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주의 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본주의 심리학은 인간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며, 1960년대 초에 등장한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스키너의 행동주의에 대한 반발로 시작되었으며, 칼 로저스, 에이브러햄 매슬로, 롤로 메이 등이 주요 이론가로 활동했다. 주요 개념으로는 자기 실현, 진정성, 공감,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등이 있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잠재력을 중요하게 여긴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상담 및 심리 치료, 사회 복지, 조직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의 학파 - 게슈탈트 심리학
게슈탈트 심리학은 막스 베르트하이머, 쿠르트 코프카, 볼프강 쾰러에 의해 창시되어 부분보다는 전체적인 구조와 조직을 강조하며 지각 현상 설명, 문제 해결, 통찰 학습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고 여러 심리학 분야와 디자인 분야에 영향을 미친 심리학 이론이다. - 심리학의 학파 - 긍정심리학
긍정심리학은 삶의 가치를 높이는 요인들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으로, 긍정적인 감정, 개인의 강점, 사회 제도 등을 연구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이론적 기반과 방법론, 문화적 차이에 대한 고려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인본주의 심리학 | |
|---|---|
| 인간성 심리학 개요 | |
| 주요 인물 | 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클라크 무스타카스 제임스 부겐탈 롤로 메이 시드니 주라드 어빈 얄롬 스탠리 크라크너 커크 슈나이더 마이클 커즌즈 모리스 버먼 |
| 역사적 맥락 | |
| 기원 | 1960년대 초 미국 |
| 발전 배경 | 정신분석학에 대한 불만 행동주의 심리학에 대한 불만 |
| 이론적 기반 | |
| 주요 개념 | 자아실현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실존주의 주관적 경험 개인의 자유와 책임 전인적 접근 |
| 응용 분야 | |
| 심리 치료 | 인간중심 치료 실존 치료 게슈탈트 치료 경험적 치료 |
| 교육 | 학생 중심 학습 개방 교육 |
| 조직 개발 | 인간 관계 훈련 팀 빌딩 |
| 기타 | 예술 치료 개인 성장 워크숍 |
| 비판 | |
| 비판 내용 | 과학적 엄격성 부족 문화적 편향 가능성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비판 |
| 영향 | |
| 심리학 분야 | 긍정심리학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실존주의 철학 현상학 개인 심리학 전인주의 |
2. 역사

실존주의와 현상학 철학 또한 인본주의 심리학에 영감을 주었다.[12] 인본주의 심리학은 1960년대 초에 기원을 두지만, 인본주의의 기원은 중국,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들의 가치는 유럽 르네상스 시대에 갱신되었다.[11] 현대 인본주의적 접근 방식은 현상학적 및 실존주의적 사상 (키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참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4] 동양 철학과 심리학, 유대-기독교적 인격주의 철학 또한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 인격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로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베르자예프, 에마뉘엘 무니에, 가브리엘 마르셀, 드니 드 루주몽, 자크 마리탱, 마르틴 부버, 에마뉘엘 레비나스, 막스 셸러, 카롤 보이티와 등이 있다.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 연구에서 발전한 행동주의는 존 B. 왓슨과 B. F. 스키너의 이름과 관련된 미국의 학문적 심리학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행동주의를 "제1의 힘"이라고 명명했다. 행동 이론은 아서 스타츠,[13] 스티븐 헤이즈,[14]등의 이론가들을 통해 발전하여, 임상 행동 분석은 불안 장애 치료,[15] 기분 장애, 심지어 성격 장애[16]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2의 힘"은 알프레드 아들러, 에릭 에릭슨, 카를 융, 에리히 프롬, 카렌 호나이, 멜라니 클라인, 해리 스택 설리번,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같은 심리학자들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 나왔다.[17] 매슬로는 "제3의 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신분석의 차갑고 거리감 있는 접근 방식과 결정론적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했다.[18]
1930년대 후반, 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클라크 무스타카스 등은 자아, 자기 실현, 건강, 희망, 사랑, 창의성 등 인간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탈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인적 자본의 특징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에 헌신하는 전문 협회를 설립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은 1964년 제임스 부겐탈의 기사에서 처음 명시된[19] 다섯 가지 핵심 원리로 요약되었으며, 톰 그리닝에 의해 수정되었다.[20][21]
인본주의 심리학의 다섯 가지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인간은 그 부분을 합한 것 이상이며, 구성 요소로 축소될 수 없다.
# 인간은 우주적 생태계뿐만 아니라 독특한 인간적 맥락에서 존재한다.
# 인간은 인지하고 있으며,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즉, 그들은 의식적이다.
# 인간은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책임을 져야 한다.
# 인간은 의도적이며,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미래 사건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의미, 가치 및 창의성을 추구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미국 심리학 협회 내의 특정 부서(32부)[22]이지만, 심리학 내의 ''분야''라기보다는 심리적 연구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조건에 대한 ''관점''이다.
