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셔널리그 (대한민국의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셔널리그는 2003년 출범하여 2019년 해체된 대한민국의 실업 축구 최상위 리그였다. K2리그로 시작하여 2006년 내셔널리그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K리그 승격 제도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013년 K리그 챌린지 출범 이후, 내셔널리그는 K리그 챌린지로의 프로 전환을 지원했으며, 2019년 K3리그와 K4리그 출범으로 흡수 통합되었다. 리그는 정규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팀을 가렸으며, 스폰서십을 통해 대회를 운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셔널리그 - 대한민국 실업·대학 선발 축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실업·대학 선발 축구 국가대표팀은 실업 축구와 대학 축구의 우수 선수들로 구성된 선발팀으로, IFA 실드 데뷔 후 여러 국제대회에서 준우승 및 3위 등의 성적을 거두며 한국 축구의 저변 확대에 기여했다.
  • 아시아의 축구 3부 리그 - K3리그
    K3리그는 대한민국 3부 축구 리그로, 2007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2020년 내셔널리그와 통합되었으며, K4리그와의 승강제와 더불어 향후 K리그2와의 승강제 도입을 계획하고,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을 기본으로 다양한 구단들이 참가한다.
  • 아시아의 축구 3부 리그 - J3리그
    J3리그는 J리그의 전국적인 확대와 저변 확대를 목표로 2014년 출범한 일본 프로 축구 3부 리그로, J2리그보다 완화된 라이선스 기준을 적용하며 젊은 선수 육성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 200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는 한라위니아 주도로 2003년 출범하여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팀이 참가하며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성장한 국제 아이스하키 리그로, 현재는 일본 4팀과 한국 1팀이 참가하여 매 시즌 플레이오프를 통해 챔피언을 결정한다.
  • 2003년 설립된 스포츠 리그 - 재팬 럭비 리그 원
    재팬 럭비 리그 원은 일본 럭비 활성화를 목표로 2002년 출범한 일본 전국 사회인 럭비 최상위 리그로, 현재 디비전 1, 2, 3으로 나뉘어 운영되며, 프로 및 일부 사회인 선수들이 참가하고, J SPORTS에서 주요 경기를 생중계한다.
내셔널리그 (대한민국의 축구)
기본 정보
한국 내셔널리그 로고
국가대한민국
대륙AFC
창립(2003년)
해체2019년
리그 등급2 (2003–2012)
3 (2013–2019)
국내 컵한국 FA컵
내셔널축구선수권대회
리그 컵내셔널리그 챔피언십
웹사이트n-league.net
로마자 표기Naesyeneol rigeu
구조
승격없음
강등챌린저스리그 (과거) / K3리그 어드밴스 (과거)
통계
최근 우승팀강릉시청 축구단 (2019)
최다 우승팀현대미포조선 (7회)

2. 역사

2003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을 개편, 프로 2부 리그를 표방하며 K2리그라는 이름으로 출범하였다. 당시 10개 팀이 참가하였고, 모든 구단은 연고지 제도를 도입하였다. 첫 시즌 우승은 김포 국민은행이 차지했다.

2006년 K2리그는 내셔널리그로 명칭을 변경하고, 우승 팀의 K리그 승격 제도를 시행했다. 그러나 고양 국민은행과 울산 현대미포조선이 승격을 거부하면서 승강제 도입은 무산되었다.[6] 2009년 9월, 권오갑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은 3년 내 승강제 실시를 목표로 하겠다고 밝혔다.[9]

2008 시즌 14개 팀, 2010 시즌에는 용인시청과 목포시청이 참가하여 15개 팀으로 리그 규모를 확장했다. 2010년부터 외국인 선수 제도를 도입, 울산 현대미포조선이 브라질 용병 2명을 영입했다. 예산 FC2011년 시즌부터 탈퇴하면서 14개 팀으로 운영되었다.

2013년 K리그 챌린지 출범으로, 내셔널리그 구단들은 프로 2부 리그 참가가 가능해졌다. 충주 험멜, 수원시청, 안산 H가 프로 진출을 확정, 고양 KB국민은행은 해체되었다.[10] 2016 시즌 후,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용인시청 해체로 8개 팀으로 축소되었다.

