
Positive Psychiatry: A Casebook
American Psychiatric Pub
2018
[118]
서적
From Depression to Happiness: A Positive Psychiatry Prescription for Life After Depressio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9
[119]
논문
Theoretical Applications of Positive Psychology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120]
서적
Positive psychology in a nutshell: the science of happiness
McGraw-Hill Education
[121]
서적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Penguin Press
[122]
서적
Stumbling on happiness
A.A. Knopf
2006
[123]
기타
Happy
Emotional Content, Iris Films, Wadi Rum Films
2011
[124]
웹사이트
The Positive Psychology Movie Awards for 2018
https://positivepsyc[...]
2020-11-29
[125]
웹사이트
Positive Psychology Movies and Other Media
https://www.viachara[...]
[126]
웹사이트
Wellness Economy Data Series
https://globalwellne[...]
2023-08-08
[127]
웹사이트
Coca-Cola Really Does Sell Happiness
http://psychologyofw[...]
2020-11-30
[128]
웹사이트
About
https://pocky.com/ab[...]
[129]
서적
Delivering happiness: a path to profits, passion, and purpose
Business Plus
[130]
웹사이트
Arrow or Smile: What Message Is Hidden in Amazon Logo?
https://www.logaster[...]
2020-11-30
[131]
논문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1988
[132]
뉴스
Positive Illusions and Positive Psychology: Do Positive Illusions Foster Mental Health?
http://positivepsych[...]
2020-11-29
[133]
뉴스
Toward a Humanistic Positive Psychology: Why Can't We Just Get Along?
https://www.psycholo[...]
2020-11-29
[134]
논문
The Negative Side of Positive Psychology
2004-01
[135]
논문
Contextual Positive Psychology: Policy Recommendations for Implementing Positive Psychology into Schools
[136]
논문
'You got thi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oxic positivity as a discursive construct on Facebook
2022-04
[137]
기타
[138]
웹사이트
Toxic Positivity: Don't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https://www.psycholo[...]
2020-11-29
[139]
웹사이트
When does a good attitude become toxic positivity?
https://www.cnn.com/[...]
2020-11-29
[140]
기타
[141]
논문
Does the Positive Psychology Movement Have Legs?
2003-04
[142]
논문
Claiming the role of positive psychology in the fight against prejudice
2023-01-02
[143]
논문
The critiques and criticisms of positive psychology: A systematic review
[144]
웹사이트
How to be happy
https://www.theguard[...]
2003-11-19
[145]
논문
Sel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A Cautionary Tale of Positive Psychology in Action
2006-07
[146]
웹사이트
Positive Psychology Goes to War
https://www.chronicl[...]
2021-06-07
[147]
서적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Simon & Schuster
[148]
웹사이트
Strong in mind and body
https://www.apa.org/[...]
2009-12
[149]
논문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S Army's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program
https://www.research[...]
[150]
논문
The Dark Side of 'Comprehensive Soldier Fitness'
2011-03-24
[151]
웹사이트
Magical Thinking on Positive Psychology: The field's founder can't see past his own hype
https://www.chronicl[...]
2021-07-22
[152]
웹사이트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logy: Setting the record straight
https://www.chronicl[...]
2021-07-14
[153]
논문
The weirdest people in the world?
https://www2.psych.u[...]
2010-06
[154]
논문
Positive cross-cultural psychology: Exploring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constructions and experiences of wellbeing
2015-12-17
[155]
논문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measuring well-being in students: Application of the PERMA framework
2015-05-04
[156]
논문
Beyond Money: Toward an Economy of Well-Being
2004-07
[157]
논문
A Framework for the Adapt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North American Indigenous Populations
2021-10
[158]
논문
The critiques and criticisms of positive psychology: a systematic review
2024-03-03
[159]
웹사이트
The 5 Founding Fathers and A History of Positive Psychology(5人の創始者たちとポジティブ心理学の歴史)
https://positivepsyc[...]
[160]
서적
心理学大図鑑
三省堂
2013
[161]
서적
학습性無力感-パーソナル・コントロールの時代をひらく理論
二瓶社
2000
[162]
웹사이트
震災後の日本における宗教的ミニストリーの理論と実践 » 第3回 A-1研究会 脳神経科学とポジティブ心理学
http://www.tci.ac.jp[...]
