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꽃매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꽃매미는 매미목 풀무치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학명은 Lycorma delicatula이다. 중국 남동부가 원산지이며, 한국, 일본, 미국 등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성충은 회갈색 앞날개와 검은 반점, 붉은색 뒷날개를 가지며, 식물의 수액을 빨아먹어 생장을 저해하고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방제 방법으로는 알 제거, 끈끈이 트랩 설치, 살충제 살포, 천적 활용 등이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림해충 - 풍뎅이
    풍뎅이는 나카야마 신페이가 작곡하고 노구치 우조가 작사한 동요이며, 시오즈카 히로시가 작곡한 『황금벌레 왈츠』는 핫초보리역 발차 멜로디로 사용된다.
  • 산림해충 - 소나무좀
    소나무좀은 흑갈색 원통형 몸체를 가진 곤충으로, 소나무 새순을 갉아먹어 고사시키고 곰팡이 감염을 유발하며, 북미 지역에서는 소나무 농장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침입종으로 다양한 방제 방법이 사용된다.
  • 노린재목 - 노린재과
    노린재과는 전 세계에 분포하며 5마디 더듬이와 삼각형 작은방패판을 가진 노린재목 곤충으로, 일부는 해충이지만 천적 역할을 하거나 식용으로 사용되며, 친환경적 방제법이 연구되고 있다.
  • 노린재목 - 진딧물
    진딧물은 몸길이가 2~8mm의 작은 곤충으로 식물의 즙액을 빨아 먹으며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며, 개미와 공생하거나 중국 옻나무 진딧물처럼 한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꽃매미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브루클린 식물원의 꽃매미
브루클린 식물원, 뉴욕에서 촬영
학명Lycorma delicatula
명명자(White, 1845)
아종L. d. delicatula (Stal, 1863)
L. d. jole (Stal, 1863)
L. d. operosa (Walker 1858)
이명Aphaena delicatula (White, 1845)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노린재목
아목매미아목
꽃매미과
꽃매미속 (Lycorma)
주홍날개꽃매미
분포 및 현황
원산지동남아시아
현재 분포미국, 대한민국 등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생태교란종
생태 및 특징
식습관다양한 식물에 피해를 줌
피해농작물 피해
생태계 교란
참고 사항이전 생각과 달리 활엽수 자체에 큰 피해를 주지는 않음
방제
방법살충제 사용
주의사항살충제는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에 잠재적 위험이 있음

2. 분류 및 학명

꽃매미는 樗鷄(저계), 斑衣(반의사선)라고도 한다. '주홍날개꽃매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었으나, 2010년부터 '꽃매미'가 국명이 되었고 기존의 '꽃매미'라 불리던 종인 ''Limois kikuchii''는 희조꽃매미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5][16] 이후 2019년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생물총목록에 따르면 국내종인 희조꽃매미는 학명이 ''Limois emelianovi'' Oshanin, 1908로 바뀌었고, 외래종인 꽃매미는 주홍날개꽃매미로 다시 국명이 변경되었다.

Spotted lanternfly displaying underwing
날개 아랫부분을 보여주는 꽃매미


''Lycorma delicatula''는 매미목 풀무치과 Aphaeninae아과에 속하는 Lycorma 속의 일종이다. 이 속의 종들은 아시아에서 발견된다.[8] 1845년 애덤 화이트에 의해 ''Aphaena delicatula''로 기술되었으며, 최초의 과학적 수집은 중국 난징 밖에서 이루어졌다.[9] 화이트는 이 종을 아시아 원산의 다른 풀무치 종인 ''Aphaena variegata''와 유사하다고 묘사했으며, 점박이 꽃매미의 초기 분류에서 조지 트레이드스캔트 레이의 이전 설명을 언급했다.[9]

1863년, 이 종은 카를 스탈에 의해 ''Lycorma delicatula delicatula''로 재분류되었으며, 두 개의 추가 아종이 기술되었다: ''Lycorma delicatula jole''과 ''Lycorma delicatula operosa''.[10][11] 분류학적 분류는 다른 두 종 (''L. imperialis'' 및 ''L. meliae'')을 점박이 꽃매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한다.[12][13] ''Lycorma delicatula''라는 이름은 "램프"를 의미하는 ''lyc/lyco''와 "호화로운"을 의미하는 ''delicatula''에서 유래되었다.[14]

2019년, ''L. delicatula''의 게놈이 완전하게 염기서열 분석되었으며,[17] ''Aphaena amabilis''와 ''Pyrops candelaria'' 모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었다.[18]

3. 형태

성충 꽃매미는 길이가 약 25mm이고 너비는 약 12mm이다. 검은 머리와 검은 반점이 있는 회갈색 앞날개를 가지고 있다.[49] White의 원래 설명에 따르면 꽃매미는 최소 20개의 검은 반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6개의 반점은 앞날개의 앞쪽 가장자리에 위치한다.[9]