2016년 대한축구협회의 통합 디비전 운영 시스템 계획 발표로 리그 해체가 예고되었다. 2019년, 내셔널리그 8개 팀은 2020시즌부터 K3리그에 참가하기로 확정되었다.[11] 내셔널리그는 2019 시즌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1. 출범과 초기 (2003년 ~ 2006년)

2003년 대한민국 실업 축구 최상위 리그였던 전국실업축구연맹전을 개편하여 프로 2부 리그를 목표로 하는 K2리그가 출범하였다. K2리그는 전국실업축구연맹전과 달리 연고지 제도를 도입하여, 참가하는 모든 구단이 연고지를 정하도록 하였다. 첫 시즌에는 10개 팀이 참가했으며, 김포 국민은행이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K2리그는 내셔널리그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그 해부터 우승 팀이 프로 리그인 K리그로 승격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결승전은 고양 국민은행과 김포 할렐루야가 치렀다. 김포 할렐루야는 결승전 이전부터 프로 승격을 원했으나, 최종 우승은 국민은행이 차지하였다. 그러나 우승 후 국민은행은 은행법 등의 이유를 들어 승격을 거부하였고, 다음 시즌 전반기 10점, 후반기 10점, 총 20점의 승점 감점 징계를 받았다.

2. 2. 승강제 시도와 좌절 (2006년 ~ 2012년)

2006년 K2리그에서 내셔널리그로 이름을 변경하였고, 그 해부터 우승 팀이 프로 리그인 K리그로 승격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그러나 2006년 우승 팀 고양 국민은행과 2007 시즌 우승 팀 울산 현대미포조선이 잇따라 승격을 거부하면서 승강제는 큰 난관에 봉착했다.[6] 연이은 실패로 인해 한국 축구의 단기적 목표인 승강제 실현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되었고, 대한축구협회한국실업축구연맹에 대한 비난도 거세졌다.[7] 결국 2008년 리그 시작 전, 대한축구협회와 프로축구연맹, 실업축구연맹은 무리한 승격제를 폐지하고 준비기간을 거쳐 프로 2부 리그를 출범시키기로 하였다.[8]

2009년 9월, 권오갑 한국실업축구연맹 회장은 3년 내 승강제 실시를 목표로 대한축구협회,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9] 그는 "승강제 없는 프로리그는 안된다"며 축구 발전을 위해 승강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08 시즌에는 14개 팀, 2010 시즌에는 용인시청과 목포시청이 참가하여 15개 팀으로 리그 규모를 확장했다. 2010년부터 외국인 선수 제도를 도입하여, 울산 현대미포조선이 브라질 용병 2명을 영입하며 내셔널리그 역사상 첫 외국인 선수를 탄생시켰다.

2. 3. K리그 챌린지 출범과 변화 (2013년 ~ 2019년)

2013년 K리그 챌린지(프로 2부 리그)가 출범하면서 내셔널리그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내셔널리그에서 프로화를 원하는 구단은 K리그 챌린지로 참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한축구협회의 지원과 한국프로축구연맹의 프로 리그 가입금 면제 등 혜택이 주어졌다.[10] 충주 험멜, 수원시청, 안산 H가 프로 진출을 확정지었고, 고양 KB국민은행은 해체되면서 총 4개 팀이 내셔널리그를 떠나게 되었다. 2016 시즌 종료 후에는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용인시청이 해체되어 8개 팀으로 축소되었다.

2. 4. 리그 해체와 K3리그 통합 (2019년)

2016년 대한축구협회가 통합 디비전 운영 시스템 계획을 발표하면서 내셔널리그의 해체가 예고되었다.[11] 2019년, 내셔널리그 8개 참가팀 모두 2020시즌부터 시작되는 대한축구협회의 통합 K3리그에 참여하는 것이 확정되었다.[11] 이에 따라 내셔널리그는 2019 시즌을 마지막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K3리그, K4리그에 흡수 통합되었다.