2. 1. 형성 배경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 분석 이론과 스키너(B.F. Skinner)의 행동주의(Behaviorism)의 한계에 대한 응답으로, 20세기 중반에 인본주의 심리학이 주요하게 언급되었다.[93][94] 이는 심리학의 제3세력으로 불리기도 한다. 소크라테스에서 르네상스 그리고 현상학 등을 거쳐 뿌리를 내리는 이 접근 방식은 자아 실현과 자기 자신의 능력과 창의성을 실현하고 표현하는 과정으로의 개인의 고유한 의지와 추진력을 강조한다.[95]는 오토 랭크의 영향을 크게 받아 인본주의 심리학의 초기 원천 중 하나로 손꼽힌다. 랭크는 1920년대 중반 프로이트와 결별했으며, 로저스는 발달 과정이 더 창의적이지 않더라도 더 건강한 성격 기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자기 실현 경향'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이는 에이브러햄 매슬로가 인간의 욕구 중 하나로서 자기 실현을 연구하도록 이끌었다.[7][8] 로저스와 매슬로는 정신분석학의 지나치게 비관적인 관점에 대한 대응으로 이러한 긍정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심리학을 도입했다.[9][10]
실존주의와 현상학 철학 또한 인본주의 심리학에 영감을 주었다.[12] 인본주의 심리학은 1960년대 초에 기원을 두지만, 인본주의의 기원은 중국, 그리스, 로마의 고전 문명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들의 가치는 유럽 르네상스 시대에 갱신되었다.[11] 현대 인본주의적 접근 방식은 현상학적 및 실존주의적 사상 (키르케고르, 니체, 하이데거, 메를로-퐁티, 사르트르 참조)에 뿌리를 두고 있다.[4] 동양 철학과 심리학, 유대-기독교적 인격주의 철학 또한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4] 인격주의에 영향을 준 인물로는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베르자예프, 에마뉘엘 무니에, 가브리엘 마르셀, 드니 드 루주몽, 자크 마리탱, 마르틴 부버, 에마뉘엘 레비나스, 막스 셸러, 카롤 보이티와 등이 있다.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 연구에서 발전한 행동주의는 존 B. 왓슨과 B. F. 스키너의 이름과 관련된 미국의 학문적 심리학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행동주의를 "제1의 힘"이라고 명명했다. 행동 이론은 아서 스타츠,[13] 스티븐 헤이즈,[14]등의 이론가들을 통해 발전하여, 임상 행동 분석은 불안 장애 치료,[15] 기분 장애, 심지어 성격 장애[16]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2의 힘"은 알프레드 아들러, 에릭 에릭슨, 카를 융, 에리히 프롬, 카렌 호나이, 멜라니 클라인, 해리 스택 설리번,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같은 심리학자들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 나왔다.[17] 매슬로는 "제3의 힘"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신분석의 차갑고 거리감 있는 접근 방식과 결정론적 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했다.[18]
1930년대 후반, 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클라크 무스타카스 등은 자아, 자기 실현, 건강, 희망, 사랑, 창의성 등 인간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탈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인적 자본의 특징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에 헌신하는 전문 협회를 설립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은 1964년 제임스 부겐탈의 기사에서 처음 명시된[19] 다섯 가지 핵심 원리로 요약되었으며, 톰 그리닝에 의해 수정되었다.[20][21]
인본주의 심리학의 다섯 가지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인간은 그 부분을 합한 것 이상이며, 구성 요소로 축소될 수 없다.
# 인간은 우주적 생태계뿐만 아니라 독특한 인간적 맥락에서 존재한다.
# 인간은 인지하고 있으며,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즉, 그들은 의식적이다.
# 인간은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책임을 져야 한다.
# 인간은 의도적이며,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미래 사건을 야기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의미, 가치 및 창의성을 추구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미국 심리학 협회 내의 특정 부서(32부)[22]이지만, 심리학 내의 ''분야''라기보다는 심리적 연구 및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 조건에 대한 ''관점''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은 군 심리학자들에게 많은 환자를 진료하고 돌봐야 하는 압박을 가했고, 집단 치료의 기원이 되었다.[23] 에릭 번(Eric Berne)의 저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실용적인 심리학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 후반-1970년대 가장 영향력 있는 인본주의 대중 심리학 형태 중 하나인 교류 분석[24]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독특한 방법론으로 간주되었지만, 번의 사후에 도전을 받았다.
2. 2. 발전 과정
제2차 세계 대전은 군 심리학자들에게 많은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압박을 가했고, 이는 집단 치료의 기원이 되었다.[23] 에릭 번의 저서는 이러한 실용적 심리학에서 출발하여 교류 분석[24]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교류 분석은 독특한 방법론으로 간주되었으나, 번의 사후 도전을 받았다.1964년 11월, 올드 세이브룩에서 ''인본주의 심리학에 관한 첫 번째 초청 회의''가 열렸다.[47][48][4][49] 이 회의는 인본주의 심리학회(AHP)가 후원하고 헤이즌 재단이 자금 지원을 제공했으며, 웨슬리안 대학교가 주최했다.[47][4] 에이브러햄 매슬로, 롤로 메이, 칼 로저스, 고든 올포트, 조지 켈리, 가드너 머피, 헨리 머레이, 로버트 W. 화이트, 샬롯 뷜러 등 여러 학자들이 참여했다.[47][4] 로버트 냅이 회장을 맡았고[4], 헨리 머레이가 기조 연설을 했다.[49]
참가자들은 당시 행동주의와 프로이트 심리학이 제시하는 이미지보다 더 완전한 인간상을 고려하는 심리학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자 했다.[47] 이들은 당시 주류 심리학의 실증주의 경향에 이의를 제기했으며,[4] 이 회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학문적 지위[48]와 미래에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묘사된다.[49]
2. 3. 한국 사회에의 도입
3. 주요 이론
오토 랭크, 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및 롤로 메이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토대를 마련한 핵심 이론가들이다.[6]
'''에이브러햄 매슬로:''' 욕구 계층 이론을 개발했다.[50] 이는 개인이 생리적 욕구, 안전, 사랑, 자존감,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기 실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충족해야 한다는 피라미드 형태의 이론이다.[50] 매슬로는 자기 실현을 달성하는 사람은 1%에 불과하다고 보았지만, 자기 실현을 이룬 사람들은 자기 인식이 뛰어나고, 배려심이 깊으며, 지혜롭고, 문제 중심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며 폭넓게 사고한다고 설명했다.[50]
'''칼 로저스:''' 매슬로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실현의 과정은 성장을 촉진하는 환경, 즉 개인이 진정한 자아를 드러내고 수용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길러진다고 주장했다. 성장을 촉진하는 환경이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즉, 개인은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드러낼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표현할 때 다른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져야 한다.