휴식할 때는 붉은색 뒷날개가 반투명한 앞날개를 통해 부분적으로 보여 붉은 색조를 띤다. 검은색 직사각형 무늬가 앞날개의 끝을 장식한다. 비행 시 꽃매미는 붉은 뒷날개, 날개 중간의 흰색 쐐기, 검은색 날개 끝을 보여준다. 복부는 위아래로 검은색과 흰색 띠가 있는 노란색이다.[49] 꽃매미는 바늘 모양의 팁으로 덮인 주황색, 둥근 촉각을 보여준다.[19]

꽃매미는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 암컷은 수컷에게 없는 복부의 원위 끝에 붉은 밸비퍼 세트를 가지고 있다. 임신했을 때 암컷의 복부는 움직이기 어려울 정도로 부풀어 오른다.[20]

꽃매미는 플랜트호퍼이며, 지속적인 비행을 하는 대신 날개를 사용하여 점프를 돕는다.[22]

4. 생태

꽃매미는 4월 말 또는 5월 초에 유충이 부화하며, 여러 번의 탈피를 거쳐 성충이 된다.[26] 1령 유충은 검은색에 흰색 반점을 가지며, 이후 유충은 흰색 반점 외에 붉은 반점이 추가된다.[26] 4령 유충은 검은 머리와 검은 반점이 있는 회색빛 날개를 가진 성충으로 탈피하기 전에 붉은 날개 패드와 붉은 몸통을 갖는다.[26] 성충은 7월 초부터 나타나 9월 말부터 겨울까지 짝짓기를 하고 산란한다.[26]

꽃매미의 생활사(유충)와 25센트 동전 크기 비교


알 덩어리에는 30~50개의 알이 들어 있으며,[38] 황갈색의 왁스 같은 물질로 덮여 있다.[26] 알은 월동 후 봄에 부화하며, 낮은 온도는 알 생존율을 높인다.[36] 대부분의 성충은 12월 말까지 죽는다.[26][20]

꽃매미는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를 선호하는 기주로 알려져 있지만,[24][25] 포도, 사과, 복숭아 등 다양한 식물에도 피해를 준다.[26] 꽃매미는 33개 과와 17개 목에 속하는 103개의 식물 분류군과 관련된 먹이 행동을 보인다.[28]

2018년 7월 초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벅스 카운티에서 ''Vitis labrusca''에 있는 꽃매미 약충


꽃매미는 식물의 수액을 빨아 먹어 생장을 저해하고,[26] 배설물로 인해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린다.[29] 꽃매미의 배설물과 수액은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고, 곰팡이 성장을 촉진하며, 개미, 벌, 말벌을 유인한다.[32]

"벽돌과 박격포" 날개 구조 근접 촬영

5. 분포

5. 1. 원산지

꽃매미는 중국 남동부, 대만, 베트남, 인도동남아시아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다.[35][29][98] 화석 증거에 따르면, ''L. delicatula''는 이프르절 동안 55~51.6 mya 사이에 진화했다.[41][42] 계통유전체학적 분석 결과 ''L. delicatula''는 원래 중국 남서부에서 진화하여 결국 6개의 식물지리적 계통으로 분화되었다.[43] 1930년대에 ''L. delicatula''는 산시성, 산둥성, 허베이성의 북부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이후, 그 범위는 안후이성, 베이징, 광둥성, 허난성, 장쑤성, 쓰촨성, 윈난성, 저장성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26][19] 전통 중국 의학에서 점박이날개매미충은 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1100년대부터 부기 완화를 위한 국소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26][19]

5. 2. 대한민국

1932년 일본인 곤충학자가 남긴 기록에 당시 대한민국에 꽃매미가 서식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는 한국 내 꽃매미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101] 1979년 대한민국에서 꽃매미가 최초로 목격되었다.[98] 2006년부터 관악산천안시, 청주시 등지에서 가죽나무를 위주로 발생되기 시작했다.[98] 2007년에는 포도 과수원에서 최초의 피해가 기록되었다.[98]

2008년 8월 초순을 기준으로 경기도 고양시, 경상북도 영천시, 충청북도 청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아산시, 연기군), 전라북도 정읍시 등 91ha의 포도나무 과수원에서 꽃매미가 발생하여 피해가 보고되었다. 같은 해 9월 초순에는 대한민국 전역에서 포도와 배, 사과, 복숭아 등 42ha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로 경기도와 충남, 충북, 전북 지역에 피해가 심했다.[98]