3. 리그 진행 방식

2019 시즌에는 8개 팀이 참가하여 팀당 28경기(4경기씩, 7경기 4라운드)를 치르는 정규 리그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했다. 정규 리그 상위 3개 팀은 플레이오프와 챔피언결정전을 통해 최종 우승 팀을 가렸다. 플레이오프는 정규 리그 2위 팀과 3위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2차전은 2위 팀의 홈에서 열렸다. 챔피언결정전은 정규 리그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1, 2차전 중 홈 경기 개최는 리그 1위 팀이 선택할 수 있었다.

2008년부터 플레이오프 제도가 도입되었다.[1] 2014년에는 정규 시즌을 3라운드 풀 리그 방식으로 치르고, 상위 4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우승을 다투는 방식이었다.[1] 플레이오프는 각 라운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팀 어드밴티지는 없었고 원정 다득점 우선 규칙이 적용되었다.[1]

플레이오프 형식은 매년 조금씩 변경되었다.[1] 2010년에는 전기 리그 우승팀, 후기 리그 우승팀, 그리고 이들을 제외한 상위 2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는 2015년부터 J리그 디비전 1에서 도입 예정이었던 방식과 유사했다.[1]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상위 6개 팀이 순위에 따라 토너먼트를 치르는 K리그의 방식을 따랐다.[1] 2013년에는 상위 4개 팀이 한국 프로 야구에서 진행되는 방식과 비슷한 스텝 래더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을 결정했다.[1]

내셔널리그 소속 클럽은 대한민국 FA컵에서 2라운드부터 출전한다.[2]

4. 역대 참가 클럽

wikitext

번호클럽구단주비고
1안산 H FC2003-2012
2경주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2013–2019
3강릉 시청강릉시청2003–2019
4고양 KB국민은행KB국민은행2003-2012
5대전 코레일코레일2003-2019
6충주 험멜험멜 코리아2003-2012
7이천 상무국군체육부대2003–2005
8수원 시청수원시청2003–2012
9현대미포조선현대미포조선2003–2016
10예산 FC서산시청(2003–2007), 예산군청(2008–2010)2003-2010
11서울 시청서울특별시청2003
12창원 시청창원시청2005–2019
13부산 교통공사부산교통공사2006–2019
14홍천 이두INGNEX (2007), 이두건설 (2008–2009)2007-2009
15천안 시청천안시청2008–2019
16김해 시청김해시청2008–2019
17목포 시청목포시청2010–2019
18용인 시청용인시청2010–2016


4. 1. 2019 시즌 참가 클럽

2019년 내셔널리그에는 다음 8개 클럽이 참가한다.

클럽리그 참가2017년 순위연고지홈구장수용 인원감독
강릉시청20037위강릉강릉종합운동장33000오세응
경주 한국수력원자력20031위경주경주시민운동장12199어용국
대전 코레일20034위대전한밭종합운동장17371김승희
창원시청20056위창원창원축구센터15116최영근
부산교통공사20068위부산구덕운동장24363박상인
김해시청20082위김해김해운동장30000윤성효
천안시청20083위천안천안축구센터2881당성증
목포시청[13]20105위목포목포국제축구센터5952김정혁



지역연고지클럽
강원권강릉시강릉시청
충청권대전광역시대전 코레일
천안시천안시청
영남권부산광역시부산교통공사
창원시창원시청
경주시경주 한국수력원자력
김해시김해시청
호남권목포시목포시청


4. 2. 이전 참가 클럽

클럽명연고지참가 기간비고
이천 상무경기도 이천시2003년-2005년
서울시청서울특별시2003년
홍천 이두강원도 홍천군2007년-2009년 전기
예산 FC충청남도 예산군2003년-2010년
고양 국민은행[5]경기도 고양시2003년-2012년K리그2 (2부) 가입
수원시청경기도 수원시2003년-2012년
안산 할렐루야경기도 안산시2003년-2012년
충주 험멜충청북도 충주시2003년-2012년
용인시청경기도 용인시2010년-2016년rowspan=2|
울산 현대미포조선울산광역시2003년-2016년


