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낙랑 고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낙랑 고분은 한반도에 설치된 낙랑군과 대방군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분군을 의미한다. 1~2세기 무렵 목곽분에서 전축분으로 변화했으며, 고구려가 낙랑군을 지배한 이후 만들어진 전축분도 존재한다. 고분군에서는 중국 문화의 영향과 함께 고구려와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유물이 출토된다. 일제강점기 및 북한 학계에서는 낙랑 고분에 대한 해석이 다르며, 북한 학계는 이를 고구려 묘제로 재해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국 시대의 무덤 - 광주 월계동 장고분
    광주 월계동 장고분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월계동에 있는 2기의 장고분으로, 5~6세기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백제와 일본 간 교류를 보여주는 유적으로 평가받아 1994년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 평양시의 역사 - 평양성 (고구려)
    평양성은 고구려가 수도를 옮긴 후 수도 역할을 한 성곽으로, 외성, 중성, 내성, 북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려 시대 서경, 조선 시대 평안도 핵심 성으로 기능했고 현재는 북한에서 문화재로 관리된다.
  • 평양시의 역사 - 평안남도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일본 제국의 식민 통치하에 놓였던 평안남도를 지칭하며, 조선총독부의 지배하에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일본의 영향을 받았고, 지하자원 수탈, 강제 징용, 황민화 정책 등으로 고통받았으나 민족 교육과 독립운동을 통해 저항을 이어갔다.
낙랑 고분
개요
위치한반도 서북부
시대철기 시대
유형고분군
축조 시기기원전 3세기 ~ 기원후 4세기
위치 정보
역사
관련 국가낙랑군
발굴 시작1905년
발굴 주체일본 학자
주요 발굴품칠기, 청동기, 금속 제품 등
특징
묘제토광묘, 석곽묘, 전축묘 등
피장자한족 계통의 낙랑군 통치 세력
출토 유물중국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 다수
보존 및 관리
세계유산 등재 여부미등재
관련 문화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보
논란
위치 비정낙랑군의 위치에 대한 논쟁 존재
역사 왜곡일본 제국주의 시기 식민사학과의 연관성 논란
기타 정보
참고 문헌다양한 연구 논문 및 서적 존재
관련 웹사이트관련 학술 기관 및 연구소 웹사이트

2. 낙랑군의 설치와 변천

기원전 108년 한나라의 무제는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사군을 설치하였는데, 그중 낙랑군은 현재의 평안도황해도 일대에 해당하며, 한나라의 세력 변화에 따라 그 영역이 변동되었다.[3] 후한 말 요동의 공손강이 세력을 확장하면서 낙랑군은 그의 지배하에 들어갔고, 건안 연간(196년~220년)에 낙랑군 남쪽 지역을 분할하여 대방군을 설치하였다.[3]

위나라 경초 원년(237년), 공손씨가 멸망하면서 낙랑군과 대방군은 위나라에 편입되었고, 이후 진나라에 소속되었다.[3] 그러나 북쪽의 고구려와 남쪽의 백제가 성장하면서 양쪽으로부터 압박을 받아 점차 쇠퇴하였고, 결국 313년 경에 멸망하였다.[3]

2. 1. 낙랑군의 문화와 영향

낙랑 고분군은 1세기부터 2세기 무렵을 경계로 목곽분에서 전축분으로 변화한다. 낙랑 고분군의 전축분은 대개 2세기 무렵부터 만들어졌기 때문에 낙랑군, 대방군 지배층의 묘와 관계가 있다[2]. 그 중에는 고구려가 낙랑군, 대방군을 지배하게 된 313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을 나타내는 기년명 전이 출토된 전축분도 있다.[2]

낙랑군에는 중국에서 관료뿐만 아니라 많은 상인농민이주하여 중원의 문화를 조선에 가져왔다. 도읍인 평양에서는 다수의 유적,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4] 관야정은 "한 무제 때 조선 북반부에서 요동에 걸쳐 그 판도에 들어가 낙랑, 현도, 임둔, 진번의 사군이 설치되었지만, (중략) 이 낙랑대방에는 중국에서 태수를 두고, 한족도 꽤 와서 한의 문화를 수입했습니다. 그 유적은 근년의 조사에 의해, 평양을 중심으로 그 부근의 땅에 다소 발견되었습니다"라고 보고했다.[3]