2009년 대한민국의 꽃매미 발생 면적은 2.9천ha였다.[102] 2010년에는 발생 면적이 8.4천ha로 늘어나고, 발생 지역도 48개 시군으로 확대되었다.[102] 2011년에는 지난 겨울 한파로 꽃매미 알집이 대부분 얼어 죽으면서 발생 면적과 밀도가 대폭 줄어들었으나, 이후에도 2014년, 2015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했다.[103][104]

2006년 한국에 유입된 꽃매미는 2007년경부터 해충으로 간주되었다. 이후 최소 65종의 식물을 공격하며 숙주 범위를 넓혔으며, 천적의 억제 없이 번식했다.[22] 모델링 결과, 꽃매미가 대한민국 대부분 지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45]

가죽나무(*A. altissima*)의 광범위한 분포와 포도나무 전체에 대한 피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78] 가죽나무는 한국 포도원 주변에서 흔히 발견되며, 꽃매미(*L. delicatula*)는 포도나무의 해충으로 기록되어 포도 수확량과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46][78]

5. 3. 해외 확산

꽃매미는 중국 중남부, 베트남, 대만,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98] 2006년 대한민국에 유입된 이후 2009년에는 일본 이시카와현 고마쓰시(고마쓰시)에서, 2014년에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처음 발견되었다.[99][30][48] 일본에서는 1930년대부터 산발적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21세기 초에 번식 개체군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 발견된 표본은 중국 베이징, 톈진, 칭다오, 상하이의 개체군과 유전적으로 동일하다.[47]

미국에서는 펜실베이니아주를 시작으로 뉴저지, 필라델피아, 버지니아, 델라웨어, 메릴랜드 등 주변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100] 펜실베이니아주 농무부는 2014년 11월 1일부터 알 덩어리를 숨길 수 있는 품목들의 운송을 7개 자치구에서 금지했다.[49] 2024년 현재, 미국 내 18개 주 (코네티컷,[54] 메릴랜드,[54] 매사추세츠,[55] 델라웨어,[56] 뉴저지,[57] 뉴욕,[58] 오하이오,[59] 인디애나,[60] 버지니아,[61] 웨스트버지니아,[54] 노스캐롤라이나,[62] 미시간,[63][64] 로드아일랜드,[65] 테네시,[66] 켄터키[67])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미국 농무부와 신장 생태학 및 지리학 연구소에서 제작한 점박이날개매미충의 세계적 잠재 서식지 지도.


미국 농무부는 꽃매미에 대한 연구를 위해 국가 실무 그룹을 조직했다.[22] 꽃매미는 미국의 동부 지역과 태평양 연안 주의 포도 및 홉 재배 지역에 정착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73] 캔자스,[68][69] 오리건,[70] 캘리포니아에서 죽은 꽃매미 표본이 보고되었으나, 2023년 9월 현재, 이들 주에서는 살아있는 꽃매미가 발견되지 않았다.[72]

캐나다 식품 검사청은 꽃매미 유입 위험을 확인했으며, 화물 운송 상자를 통해 온타리오로 이동하는 성충 꽃매미를 발견한 적이 있다.[74][73] 이후 2024년 9월, 온타리오에서 꽃매미가 발견되었다.[75] 유럽 및 지중해 식물 보호 기구는 꽃매미를 A1 해충으로 분류하고 유럽에서 침입종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76] CLIMEX 모델링 결과, 영국, 프랑스, 벨기에, 스위스, 스페인, 이탈리아가 소규모 꽃매미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7] 꽃매미는 2024년 7월 17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아이내추럴리스트를 통해 관찰되었다.[79] 호주에서 꽃매미의 생활 주기를 모델링한 결과, 호주 남서부 해안 지역은 꽃매미의 생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레이트 디바이딩 산맥과 태즈메이니아는 적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80]

6. 피해

꽃매미는 산림에서 서식하다가 포도, , 복숭아 등 과수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105] 유충과 성충은 나무의 즙액을 빨아서 성장을 저해하고, 피해가 심한 줄기는 죽는다.[105] 많은 양의 분비물 배설로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과실의 품질이 저하된다.[105] 또한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아 생태계교란동식물12종에 포함되어 있다.[105]

7. 방제

꽃매미 방제 조치와 지침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 (Penn State) 익스텐션에서 발표했다. 이러한 지침에는 10월에서 5월 사이에 표면에서 긁어내고 "이중으로 봉투에 넣어 쓰레기통에 버리는" 방식으로 ''L. delicatula'' 알을 제거하는 것이 포함된다.[49] 사람들은 알을 알코올 및/또는 손 소독제가 들어 있는 비닐 봉투에 직접 긁어 넣어 죽일 수 있다. 펜실베이니아 농무부는 천국의 나무 (''가중나무'')와 같이 꽃매미가 선호하는 숙주 제거를 권장하며, 꽃매미가 선호하는 숙주에 유인되기 때문에 "트랩" 나무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컷 나무만 남겨두었다.[81] 남은 수컷 "트랩 나무"는 이른 봄부터 점착 테이프로 감아 약충을 잡아야 한다. 야생동물 전문가들은 다른 동물(예: 새)들이 그 위에 갇혀 부상 및/또는 죽음에 이르는 사례가 많이 보고됨에 따라 나무에 감긴 점착 테이프를 닭장 철망 또는 이와 유사한 철망으로 덮어둘 것을 경고했다.[82]