5. 역대 우승 기록

2002년까지 실업축구 대회 우승팀 정보는 전국실업축구연맹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1. 시즌별 우승 클럽

내셔널리그의 역대 각 시즌의 우승 및 준우승 클럽은 아래와 같다.[12]


5. 2. 클럽별 우승 횟수

구단우승준우승
울산 현대미포조선7회 (2007, 2008, 2011, 2013, 2014, 2015, 2016)
고양 KB국민은행3회 (2003, 2004, 2006)2회 (2011, 2012)
경주 한국수력원자력2회 (2017, 2018)4회 (2010, 2013, 2015, 2019)
강릉시청2회 (2009, 2019)2회 (2004, 2016)
대전 한국철도2회 (2005, 2012)1회 (2014)
수원시청1회 (2010)3회 (2005, 2007, 2008)
김해시청3회 (2009, 2017, 2018)
이천 상무1회 (2003)
고양 자이크로1회 (2006)


6. 역대 스폰서

연도스폰서공식 대회명칭
2003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컵 2003 K2리그 (전기리그)
인터막스인터막스컵 2003 K2리그 (후기리그)
2004년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컵 2004 K2리그
2005년KB국민은행KB국민은행컵 2005 K2리그
2006년생명과학기업 STC생명과학기업 STC컵 2006 내셔널리그
2007년생명과학기업 STC컵 2007 내셔널리그 (전기리그)
KB국민은행KB국민은행 2007 내셔널리그 (후기리그)
2008년KB국민은행 2008 내셔널리그
2009년교보생명교보생명 2009 내셔널리그
2010년대한생명대한생명 2010 내셔널리그
2011년삼성생명삼성생명 2011 내셔널리그
2012년신한은행신한은행 2012 내셔널리그
2013년신한은행 2013 내셔널리그
2014년삼성생명삼성생명 2014 내셔널리그
2015년인천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 2015 내셔널리그
2016년인천국제공항 2016 내셔널리그
2017년2017 내셔널리그
2018년2018 내셔널리그
2019년2019 내셔널리그


참조

[1] 뉴스 또 다시 승격거부, 미포조선의 잘못인가 https://www.xportsne[...] Xportsnews 2007-12-13
[2] 뉴스 N리그, 승격제 폐지 합의… 아이엔지 '퇴출' http://sports.hankoo[...] Sports Hankook 2008-03-07
[3] 뉴스 한국형 디비전시스템의 '허리' K3·4리그 본격 출범 https://www.chosun.c[...] Sports Chosun 2020-05-13
[4] 기타 ナショナルリーグのホームゲームの有料入場並行実施案内(釜山交通公社サッカーチーム公式・韓国語) http://www.humetro.b[...]
[5] 기타 K리그챌린지(2部)に新加盟するFC安養へ統合
[6] 뉴스 현대미포조선, "환영하지 않는 분위기라 1년 뒤 승격 추진" http://osen.stoo.com[...] OSEN 2007-12-12
[7] 뉴스 미포조선 '승격거부', '승강제'는 한국 축구의 '신기루'?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07-12-12
[8] 뉴스 N리그, 승격제 폐지 합의… 아이엔지 '퇴출' http://sports.hankoo[...] 연합뉴스 2008-03-07
[9] 뉴스 "3년내 K리그로 승강제 도입하겠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9-11-03
[10] 뉴스 "내셔널리그팀의 프로 2부 입성 팀에 3년간 30억원 지원" http://kleague.com/n[...] K리그 2012-03-06
[11] 기타 내셔널리그 8팀 전원, KFA 3, 4부리그 참가신청 완료 https://post.naver.c[...]
[12] 웹인용 대한축구협회>국내리그>내셔널리그>역대성적 http://www.kfa.or.kr[...]
[13] 뉴스 목포시청•용인시청 내년 내셔널리그 참가 http://www.weeklysoc[...] 한국축구신문 2009-1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