인본주의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가 더 강하고 건강한 자아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 즉 자기 실현을 돕는 것이다.[4][52] 이러한 치료는 통찰력 기반으로, 치료사는 내담자가 내적 갈등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 돕는다.[51] 칼 로저스의 인간 중심 또는 내담자 중심 치료는 비지시적 치료 방식으로, 치료사는 판단 없이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내담자가 스스로 통찰력을 얻도록 한다.[51] 치료사는 내담자의 모든 감정이 고려되고 수용과 따뜻함의 분위기를 유지하며, 적극적 경청을 통해 내담자의 관심사를 파악한다.[7][51] 무비판적이고 수용적인 환경은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제공하여 수용과 가치에 대한 감정을 장려한다.[51]
'''롤로 메이:''' 인간의 선택과 인간 실존의 비극적 측면을 인정하는 실존주의 심리학을 대표한다.[52] 실존주의 심리 치료는 인간이 자신의 삶을 이해할 자유가 있다는 생각을 강조하는 실존 철학을 적용하며, 스스로를 정의하고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진다. 이것은 내담자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탐구하도록 강요하는 인본주의 치료의 한 유형이다. 제한의 예로는 유전학, 문화 및 기타 여러 요인이 있는데, 실존적 치료는 이러한 자유와 제한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한다.[7]
인본주의 심리학은 상담과 치료에 대한 여러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초기 접근 방식으로는 에이브러햄 매슬로의 욕구 위계와 동기를 강조하는 발달 이론, 인간의 선택과 인간 실존의 비극적 측면을 인정하는 실존주의 심리학의 롤로 메이, 그리고 자신의 발달에 대한 자기 지시와 이해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칼 로저스의 인간 중심 또는 내담자 중심 치료가 있다.[52]
또한 인본주의 심리 치료 범위의 일부는 게슈탈트 치료이며, 여기서는 현재, 특히 어떤 선입견을 넘어 과거가 현재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는 기회가 강조된다. 역할극 또한 게슈탈트 치료에서 큰 역할을 하며, 다른 상황에서는 공유되지 않았을 수 있는 감정을 진정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게슈탈트 치료에서 비언어적 단서는 내담자가 표현하는 감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느끼고 있을 수 있는 감정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인본주의 상담과 치료에 대한 또 다른 접근 방식은 심층 치료, 전인 건강, 만남 집단, 감수성 훈련, 부부 및 가족 치료, 신체 치료, 메다르트 보스의 실존주의 심리 치료,[4] 그리고 긍정 심리학의 개념이 있다.[53]
3. 1. 욕구 계층 이론 (매슬로)
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인본주의 심리학과 관련하여 욕구 계층 이론을 개발했다.[50] 이는 개인이 생리적 욕구, 안전, 사랑, 자존감,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기 실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충족해야 한다는 피라미드 형태의 이론이다.[50] 매슬로는 자기 실현을 달성하는 사람은 1%에 불과하다고 보았지만, 자기 실현을 이룬 사람들은 자기 인식이 뛰어나고, 배려심이 깊으며, 지혜롭고, 문제 중심적인 관심사를 가지고 끊임없이 노력하며 폭넓게 사고한다고 설명했다.[50]3. 2. 인간 중심 치료 (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적 접근은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UPR,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을 중시하며, 이를 위해 진정성(genuineness), 공감(empathy), 수용(acceptance)의 세 가지를 필수 요소로 정의한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핵심 이론가로는 오토 랭크, 에이브러햄 매슬로, 칼 로저스, 롤로 메이 등이 있다.[6]에이브러햄 매슬로는 욕구 계층 이론을 개발하여 인간의 욕구가 생리적 욕구, 안전, 사랑, 자존감, 그리고 마지막으로 자기 실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기 실현을 달성한 사람은 1%에 불과하다고 믿었다.[50] 칼 로저스는 매슬로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기 실현의 과정이 성장을 촉진하는 환경, 즉 개인이 진정한 자아를 드러내고 수용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길러진다고 주장했다.