펜실베이니아와 한국에서는 갈색 끈끈이 트랩을 사용하여 약충을 포획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성충은 점착성을 벗어날 만큼 강할 수 있다.[78][83] 꽃매미는 나무 질감의 변화와 나무 줄기를 따라 있는 장애물을 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쪽을 향하는 트랩이 생태학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큰 효능을 보였다.[84] ''L. delicatula''는 숙주 식물에서 방출되는 특정 카이로몬에 유인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성충 및 2~4령 약충은 스피어민트 오일에도 유인된다. 이러한 화학 물질(예: 메틸 살리실레이트)은 이 해충 방제 방법을 보완하기 위해 끈끈이 트랩으로 유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85]

적외선 열화상 촬영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들은 꽃매미가 활발하게 먹이를 먹고 빠른 혈림프 순환 중에 장파장 적외선 (8–14 μm) 빛을 방출하여 조기 감지 수단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했다.[86] 훈련된 개는 겨울철 알 덩어리를 감지할 수 있다.[87]

펜실베이니아 농무부는 살충 비누, 님 오일, 피레트린, 에센셜 오일, 비펜트린, 카바릴, 수피 살포용 디노테퓨란, 이미다클로프리드, 스피노사드, 테부코나졸, 제타-사이퍼메트린을 포함하여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살충제를 권장했다.[81] 감염된 나무는 6월부터 8월까지 전신성 살충제로 처리할 수 있다. 펜실베이니아 농무부는 전문 시공업자가 살포하는 나무 주사 및 수피 살포와 주택 소유자가 살포할 수 있는 토양 관주 및 엽면 살포를 권장한다.[81]

연구자들은 ''가중나무'' 개체수 감소를 통해 꽃매미 개체수를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조사하고 있으며, 곰팡이 병원균인 ''버티실리움 논알팔파에''를 사용하여 침입종인 나무를 혈관 위조를 일으켜 효과적으로 죽이는 것을 발견했다.[88] 이 해충의 숙주 식물에 구멍을 내고 수액을 빨아 먹는 꽃매미가 곤충이 선호하는 숙주의 다른 개체들 사이에 ''V. nonalfalfae'' 병원균의 매개체 역할을 하여 진행 중인 ''A. altissima'' 제거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자들은 아직 이 방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으며, ''V. nonalfalfae'' 또는 다른 병원균을 사용하여 현장 환경에서 이것이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89]

미국에서 자생하는 4종의 곰팡이 곤충 병원균이 꽃매미에서 공동 유행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90] ''바실리아 바시아나,'' ''바트코아 메이저'', ''메타리시움 펨피기'' 및 ''오피오코르디셉스 델리카툴라''가 꽃매미를 기생하여 죽이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바실리아 바시아나''는 생물 살충제 실험에서도 꽃매미를 죽일 수 있는 능력을 보였다.[90][91][92]

꽃매미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몇몇 천적들이 확인되었지만 아직 생물 방제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 ''드리누스 시니쿠스'', 드리니데 벌 및 ''오에지르투스 쿠바나에'', 애벌레 벌이 꽃매미 알과 약충에 기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93][94] ''오에지르투스 쿠바나에''는 1908년 ''Lymantria dispar dispar''의 개체수 조절을 위해 이전에 미국에 도입되었으며, 2017년에 꽃매미 알 덩어리에 기생하는 것으로 처음 기록되었다.[93] 테스트 중인 또 다른 생물 방제 포식자는 알의 기생률이 높은 유펠미드 벌 ''아나스타투스 오리엔탈리스''이다. 이 벌은 대한민국[95]과 미국에서 조사 중이며, 침입종이 되어 다른 곤충을 공격하지 않을 것임을 연구자들이 확신할 때까지 격리 상태에서 평가를 받고 있다.[96]

7. 1. 화학적 방제

1~3령 유충 기간인 5월 상순부터 6월 중순까지는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제를 희석하여 살포한다. 4령 성충에는 페니트로티온, 티아클로프리드 등을 희석하여 살포한다. 펜실베이니아 농무부는 살충 비누, 님 오일, 피레트린, 에센셜 오일, 비펜트린, 카바릴, 수피 살포용 디노테퓨란, 이미다클로프리드, 스피노사드, 테부코나졸, 제타-사이퍼메트린을 포함하여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살충제를 권장했다.[81] 감염된 나무는 6월부터 8월까지 전신성 살충제로 처리할 수 있다. 펜실베이니아 농무부는 전문 시공업자가 살포하는 나무 주사 및 수피 살포와 주택 소유자가 살포할 수 있는 토양 관주 및 엽면 살포를 권장한다.[81]

