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부 에너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부 에너지는 열역학적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엔트로피, 부피, 몰수 등의 변수를 사용하여 표현된다. 이는 계의 미시적 운동 에너지와 입자 간 퍼텐셜 에너지의 합으로,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열역학 제1법칙에 따라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열의 유입과 일의 수행에 의해 결정되며, 닫힌 계에서는 열 전달과 일의 차이로 계산된다. 이상 기체의 경우 온도와 기체 입자 수에만 의존하며, 다성분계에서는 화학 포텐셜을 고려하여 내부 에너지를 정의한다. 탄성 매질에서는 응력과 변형률을 통해 표현되며, 제임스 프레스콧 줄의 실험을 통해 열과 일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너지 (물리학) - 열역학적 자유 에너지
  • 에너지 (물리학) - 조지프슨 효과
    조지프슨 효과는 초전도체 사이의 절연 장벽에서 쿠퍼 쌍의 터널링으로 인해 발생하는 거시적인 양자 현상이며, 직류, 교류, 역 교류 조지프슨 효과로 나타나 SQUID, 큐비트, 전압 표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열역학적 성질 - 비열용량
    비열용량은 물질의 단위 질량을 1켈빈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압력과 온도에 따라 변하며 정압비열(cp)과 정적비열(cv)로 나뉘고, 분자 구조, 상, 온도, 압력 등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물질의 고유한 특성이다.
  • 열역학적 성질 - 열효율
    열효율은 열에너지가 역학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로, 에너지 변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실제 열기관의 효율은 카르노 효율보다 낮다.
  • 상태 함수 - 엑서지
    엑서지는 계와 환경의 상호작용에서 얻을 수 있는 최대 유효 일로, 열역학 제2법칙과 관련되어 에너지의 질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며, 시스템 효율성 평가 및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 수립에 활용된다.
  • 상태 함수 - 온도
    온도는 물체의 뜨겁고 차가운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열역학적으로는 에너지 이동 방향으로 정의되며, 미시적으로는 분자 운동 에너지의 평균값으로 정의되고, 화학 반응 속도와 생명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내부 에너지

2. 정의 및 설명

내부 에너지는 주어진 계의 상태를 결정하는 열역학 퍼텐셜 중 하나로, 계의 엔트로피, 부피, 몰수 등의 크기 변수의 함수로 표현된다. 내부 에너지의 절대적인 양보다는 변화량에 초점을 맞추며, 이는 계가 수행한 일과 받은 열의 차이로 계산된다.

내부 에너지는 계의 상태함수이다. 즉, 과정이나 경로에 관계없이 현재 계의 상태에 따라서만 결정된다. 내부 에너지는 크기 변수이므로, 유일하게 중요한 열역학 퍼텐셜이다. 르장드르 변환을 통해 다른 열역학 퍼텐셜들을 수학적으로 만들 수 있다.

내부 에너지는 거시적인 양이지만, 두 가지 가상의 요소를 통해 미시적인 규모에서 설명할 수 있다. 하나는 입자의 운동(병진 운동, 회전 운동, 진동)으로 인한 미시적 운동 에너지이고, 다른 하나는 화학 결합과 같은 입자 사이의 미시적인 힘과 관련된 퍼텐셜 에너지이다.

주어진 계의 내부 에너지(U)는 기준이 되는 계가 몇 번의 열역학적 과정을 통해 주어진 계가 될 때, 열역학적 과정에서 발생된 에너지 변화를 모두 더하여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Delta U = \sum_i E_i\,

여기에서 \Delta U는 기준이 되는 계와 주어진 계의 내부 에너지의 차이이며, E_i는 계의 i번째 변화에서의 에너지 변화이다.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계가 평형 상태에서 다른 평형 상태로 변화했을 때 내부 에너지 변화량은 외부에서 계로 유입된 열적, 물질적 에너지와 계가 외부에 한 일의 차이와 같다.

:U(\mathrm{X}_1) -U(\mathrm{X}_0)

=Q(\mathrm{X}_0 \to \mathrm{X}_1) +Z(\mathrm{X}_0 \to \mathrm{X}_1) -W(\mathrm{X}_0 \to \mathrm{X}_1)

여기서 X_0는 처음 상태, X_1는 마지막 상태, Q는 계로 유입된 열적 에너지, Z는 물질적 에너지, W는 계가 외부에 한 일이다.