인본주의 치료의 목표는 내담자가 더 강하고 건강한 자아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 즉 자기 실현을 돕는 것이다.[4][52] 이러한 치료는 통찰력 기반으로, 치료사는 내담자가 내적 갈등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 돕는다.[51] 칼 로저스의 인간 중심 또는 내담자 중심 치료는 비지시적 치료 방식으로, 치료사는 판단 없이 내담자의 말을 경청하고, 내담자가 스스로 통찰력을 얻도록 한다.[51] 치료사는 내담자의 모든 감정을 고려하고 수용과 따뜻함의 분위기를 유지하며, 적극적 경청을 통해 내담자의 관심사를 파악한다.[7][51] 무비판적이고 수용적인 환경은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을 제공하여 수용과 가치에 대한 감정을 장려한다.[51]
인본주의 심리 치료에는 실존주의 심리학의 롤로 메이의 이론, 게슈탈트 치료, 심층 치료, 전인 건강, 만남 집단, 감수성 훈련, 부부 및 가족 치료, 신체 치료, 메다르트 보스의 실존주의 심리 치료,[4] 그리고 긍정 심리학 등이 포함된다.[53]
3. 3. 실존주의 심리 치료 (메이)
실존주의 심리학의 롤로 메이는 인간의 선택과 인간 실존의 비극적 측면을 인정한다.[52] 실존주의 심리 치료는 인간이 자신의 삶을 이해할 자유가 있다는 생각을 강조하는 실존 철학을 적용하며, 스스로를 정의하고 하고 싶은 일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관점을 가진다. 이것은 내담자가 삶의 의미와 목적을 탐구하도록 강요하는 인본주의 치료의 한 유형이다. 제한의 예로는 유전학, 문화 및 기타 여러 요인이 있는데, 실존적 치료는 이러한 자유와 제한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려고 노력한다.[7] 메다르트 보스의 실존주의 심리 치료도 인본주의 심리학의 적용이다.[4]4. 주요 개념
4. 1. 자기실현
이상적 자아와 현실 자아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지에 대한 생각과 실제로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부조화)가 일치하지 않는 데서 발생하는 문제를 이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상적 자아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믿는 것, 그리고 그들의 핵심 가치가 무엇인지이다. 현실 자아는 실제로 삶에서 펼쳐지는 것이다. 인본주의 심리학적 치료를 통해 현재에 대한 이해는 내담자가 자신의 현실 자아 개념에 긍정적인 경험을 추가할 수 있게 해준다. 목표는 두 자아 개념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로저스는 치료사가 일치할 수 있을 때만 치료에서 진정한 관계가 발생한다고 믿었다. 항상 내담자가 원하는 것이 아닐지라도, 자신의 감정을 기꺼이 공개적으로 공유하는 사람을 신뢰하는 것이 훨씬 쉽다. 이것은 치료사가 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게 해준다.[7]4. 2. 진정성
인본주의 심리학적인 접근은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UPR,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이며 이를 위해 진정성(genuineness), 공감(empathy), 수용(acceptance)의 3가지를 필수요소로 정의하고 있다.4. 3. 공감
인본주의 심리학적인 접근은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존중(UPR,Unconditional Positive Regard)이며 이는 이를 위해 진정성(genuineness), 공감(empathy), 수용(acceptance)의 3가지를 필수요소로 정의하고 있다.[7] 공감은 치료사가 내담자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능력에 중점을 둔다.[7] 이것이 없으면 치료사는 내담자의 행동과 생각을 내담자처럼 이해하지 않고, 엄격하게 치료사로서 이해하게 되어 인본주의 치료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7]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가져야 하는 배려를 의미하며, 치료사가 관계에서 권위자가 되지 않도록 하여 더 개방적인 정보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둘 사이의 더 친절한 관계를 보장한다.[7] 인본주의 치료를 실천하는 치료사는 기꺼이 경청하고 진정한 감정을 공유할 수 있지만 강요하지 않는 방식으로 환자의 편안함을 보장해야 한다.[7] 마샬 로젠버그는 칼 로저스의 제자 중 한 명으로, 그의 비폭력 대화 개념에서 관계에서의 공감을 강조한다.자기 계발 또한 인본주의 심리학의 일부이다. 쉴라 언스트와 루시 구디슨은 지지 집단에서 주요 인본주의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했다.[54]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람의 사고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자기 계발에 적용할 수 있다. 순전히 자기 계발에 기반한 접근 방식인 공동 상담 역시 인본주의 심리학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55] 인본주의 이론은 하비 잭킨스의 재평가 상담과 칼 로저스의 업적, 그의 제자 유진 젠들린의 업적(포커싱 참조)을 포함하여 다른 형태의 대중적인 치료법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80년대 이후 한스-베르너 게스만의 인본주의 심리극 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56]
4. 4.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인본주의 심리학적인 접근은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en: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UPR)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를 위해 진정성(genuineness), 공감(empathy), 수용(acceptance)의 3가지를 필수 요소로 정의하고 있다.5. 연구 방법론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주류 과학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의식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25] 그들은 전통적인 연구 방법이 물리 과학에서 파생되었고 물리 과학에 적합하며,[26] 인간의 의미 부여의 복잡성과 미묘한 차이를 연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다.[27][28][29]
그러나 인본주의 심리학은 초기부터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포함해 왔다.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인간 성장에 대한 많은 이론을 검증 가능한 가설 형태로 제시하고,[30][31][32] 과학자들에게 이를 시험해 보라고 권장했다. 미국 인본주의 심리학회가 설립된 직후, 회장이자 심리학자인 시드니 주라드는 "연구"가 우선순위라고 선언했다.[33] 1966년 5월, AAHP는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이 "연구 문제 및 연구 절차 선택에서 의미를 중시하며, 중요성을 희생하면서 객관성을 우선시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편집 논평을 발표했다.[34] 1980년, 미국 심리학회의 인본주의 심리학 간행물은 ''무엇이 연구를 인본주의적으로 만드는가?''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35] 도널드 폴킹혼은 "인본주의 이론은 인간의 행동이 환경이나 신체의 기계적, 유기적 질서와 완전히 무관하다고 제안하지 않지만, 경험된 의미의 한계 내에서, 통일체로서의 인간은 이전 사건에 의해 결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것이 우리가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이론이다"라고 언급했다.