금서룡은 "이 독립적인 소군주였던 장통도 진민제건흥 원년 4월 (313년)에 이르러 그 백성 천여 가구를 이끌고 모용외에게 귀부했으므로 이 때 이후 대동강 유역은 확실히 고구려의 영유가 되었다."라고 지적했다.[5]

2. 2. 고구려의 지배와 문화 흡수

1세기부터 2세기 무렵을 경계로 낙랑 고분은 목곽분에서 전축분으로 변화한다. 낙랑 고분군의 전축분은 대개 2세기 무렵부터 만들어졌기 때문에 낙랑군, 대방군 지배층의 무덤과 관계가 있다[2]. 그 중에는 고구려가 낙랑군, 대방군을 지배하게 된 313년 이후에 만들어진 것을 나타내는 기년명 전이 출토된 전축분도 있다. 황해남도신천군에서 출토된 전축분의 기년명 전에는 "영화팔년이월사일한씨조"라고 적혀 있어, 고구려가 영락 연호를 사용했던 404년에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묘지석동진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어, 낙랑군, 대방군 유민이 고구려가 아닌 중국에 귀속 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2].

금서룡은 "장통이 진민제건흥 원년 4월 (313년)에 그 백성 천여 가구를 이끌고 모용외에게 귀부했으므로, 이때 이후 대동강 유역은 확실히 고구려의 영유가 되었다"라고 하였다. 그 후 고구려는 4세기 초에 대동강 유역을 확실히 영유하고 평양에 특히 중점을 두었지만, 백여 년 후 장수왕 15년에 평양으로 천도하게 되었다. 이때 이미 우수한 중국 문화를 섭취하고 있던 고구려는 더욱더 중국 문화를 대동강 유역에 수입하여 이 땅에 번성하게 했다.[5]

3. 일제강점기 및 북한의 역사 수정주의

낙랑 고분군은 한(漢) 왕조한반도에 설치한 식민지낙랑군의 중심지였던 평양 지역과 후에 낙랑군에서 분리된 대방군이 위치했던 황해도 지역에 다수 분포한다. 이 발견으로 낙랑군이 평양 부근을 지배했고, 한(漢) 왕조가 조선의 발전에 거대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이 강조된다[6] .

3. 1. 북한의 낙랑군 해석

한(漢) 왕조한반도에 설치한 식민지낙랑군의 중심지였던 평양 지역과 후에 낙랑군에서 분리된 대방군이 위치했던 황해도 지역에 낙랑 고분군이 다수 분포한다. 북한 학자는 한(漢) 왕조의 무덤을 다루면서 그것들을 고구려의 묘제로 재해석하고 있다[6] . 중국 한(漢) 묘와 부인할 수 없는 유사성을 가진 유물 때문에 북한 학자는 분묘의 피장자는 고구려인 또는 위조라고 주장하며 "결코 분묘의 조선적 특성을 부정하는 근거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7] . 북한 학자에 따르면 분묘를 한(漢) 왕조의 무덤으로 보는 견해는 조선의 사대주의자들과 일본 제국주의자들에 의해 날조된 것이다[8] .

참조

[1] 뉴스 「史料作成時期の読み違い」 ハンバッ大学教授が「万里の長城は平壌まで」説を否定 https://www.donga.co[...] 2015-12-14
[2] 뉴스 5호16국·남북조 상쟁기 이주민과 고구려·백제 http://contents.nahf[...] 国史編纂委員会
[3] 서적 朝鮮に於ける樂浪帯方時代の遺蹟 日本人類学会 1914
[4] 서적 7世紀以前の中国・朝鮮関係史 法政大学経済学部学会 2020-03-20
[5] 서적 大同江南の古墳と楽浪王氏との関係 東洋文庫 1912-01
[6] 서적 Constructing "Korean" Origins: A Critical Review of Archaeology, Historiography, and Racial Myth in Korean State Formation Theorie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7] 간행물 An Outlin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8] 간행물 An Outline History of Korean Historiography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