[163]
간행물
ポジティブ心理学入門
プレジデント
2009-11
[164]
간행물
寿命は気から。ポジティブな人は長生き
http://hslab.sfc.kei[...]
慶應ヘルスサイエンスニューズレター
[165]
논문
Happy People Live Longer: Subjective Well-Being Contributes to Health and Longevity
[166]
뉴스
Happy? You may live 35% longer, tracking study suggests
http://yourlife.usat[...]
USA Today
2011-11-01
[167]
웹사이트
Why bother to improve happiness?
http://www.centrefor[...]
[168]
웹사이트
Positive Psychology: Harnessing the power of happiness, mindfulness, and inner strength
https://www.health.h[...]
2022-07-26
[169]
서적
幸せがずっと続く12の行動習慣
日本実業出版社
2012
[170]
웹사이트
イローナ・ボニウェル『ポジティブ心理学が1冊でわかる本』紹介ページ
http://www.kokusho.c[...]
국서간행회
[171]
서적
ポジティブ心理学入門 「よい生き方」を科学的に考える方法
春秋社
2012
[172]
웹인용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2024-06-29
[173]
저널
What (and why) is positive psychology?
[174]
웹인용
Quality of Life
https://www.britanni[...]
2020-05-06
[175]
서적
Happier: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07
[176]
웹인용
The 5 Founding Fathers and A History of Positive Psychology
https://positivepsyc[...]
2022-12-06
[177]
웹인용
Jordan Peterson explains Rogers' concept of 'incongruence'
https://www.youtube.[...]
2019-04-29
[178]
저널
[179]
저널
The Meaning of Eudemonia in Aristotle's Ethics
[180]
저널
Loving-kindness meditation slows biological aging in novices: Evidence from a 12-week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www.scienced[...]
2019-10-01
[181]
저널
Religion, spirituality, and positive psychology in adulthood: A developmental view
[182]
저널
Positive Psychology Progress: Empirical Validation of Interventions
[183]
웹인용
The Father of Positive Psychology and His Two Theories of Happiness
https://www.huffingt[...]
2018-02-19
[184]
웹인용
The World Question Center 2011
http://www.edge.org/[...]
Edge.org
2011-02-07
[185]
서적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https://archive.org/[...]
Free Press
[186]
웹인용
Martin Seligman & Positive Psychology
https://www.pursuit-[...]
2022-04-08
[187]
웹인용
Flow, the secret to happiness
https://www.ted.com/[...]
2008-10-23
[188]
인용
Positive psychology and wellbeing
http://dx.doi.org/10[...]
Routledge
2024-03-15
[189]
웹인용
Using Positive Psychology in Your Relationships
https://health.usnew[...]
2009-06-24
[190]
웹인용
The Science of a Happy Startup
http://awesomecultur[...]
2011-09-13
[191]
저널
Positive psychology 2.0: Towards a balanced interactive model of the good life
https://psycnet.apa.[...]
[192]
서적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 Embracing the Dark Side of Life
Routledge & CRC Press
[193]
저널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s (PP 2.0) contribution to counselling psychology
https://psycnet.apa.[...]
[194]
저널
Third wave positive psychology: broadening towards complexity
https://www.tandfonl[...]
2021-09-03
[195]
저널
Second Wave Positive Psychology: Exploring the Positive–Negative Dialectics of Wellbeing
http://roar.uel.ac.u[...]
[196]
웹인용
What is Positive Education, and How Can We Apply It? (+PDF)
https://positivepsyc[...]
2024-03-18
[197]
문서
In Flourish (2011) Seligman argued that the last category of his proposed three kinds of a happy life, "meaningful life", can be considered as 3 different categories. The resulting acronym is PERMA: Positive Emotions,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purpose, and Accomplishments. e/the-father-of-positive-ps_b_7600226.html The Father of Positive Psychology and His Two Theories of Happiness
[198]
웹인용
The World Question Center 2011— Page 2
http://www.edge.org/[...]
Edge.org
2011-02-07
[199]
문서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1st Edition by Christopher Peterson (Author), Martin Seligman (Author))https://www.amazon.com/Character-Strengths-Virtues-Handbook-Classification/dp/01951670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