인간 과학 관점은 양적 방법론에 반대하지 않지만, 에드문트 후설을 따라 방법론이 무비판적으로 자연 과학의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 대상에서 파생되도록 하는 것을 선호하며,[36] 방법론적 다원주의를 옹호한다. 심리학의 많은 주제는 질적 접근 방식에 적합하며(예: 슬픔의 삶의 경험), 현상을 평준화하지 않고 무언가를 셀 수 있을 때 주로 양적 방법론이 적절하다(예: 우는 데 소요된 시간). 연구는 인본주의 심리학 의제의 일부로 남아 있지만, 환원주의보다는 전체론적인 초점을 더 둔다.[37][38][39][40][41][42][43][44][45][46]
5. 1. 질적 연구 방법
5. 2. 현상학적 연구
5. 3. 인간 과학적 연구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주류 과학 연구를 통해 인간의 의식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25] 이들은 전통적인 연구 방법이 물리 과학에서 파생되어 인간의 의미 부여의 복잡성과 미묘한 차이를 연구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한다.[26][27][28][29]그러나 인본주의 심리학은 초기부터 인간 행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포함해 왔다. 에이브러햄 매슬로우는 인간 성장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검증 가능한 가설 형태로 제시하고 과학자들에게 시험을 권장했다.[30][31][32] 미국 인본주의 심리학회가 설립된 직후, 회장이자 심리학자인 시드니 주라드는 "연구"가 우선순위라고 선언했다.[33] 1966년 5월, AAHP는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이 연구 문제 및 절차 선택에서 의미를 중시하며 객관성보다 중요성을 우선시한다고 강조했다.[34] 1980년, 미국 심리학회의 인본주의 심리학 간행물은 도널드 폴킹혼의 말을 인용하며, 인본주의 이론은 인간이 경험된 의미의 한계 내에서 이전 사건에 의해 결정되지 않은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다고 제안하며, 이것이 연구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이론이라고 언급했다.[35]
인간 과학 관점은 양적 방법론에 반대하지 않지만, 에드문트 후설을 따라 방법론이 연구 대상에서 파생되도록 하는 것과 방법론적 다원주의를 옹호한다.[36] 따라서 심리학의 많은 주제는 질적 접근 방식에 적합하며, 현상을 평준화하지 않고 무언가를 셀 수 있을 때 주로 양적 방법론이 적절하다.
연구는 인본주의 심리학 의제의 일부로 남아 있지만, 환원주의보다는 전체론적인 초점을 둔다. 특정 인본주의 연구 방법은 인본주의 심리학 운동이 형성된 수십 년 동안 발전했다.[37][38][39][40][41][42][43][44][45][46]
6. 비판 및 한계
프로이트(Freud)와 스키너(Skinner)가 당시 주도적인 이론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매슬로우(Maslow)는 인본주의 이론의 주요 내용을 구성할 수 있었다.
매슬로우는 당시 두 가지 주요 이론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판을 했다.
- 프로이트의 이론은 결정론적이었으며, 이는 사람들의 행동을 무의식적인 욕망에 기인한다고 보았다.[6]
- 프로이트와 스키너의 이론은 모든 개인보다는 정신적 갈등이 있는 개인(병리적)에 초점을 맞추었다.
- 다른 두 이론은 매슬로우가 개인이 가지고 있다고 믿었던 긍정적인 힘에 집중하기보다는 인간의 부정적인 특성에 너무 많은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매슬로우는 자신의 이론을 발전시킬 때 의식에 집중하기로 결정했고, 모든 개인이 어떻게 최고의 잠재력에 도달할 수 있는지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6. 1. 과학적 근거 부족
6. 2. 지나친 낙관주의
6. 3. 문화적 보편성 문제
7. 사회적 적용

대부분의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개인의 변화에 주된 초점을 맞추지만, 많은 이들은 시급한 사회, 문화, 젠더 문제도 탐구한다.[57] 2018년 학술 선집에서 영국 심리학자 리처드 하우스와 그의 공동 편집자들은 "인본주의 심리학은 주류 과학, '실증주의' 심리학이 피하려 했던 방식으로 사회, 문화, 정치에 처음부터 완전하고 대담하게 관여해왔다"고 썼다.[58] 심리학적 인본주의와 연관되고 영감을 받은 초기 작가들 중 일부는 사회 정치적 주제를 탐구했다.[4][58]
- 알프레드 아들러는 공동체 의식을 갖는 것이 인간 발달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59]
- 메다르드 보스는 건강을 세상에 대한 개방성으로, 비건강을 정신 또는 사회에서 그 개방성을 막거나 제약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했다.[59]
- 에리히 프롬은 전체주의적 충동은 자유의 불확실성과 책임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그 두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은 삶을 충만하고 자비롭게 살아가도록 시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60] 그는 자유를 억압하는 전체주의에 맞서 싸우고,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 R. D. 랭은 "정상적" 일상 경험의 정치적 본질을 분석했다.[61]
- 롤로 메이는 현대 세계에서 사람들이 가치를 잃었으며, 그들의 건강과 인간성은 현재의 도전에 적합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용기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62]
- 빌헬름 라이히는 심리적 문제는 종종 성적 억압에 의해 발생하며, 성적 억압은 사회적, 정치적 조건의 영향을 받으며, 이는 변경될 수 있고 변경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63]
- 칼 로저스는 정치 생활이 승자 독식의 끝없는 연속으로 구성될 필요가 없으며, 모든 당사자 간의 지속적인 대화로 구성될 수 있고 구성되어야 한다고 믿게 되었다. 그러한 대화가 당사자 간의 존중과 각 당사자의 진정한 발언, 자비로운 이해, 그리고 궁극적으로 상호 수용 가능한 해결책으로 특징지어진다면 말이다.[64][65]
- 버지니아 사티어는 가족 치료에 대한 자신의 접근 방식이 개인의 의식을 확장하고 덜 두려워하며, 공동체, 문화, 국가를 하나로 묶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66]