7. 2. 생물학적 방제

꽃매미는 천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거미, 사마귀, 파리매 등 여러 곤충들이 꽃매미를 포식한다.[106] 특히, 벼룩좀벌은 꽃매미 알에 기생하는 천적으로 2015년에 발견되었으며,[106] 2018년에는 농촌진흥청에서 벼룩좀벌 대량 증식 방법을 개발하였다.[107]

미국에서는 꽃매미 방제를 위해 여러 방법이 연구, 활용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농무부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는 꽃매미 알 제거, 가중나무 제거 및 점착 테이프를 활용한 약충 포획을 권장한다.[49][81] 또한, 살충 비누, 님 오일 등 여러 살충제 사용이 권장된다.[81]

끈끈이 트랩은 약충 포획에 효과적이지만, 성충은 끈끈이를 벗어날 수 있다.[78][83] 스피어민트 오일과 같은 카이로몬을 이용하여 유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85] 적외선 열화상 촬영법으로 꽃매미를 조기에 감지하거나,[86] 훈련된 개를 통해 겨울철 알 덩어리를 탐지할 수 있다.[87]

가중나무에 버티실리움 논알팔파에를 사용하여 혈관 위조를 일으켜 고사시키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88][89]

미국 자생 곰팡이 중 ''바실리아 바시아나'' 등 4종이 꽃매미에 공동 유행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90] ''바실리아 바시아나''는 생물 살충제 실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90][91][92]

중국에서는 ''드리누스 시니쿠스'' 등 꽃매미 천적이 확인되었고,[93][94] 미국에서는 유펠미드 벌 ''아나스타투스 오리엔탈리스''가 연구 중이다.[95][96]

7. 3. 물리적 방제

꽃매미는 나무줄기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어, 나무 밑둥 50~100cm 부근에 끈끈이 트랩을 설치하여 방제할 수 있다.[78][83] 하지만 날아오르면 끈끈이 트랩도 소용이 없으며, 포도나무의 경우 다량의 농약을 살포해야만 꽃매미를 막을 수 있다. 겨울철에는 나무껍질을 벗겨 알 덩어리를 제거하고 소각하면 다음 해 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49] 미국에서는 알 덩어리를 긁어내 알코올이나 손 소독제가 든 비닐 봉투에 넣어 제거하는 방법을 권장한다.[49]

펜실베이니아와 한국에서는 갈색 끈끈이 트랩이 약충 포획에 효과적이지만, 성충은 점착성에서 벗어날 수 있다.[78][83] 꽃매미는 나무 질감 변화와 장애물을 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쪽을 향하는 트랩이 생태학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효과적이다.[84] 스피어민트 오일 등 특정 카이로몬을 이용하여 끈끈이 트랩으로 유인하는 방법도 활용될 수 있다.[85]

7. 4. 기타 방제

펜실베이니아 농무부와 펜실베이니아 주립대는 꽃매미 방제 지침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10월에서 5월 사이에 꽃매미 알을 제거하고, 꽃매미가 선호하는 숙주인 가중나무를 제거하는 것이 포함된다.[49][81] 수컷 가중나무는 "트랩 나무"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른 봄부터 점착 테이프로 감아 약충을 잡는다.[81] 다만, 점착 테이프는 다른 동물(예: 새)들이 갇혀 부상 및/또는 죽음에 이르는 사례가 보고되어 닭장 철망 등으로 덮어두어야 한다.[82]

꽃매미는 나무 질감의 변화와 나무 줄기를 따라 있는 장애물을 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안쪽을 향하는 트랩이 생태학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가장 큰 효능을 보였다.[84] 갈색 끈끈이 트랩은 약충 포획에 효과적이지만, 성충은 점착성을 벗어날 수 있다.[78][83] 꽃매미는 숙주 식물에서 방출되는 특정 카이로몬 및 스피어민트 오일에 유인되는데, 메틸 살리실레이트와 같은 화학 물질을 끈끈이 트랩과 함께 사용하면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85]

적외선 열화상 촬영법을 통해 꽃매미가 활발하게 먹이를 먹고 빠른 혈림프 순환 중에 장파장 적외선을 방출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조기 감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86] 또한 훈련된 개는 겨울철 알 덩어리를 감지할 수 있다.[87]