열역학 또는 공학적인 관점에서, 시스템의 총 내부 에너지를 모두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과 관련된 구성 요소만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2]

2. 1. 미시적 관점

내부 에너지는 미시적 관점에서 계를 구성하는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으로 설명된다.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는 병진 운동, 회전 운동, 진동으로 구성된다. 위치 에너지는 화학 결합, 핵 결합 등 입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은 물리학과 화학에서 일반적이다.[12]

비상대론적 미시적 관점에서 내부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미시적 위치 에너지(U_\text{micro,pot})와 미시적 운동 에너지(U_\text{micro,kin})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U = U_\text{micro,pot} + U_\text{micro,kin}.

미시적 운동 에너지는 계를 구성하는 모든 입자(원자, 분자, 원자핵, 전자 등)의 운동에 의한 에너지의 총합이다. 미시적 위치 에너지는 화학 에너지, 핵 위치 에너지, 그리고 계 내부의 물리적 힘(유도된 전기/자기 쌍극자 모멘트, 고체의 변형 등)에 의한 에너지의 총합이다.

내부 에너지는 계 전체의 운동이나 위치에 의한 에너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즉, 외부 중력, 정전기장, 전자기장 등에 의한 운동 에너지나 위치 에너지는 제외된다. 그러나 계의 내부 자유도와 장의 결합에 의한 에너지 기여는 포함된다.

절대 영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미시적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는 끊임없이 서로 변환되지만, 고립계에서 그 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고전 열역학에서는 절대 영도에서 운동 에너지가 0이 되고 내부 에너지는 순수하게 위치 에너지가 된다. 그러나 양자 역학에 따르면, 절대 영도에서도 입자는 영점 에너지라는 잔류 운동 에너지를 가진다.

미시적 운동 에너지는 계의 온도를 결정한다. 통계 역학은 개별 입자의 무작위적인 운동 에너지를 전체 입자 앙상블의 평균 운동 에너지와 연결시킨다. 또한, 평균 미시적 운동 에너지를 거시적으로 관찰되는 온도와 관련시킨다.

통계 역학에서, 열 저장소와 열역학적 평형 상태에 있는 계는 N개의 마이크로상태의 앙상블로 구성된다. 각 마이크로상태는 에너지 E_i와 확률 p_i를 가지며, 내부 에너지는 모든 마이크로상태 에너지의 가중 평균값이다.

:U = \sum_{i=1}^N p_i \,E_i.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의 통계적 표현이다.

3. 기본 열역학 함수

내부 에너지 ''U''는 엔트로피 ''S'', 부피 ''V'', 그리고 물질량(몰수) ''Ni''를 독립 변수로 하는 함수 $U(S, V, N_i)$로 표현될 때, 계의 열역학적 상태를 완벽하게 기술하는 기본 함수가 된다.[7] 이 표현을 통해 계의 모든 열역학적 성질을 알 수 있다.

내부 에너지는 열역학 퍼텐셜 중 유일하게 중요한 함수이며, 르장드르 변환을 통해 다른 열역학적 포텐셜(엔탈피, 헬름홀츠 자유 에너지, 깁스 자유 에너지 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환은 크기 변수를 세기 변수로 바꾸어 상태 방정식에서 열역학적 포텐셜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내부 에너지 $U$의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begin{align}

\left( \frac{\partial U}{\partial S} \right)_{V,N} = T(S,V,N), \\

\left( \frac{\partial U}{\partial V} \right)_{S,N} = -p(S,V,N), \\

\left( \frac{\partial U}{\partial N_i} \right)_{S,V,N_j} = \mu_i(S,V,N)

\end{align}

여기서 $T$는 열역학적 온도, $p$는 압력, $\mu_i$는 성분 $i$의 화학 퍼텐셜이다.

따라서 내부 에너지의 전미분은 다음과 같다.