관련 작업은 이 선구적인 사상가들에게 국한되지 않았다. 1978년, 인본주의 심리학회(AHP) 회원들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원리를 사용하여 긍정적인 사회적, 정치적 변화의 과정을 촉진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3년간의 노력을 시작했다.[67] 이 노력에는 1980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12시간 정치 파티"가 포함되었으며, 여기에는 약 1,400명의 참석자가[68] 《에코토피아》의 저자 어니스트 칼렌바흐, 《물병자리 음모》의 저자 마릴린 퍼거슨, 《사람/행성》의 저자 테오도르 로삭, 《뉴에이지 정치》의 저자 마크 새틴과 같은 비전통적인 사회 사상가들의 발표를 논의했다.[69] 새로운 관점은 AHP 회장 조지 레너드의 선언문에 요약되어 있다. 이는 저성장 또는 무성장 경제로의 전환, 사회의 분권화 및 "비전문가화", 더 인간적인 공공 정책과 더 건강한 문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및 정서적 역량 교육과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했다.[70]
사회 변화에 대한 인본주의 심리학 지향적 접근 방식을 명확히 하려는 다른 많은 시도들이 있었다. 예를 들어, 1979년 심리학자 케네스 룩스와 경제학자 마크 A. 루츠는 공리주의가 아닌 인본주의 심리학에 기반한 새로운 경제학을 요구했다.[71][72] 또한 1979년, 캘리포니아 주 의원 존 바스콘셀로스는 자유주의 정치와 인본주의 심리학적 통찰력의 통합을 요구하는 책을 출판했다.[73] 1979년부터 1983년까지 워싱턴 D.C.에 기반을 둔 미국의 정치 조직인 뉴 월드 얼라이언스는 인본주의 심리학적 아이디어를 정치적 사고와 과정에 주입하려 시도했으며;[74] 그 뉴스레터의 후원자에는 바스콘셀로스와 칼 로저스가 포함되었다.[75]
1989년 칼 로저스와 파울루 프레이리와 함께 일했던 모린 오하라가 두 사상가 사이의 수렴점을 지적했다. 오하라에 따르면, 두 사람 모두 억압하고 비인간화하는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76] 1980년대와 1990년대, 노에틱 과학 연구소 회장 윌리스 하먼은 상당한 사회 변화는 상당한 의식 변화 없이는 일어날 수 없다고 주장했다.[77] 21세기에 에드먼드 본,[78] 조안나 메이시,[79] 그리고 마샬 로젠버그와 같은 사람들은 인본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 및 정치적 문제에 심리학적 통찰력을 계속 적용했다.[80]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회 변화에 대한 사고뿐만 아니라 인본주의 사회 복지의 주요 이론적, 방법론적 원천으로 간주된다.[84][81]
'''== 상담 및 심리 치료 =='''
인본주의 치료는 내담자가 자기 실현이라고도 하는 더 강하고 건강한 자아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4][52] 내담자에게 자기 충족의 잠재력이 있음을 가르치려고 시도하며, 통찰력 기반으로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내적 갈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려고 시도한다.[51]
'''== 사회 복지 =='''
심리 치료 이후, 사회 복지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의 가장 중요한 수혜자이다.[82] 이러한 이론들은 현대 사회 복지 실천 및 이론의 심오한 개혁을 낳았고,[83] 그 중에서도 특히 인본주의 사회 복지라는 특정 이론과 방법론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맬컴 페인이 저서 ''인본주의 사회 복지: 실천의 핵심 원리''에서 설명한 인본주의 사회 복지 실천의 대부분의 가치와 원리는 인본주의 심리학 이론 및 인본주의 심리 치료 실천, 즉 인간의 삶과 실천에서의 창의성, 자아 및 영성 개발, 안전 및 회복력 개발, 책임성, 유연성 및 인간의 삶과 실천에서의 복잡성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한다.[84]
사회 복지에서 클라이언트(''인간'' 존재)와 사회 문제 (''인간'' 문제)에 대한 표현과 접근 방식은 인본주의 심리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진다. 페트루 스테파로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와 그들의 성격에 대한 인본주의적 표현과 접근 방식이 실현되는 방식은 실제로 인본주의 사회 복지의 이론적-가치론적 및 방법론적 토대이다.[85]
사회/인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설정 및 개입 활동에서, 자기 실현, 인간의 잠재력, 전체론적 접근, 인간, 자유 의지, 주관성, 인간의 경험, 자기 결정/발달, 영성, 창의성, 긍정적 사고, 내담자 중심 및 맥락 중심 접근/개입, 공감, 개인적 성장, 역량 강화와 같은 인본주의 심리학 및 심리 치료의 중요한 용어와 범주가 우선한다.[86]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회 복지 실천에서 아프리카 철학인 우분투의 이론적 틀로 활용되어 왔다.[87] 또한 인본주의 사회 복지는 사회 정의 추구, 전체론적 서비스 제공, 기술 혁신 및 관리, 대화 및 협력,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의 전문적인 돌봄과 동료 지원을 요구한다.[88]
'''== 조직 관리 =='''
인본주의 심리학은 창의성과 전체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직장에서의 인적 자원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으며, 창의성과 감정적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전에는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예술가에게만 해당되었고 주로 그들에게만 국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 인지-문화 경제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창의성은 유용한 상품이자 국제 브랜드의 경쟁 우위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는 1970년대 후반, G.E.의 네드 허먼(Ned Herrmann)을 선두로 하여 기업 내 직원들을 위한 창의성 훈련으로 이어졌다.