연구자들은 ''가중나무'' 개체수 감소를 통해 꽃매미 개체수를 제어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있으며, 곰팡이 병원균인 ''버티실리움 논알팔파에''를 사용하여 침입종인 가중나무에 혈관 위조를 일으켜 효과적으로 죽이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88] 그러나 이 방법의 효과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89]

미국에서는 자생하는 4종의 곤충 병원균( ''바실리아 바시아나,'' ''바트코아 메이저'', ''메타리시움 펨피기'' 및 ''오피오코르디셉스 델리카툴라'')이 꽃매미를 죽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90] ''바실리아 바시아나''는 생물 살충제 실험에서도 효과를 보였다.[90][91][92]

꽃매미의 원산지인 중국에서는 ''드리누스 시니쿠스'', 드리니데 벌 및 ''오에지르투스 쿠바나에'', 애벌레 벌과 같은 천적들이 확인되었지만, 아직 생물 방제에 사용되지 않고 있다.[93][94] ''오에지르투스 쿠바나에''는 1908년 ''Lymantria dispar dispar''의 개체수 조절을 위해 미국에 도입되었으며, 2017년에 꽃매미 알 덩어리에 기생하는 것이 처음 기록되었다.[93] 유펠미드 벌 ''아나스타투스 오리엔탈리스''는 대한민국[95]과 미국에서 조사 중이며, 격리 상태에서 평가를 받고 있다.[96]