:dU =T(S,V,N)\, dS -p(S,V,N)\, dV +\sum_i \mu_i(S,V,N)\, dN_i

계의 스케일 변환 $(\lambda U, \lambda S, \lambda V, \lambda N)$을 고려하면,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

:\lambda U(S,V,N) =U(\lambda S,\lambda V,\lambda N)

이를 $\lambda$로 미분하고 $\lambda = 1$을 대입하면, 다음의 관계를 얻을 수 있다.

:U = T S -p V+\sum_i \mu_i N_i

4.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온도(및 기체 입자 수)에만 의존한다. U = U(N,T). 압력이나 밀도와 같은 다른 열역학적 양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물질량(몰수) N온도 T에 비례한다.

: U = c_V N T,

여기서 c_V는 기체의 등적(부피 일정) 몰 비열이다. c_V는 이상 기체에 대해 일정하다. 모든 기체(이상 기체 또는 비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세 가지 외연적 성질 S, V, N(엔트로피, 부피, 몰수)의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 기체의 경우 다음과 같다.[16]

:U(S,V,N) = \mathrm{const} \cdot e^\frac{S}{c_V N} V^\frac{-R}{c_V} N^\frac{R+c_V}{c_V},

여기서 \mathrm {const}는 임의의 양의 상수이고 R보편 기체 상수이다. U가 세 변수의 동차 함수이며(즉, 이러한 변수에 대해 ''외연적''이다) 약하게 볼록 함수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온도압력이 미분

T = \frac{\partial U}{\partial S}, P = -\frac{\partial U}{\partial V},임을 알면,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 PV = NRT가 즉시 다음과 같이 따른다.

:T = \frac{\partial U}{\partial S} = \frac{U}{c_V N}

:P = -\frac{\partial U}{\partial V} = U \frac{R}{c_V V}

:\frac{P}{T} = \frac{\frac{U R}{c_V V}}{\frac{U}{c_V N}} = \frac{N R}{V}

:PV = NRT

5. 닫힌 열역학 계의 내부 에너지 변화

열역학 제1법칙에 따르면, 닫힌 계에서 내부 에너지 변화(\Delta U)는 계가 받은 열(Q)에서 계가 한 일(W)을 뺀 값으로 나타난다.[15]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Delta U = Q - W \quad \text{(닫힌 계, 물질 이동 없음)}.

닫힌 계가 열을 받으면 내부 에너지가 증가한다. 이상 기체의 경우, 추가된 에너지는 모두 온도를 높이는 데 사용되며, 이는 미시적 운동 에너지로 저장된다. 이를 현열이라고 한다. 닫힌 계는 주변에 일을 함으로써 내부 에너지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가역 과정을 가정하면, 열(\delta Q)은 온도 (T)와 엔트로피 (S)의 변화량의 곱으로, 일(\delta W)은 압력 (P)과 부피 (\mathrm{d}V) 변화량의 곱으로 표현할 수 있다.

:\delta Q = T \mathrm{d}S

:\delta W = P \mathrm{d}V

따라서 내부 에너지의 변화(\mathrm{d}U)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7]

:\mathrm{d}U = T \mathrm{d}S - P \mathrm{d}V.

계가 어떤 평형 상태에서 특정 과정을 거쳐 다시 평형 상태로 돌아왔을 때, 처음과 마지막 상태의 내부 에너지 변화량은 계 안팎의 에너지 수지, 즉 외부에서 계로 유입된 열적, 물질적 에너지와 계가 외부에 한 일의 차이와 같다.

5. 1. 온도와 부피에 의한 변화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온도와 부피의 변화와 관련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1]

:\mathrm{d}U =C_{V} \, \mathrm{d}T +\left[T\left(\frac{\partial P}{\partial T}\right)_{V} - P\right] \mathrm{d}V.