7. 1. 상담 및 심리 치료
인본주의 치료는 내담자가 자기 실현이라고도 하는 더 강하고 건강한 자아감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4][52] 내담자에게 자기 충족의 잠재력이 있음을 가르치려고 시도하며, 통찰력 기반으로 치료사가 내담자에게 내적 갈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려고 시도한다.[51]
7. 2. 사회 복지
심리 치료 이후, 사회 복지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의 가장 중요한 수혜자이다.[82] 이러한 이론들은 현대 사회 복지 실천 및 이론의 심오한 개혁을 낳았고,[83] 그 중에서도 특히 인본주의 사회 복지라는 특정 이론과 방법론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맬컴 페인이 저서 ''인본주의 사회 복지: 실천의 핵심 원리''에서 설명한 인본주의 사회 복지 실천의 대부분의 가치와 원리는 인본주의 심리학 이론 및 인본주의 심리 치료 실천, 즉 인간의 삶과 실천에서의 창의성, 자아 및 영성 개발, 안전 및 회복력 개발, 책임성, 유연성 및 인간의 삶과 실천에서의 복잡성에서 직접적으로 기원한다.[84]사회 복지에서 클라이언트(''인간'' 존재)와 사회 문제 (''인간'' 문제)에 대한 표현과 접근 방식은 인본주의 심리학적 입장에서 이루어진다. 페트루 스테파로이에 따르면, 클라이언트와 그들의 성격에 대한 인본주의적 표현과 접근 방식이 실현되는 방식은 실제로 인본주의 사회 복지의 이론적-가치론적 및 방법론적 토대이다.[85]
사회/인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 설정 및 개입 활동에서, 자기 실현, 인간의 잠재력, 전체론적 접근, 인간, 자유 의지, 주관성, 인간의 경험, 자기 결정/발달, 영성, 창의성, 긍정적 사고, 내담자 중심 및 맥락 중심 접근/개입, 공감, 개인적 성장, 역량 강화와 같은 인본주의 심리학 및 심리 치료의 중요한 용어와 범주가 우선한다.[86] 인본주의 심리학은 사회 복지 실천에서 아프리카 철학인 우분투의 이론적 틀로 활용되어 왔다.[87] 또한 인본주의 사회 복지는 사회 정의 추구, 전체론적 서비스 제공, 기술 혁신 및 관리, 대화 및 협력, 그리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의 전문적인 돌봄과 동료 지원을 요구한다.[88]
7. 3. 조직 관리
인본주의 심리학은 창의성과 전체성에 대한 강조를 통해 직장에서의 인적 자원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으며, 창의성과 감정적 상호 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전에는 "창의성"이라는 개념이 예술가에게만 해당되었고 주로 그들에게만 국한되었다. 1980년대에 들어 인지-문화 경제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창의성은 유용한 상품이자 국제 브랜드의 경쟁 우위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는 1970년대 후반, G.E.의 네드 허먼(Ned Herrmann)을 선두로 하여 기업 내 직원들을 위한 창의성 훈련으로 이어졌다.7. 4. 긍정 심리학
8.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9. 결론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Modern History of Art Therapy in the United States
Charles C. Thomas
[3]
웹사이트
humanistic psychology n.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25
[4]
간행물
A History of Division 32 (Humanistic Psychology)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웹사이트
Humanistic Therapy
http://www.crchealth[...]
CRC Health Group
2015-03-29
[6]
Youtube
Humanistic theory {{!}} Behavior {{!}} MCAT {{!}} Khan Academy
https://www.youtube.[...]
2021-08-10
[7]
서적
Introduction to Clinical Psychology 7th Ed.
Pearson
[8]
서적
Introduction to Clinical Psychology
Pearson Prentice Hall
[9]
서적
Psychology 2nd Ed.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2010-12-10
[10]
서적
Psychology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11]
문서
Humanistic Psychology
Routledge
[12]
웹사이트
Humanistic Psychology, APA
http://www.apa.org/a[...]
2010-08-22
[13]
서적
The marvelous learning animal : what makes human nature unique
https://www.worldcat[...]
Prometheus Books
2012
[14]
서적
Relational frame theory : a post-Skinnerian account of human language and cognition
https://www.worldcat[...]
2013
[15]
서적
Clinical handbook of psychological disorders : A step-by-step treatment manual
https://www.worldcat[...]
The Guilford Press
[16]
서적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worldcat[...]
Guilford Press
1993
[17]
웹사이트
About Humanistic Psychology
http://www.ahpweb.or[...]
[18]
서적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19]
논문
The Third Force in Psychology
[20]
논문
Five basic postulates of humanistic psychology
[21]
웹사이트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http://jhp.sagepub.c[...]
[22]
웹사이트
Division 32
http://www.apadivisi[...]
2012-05-04
[23]
웹사이트
Group therapy
https://www.britanni[...]
2020-06-13
[24]
논문
Transactional Analysis and Psychoanalysis: Overcoming the Narcissism of Small Differences in the Shadow of Eric Berne
https://doi.org/10.1[...]
2020-07-02
[25]
서적
Psychology the Science of Behaviour
https://archive.org/[...]
Pearson Canada Inc.
[26]
간행물
The humanities in an age of science
[27]
간행물
The place of the person in the new world of the behavioral sciences
[28]
간행물
Communicating the sciences: A humanistic viewpoint
[29]
논문
Research methodology in humanistic psychology
[30]
논문
A theory of metamotivation: The biological rooting of the value-life
[31]
논문
Notes on being-psychology
[32]
간행물
Theory Z
[33]
뉴스
Objectives outlined
Phoenix: Newsletter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Humanistic Psychology
1963-12
[34]
뉴스
AAHP Newsletter
Association for Humanistic Psychology (AHP)
1966-05
[35]
뉴스
What makes research humanistic?