참조

[1] 웹사이트 "''Lycorma delicatula'' (White, 1845)" https://www.hemipter[...] 2020-04-26
[2]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SLF) https://www.cdfa.ca.[...] 2024-10-04
[3]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lore: Penn State experts clear up falsehoods about pest https://www.psu.edu/[...] Penn State University 2024-09-22
[4] 웹사이트 Invasive spotted lanternfly may not damage hardwood trees as previously thought https://www.psu.edu/[...] Penn State University 2024-09-22
[5] 간행물 Spotted lanternfly https://www.aphis.u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3-01-23
[6]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map https://www.stopslf.[...] USDA 2023-01-23
[7] 웹사이트 Unearthing a Better Way to Use Pesticides https://www.georgeto[...] 2024-09-22
[8] data sheet "''Lycorma delicatula'' (spotted lanternfly)" https://www.cabi.org[...] 2022-01-09
[9] 논문 Descriptions of a new genus and some new species of homopterous insects from the 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https://www.biodiver[...] 2018-02-20
[10] 웹사이트 "''Lycorma delicatula jole'' (Stål, 1863)" https://www.catalogu[...] 2022-01-25
[11] 논문 Beitrag zur Kenntnis der Fulgoriden. Entomologische Zeitung. Herausgegeben von dem entomologischen Vereine zu Stettin
[12] 논문 Lanternflies (Hemiptera: Fulgoridae) of Taiwan."
[13] 보고서 BS1847: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White 1845) review: Biology, ecology and pest management with reference to kiwifruit https://kvh.org.nz/v[...] 2022-01-09
[14] 논문 You Ain't From Around Here! Exotic Invasive of the Quarter: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ttps://forestupdate[...] 2022-01-19
[15] 논문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A New Invasive Pest in the United States" https://academic.oup[...] 2022-01-17
[16] 논문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idae: Aphaeninae) finally, but suddenly arrived in Korea" http://delphacid.s3.[...] 2022-01-17
[17] 웹사이트 First Genome of Spotted Lanternfly Built from a Single Insect https://www.ars.usda[...] USDA ARS 2022-01-09
[18] 논문 Ecology and genetic structure of the invasive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in Japan where its distribution is slowly expanding 2022-02
[19] 논문 Relating antennal sensilla diversity and possible species behaviour in the planthopper pest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omorpha: Fulgoridae) 2018-03-27
[20] 웹사이트 Life cycle, identification, and dispersion https://nysipm.corne[...] Cornell University 2022-01-26
[21]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White)" https://entnemdept.u[...] University of Florida 2022-01-26
[22] 뉴스 Entomologists hope vigilance, research stop newly discovered spotted lanternfly http://phys.org/news[...] Science X network 2014-12-24
[23] 논문 Many ways to land upright: novel righting strategies allow spotted lanternfly nymphs to land on diverse substrates 2021-08-11
[24] 논문 The First New World Record of ''Lycorma delicatula'' (Insecta: Hemiptera: Fulgoridae) 2015-06
[25] 논문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ycorma delicatula'' and the Control Effects of Some Insecticides 2009-03-30
[26] 뉴스 Spotted lanternfly – a new threat to grapes, stone fruit? http://westernfarmpr[...] Penton Agriculture Market 2014-12-24
[27] 논문 Distribution, survival, and development of spotted lanternfly on host plants found in North America https://academic.oup[...] 2023-03-16
[28] 논문 Worldwide feeding host plants of spotted lanternfly, with significant additions from North America
[29] blog Invasive bug prompts quarantine in Pennsylvania townships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8-04-04
[30]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extension.p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21-01-19
[31]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www.firstdet[...] First Detection Program 2021-12-25
[32]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in New Jersey: What you need to know https://www.mendhamg[...] 2021-12-25
[33] 간행물 Finally, something spotted lanternflies are good for: Honey https://www.phillyma[...] 2023-12-07
[34]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ies and beekeeping https://extension.ps[...] 2023-12-07
[35] 논문 Cyclic behavior of ''Lycorma delicatula'' (Insecta: Hemiptera: Fulgoridae) on host plants 2011-06-08
[36] 웹사이트 "''Lycorma delicatula'' (spotted lanternfly)" https://www.cabi.org[...] 2021-11-01
[37] 논문 "Feeding behavior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and response on feeding stimulants of some plants" 2009-12-30
[38] 간행물 The spotted lanternfly, a new insect pest detected in Pennsylvania http://ento.psu.edu/[...]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14-11-10
[39] 논문 "Impact of minimum winter temperature on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egg mortality" 2011-01-01
[40] 논문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survival of nymphal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https://www.fs.fed.u[...]
[41] 논문 The oldest known Lophopidae planthopper (Hemiptera: Fulgoromorpha) from the European Palaeocene https://www.hemipter[...] 2012-08-01
[42]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 Encyclopedia of Life https://eol.org/pag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22-01-24
[43] 논문 Global phylogeography and invasion history of the spotted lanternfly revealed by mitochondrial phylogenomics
[44] 논문 "Spotted lanternfly (Hemiptera: Fulgoridae) can complete development and reproduce without access to the preferred host, ''Ailanthus altissima''" https://academic.oup[...] 2020-10-17
[45] 논문 "Model-base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invasive insect pest,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by using CLIMEX" 2017-12-01
[46] 논문 "Molecular comparison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solates in Korea, China, and Japan" 2013-12-01
[47] 보고서 "Pest risk assessment: ''Lycorma delicatula'' (Spotted lanternfly)" https://www.mpi.govt[...] Ministry for Primary Industries 2020-03-17
[48] 뉴스 Lanternflies eat everything in sight; the U.S. is looking delicious https://www.nytimes.[...] 2018-05-21
[49]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www.agricult[...] Pennsylvania Department of Agriculture null
[50] 뉴스 New invasive pest has Pennsylvania towns on alert https://online.wsj.c[...] 2014-11-18
[51]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www.invasive[...] Invasive Species Centre null
[52] 뉴스 Spotted lanternfly spreading farther into our area https://www.wnep.com[...] 2021-03-22
[53] 보고서 Potential economic impact of the spotted lanternfly on agriculture and forestry in Pennsylvania https://cpb-us-w2.wp[...]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19-12-01