이 식은 상태 방정식이 알려져 있을 때 유용하다.[1]

이상 기체의 경우, dU = C_V \, dT로 유도할 수 있다. 즉, 이상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온도에만 의존하는 함수로 쓸 수 있다.[1]

계의 평형 상태가 온도 와 부피 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 내부 에너지 의 온도 에 대한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left( \frac{\partial U}{\partial T} \right)_V =C_V(T,V)

여기서 는 정적 열용량이다.[2]

내부 에너지 의 부피 에 대한 미분은 열역학적 상태 방정식

:\left( \frac{\partial U}{\partial V} \right)_T = T \left( \frac{\partial p}{\partial T} \right)_V -p(T,V)

로 주어진다. 이는 압력을 온도와 부피의 함수로 나타낸 상태 방정식

:p = p(T,V)

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2]

이러한 식을 적분하면

:U(T,V) = U_0 +\int_{(T_0,V_0)}^{(T,V)} C_V(T,V) dT +\left[ T \left( \frac{\partial p}{\partial T} \right)_V -p(T,V) \right] dV

로 T-V 표시에서의 내부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2]

5. 2. 온도와 압력에 의한 변화

유체나 고체의 경우, 온도와 압력에 따른 내부 에너지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 유용하다. 내부 에너지 변화(dU)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operatorname dU = \left(C_{P}-\alpha P V\right) \operatorname dT +\left(\beta_{T}P-\alpha T\right)V \operatorname dP,

여기서 C_P는 등압 열용량이며, 등적 열용량 (C_V)과 다음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C_{P} = C_{V} + V T\frac{\alpha^{2}}{\beta_{T}}.

내부 에너지는 보통 엔트로피나 부피와 같은 종량적 변수로 나타내지만, 온도가 측정이 더 쉽기 때문에 엔트로피 대신 온도를 변수로 사용하기도 한다. 계의 평형 상태가 온도 T와 부피 V로 주어지는 경우, 내부 에너지 U의 온도 T에 대한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적 열용량(C_V)으로 주어진다.

:\left( \frac{\partial U}{\partial T} \right)_V =C_V(T,V)

내부 에너지 U의 부피 V에 대한 미분은 열역학적 상태 방정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left( \frac{\partial U}{\partial V} \right)_T

= T \left( \frac{\partial p}{\partial T} \right)_V -p(T,V)

이는 압력을 온도와 부피의 함수로 나타낸 상태 방정식 p = p(T,V)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을 적분하면 T-V 표시에서의 내부 에너지를 계산할 수 있다.

:U(T,V) = U_0 +\int_{(T_0,V_0)}^{(T,V)} C_V(T,V) dT

+\left[ T \left( \frac{\partial p}{\partial T} \right)_V -p(T,V) \right] dV

5. 3. 등온에서의 부피 변화

내부 압력은 일정한 온도에서 부피에 대한 내부 에너지의 편미분으로 정의된다.

: \pi _T = \left ( \frac{\partial U}{\partial V} \right )_T.

내부 에너지의 자연 변수는 엔트로피나 부피와 같은 종량적 변수이지만, 온도는 측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엔트로피를 온도 변수로 바꿔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계의 평형 상태가 온도와 부피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내부 에너지의 부피에 대한 미분은 열역학적 상태 방정식

:\left( \frac{\partial U}{\partial V} \right)_T

= T \left( \frac{\partial p}{\partial T} \right)_V -p(T,V)

로 주어진다. 이는 압력을 온도와 부피의 함수로 나타낸 상태 방정식

:p = p(T,V)

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6. 다성분계의 내부 에너지

내부 에너지는 엔트로피 S와 부피 V 외에도, 시스템을 구성하는 입자나 화학 종의 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다성분계에서 내부 에너지 U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8]

:U = U(S,V,N_1,\ldots,N_n),

여기서 N_j는 시스템 내 j 유형 성분의 몰수이다. 내부 에너지는 S, V, N_j의 광범위한 함수이며, 1차 선형 동차 함수로 표현 가능하다.[18]

:U(\alpha S,\alpha V,\alpha N_{1},\alpha N_{2},\ldots ) = \alpha U(S,V,N_{1},N_{2},\ldots),

여기서 \alpha는 시스템 크기 변화를 나타내는 인자이다. 내부 에너지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mathrm{d} U = \frac{\partial U}{\partial S} \mathrm{d} S + \frac{\partial U}{\partial V} \mathrm{d} V + \sum_i\ \frac{\partial U}{\partial N_i} \mathrm{d} N_i\ = T \,\mathrm{d} S - P \,\mathrm{d} V + \sum_i\mu_i \mathrm{d} N_i,

여기서 온도 TU를 엔트로피 S로 편미분한 값, 압력 PU를 부피 V로 편미분한 값의 음수이다.