Newsletter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Division 32
[36]
서적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in psychology: A modified Husserlian approach
Duquesne University Press
2009
[37]
서적
Research areas and methods
McGraw-Hill
1967
[38]
논문
Research methodology in humanistic psychology
1992
[39]
서적
Humanistic methodology i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967
[40]
서적
Research methodology in humanistic psychology in the light of postmodernity
SAGE
2001
[41]
논문
The phenomenological movement and research in the human sciences
2005
[42]
논문
The zen doctrine of “no-method”
2009
[43]
논문
Optimal adult development: An inquiry into the dynamics of growth
2005
[44]
논문
Are qualitative methods always best for humanistic psychology research? A conversation on the epistemological divide between humanistic and positive psychology
2008
[45]
논문
Humanistic and positive psychology: The methodological and epistemological divide
2008
[46]
논문
Human science research methods
1987
[47]
논문
A More Human Psychology at the Crossroads
1990
[48]
논문
An Intellectual Renaissance of Humanistic Psychology
1999
[49]
서적
A Humanistic Approach to Spiritually Oriented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5
[50]
Youtube
Humanistic theory {{!}} Behavior {{!}} MCAT {{!}} Khan Academy
https://www.youtube.[...]
2021-08-11
[51]
서적
Psychology: Tenth edition in modules
Worth Publishers
2014
[52]
간행물
A renaissance for humanistic psychology. The field explores new niches while building on its past.
2002-09
[53]
논문
Positive psychology in clinical practice
2005
[54]
서적
In our own hands: A book of self help therapy
The Women's Press
1981
[55]
웹사이트
Guide to Humanistic Psychology
http://ahpweb.org/ro[...]
[56]
웹사이트
Grundlage des HPD
http://www.pib-zentr[...]
2013-12-28
[57]
서적
Existential psychology East-West
University of the Rockies Press
2009
[58]
서적
Humanistic Psychology: Current Trends and Future Prospects
Routledge
2018
[59]
서적
The Roots and Genealogy of Humanistic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2015
[60]
서적
Escape from Freedom
Henry Holt and Company
1994
[61]
서적
The Politics of Experience and The Bird of Paradise
Penguin
1967
[62]
서적
Personality Theories: An Introduction
Wadsworth Publishing / Cengage
2013
[63]
서적
Psychotherapy, Society, and Politics: From Theory to Practice
Palgrave Macmillan
2016
[64]
서적
A More Human World
Houghton Mifflin Company
1989
[65]
서적
Carl Rogers
SAGE Publications
2012
[66]
서적
Virginia Satir: Foundational Ideas
Routledge
1991
[67]
뉴스
AHP Goes Public, Launches Era of Social Involvement
http://www.ahpweb.or[...]
1978-09-04
[68]
간행물
High Expectations, Mixed Results: A Critique of AHP's 12-Hour Political Party
http://www.ahpweb.or[...]
1980-05
[69]
간행물
Presenters
http://www.ahpweb.or[...]
1980-05
[70]
간행물
Sketch for a Humanistic Manifesto
http://www.ahpweb.or[...]
1980-05
[71]
서적
The Challenge of Humanistic Economics
Benjamin Cummings
[72]
논문
"Review Essay. Humanistic Economics: The New Challenge"
1990-01-01
[73]
서적
A Liberating Vision: Politics for Growing Humans
Impact Publishers
[74]
간행물
The New World Alliance: Toward a Transformational Politics
http://www.ahpweb.or[...]
2016-05-09
[75]
서적
Seeds of the Seventies: Values, Work, and Commitment in Post-Vietnam America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76]
논문
Person-centered approach as conscientização: The works of Carl Rogers and Paulo Freire
1989-01-01
[77]
서적
Global Mind Change: The New Age Revolution in the Way We Think
Warner Books edition
1988-01-01
[78]
서적
Global Shift: How a New Worldview Is Transforming Humanity
New Harbinger Publications
2008-01-01
[79]
서적
Active Hope: How to Face the Mess We're In Without Going Crazy
New World Library
2012-01-01
[80]
서적
The Heart of Social Change: How To Make a Difference in Your World
Puddle Dancer Press
2005-01-01
[81]
논문
Humanistic Paradigm of Social Work or Brief Introduction in Humanistic Social Work
2012-01-01
[82]
논문
Toward a Humanistic Social Work: Social Work for Conviviality
1988-01-01
[83]
서적
Modern Social Work Theory
Lyceum Books, Chicago
2005-01-01
[84]
서적
Humanistic Social Work: Core Principles in Practice. Chicago: Lyceum, Basingstoke, Palgrave Macmillan
2011-01-01
[85]
논문
Humanistic Perspective on Customer in Social Work
2009-01-01
[86]
서적
Humanistische Sozialarbeit
Humanistische Akademie, Berlin
1998-01-01
[87]
간행물
An exposition of humanistic- existential social work in light of ubuntu philosophy: Towards theorizing ubuntu in social work practice
https://doi.org/10.1[...]
2021-04-03
[88]
간행물
COVID-19 and the calls of humanistic social work: Exploring the developmental-clinical social work concerns of the pandemic
2021-04-22
[89]
서적
エスリンとアメリカの覚醒 人間の可能性への挑戦
誠信書房
1998-01-01
[90]
서적
ヒューマニスティック心理学入門 マズローとロジャーズ
新水社
1994-01-01
[91]
서적
トランスパーソナル宣言-自我を超えて
春秋社
1986-01-01
[92]
서적
トランスパーソナル心理学
青土社
2000-01-01
[93]
서적
A History of Psychology: Third Edi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1-01
[94]
뉴스
제3세력의 심리학(경주신문-매슬로우와 우리사회)
http://m.gjnews.com/[...]
경주신문
[95]
서적
The Third Force: The Psychology of Abraham Maslow
https://books.google[...]
Pocket Books
197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