[54]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www.aphis.us[...]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ull
[55] 간행물 State agricultural officials urge residents to report signs of invasive spotted lanternfly https://www.mass.gov[...] Massachusetts Department of Agricultural Resources 2020-09-01
[56]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agriculture.[...] Delaware Department of Agriculture null
[57] 뉴스 These three N.J. counties are now under a spotted lanternfly quarantine https://www.nj.com/n[...] 2019-01-30
[58] 간행물 New York State announces confirmed finding of spotted lanternfly on Staten Island http://agriculture.n[...] New York State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Markets 2020-08-14
[59] 간행물 Spotted lanternfly found in Jefferson County https://agri.ohio.go[...] Ohio Department of Agriculture 2020-10-27
[60]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https://www.in.gov/d[...] Indian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2021-01-26
[61] 뉴스 Invasive spotted lanternfly makes journey into Virginia https://wtop.com/gar[...] 2018-10-05
[62] 간행물 NCDA&CS finds spotted lanternfly in Forsyth County https://www.ncagr.go[...] North Carolina Department of Agriculture & Consumer Services 2022-06-29
[63] 간행물 "Forest pest alert: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ttps://www.michigan[...] Michigan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64] 뉴스 Michigan DNR advises residents to be on the lookout for invasive spotted lanternfly https://www.shorelin[...] 2023-09-19
[65] 뉴스 Spotted lanternfly: Should you be worried about them? https://www.yahoo.co[...] 2023-09-17
[66] 간행물 Spotted lanternfly detected in middle Tennessee https://www.tn.gov/a[...] 2023-09-28
[67]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Invasive insect spotted in northern Kentucky https://www.wlwt.com[...] 2024-10-04
[68] 뉴스 A Kansas boy entered a unique insect at the state fair. It triggered a federal investigation https://www.washingt[...] 2021-09-15
[69] 뉴스 Kansas boy's insect entry at state fair wins prize – and triggers federal inquiry https://www.theguard[...] 2021-09-15
[70] 간행물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pest alert" https://www.oregon.g[...] Oregon Department of Agriculture
[71] 뉴스 Oregon nursery finds destructive spotted lanternfly, first ever reported in Oregon https://odanews.wpen[...] 2020-10-08
[72]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A colorful cause for concern http://www.canr.msu.[...] Michigan State University 2020-11-18
[73] 논문 The establishment risk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the United States and globally http://academic.oup.[...] 2020-10-08
[74]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A serious threat to Canada's wine and agricultural industries http://www.invasives[...] Invasive Species Centre 2020-10-08
[75] 웹사이트 https://www.cbc.ca/n[...]
[76] 논문 Footprints and Ootheca of ''Lycorma delicatula'' influence Host-Searching and -Acceptance of the Egg-Parasitoid Anastatus orientalis https://academic.oup[...] 2022-01-12
[77] 논문 Model-base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invasive insect pest,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by using CLIMEX
[78] 웹사이트 Lycorma delicatula http://pra.eppo.int/[...] 2022-01-26
[79]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ttps://www.inatural[...] 2024-07-20
[80] 간행물 Mapping The Life-History, Development, And Survival of Spotted Lantern Fly In Occupied And Uninvaded Ranges https://www.research[...] 2022-01-17
[81] 웹사이트 Spotted lanternfly management for homeowners https://extension.ps[...]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020-06-22
[82] 웹사이트 Wildlife experts warn spotted lanternfly traps are killing birds, bats, squirrels, and other animals https://www.fox43.co[...] 2020-08-27
[83] 논문 Environmentally-friendly control methods and forecasting the hatching time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Jeonnam Province 2012-12-01
[84] 논문 Developing traps for the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2020-04-14
[85] 논문 Discovery of three kairomones in relation to trap and lure development for spotted lanternfly (Hemiptera: Fulgoridae) 2019-03-21
[86] 논문 Infrared thermography for insect detection: lighting up the spotted lanternfly in the field 2021-03-01
[87] 논문 Egg masses as training aids for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detection dogs 2021-05-03
[88] 논문 First Report of Verticillium Wilt Caused by ''Verticillium nonalfalfae'' on Tree-of-Heaven (''Ailanthus altissima'') in Ohio 2013-07
[89] 논문 The inability of spotted lanternfly (''Lycorma delicatula'') to vector a plant pathogen between its preferred host, ''Ailanthus altissima'', in a laboratory setting
[90] 논문 Discovery of two hypocrealean fungi infecting spotted lanternflies, ''Lycorma delicatula'': ''Metarhizium pemphigi'' and a novel species, ''Ophiocordyceps delicatula'' 2021-11-01
[91] 논문 A pair of native fungal pathogens drives decline of a new invasive herbivore 2019-05-07
[92] 뉴스 There's fungus among us, and it might kill off the spotted lanternfly in Pa. https://www.ydr.com/[...] USA Today Network 2019-09-10
[93] 논문 An old remedy for a new problem? Identification of ''Ooencyrtus kuvanae'' (Hymenoptera: Encyrtidae), an egg larasitoid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North America https://academic.oup[...] 2021-12-30
[94] 논문 Exploratory survey of spotted lanternfly (Hemiptera: Fulgoridae) and its natural enemies in China https://academic.oup[...] 2021-12-30
[95] 논문 Parasitism rate of egg parasitoid ''Anastatus orientalis'' (Hymenoptera: Eupelmidae) on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in China 2014-06-01
[96] 뉴스 Vineyards facing an insect invasion may turn to aliens for help https://www.npr.org/[...] NPR 2020-02-20
[97] 웹사이트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98] 웹사이트 골칫거리 유입해충 “꽃매미” 지금 잡아야 http://enews.rda.go.[...] 농촌진흥청 2008-01-28
[99] 웹사이트 https://www.nytimes.[...]
[100] 웹사이트 https://news.marylan[...]
[101]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02] 웹사이트 '2011년 꽃매미 종합방제 추진계획' http://www.mifaff.go[...] 농림수산식품부 2011-04-01
[103] 뉴스 ‘과수농 공공의 적’ 꽃매미 감소 전망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1-05-11
[104] 뉴스 서울서 자라던 남방계 수종 凍害 입어… 지난 겨울 추위 탓 말라 죽어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쿠키뉴스 2011-05-11
[105] 웹사이트 포도농가 ‘꽃매미 스트레스’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09-07-19
[106] 뉴스 해충 꽃매미, 토종 벼룩좀벌로 잡는다 : 네이버 뉴스 https://m.news.naver[...]
[107] 뉴스 ‘꽃매미’ 천적 ‘꽃매미벼룩좀벌’ 대량증식 < 영농기술 < 농산 < 기사본문 - 한국농어민신문 http://www.agrinet.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