:T = \frac{\partial U}{\partial S},

:P = -\frac{\partial U}{\partial V},

\mu_{i}i 유형 성분의 화학 포텐셜이며, 조성 변화에 대한 내부 에너지의 편미분으로 정의된다.

:\mu_i = \left( \frac{\partial U}{\partial N_i} \right)_{S,V, N_{j \ne i}}.

화학 포텐셜은 집중적인 성질이며, 시스템의 질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오일러의 동차 함수 정리를 이용하면, 내부 에너지 U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U = T S - P V + \sum_i \mu_i N_i.

깁스 자유 에너지는 시스템 조성의 합으로 표현된다.

:G = \sum_i \mu_i N_i

이는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시스템 조성을 변화시킬 때 발생한다. 단일 성분 시스템에서 화학 포텐셜은 몰당 깁스 에너지와 같다.

7. 탄성 매질의 내부 에너지

탄성 매질의 경우, 내부 에너지의 탄성적인 성분은 탄성 과정에 관련된 응력 \sigma_{ij}와 변형률 \varepsilon_{ij}로 표현된다. 반복된 지수에 대한 합산이 있는 텐서에 대한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여 단위 부피에 대해 미소량은 다음과 같다.

:\mathrm{d}U=T\mathrm{d}S+\sigma_{ij}\mathrm{d}\varepsilon_{ij}.

오일러 정리는 내부 에너지에 대해 다음을 제공한다.[19]

:U=TS+\frac{1}{2}\sigma_{ij}\varepsilon_{ij}.

선형 탄성 재료의 경우, 응력은 변형률과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진다.

:\sigma_{ij}=C_{ijkl} \varepsilon_{kl},

여기서 C_{ijkl}는 매질의 4차 탄성 상수 텐서의 구성 요소이다.

8. 역사

제임스 줄은 열, 일, 그리고 온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는 액체 내 마찰, 예를 들어 날개 바퀴로 교반하여 발생시키는 마찰이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관찰했으며, 이를 '열의 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묘사했다. 현대적 단위로 표현하면, 물 1킬로그램의 온도를 섭씨 1도 올리는 데 약 4186J의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20]

참조

[1] 서적 'pp. 106–107' 1963
[2] 서적 'pp. 24–28' 1971
[3] 간행물 Internal energy, the First Law, heat, conservation of total energy, mass and energy balances, enthalpy, and heat capacities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4] 서적 'pp. 146–149' https://archive.org/[...] 1949
[5] 웹사이트 Thermodynamics - Heat Capacity, Internal Energy https://www.britanni[...] 2024-07-29
[6] 서적 Quantities, units, and symbols in physical chemistry https://iupac.org/wp[...] RSC Pub 2007
[7] 서적 'p. 17' 2000
[8] 서적 Chapter 5 1960/1985
[9] 서적 'p. 6' 1970
[10] 서적 Chapter 3 1970
[11] 서적 'pp. 206–209' 1994
[12] 서적 Chemical Thermodynamics - Basic Concepts and Methods Wiley 2008
[13] 서적 'pp. 15, 16'
[14] 웹사이트 Thermal energy http://hyperphysics.[...]
[15] 문서 This article uses the sign convention of the mechanical work as often defined in engineer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 used in physics and chemistry; in engineering, work performed by the system against the environment, e.g., a system expansion, is taken to be positive, while in physics and chemistry, it is taken to be negative.
[16] 서적 Towards a Generalized Exergy Concept North-Holland
[17] 서적 Equilibrium thermodynam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18] 서적 Statistical physics
[19] 서적 1986
[20] 논문 On the Mechanical Equivalent of Heat
[21] 문서 『学術用語集』
[22] 서적 大学演習 熱学・統計力学 裳華房
[23] 서적 田崎『熱力学』
[24] 서적 'pp. 106–107' 1963
[25] 서적 'pp. 24–28' 1971
[26] 서적 'pp. 146–149' https://archive.org/[...] 194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